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강의 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강의 변은 1126년 금나라의 침공으로 북송이 멸망하고, 황실과 백성들이 포로로 잡힌 사건이다. 송나라는 요나라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금나라와 동맹을 맺었으나, 금나라의 공격으로 수도 개봉이 함락되었다. 이로 인해 휘종은 아들 흠종에게 양위하고, 흠종과 휘종은 포로로 잡혀 만주로 끌려갔다. 정강의 변으로 북송은 멸망하고 휘종의 아들 조구가 강남에 남송을 세웠으며, 막대한 문화재 손실과 경제적 피해를 입었다. 이 사건은 중국의 자본주의 발전을 저해하고, 여성의 권리에 대한 인식 변화를 가져왔으며, 중국 성씨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정강의 변 | |
---|---|
지도 | |
사건 개요 | |
명칭 | 정강의 변 |
다른 명칭 | 靖康事變 (정강사변) 靖康之恥 (정강지치) 靖康之亂 (정강지란) |
시기 | 1127년 1월 |
장소 | 개봉 (당시 북송의 수도, 현재 허난성) |
결과 | 북송 멸망 및 수도 함락, 금나라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 세력 1 | 북송 |
교전 세력 2 | 금나라 |
지휘관 1 | 흠종 |
지휘관 2 | 금 태종 니안한 워리부 |
병력 규모 1 | 1차 공성전: 200,000명 2차 공성전: 70,000명 |
병력 규모 2 | 1차 공성전: 100,000명 2차 공성전: 150,000명 |
피해 규모 1 | 송나라 황실 구성원 및 시종 다수 납치, 개봉 시민들은 안전을 위해 막대한 보물과 귀금속으로 몸값을 지불해야 했다. |
피해 규모 2 | 미상 |
전쟁의 일부 | |
일부 | 금송 전쟁 |
관련 정보 | |
참고 | 정난의 변과 혼동하지 마시오. |
관련 전투 | |
관련 전투 | 해상의 맹 황천탕 전투 덕안 공방전 언성 전투 당도 전투 채석 전투 채주 공방전 |
관련 조약 | 소흥화의 |
2. 배경
송나라는 문치주의 정책으로 인해 군사력이 약화되어 요나라와 서하의 침입에 제대로 대항하지 못했다.[1] 매년 막대한 양의 은과 비단을 조공으로 바쳐야 했고, 이는 국가 재정 악화로 이어졌다.[1] 왕안석의 개혁이 추진되었으나 보수파 관료들의 반발과 방랍의 난과 같은 농민 반란으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었다.[1]
휘종은 정치를 등한시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겼으며, 신하 채경은 권력을 남용하여 국정은 더욱 피폐해졌다.[1] 휘종의 실정과 과도한 수탈로 인해 방랍의 난이 일어났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국력을 소모하였다.[1]
2. 1. 송나라의 문치주의와 군사적 약화
송나라는 국내의 무인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문치주의 정책을 썼는데, 이 때문에 요나라와 서하의 침입에 제대로 대항하지 못했다. 그 결과 조공과 다름없는 은이나 비단을 매년 수차례 보내 침입을 막아야 했다.[1] 이로 인해 송나라의 재정은 날이 갈수록 피폐해졌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왕안석의 개혁을 통해 수많은 개혁 정치를 실행하였다.[1] 그러나 보수파 관료들의 반발로 인해 투쟁이 격화되었고, 피폐한 농민들에 의해 방랍의 난과 같은 농민 반란이 잇따라 일어났다.[1]2. 2. 왕안석의 개혁과 신구 당쟁
송나라는 무인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문치정책을 시행했다. 이 때문에 요나라와 서하의 침입에 제대로 대항하지 못하고, 조공과 다름없는 은과 비단을 매년 여러 차례 보내 침입을 막아야 했다. 그 결과 송나라의 재정은 갈수록 악화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왕안석이 개혁을 추진하여 여러 정책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보수파 관료들의 반발로 인해 갈등이 심화되었고, 어려운 상황에 놓인 농민들이 일으킨 방랍의 난과 같은 반란이 잇따라 일어났다.2. 3. 휘종의 실정과 민란 발생
