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장군은 기원전 201년에 설치되어 회남국, 여강국, 한나라에 속했던 행정 구역이다. 전한 시대에는 양주에 속했으며, 18현(17현 1후국)을 관할했다. 후한 시대에는 낙양에서 2,700리 거리에 위치했으며, 21현을 관할했다. 후한 말에는 군벌들의 세력 다툼의 무대가 되었고, 손책에 의해 여릉군과 파양군이 분리되었다. 이후 진, 남조, 수,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지역이 변경되었으며, 당나라 건원 연간에 홍주로 개칭되면서 예장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 역대 태수로는 가옹, 난파, 주술, 제갈현, 주호, 화흠, 손분, 손린 등이 있다.
기원전 201년(고조 6년), 한나라의 고조가 예장군을 설치했으며, 당시에는 회남국의 지군이었다.[1] 회남국이 폐지되면서 한 조정에 속하게 되었다. 기원전 164년(문제 16년) 옛 회남나라를 셋으로 나누어 부활하면서 여강국의 지군이 되었고, 기원전 153년 (경제 4년) 오초칠국의 난의 결과로 여강왕 유사가 형산나라로 옮겨지고 여강국이 폐지되면서 다시 한 조정에 속했다.[4] [11]
왕망은 예장군을 구강군(九江)으로 개칭하고, 일부 현의 이름을 아래와 같이 변경했다.[1] [11]
2. 역사적 배경
전한 시기 예장군은 양주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67,462호, 인구 351,965명이었다.[1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에는 총 18현(17현 1후국)을 관할했다.[11]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남창현 南昌縣 난창시 여릉현 廬陵縣 지안시 타이허현 북서 30리 석산향(石山鄕) 일대 팽택현 彭澤縣 주장시 후커우현 남 형교촌(荊橋村) 일대 《우공》의 팽려택(彭蠡澤)이 서쪽에 있다. 파양현 鄱陽縣 상라오시 포양현 북동 고현도진(古縣渡鎭) 무양향(武陽鄕) 우로 10여 리에 황금이 나는 곳이 있다. 파수(鄱水)가 서로 호한(湖漢)으로 들어간다. 여릉현 厲陵縣 주장시 더안현 동 부양산(傅昜山), 부양천(傅昜川)이 있는데 옛날에는 부천원(傅淺原)이라 했다. 여간현 餘汗縣 상라오시 위간현 여수(餘水)가 북에 있어서 교양(鄡陽)에서 호한으로 들어간다. 시상현 柴桑縣 주장시 서남 20리 배산촌(排山村) 일대 애현 艾縣 주장시 슈수이현 서 정방향(程坊鄕) 일대 수수(修水)가 북으로 팽택에 이르러 호한으로 들어가니, 660리를 간다. 감현 贛縣 간저우시 예장수(豫章水)가 남서에서 나와서 북으로 대강으로 들어간다. 신감현 新淦縣 이춘시 장수시 도위가 다스린다. 남성현 南城縣 푸저우시 난청현 홍문진(洪門鎭) 동쪽 홍문저수지(洪門水庫) 안 건성현 建成縣 이춘시 가오안시 촉수(蜀水)가 동으로 남창에 이르러 호한으로 들어간다. 의춘현 宜春縣 이춘시 남수(南水)가 동으로 신감에 이르러 호한으로 들어간다. 해혼현 海昏縣 주장시 융슈현 동 애성진(艾城鎭) 유하가 폐위된 후, 이곳에 열후로 봉해졌다. 우도현 雩都縣 간저우시 위두현 동북 양자촌(羊子村) 일대 호한수가 팽택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1980리를 간다. 교양현 鄡陽縣 주장시 두창현 사산촌(泗山村) 남야현 南野縣 간저우시 난캉구 서남 부석향(浮石鄕) 일대 팽수(彭水)가 동으로 호한에 들어간다. 안평후국 安平侯國 지안시 안푸현 남 몽담촌(蒙潭村) 일대
왕망 때, 구강군으로 개칭되었다.[1]
후한이 건국되자, 예장군의 명칭으로 돌아갔다.
3. 속현
전한 신 여릉(廬陵) 환정(桓亭) 파양 향정(鄕亭) 여릉(厲陵) 포정(蒲亭) 여간 치간(治干) 애 치한(治翰) 신감 우정(偶亭) 의춘 수효(修曉) 해혼 의생(宜生) 교양 예장(豫章) 안평 안녕(安寧)
3. 1. 전한
고제 6년(기원전 201년)에 설치되었으며, 처음에는 회남나라의 지군이었다. 회남나라가 폐지되면서 한나라 조정에 속했다가, 문제 16년(기원전 164년) 옛 회남나라가 셋으로 나뉘어 부활하면서 여강나라의 지군이 되었다. 경제 4년(기원전 153년) 오초칠국의 난 결과 여강왕 유사가 형산나라로 옮겨지고 여강나라가 폐지되면서 다시 한나라 조정에 속했다.
