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미지빠귀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미지빠귀류는 산적딱새아목에 속하는 조류 그룹으로, 외관상 작은 뜸부기류와 유사하며 찌르레기처럼 걷는 특징을 갖는다.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이전의 Formicariidae가 측계통군임이 밝혀졌으며, 현재는 Formicarius 속과 Chamaeza 속으로 분류된다. Formicarius 속에는 6종, Chamaeza 속에도 6종이 있으며,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Chamaeza는 Formicarius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개미지빠귀과는 과거 개미새과에 포함되었으나, Sibley et al.(1988)에 의해 분리되었고, Moyle 등(2007)에 의해 Grallariidae와 Formicariidae로 다시 분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피오르드랜드펭귄
    피오르드랜드펭귄은 뉴질랜드 남섬 서해안에 서식하며 노란색 볏이 특징인 중간 크기의 펭귄으로, 오징어, 크릴, 물고기를 먹고, IUCN 적색 목록에 위기근접종으로 분류되어 외래 포식자와 인간의 간섭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조지 로버트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도요타조
    도요타조는 주로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육상 조류로, 구악류에 속하며 레아류의 자매군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짧은 거리를 날거나 주로 걸어 다니며, 수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기르는 잡식성 조류이지만,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일부 종은 개체 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개미지빠귀류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땅개미새과
학명Formicariidae
명명자Gray, 1840년
영명Ground antbirds
분류
Formicarius
Chamaeza
형태
크기10 ~ 20 cm
기타
관련 링크구 쥐개미새과
관련 분류Grallariidae

2. 계통 분류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따르면, 개미지빠귀과는 산적딱새아목 내 산적딱새하목(신대륙 명금류사촌)의 화덕딱새소목에 속한다.[12] 이 연구에서 개미지빠귀과는 화덕딱새과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으로 나타났다.

개미지빠귀류는 겉모습이 작은 뜸부기류와 비슷하며, 암수 깃털 색이 같다. 찌르레기처럼 걷는 특징이 있다. 이름에 '지빠귀'가 붙은 것은 실제 지빠귀와 크기가 비슷하고, 특히 ''Chamaeza'' 속의 경우 색상도 유사하기 때문일 뿐, 진화적인 관계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분자 계통학 연구 결과, 과거에 넓은 의미로 사용되던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는 여러 mtDNA 및 n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측계통군임이 밝혀졌다.[2][3][4] 이로 인해 분류 체계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 과거 개미지빠귀과에 속했던 ''Pittasoma'' 속은 현재 개미새사촌과(Conopophagidae)로 분류된다. 이들은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 과거 개미지빠귀과에 포함되었던 '진정한 개미새'들은 현재 별도의 과인 땅개미새과(Grallariidae)로 분류된다.
  • 땅꼬마새과(Rhinocryptidae)의 일부는 개미지빠귀과와 더 가까운 관계일 수 있지만, 여전히 별개의 과로 간주된다.


분류 역사를 보면, 시블리(Sibley) 등(1988)은 기존의 넓은 의미의 개미새과를 개미새과(Thamnophilidae),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 개미새사촌과(Conopophagidae) 등으로 나누었다. 이후 Moyle 등(2007, 2009)은 시블리가 정의한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를 다시 땅개미새과(Grallariidae)와 현재의 좁은 의미의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로 분리했으며, ''Pittasoma'' 속을 개미새사촌과로 옮겼다.[8][9]

현재의 개미지빠귀과(Formicariidae)는 크게 두 속, 즉 ''Formicarius'' 속과 ''Chamaeza'' 속으로 나뉜다. 2020년 발표된 마이클 하비(Michael Harvey) 등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는 이 두 속이 서로 자매군 관계임을 보여준다.[5] 이 연구에 따르면 ''Chamaeza'' 속의 짧은꼬리개미지빠귀(*Chamaeza campanisona*)는 측계통군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아종이 실제로는 별개의 종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5][6][7]

Moyle 등(2009)의 연구에서는 개미지빠귀과가 땅꼬마새과(Rhinocryptidae)와 자매군을 이루며, 이 두 과가 함께 개미새상과(Grallarioidea)를 형성할 가능성을 제시했다.[9]

2. 1. Formicarius 속

검은얼굴개미지빠귀속(''Formicarius'')은 개미새과(Formicariidae)에 속하는 조류의 한 속으로, 다음 6종을 포함한다.

  • ''Formicarius colma'' - 붉은머리개미지빠귀 (Rufous-capped Antthrusheng)
  • ''Formicarius analis'' - 검은얼굴개미지빠귀 (Black-faced Antthrusheng)
  • ''Formicarius moniliger'' - Mayan Antthrusheng (과거 ''F. analis''에서 분리된 종)
  • ''Formicarius rufifrons'' - 붉은이마개미지빠귀 (Rufous-fronted Antthrusheng)
  • ''Formicarius nigricapillus'' - 검은머리개미지빠귀 (Black-headed Antthrusheng)
  • ''Formicarius rufipectus'' - 붉은가슴개미지빠귀 (Rufous-breasted Antthrusheng)

2. 2. Chamaeza 속


  • ''Chamaeza campanisona'', Short-tailed Antthrusheng, 개미지빠귀
  • ''Chamaeza nobilis'', Striated Antthrusheng, 검은이마개미지빠귀
  • ''Chamaeza meruloides'', Such’s Antthrusheng, 숨은개미지빠귀
  • ''Chamaeza ruficauda'', Rufous-tailed Antthrusheng, 붉은꼬리개미지빠귀
  • ''Chamaeza turdina'', Schwartz’s Antthrusheng, 부채개미지빠귀
  • ''Chamaeza mollissima'', Barred Antthrusheng, 안데스개미지빠귀

참조

[1] 웹사이트 Zoonomen Avtax Frames Layout Page http://www.zoonomen.[...]
[2] 논문 Systematic relationships and biogeography of the tracheophone suboscines (Aves: Passeriformes) 2002
[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ntpitta genera (Passeriformes: Formicariidae) 2005
[4] 논문 Further evidence for paraphyly of the Formicariidae (Passeriformes) 2005
[5] 논문 The evolution of a tropical biodiversity hotspot 2020
[6] 웹사이트 Antthrushes, antpittas, gnateaters, tapaculos, crescentchest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03-05
[7] 서적 Birds of South America: Passerines Christopher Helm
[8] 간행물 Proposals 2007-A http://www.aou.org/c[...]
[9] 간행물 Phylogeny and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antbirds, ovenbirds, woodcreepers, and allies (Aves: Passeriformes: infraorder Furnariides)
[10] 간행물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11] URL http://www.zoonomen.[...]
[12]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