송나라는 국내의 무인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문치정책을 썼는데, 이것 때문에 요나라와 서하의 침입에 대항하지 못해 조공이나 다름없는 은이나 비단을 매년 수차례 보내 침입을 방어하였다. 그 때문에 송나라의 재정은 나날이 갈수록 피폐해지고, 그 타개책으로 왕안석의 개혁을 통해 수많은 개혁정치를 실행하였지만, 보수파 관료들의 반발에 부딪혀 투쟁이 격화되고, 피폐한 농민들에 의해 방랍의 난 같은 농민의 반란이 잇달았다.[1]특히, 제8대 황제 휘종은 정치를 신하들에게 맡기고 서화나 골동품에 심취하였고, 미녀에 빠지는 등 "풍류천자"라고 불리는 생활을 하여 국고를 탕진하였다. 정치를 맡게 된 신하 채경은 권력을 휘둘러 당시 권력층과 흠종을 만족시키는 일에만 힘을 쏟아 당시 정치와 경제, 재정 상태는 빈사 직전이 되었다.[1]
휘종은 쑤저우의 태호석 등을 개봉까지 운반하는 데 수십만 백성을 동원하였고, 너무 가혹하고 피폐해진 백성들은 이를 참지 못해 들고 일어났는데 이것이 방랍의 난이다. 송나라는 방랍의 난을 진압하는데 엄청난 소모를 보였고, 군사력과 국력을 탕진하였다. 당시 방랍의 반란군 10만을 제압하기 위해 요나라 군대에 대응하기 위해 준비하였던 15만의 병력을 동원했으며, 진압 과정에서 죽인 백성도 300만에 달하였을 정도였다.[1]
3. 정강의 변 발발
1115년 여진족의 족장 아골타가 금나라를 건국하자, 휘종은 요나라에게 주던 세금을 금나라에게 보내고 양국이 요나라를 협공할 것을 제안했다. 금은 이 제안을 받아들여 요나라를 공격했지만, 송군은 약체였고 적극적인 공격을 펼치지 않았다. 금나라가 이에 항의하자 송은 공물을 대폭 인상하여 바치겠다는 약속으로 무마했다. 1125년 금나라는 요나라를 멸망시켰다.[3]
이후 송은 약속한 공물을 지급하지 않고 금나라의 내분을 조장하려 했다. 이에 금나라 군대는 남하하여 수도 카이펑을 공격했다. 휘종은 아들 흠종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금군과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 그러나 한세충 등 주전파의 반발로 강화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금나라는 다시 총공격을 시작하여 1126년 11월 카이펑을 함락시켰다.[3]
3. 1. 금나라의 건국과 송나라와의 동맹
1115년 오늘날 만주 동부에 있는 퉁구스 계로 반농반렵 생활을 하던 여진족의 족장 아골타가 금나라를 건국하였다. 이를 안 휘종은 요나라에게 주던 세금을 금나라에게 보내고, 양국이 요나라를 협공할 것을 제안했다. 금은 이 제안을 받아들여 요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평화에 젖어 약체였던 송군은 적극적인 공격을 펼치지 않아 전과가 미미했다.[3]금나라가 이에 항의하자 송은 공물을 대폭 인상하여 바치겠다는 약속을 함으로써 무마했다. 1125년 금나라는 송나라와 동맹을 맺어 요나라를 멸망시켰다.[3] 1120년 체결된 해상에서 체결된 동맹에 따라 금나라와 송나라는 요나라에 대항하는 군사 동맹을 맺고, 승리할 경우 요나라의 영토를 분할하기로 합의했다. 금나라는 북쪽 대부분, 송나라는 남쪽 십육주 지역을 차지하기로 했다.
동관이 이끄는 송나라 군대는 송나라와 요나라의 국경까지 진군했으나, 태조 시대부터 유지해 온 방어용 숲에 막혔다. 동관은 숲을 개척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요나라로 진격을 계속했다.[3]
금나라 군대는 요나라의 수도 상경(上京)을 함락시키고 요나라를 멸망시켰다. 그러나 남쪽의 송나라 군대는 요나라의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했고, 이후 남은 요나라 군대에게 패배했다. 이는 송나라 군대의 한계와 송나라 조정의 부패와 비효율성을 드러냈다. 결국 금나라는 요나라의 모든 영토를 장악했다.[3]
요나라가 멸망한 후, 송나라는 약속대로 십육주를 요구했다. 금나라는 비단 30만 필과 은 20만 냥의 가격에 그 땅을 팔았다. 이 가격은 1005년 취안위안 조약 이후 송나라가 매년 요나라에 바치던 공납액을 고려할 때 매우 후한 가격으로 여겨졌다.