양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67,462호, 인구 351,965명이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1]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8현(17현 1후국)이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남창현 南昌縣 난창시 여릉현 廬陵縣 지안시 타이허현 북서 30리 석산향(石山鄕) 일대 팽택현 彭澤縣 주장시 후커우현 남 형교촌(荊橋村) 일대 《우공》의 팽려택(彭蠡澤)이 서쪽에 있다. 파양현 鄱陽縣 상라오시 포양현 북동 고현도진(古縣渡鎭) 무양향(武陽鄕) 우로 10여 리에 황금이 나는 곳이 있다. 파수(鄱水)가 서로 호한(湖漢)으로 들어간다. 여릉현 厲陵縣 주장시 더안현 동 부양산(傅昜山), 부양천(傅昜川)이 있는데 옛날에는 부천원(傅淺原)이라 했다. 여간현 餘汗縣 상라오시 위간현 여수(餘水)가 북에 있어서 교양(鄡陽)에서 호한으로 들어간다. 시상현 柴桑縣 주장시 서남 20리 배산촌(排山村) 일대 애현 艾縣 주장시 슈수이현 서 정방향(程坊鄕) 일대 수수(修水)가 북으로 팽택에 이르러 호한으로 들어가니, 660리를 간다. 감현 贛縣 간저우시 예장수(豫章水)가 남서에서 나와서 북으로 대강으로 들어간다. 신감현 新淦縣 이춘시 장수시 도위가 다스린다. 남성현 南城縣 푸저우시 난청현 홍문진(洪門鎭) 동쪽 홍문저수지(洪門水庫) 안 건성현 建成縣 이춘시 가오안시 촉수(蜀水)가 동으로 남창에 이르러 호한으로 들어간다. 의춘현 宜春縣 이춘시 남수(南水)가 동으로 신감에 이르러 호한으로 들어간다. 해혼현 海昏縣 주장시 융슈현 동 애성진(艾城鎭) 유하가 폐위된 후, 이곳에 열후로 봉해졌다. 우도현 雩都縣 간저우시 위두현 동북 양자촌(羊子村) 일대 호한수가 팽택에 이르러 강수로 들어가니, 1980리를 간다. 교양현 鄡陽縣 주장시 두창현 사산촌(泗山村) 남야현 南野縣 간저우시 난캉구 서남 부석향(浮石鄕) 일대 팽수(彭水)가 동으로 호한에 들어간다. 안평후국 安平侯國 지안시 안푸현 남 몽담촌(蒙潭村) 일대
한 고조 때 예장군이 설치되었다.[1] 기원전 202년(고제 5년), 영포가 회남왕이 되자, 회남국이 설치되어, 형산·구강·노강·예장의 4군을 관할했다.[2] 기원전 196년(고제 11년), 영포가 반란을 일으키자, 유장이 회남왕으로 세워졌다.[3] 기원전 173년(문제 7년), 회남국이 폐지되어, 4군은 한의 직할군이 되었다. 기원전 168년(문제 12년), 성양왕 유희가 회남왕이 되어, 다시 회남국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64년(문제 16년), 유희가 성양왕으로 돌아가자, 회남국은 폐지되어, 노강군과 예장군을 관할하는 노강국이 설치되었고, 회남여왕 유장의 아들인 양주후 유사(陽周侯 劉賜)가 노강왕이 되었다. 기원전 153년(경제 4년), 노강왕 유사가 형산왕으로 개봉되어, 노강국은 폐지되어, 다시 노강군과 예장군이 설치되었다.[4] 전한의 예장군은 양주에 속했으며, 18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구강군으로 개칭되었다.[1]
3. 2. 후한
기원전 201년(한고제 6년)에 설치되었으며, 회남나라의 지군이었다. 회남나라가 폐지되면서 한 조정에 속했고, 기원전 164년(문제 16년) 옛 회남나라를 셋으로 나눠 부활하면서 여강나라의 지군이 되었으며, 기원전 153년(경제 4년) 오초칠국의 난 결과 여강왕 유사가 형산나라로 옮겨지고 여강나라가 폐지되면서 다시 한 조정에 속했다.[11]
양주에 속하였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호구 67,462호, 인구 351,965명이었다.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18현(17현 1후국)이었다. 일반적으로 첫 현이 치소로 여겨진다.[11]
