맨위로가기

112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27년은 북송이 금나라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남송이 건국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헨리 1세의 노르망디 침공, 루이 6세의 봉신 반란 진압, 비잔틴 제국의 안티오키아 점령, 알폰소 7세의 레온 왕 즉위, 교황 호노리오 2세의 즉위 등이 있다. 또한 포르투갈의 독립 선언, 다이지의 장원 정지령 등이 있었으며, 의종, 효종, 고시라카와 천황 등 여러 인물이 태어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127년
연도 정보
연도1127년
세기12세기
십년대1120년대
주요 사건
정치/군사2월 3일: 송나라의 흠종이 금나라에 의해 폐위됨.
3월 20일: 남송의 고종 (남송)이 즉위함.
7월: 시리아의 알레포에서 큰 지진이 발생함.
문화이탈리아의 레체에 레체 대성당이 건설됨.
자연잉글랜드에서 극심한 가뭄 발생.

2. 연호 및 기년

연호국가사용 기간
정강 2년북송~ 4월
건염 원년남송5월 ~
천회 5년
다이지(大治) 2년일본
원덕 9년, 정덕 원년서하
티엔푸카인토(天符慶壽) 원년리 왕조



기년국가사용 기간
흠종 2년북송~ 4월
고종 원년남송5월 ~
태종 5년
인종 5년고려
숭종 42년서하
인종 56년리 왕조
황기 1787년일본
간지정미


3. 주요 사건


  • 1월 9일 - 금-송 전쟁: 정강의 변이 일어나 여진족 군대가 북송의 수도 카이펑을 약탈하고, 흠종과 그의 아버지 휘종을 포함한 조씨 가문 일원들을 포획했다.[5] 이 사건으로 북송은 멸망했다.
  • 1월 19일 - 송나라 휘종이 금나라요나라를 멸망시키기 위한 동맹을 제안했다.
  • 6월 12일 - 흠종의 동생(20세) 고종이 항저우(린안)에서 남송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했다.
  • 3월 2일 - 플랑드르 백작인 선량공 샤를이 교회에서 기도하던 중 기사단에게 살해당했다. 프랑스 국왕 루이 6세는 윌리엄 클리토를 새로운 통치자로 임명했으나, 여러 도시들이 반발하며 알자스의 티에리를 경쟁 백작으로 인정했다.[1]
  • 봄 - 레온-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의 군대가 기마랑이스 공성전을 시작했으나, 결국 철수했다.[1]
  • 여름 - 시칠리아의 루지에로 2세가 이탈리아에 있는 오트빌 가문의 재산과 카푸아 공국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했으나, 아풀리아와 칼라브리아 백국의 노르만 귀족 연합이 교황 호노리오 2세의 지원을 받아 저항했다. 같은 해 루지에로는 반란 이후 몰타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2] 또한 사보나와 조약을 체결하여 지중해의 안전을 보장했다.[3]
  • 12월 18일 - 콘라트 3세뉘른베르크에서 독일 왕국대립왕으로 선출되어 대관식을 치렀다.
  • 2월 - 잉글랜드헨리 1세노르망디를 침공했다.
  • 5월 23일 - 프랑스루이 6세가 라 페르테-고셰에서 봉신들의 반란을 진압했다.
  • 6월 10일 - 비잔틴 제국의 요한 2세 콤네노스가 안티오키아를 점령했다.
  • 8월 15일 - 스페인알폰소 7세레온의 왕이 되었다.
  • 12월 17일 - 교황 호노리오 2세가 로마에서 교황으로 즉위했다.
  • 포르투갈 백작 아폰수 1세가 포르투갈레온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 잉글랜드 국왕 헨리 1세는 자신의 딸 마틸다 황후를 앙주 백작 조프루아 5세와 결혼시켜 잉글랜드와 앙주 백작령 사이의 동맹을 맺었다.
  • 튀르크계 군사 지도자 이마드 앗딘 장기모술의 지배자가 되었다.

3. 1. 동아시아


  • 1월 9일 - 금-송 전쟁: 여진족 군대가 정강의 변 동안 북송의 수도 카이펑을 약탈하고, 흠종과 그의 아버지 휘종, 그리고 조씨 가문 일원들을 포획했다.[5]
  • 1월 19일 - 송나라의 휘종이 금나라요나라를 멸망시키기 위한 동맹을 제안했다.
  • 6월 12일 - 흠종의 동생(20세) 고종이 항저우(린안)에서 남송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했다.