24사에 따르면, 1123년 금나라 장군 장각(張覺)이 송나라에 투항했다. 그는 금나라가 지배하던 평주(平州, 현재 준화 시) 태수였는데, 이 지역은 만리장성 안에 있었지만 십육주(十六州)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나라 조정은 처음에 그의 투항을 환영하고 장각에게 명예로운 칭호와 토지를 하사했다. 반면 금나라는 장각의 투항을 무효화하기 위해 소규모 군대를 파견했지만 장각의 군대에게 패배했다.[4]
1123년 또는 1124년(기록에 따라 다름) 금나라는 장각을 요구하며 사신을 보냈고 송나라의 세 도시를 약탈했다. 겁에 질린 송나라 장군 왕안중(王安中)은 장각과 닮은 사람을 죽여 그 머리를 금나라에 보냈다. 금나라는 그것이 계략임을 깨닫고 다시 송나라를 공격했다.[5] 장각은 결국 같은 해 겨울에 처형되었다.[6] 1125년 가을, 금나라 태종은 송나라 영토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명령했다.[7]
3. 2. 금나라의 침공과 개봉 함락
1115년 여진족의 족장 아골타가 금나라를 건국하자, 송 휘종은 요나라에게 주던 세금을 금나라에게 보내고 양국이 요나라를 협공할 것을 제안했다. 금은 이 제안을 받아들여 요나라를 공격했지만, 송군은 약체였고 적극적인 공격을 펼치지 않았다. 금나라가 이에 항의하자 송은 공물을 대폭 인상하여 바치겠다는 약속으로 무마했다. 1125년 금나라는 요나라를 멸망시킨다.그 후 송은 약속한 공물을 주지 않고 금의 내분을 조장하려 했다. 이에 금나라 군대는 남하하여 수도 카이펑을 공격한다. 휘종은 아들 흠종에게 제위를 물려주고, 금군과 굴욕적인 강화를 맺는다. 그러나 한세충 등 주전파의 반발로 강화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금나라는 다시 총공격을 시작하여 1126년 11월 카이펑을 함락시킨다.[3]
금나라 군대는 서쪽과 북쪽에서 송나라 영토를 침략했다. 올리부(完顏宗王)[8]가 지휘한 금나라 북방군은 1125년 10월 금주를 함락시키고, 1126년 1월 보정, 정주, 정정, 형태를 함락시키며 큰 저항에 직면하지 않았다. 반면 년한(完顏宗翰)[8]가 지휘한 금나라 서방군은 대동과 태원에서 저지되었다. 1126년 2월, 금나라 북방군은 황하를 건너 개봉을 포위 공격했다. 송휘종은 송친종에게 양위하고 도망쳤다. 금나라 북방군은 어려운 포위 공격전에 직면했고, 금나라 서방군은 북방군을 지원할 수 없었다. 송친종은 조구(趙構)를 보내 평화 협상을 시도했고, 금태종은 조구를 인질로 잡았다. 결국 송나라 조정은 몸값을 지불하고 태원을 넘겨주었고, 조구는 석방되었으며 금나라 북방군은 철수했다.
금군이 후퇴하고, 흠종은 금군이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 주장하며 황하 변경에 군대 주둔을 거부했다. 변경 첫 번째 포위 공격에서 도시를 방어했던 많은 장군들은 다른 곳으로 파견되었고, 많은 군대가 해산되었다.
변경 첫 번째 포위 공격 석 달 후, 흠종은 금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사신을 보내 밀서를 전달했지만, 사신은 곧바로 태종에게 편지를 전달했다. 격분한 태종은 더 큰 군대를 이끌고 송나라를 공격했고, 이는 북송 멸망의 결과를 가져왔다.
1126년 9월, 금군은 다시 송나라 영토에 발을 들여놓았다. 서군은 한 달 만에 대동을 함락시켰고, 낙양과 정주 등이 항복하며 변경으로 가는 길이 열렸다. 북군은 11월에 황하를 건너고, 청풍, 푸양 등을 함락시키며 진격했다. 12월 중순, 두 군대는 변경에서 재결합하여 수도를 포위했다.