낙양에서 남으로 약 4345.22km 거리에 있었다. 21성 406,496호, 1,668,906명을 거느렸다.[12] 후한말 주술이 죽은 뒤 조정에서 임명한 태수 주호와 원술 혹은 유표가 임명한 태수 제갈현이 태수직을 놓고 대립했다. 한편 조정에서 임명한 양주자사 유요가 손책에게 져 달아나 팽택현을 지키고 있었다. 주호는 유요의 도움을 받아 예장군의 치소 남창현을 점거했고 제갈현은 유표를 의지해 서성현을 지켰다. 유요는 하비상 착융을 보내 주호를 도왔는데, 착융이 주호를 죽이고 군을 점거하자 유요가 착융을 쳤고 착융은 달아나다 백성들에게 살해됐다. 제갈현은 197년 서성에서 민란이 일어나 살해됐다. 유요가 죽을 무렵에는 화흠이 예장태수였고, 유요가 죽자 그 잔당들 중에서 화흠을 추대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파양에서는 종민들이, 여릉에서는 동지(僮芝)가 태수를 따르지 않고 각각 스스로 새로이 군을 만들어 다스리고 있었다. 199년, 손책이 여강태수 유훈과 강하태수 황조를 무찌르고 돌아오면서 화흠을 굴복시키고 표를 올려 자기 사촌형 손분을 태수로 삼았고, 손분과 손분의 동생 손보와 주유가 함께 동지를 쳐서 손보를 여릉태수로 삼아 동지가 예장군에서 분리한 여릉군을 그대로 유지했다.
194년(흥평 원년) 손책이 예장군 남부에 여릉군을, 210년(건안 15년) 손권이 포양호인근에 파양군을 신설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남창현 | 南昌縣 | 난창시 | |
건성현 | 建成縣 | 이춘시 가오안시 | |
신감현 | 新淦縣 | 이춘시 장수시 | |
의춘현 | 宜春縣 | 이춘시 | |
여릉현 | 廬陵縣 | 지안시 타이허현 북서 30리 석산향(石山鄕) 일대 | 191년(후한 헌제 초평 2년) 고창현(高昌縣)으로 개명되었다. 194년 여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감현 | 贛縣 | 간저우시 | 예장수(豫章水)가 있다. 194년 여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우도현 | 雩都縣 | 간저우시 위두현 동북 양자촌(羊子村) 일대 | 194년 여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남야현 | 南野縣 | 간저우시 난캉구 서남 부석향(浮石鄕) 일대 | 태령산(台領山)이 있다. 194년 여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남성현 | 南城縣 | 푸저우시 난청현 홍문진(洪門鎭) 동쪽 홍문저수지(洪門水庫) 안 | |
파양현 | 鄱陽縣 | 상라오시 포양현 북동 고현도진(古縣渡鎭) | 파수(鄱水)가 있고 황금이 채굴된다. |
여릉현 | 厲陵縣 | 주장시 더안현 동 | 박역산(傅易山)이 있다. |
여간현 | 餘汗縣 | 상라오시 위간현 | |
교양현 | 鄡陽縣 | 주장시 두창현 사산촌(泗山村) | |
팽택현 | 彭澤縣 | 주장시 후커우현 남 형교촌(荊橋村) 일대 | 팽려택(彭蠡澤)이 서쪽에 있다. 손책에게 패배한 유요가 팽택현에 주둔했다. |
시상현 | 柴桑縣 | 주장시 서남 20리 배산촌(排山村) 일대 | |
애현 | 艾縣 | 주장시 슈수이현 서 정방향(程坊鄕) 일대 | |
해혼후국 | 海昏候國 | 주장시 융슈현 동 애성진(艾城鎭) | |
평도후국 | 平都侯國 | 지안시 안푸현 남 몽담촌(蒙潭村) 일대 | 전한대 안평후국이던 것을 고쳤다. |
석양현 | 石陽縣 | 지안시 지수이현 동북 30리 일강촌(日岡村) 일대 | 96년(후한 화제 영원 8년) 신감현에서 신설되었다.[13][14] 194년 여릉군으로 분리되었다. |
임려현 | 臨汝縣 | 푸저우시 린촨구 | 96년 신설되었다.[15] |
건창현 | 建昌縣 | 이춘시 펑신현 서 나시진(羅市鎭) 일대 | 104년(후한 화제 영원 16년) 해혼현에서 신설되었다.[13] |
상채현 | 上蔡縣 | 이춘시 상가오현 | 185년(후한 영제 중평 2년) 상채현의 주민들이 정착하면서 설치되었다. |
한평현 | 漢平縣 | 이춘시 장수시 차당(車塘) 일대 | 185년 의춘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예장현 | 豫章縣 | 주장시 우닝현 서 20리 대갱(大坑) 일대 | 196년(후한 헌제 건안 원년) 설치되었다. 199년(후한 헌제 건안 4년) 서안현(西安縣)으로 개명되었다. |
신오현 | 新吳縣 | 이춘시 펑신현 고현촌(故縣村) 일대 | 중평 연간에 신설되었다. |
영수현 | 永修縣 | 주장시 융슈현 자림진(柘林鎭) | 185년 신설되었다. |
부성현 | 富城縣 | 이춘시 펑청시 낙시진(洛市鎭) 일대 | 210년(후한 헌제 건안 15년) 남창현에서 신설되었다.[17] |
의풍현 | 宜豐縣 | 이춘시 이펑현 천보향(天寶鄕) | 200년(후한 헌제 건안 5년) 상채현에서 신설되었다. |