3. 2. 서아시아 및 유럽


  • 3월 2일 - 플랑드르 백작인 선량공 샤를이 교회에서 기도하던 중 기사단에게 살해당했다. 그는 자녀가 없었다. 프랑스 국왕 루이 6세는 윌리엄 클리토(로버트 커트호스의 아들)를 새로운 통치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브뤼주, 겐트, 생토메르, 이프르의 플랑드르 도시들은 (영국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알자스의 티에리를 경쟁 백작으로 인정했다.[1]
  • 봄 - 레온-카스티야의 알폰소 7세의 군대가 기마랑이스 공성전을 시작했고, 결국 철수했다.[1]
  • 여름 - 시칠리아의 루지에로 2세는 이탈리아에 있는 오트빌 가문의 재산과 카푸아 공국에 대한 종주권을 주장했다. 그러나 아풀리아와 칼라브리아 백국의 노르만 귀족 연합은 (교황 호노리오 2세의 지원을 받아) 시칠리아의 통치에 저항했다. 같은 해 루지에로는 반란 이후 몰타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았다.[2] 루지에로 2세는 또한 사보나의 해상 공화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지중해의 안전을 보장했는데,[3] 이는 아마도 알모라비드 왕조의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습격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4]
  • 12월 18일 - 콘라트 3세 (자유 제국 도시, 슈바벤 공국, 오스트리아 공국의 지원을 받아)가 뉘른베르크에서 독일 왕국대립왕으로 선출되어 대관식을 치렀다.
  • 2월 - 잉글랜드헨리 1세노르망디를 침공했다.
  • 5월 23일 - 프랑스루이 6세가 라 페르테-고셰에서 봉신들의 반란을 진압했다.
  • 6월 10일 - 비잔틴 제국의 요한 2세 콤네노스가 안티오키아를 점령했다.
  • 8월 15일 - 스페인알폰소 7세레온의 왕이 되었다.
  • 12월 17일 - 교황 호노리오 2세가 로마에서 교황으로 즉위했다.
  • 포르투갈 백작 아폰수 1세가 자신의 지배권을 주장하며, 포르투갈레온 왕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 잉글랜드 국왕 헨리 1세는 자신의 딸 마틸다 황후(신성 로마 제국 황제 헨리 5세의 미망인)를 14세의 앙주 백작 조프루아 5세(예루살렘 국왕 풀크의 아들)와 결혼시켰다. 이는 잉글랜드(잉글랜드)와 앙주 백작령 사이의 동맹을 보장하고, 풀크가 루이 6세와 동맹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헨리는 잉글랜드 귀족들에게 마틸다를 정당한 왕위 계승자로 맹세하게 했다. 헨리 1세가 죽자, 그녀의 사촌 블루아의 스테판은 해협을 건너 그녀의 왕위를 찬탈하여 잉글랜드 군주 목록의 잉글랜드 왕이 되었다. 마틸다는 1135년부터 1154년까지 이어진 무정부 시대로 알려진 긴 내전을 벌였다.
  • 튀르크계 군사 지도자 이마드 앗딘 장기모술의 지배자(아타베그)가 되었다. 그는 자지라 지역(북부 메소포타미아)의 누사이빈, 신자르, 하란을 점령했다.

4. 탄생

4. 1. 고려

4. 2. 남송

4. 3. 일본

5. 사망


  • 2월 7일 - 아바(폰 괴트바이크), 독일 시인 (1060년 출생)
  • 2월 10일 - 윌리엄 9세("트루바두르"), 아키텐 공작 (1071년 출생)
  • 3월 2일 - 선량왕 샤를, 플랑드르 백작 (1084년 출생)
  • 3월 23일 - 오토네 프란지파네, 이탈리아 베네딕토회 수도사이자 성인 (1040년 출생)
  • 3월 29일 - 미나모토노 마사자네, 헤이안 시대공경 (1058년 출생)
  • 5월 16일 - 보세의 젱, 프랑스 은둔자이자 성인 (1104년 출생)
  • 7월 - 윌리엄 2세, 아풀리아와 칼라브리아의 노르만 공작 (1095년 출생)
  • 8월 12일 - 아리아노의 조르단, 노르만 전사이자 귀족
  • 9월 1일 - 알모스 공작 (또는 알무스), 헝가리 및 크로아티아 공작
  • 9월 30일 - 후지와라노 히로코, 고레이제이 천황황후 (1036년 출생)
  • 10월 1일 - 멜리테네의 모피아, 예루살렘의 왕비 (또는 1126년)
  • 11월 1일 - 장방창, 대초의 통치자 (1081년 출생)
  • 11월 12일 - 고드발드 (또는 고데발드), 위트레흐트 주교
  • 11월 25일 - 미나모토노 요시미쓰, 일본의 사무라이 (1045년 출생)
  • 12월 19일 - 조르단 2세 (또는 조르다노), 카푸아 공작
  • 후지와라노 히로코, 일본 황후 (1036년 출생)
  • 길라 크리스트 우어 매일 에오인, 아일랜드 역사가이자 수도원장
  • 베로나의 과르팔도, 이탈리아 상인이자 은둔자 (1070년 출생)
  • 윌리엄 3세("어린이"), 부르고뉴 백작 (1110년 출생)
  • 주, 송나라의 중국 황후 (1102년 출생)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Portuga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Norman kingdom of Africa and the Norman expeditions to Majorca and the Muslim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3] 웹사이트 La Sicile et l'espace libyen au Moyen Age http://www.storiamed[...] 2012-01-17
[4] 서적 Arabic administration in Norman Sicily: the royal dīwā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Routledge
[6] 서적 Annals of the Four Masters http://www.ucc.ie/ce[...] Corpus of Electronic Texts (UCC), Annal M112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