두 번째 포위 공격에서 변경의 방어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베테랑 장군과 인력 부족, 금군의 규모 증가, 흠종의 과도한 신뢰 등으로 인해 1127년 1월 9일, 변경은 금군에 함락되었다. 흠종과 휘종은 사로잡혔고, 북송은 멸망했다.[9][10]
개봉 시민들은 금군에게 술, 고기, 비단, 금 등을 제공했다.[11] 송나라 관리들은 금군의 요구에 따라 물품을 넘겨주었고,[12] 금은, 불교 및 도교 서적, 비단, 약, 지도, 악기 등도 함께 주어졌다.[13]
4. 정강의 변의 결과
금나라는 흠종과 휘종을 비롯한 왕족과 관료 수천 명을 포로로 잡아 만주로 연행했다.[4] 금나라는 도교에 심취해 국정을 소홀히 한 휘종에게는 혼덕공(昏德公), 흠종에게는 중혼후(重昏候)라는 모멸적인 칭호를 붙였다.[4] 이들은 대부분 비참한 포로 생활을 하다 그곳에서 생을 마쳤고,[4] 황족 여성들은 금나라 황족이나 고위 귀족의 첩이 되었다.[4]
북송 멸망 후, 휘종의 아홉 번째 아들이자 흠종의 동생인 조구가 강남의 임안(현재의 항저우)에서 남송을 세우고 고종으로 즉위한다.[4] 고종은 금나라와의 협상을 통해 생모와 휘종의 유해를 돌려받았지만, 이미 황제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형인 흠종은 포로 송환 대상에서 제외되어 만주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이했다.[4]
이후 남송의 재상이 된 진회는 정강의 변 당시 금나라에 끌려갔다가 극적으로 탈출했는데, 이때의 경험은 그에게 외교의 중요성과 무분별한 주전론을 경계하는 평생의 계기가 되었다.[4]
남송은 풍부한 강남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1세기 더 존속했지만, 결국 금나라와 송나라 모두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만다.[4]
4. 1. 북송의 멸망과 남송의 건국
금나라는 흠종과 휘종 이하 왕족과 관료 수천 명을 포로로 잡아 만주로 연행했다.[4] 금나라는 도교에 심취해 국정을 소홀히 한 휘종에게는 정신이 혼미하다는 의미로 혼덕공(昏德公), 흠종에게는 중혼후(重昏候)라는 모멸적인 칭호를 붙였다.[4] 그들은 비참한 포로생활을 했고, 대부분 그곳에서 남은 생을 마쳤다.[4] 또한 황족 여성들은 금나라 황족이나 고위 귀족의 첩이 되었다.[4]이후 남송의 재상이 된 진회도 이때 같이 끌려갔다가 극적으로 탈출하게 되는데, 이는 진회에게 외교의 중요성과 대책없는 주전론을 경계하는 평생의 계기가 된다.[4]
북송은 이렇게 멸망했지만, 당시 수도인 개봉부에 있지 않던 휘종의 아홉번째 아들이자 흠종의 동생인 조구가 강남의 임안(현재의 항저우)으로 가서 남송을 세우고 고종으로 즉위한다.[4]
이후 남송의 고종은 금나라와의 협상을 통해 생모와 휘종의 유해를 돌려받는 데는 성공하지만, 고종이 이미 황제의 자리에 올라있던 터라 고종의 형인 흠종은 포로 송환 대상에서 제외되어 쓸쓸하게 만주 땅에서 죽어간다.[4]
남송은 풍부한 강남의 경제력에 의해 1세기를 더 버티지만, 결국 금나라나 송나라 모두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만다.[4]
4. 2. 포로들의 비극적인 운명
금나라는 휘종과 흠종을 비롯한 왕족과 관료 수천 명을 포로로 잡아 만주로 끌고 갔다. 휘종에게는 '혼덕공(昏德公)', 흠종에게는 '중혼후(重昏候)'라는 모욕적인 칭호를 붙였다. 이들은 대부분 비참한 포로 생활을 하다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19] 황족 여성들은 금나라 황족이나 고위 귀족의 첩이 되었다.[16]정강의 변으로 인해 포로로 잡혀간 진회는 극적으로 탈출하여 훗날 남송의 재상이 되었는데, 이때의 경험은 그가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무분별한 주전론을 경계하는 계기가 되었다.