손오대 257년(오 폐제 태평 2년) 임천군, 267년(오 말제 보정 2년) 안성군이 분리되면서 군역이 난창시·이춘시·주장시 일대로 축소되었다. 서진대에는 16현 35,000호를 거느렸다.[16] 291년(진 혜제 원강 원년)에 강주가 신설되면서 강주로 소속이 이관되었다.[1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남창현 | 南昌縣 | 난창시 | |
해혼현 | 海昏縣 | 주장시 융슈현 동 애성진(艾城鎭) | |
신감현 | 新淦縣 | 이춘시 장수시 | |
건성현 | 建成縣 | 이춘시 가오안시 | |
망채현 | 望蔡縣 | 이춘시 상가오현 | 280년(서진 무제 태강 원년)에 상채현(上蔡縣)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영수현 | 永修縣 | 주장시 융슈현 자림진(柘林鎭) | |
건창현 | 建昌縣 | 이춘시 펑신현 서 나시진(羅市鎭) 일대 | |
오평현 | 吳平縣 | 이춘시 장수시 차당(車塘) 일대 | 280년 한평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예녕현 | 豫寧縣 | 주장시 우닝현 서 20리 대갱(大坑) 일대 | 280년 서안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팽택현 | 彭澤縣 | 주장시 후커우현 남 형교촌(荊橋村) 일대 | |
애현 | 艾縣 | 주장시 슈수이현 서 정방향(程坊鄕) 일대 | |
강락현 | 康樂縣 | 이춘시 완짜이현, 상가오현 사이? | |
풍성현 | 豐城縣 | 이춘시 펑청시 낙시진(洛市鎭) 일대 | 280년 부성현이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신오현 | 新吳縣 | 이춘시 펑신현 고현촌(故縣村) 일대 | |
의풍현 | 宜豐縣 | 이춘시 이펑현 천보향(天寶鄕) | |
종릉현 | 鍾陵縣 | 난창시 진셴현 | 280년 남창현에서 신설되었다. 286년(서진 무제 태강 7년) 진으로 격하되었다. |
강락현 | 康樂縣 | 이춘시 완짜이현 나성진(羅城鎭) 일대 | 본래 225년(손권 황무 4년) 신설된 양락현(陽樂縣)이었다. 280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참조
[1]
서적
한서 지리지 상
漢書
[2]
서적
한서 한팽영노오전
漢書
[3]
서적
사기 고조본기
史記
[4]
서적
한서 회남형산제북왕전
漢書
[5]
서적
후한서 군국지 사
後漢書
[6]
서적
진서 지리지 하
晉書
[7]
서적
송서 주군지 이
宋書
[8]
서적
남제서 주군지 상
南斉書
[9]
서적
수서 지리지 하
隋書
[10]
서적
구당서 지리지 삼
旧唐書
[11]
서적
한서 28권 상 지리지 제8 상
https://wikisource.o[...]
[12]
웹사이트
후한서 112권 지 제22 양주 예장군
https://zh.wikisourc[...]
[13]
웹사이트
수경주 39권 감수
https://zh.wikisourc[...]
[14]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강주 임천내사
https://zh.wikisourc[...]
[15]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강주 임천내사
https://zh.wikisourc[...]
[16]
웹사이트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하 양주 예장군
https://zh.wikisourc[...]
[17]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강주 예장태수
https://zh.wikisourc[...]
[18]
웹사이트
송서 36권 지 제26 주군지 2 강주 예장태수
https://zh.wikisourc[...]
[19]
웹사이트
남제서 14권 지 제6 주군지 상 강주 예장군
https://zh.wikisourc[...]
[20]
웹사이트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하 양주 임천군
https://zh.wikisourc[...]
[21]
웹사이트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하 양주 예장군
https://zh.wikisourc[...]
[22]
웹사이트
구당서 40권 지 제20 지리지 3 강남서도 홍주
https://zh.wikisourc[...]
[23]
서적
수신기 권11
수신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