고종은 금나라와의 협상을 통해 생모와 휘종의 유해를 돌려받았지만, 이미 황제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형인 흠종은 송환 대상에서 제외되어 만주에서 쓸쓸히 죽음을 맞이했다.[25]
『징강지(靖康志)』에 따르면, 금나라 군대는 황실 도서관 전체와 궁궐의 장식들을 약탈했다.[14] 조씨(趙氏) 황실 가족은 납치되었고, 그들의 거처는 약탈당했다.[15]
송나라 황실을 포함한 14,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금나라 수도 상경(上京)(현재 하얼빈에 위치)[8] – 휘녕부(徽寧府)로 강제 이송되었다. 이 과정에서 거의 모든 북송의 신하와 장군들이 질병, 탈수, 탈진으로 고통받았고, 많은 사람들이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했다.[19]
도착 후, 포로들은 옷을 벗고 양가죽만 걸친 채 의식을 치러야 했다. 이 의식은 여진족의 의례가 아니라 한족 전문가들이 만든 고대 한족의 관습에서 유래한 것이었다. 철씨 황후는 수치심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했다. 남자들은 말 한 필에 남자 열 명을 교환하는 비율로 노예로 팔렸다. 여자들, 특히 전 송나라 공주들은 금나라 궁궐의 "세탁소"([20]浣衣院|완의원중국어)라는 곳에서 궁녀가 되었고, 다른 이들은 금나라 왕자들과 다른 사람들에게 노예로 끌려갔다.[20] 일부 송나라 공주들은 금나라 왕자들의 후궁이 되었다. 어떤 이는 "전직 왕족"을 10냥이 채 안 되는 금으로 샀다.[21]
여진족 여성들이 거란족 남성들에게 강간당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거란족 여성 포로들은 여진족에게 포로로 잡혔을 때 한족 송나라 왕자들에게 아내로 주어졌다.[22] 포로로 잡힌 송나라 한족 왕자들은 몽골에서 거란족 요나라를 정복한 금나라 여진족에 의해 요나라 궁에서 거란족 여성과 결혼하게 되었다. 송나라 왕자들의 원래 중국인 아내들은 몰수당하고 거란족 여성으로 대체되었다. 휘종 황제의 아들 중 한 명은 요나라 궁에서 온 거란족 후궁을 받았고, 다른 아들은 금나라 상경(상경(현재 아청구(阿城区), 하얼빈, 흑룡강성))에서 금나라로부터 거란족 공주를 받았다. [23]
1156년, 전 송나라 흠종 황제와 전 요나라 천주제는 금나라 황제에 의해 서로 폴로 경기를 하도록 강요당했다. 흠종은 약하고 허약했기 때문에 말에서 떨어졌지만, 상당히 나이가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거란족 요나라 천주제는 승마에 더 익숙했고 말을 타고 도망치려 했지만 여진족 궁수들에게 사살당했다.
4. 3. 고려에 미친 영향
정강의 변은 고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다만, 이 사건은 남송의 재상 진회가 외교의 중요성과 주전론을 경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는데, 이는 간접적으로 고려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5. 정강의 변에 대한 평가
정강의 변은 단순한 왕조 교체를 넘어 중국 역사에 깊은 상처를 남긴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중국은 엄청난 규모의 파괴와 황폐화를 겪었다. 수많은 보물, 미술품, 궁중 도서관의 서적들이 사라졌으며, 경제와 군사력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특히 인재 손실은 남송이 금나라와의 지속적인 전투에도 불구하고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는 데 큰 걸림돌이 되었으며, 결국 비한족 황제가 그 영토를 다스리게 되었다.[30][31][32] 잃어버린 영토를 모두 되찾기까지는 명나라가 건국된 후 200년이라는 시간이 더 필요했다.
오늘날 중국에 존재하는 일부 특이한 성씨들은 이 사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족 포로들이 여진족 성씨를 강제로 사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청나라 황실 가문인 아이신기오로 가문의 일부 구성원들이 "기오로" 성을 사용한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이들은 휘종과 흠종의 후손으로 추정된다.[33]
정강의 변은 이후 원나라의 몽골 지배와 더불어 중국의 자본주의 발전을 수 세기 동안 후퇴시켰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송나라 경제가 발전하여 자본주의의 초기 형태를 보였다는 점이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된다. 이 관점에 따르면 정강의 변은 중국 제국의 쇠퇴에 큰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으로 평가된다.[34]
한편, 정강의 변은 송나라 이후 여성의 권리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포로로 잡힌 황실 여성들이 노예나 첩으로 팔려나간 사건은 이후 중국 통치자들에게 성리학적 규범, 특히 여성의 정절과 남편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성들은 생존과 정절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을 때 생존을 포기해야 한다는 가르침이 강조되었다.[35]
5. 1. 군사적, 외교적 실패
방랍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송나라의 군사력과 국력이 크게 소모되었다. 이 난을 진압하기 위해 요나라 방어 병력까지 동원해야 했고, 진압 과정에서 많은 백성이 희생되었다.[9]1115년 여진족이 금나라를 건국하자, 휘종은 요나라에 주던 세금을 금나라에 보내고 요나라 협공을 제안했다. 금나라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으나, 송군은 약체였고 적극적으로 공격에 나서지 않았다.
금나라가 이에 항의하자 송나라는 공물을 대폭 인상하여 바치겠다는 약속으로 무마했다. 1125년 금나라는 송나라와 동맹을 맺고 요나라를 멸망시켰다.
이후 송나라는 약속한 공물을 주지 않고 금나라의 내분을 조장하려 했다. 이에 금나라 군대가 수도 카이펑을 공격했고, 휘종은 아들 흠종에게 제위를 물려주었다. 흠종은 금나라와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으나, 한세충 등 주전파의 반발로 강화는 지켜지지 않았다. 결국 1126년 수도 카이펑이 함락되었다.
금군이 후퇴한 후, 흠종은 금나라가 다시 오지 않을 것이라며 군대를 변경에 주둔시키자는 제안을 거부했다. 많은 베테랑 장군들이 수도에서 다른 곳으로 파견되었고, 많은 군대가 해산되었다.
흠종은 금나라에 사신을 보내 반금 동맹을 제안하는 밀서를 보냈으나, 사신은 이 편지를 금나라 태종에게 전달했다. 격분한 태종은 대군을 이끌고 다시 송나라를 공격했다.
1126년 9월, 금군은 두 갈래로 송나라를 공격했다. 서군은 빠르게 대동을 함락시켰고, 낙양과 정주 등이 항복했다. 북군은 11월에 황하를 건너 청풍, 푸양 등을 함락시켰다. 12월 중순, 두 군대는 변경에서 재결합하여 수도를 포위했다.
두 번째 포위 공격에서 변경의 방어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 베테랑 장군과 인력 부족으로 방어가 체계적이지 못했다.
- 금군은 이전보다 훨씬 규모가 컸다.
- 송나라 각지에서 지원군이 왔으나, 금군의 신속한 배치로 인해 도시를 지원할 수 없었다.
- 흠종은 "신병"을 소환할 수 있다는 신하를 과도하게 신뢰하여 많은 시간과 인명을 낭비했다.
1127년 1월 9일, 변경은 함락되었고, 흠종과 휘종은 포로로 잡혔다. 이로써 북송은 멸망했다.[9][10]
개봉 시민들은 목숨을 보존하는 대가로 금군에게 술, 고기, 비단, 금 등을 제공했다.[11] 송나라 관리들은 금군의 요구에 따라 각종 물품과 기술자, 예술가, 학자, 심지어 황실 가족까지 넘겨주었다.[12][13]
5. 2. 정치적 부패와 사회 모순 심화
휘종은 정치를 신하들에게 맡기고 서화, 골동품, 미녀에 빠져 '풍류천자'라 불리며 국고를 탕진했다. 정치를 맡은 신하 채경은 권력을 휘둘러 권력층과 흠종을 만족시키는 데만 힘써 정치와 경제는 빈사 직전이었다. 휘종은 태호석 등을 개봉까지 운반하는 데 수십만 백성을 동원했고, 가혹한 상황에 백성들이 방랍의 난을 일으켰다. 송나라는 이 난을 진압하는 데 엄청난 군사력과 국력을 소모했다.[9]5. 3. 역사적 교훈
파괴와 황폐화 규모는 전례가 없었다. 중국 역사상 유례없는 규모로 중국의 보물, 미술품, 궁중 도서관의 두루마리들이 유실되었다. 남송은 경제와 군사력에 심각한 피해를 입고 인재를 잃어 송과 금 사이의 끊임없는 전투에도 불구하고 잃어버린 영토를 회복하지 못했고, 비한족 황제가 그 영토를 지배하게 되었다.[30][31][32] 송이 잃어버린 모든 영토를 되찾는 데는 명나라가 등장한 200년 후가 되어야 했다.오늘날 중국에 존재하는 많은 외래적이고 비전통적인 중국 성씨들은 이 사건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한족 포로들이 여진족 성씨를 강제로 채택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청나라 아이신기오로 황실 가족의 많은 구성원들은 "기오로" 성을 사용했는데(예: 아이신기오로, 이르겐 기오로), 그들은 휘종과 흠종의 후손이었을 것이라고 여겨진다.[33]
이 침략은 후대의 원나라의 몽골 지배와 결합하여 중국의 자본주의 발전을 수 세기 후퇴시켰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명나라가 이후 옛 질서를 회복했지만, 명나라가 만주족에게 멸망한 결과는 중국을 다시 한번 침체시켰다. 송나라 경제가 발전했고 자본주의의 많은 특징을 보였다는 사실이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정강의 변은 후기 중국 제국의 쇠퇴와 관련하여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34]
2001년 중국 인민 정치협상회의 일보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중국 연구자들은 이 사건이 송나라 이후 여성의 권리 변화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포로로 잡힌 황실 구성원들이 노예나 첩으로 팔렸기 때문에, 송나라 이후 중국 통치자들은 성적 규범, 특히 여성의 정절과 남편에 대한 충성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했다. 후대의 중국 통치자들은 여성이 생존과 정조의 명예 중에서 선택해야 할 때, 생존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고 지시했다.[35]
참조
[1]
논문
Migration History and Dialect Development in the Lower Yangtze Watershed
2024-11-01
[2]
서적
Branches of Heaven: A History of the Imperial Clan of Sung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1999
[3]
논문
Frontier Fortification, and Forestation: Defensive Woodland on the Song-Liao Border in the Long Eleventh Century
https://www.academia[...]
2018-07-00
[4]
서적
《金史·太宗本纪》
[5]
서적
《遼史·天祚帝本纪》
[6]
서적
《金史·叛臣列傳》
[7]
서적
《金史·太宗本纪》
[8]
서적
The Jurchen in Twelf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The bulletin of Sung and Yüan studie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Department of History
[11]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2]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3]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14]
서적
靖康稗史箋證
[15]
서적
靖康稗史箋證
[16]
서적
靖康稗史箋證
[17]
서적
靖康稗史箋證
[18]
서적
War, politics and society in early modern China, 900–1795
Taylor & Francis
[19]
서적
靖康稗史箋證
[20]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1]
서적
靖康稗史箋證
[22]
서적
The Shortest History of China: From the Ancient Dynasties to a Modern Superpower{{snd}}A Retelling for Our Times
https://books.google[...]
The Experiment
2021
[23]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4]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2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710–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China Under Jurchen Rule: Essays on Chin 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1995
[27]
서적
China Among Equals: The Middle Kingdom and Its Neighbors, 10th–14th Centur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28]
서적
Diplomatic Missions of the Sung State 960–1276
https://books.google[...]
Faculty of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1
[29]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30]
서적
三朝會盟北編
[31]
서적
大金弔伐錄
[32]
서적
大金弔伐录校补
中华书局
[33]
서적
《黑龙江志稿•氏族》
[34]
서적
5000 years of Chinese history
[35]
뉴스
The Women in the Jingkang Incident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Daily
2001-10-23
[36]
웹사이트
Yue Fei's facelift sparks debate
http://zjxz.gov.cn/g[...]
China Daily
2007-08-09
[37]
논문
Yueh Fei (1103–41) and China's Heritage of Loyalty
1972-02-01 # 추정 날짜. 월 정보만 제공됨.
[38]
서적
The Legend of the Condor Heroes
[39]
웹사이트
allgame (Bandit Kings of Ancient China > Overview)
http://www.allgame.c[...]
Allgame
2009-02-02
[40]
웹사이트
Review: River of Stars ← Catbytes.org
http://www.catbytes.[...]
2015-03-27
[41]
뉴스
'River of Stars'
https://www.washingt[...]
[42]
서적
『靖康稗史箋證』巻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