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검은댕기수리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은댕기수리속(Aviceda)은 뻐꾸기매과에 속하는 수리류의 한 속이다. 속명 'Aviceda'는 라틴어로 '새'를 의미하는 'avis'와 '-cida' (살해자)의 합성어이다. 아프리카뻐꾸기매, 제르돈바자, 검은댕기수리, 마다가스카르뻐꾸기매, 태평양바자 등 5종이 포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목 - 벌매속
    벌매속은 퀴비에가 명명한 중간 크기 넓은 날개의 조류 속으로, 유럽벌매, 관머리벌매, 띠무늬벌매, 필리핀벌매 4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계통 분류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수리목 - 관수리속
    관수리속은 뱀독수리류를 포함하는 조류 속으로, 여러 종이 있으며 일부는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수리과 - 벌매속
    벌매속은 퀴비에가 명명한 중간 크기 넓은 날개의 조류 속으로, 유럽벌매, 관머리벌매, 띠무늬벌매, 필리핀벌매 4종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서열 분석으로 계통 분류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수리과 - 두루미매
    두루미매는 멕시코에서 남아메리카에 걸쳐 분포하며 물과 밀접하게 연관된 생활을 하는 새로, 독특한 발목뼈 구조를 통해 좁은 공간에서 먹이를 잡는 데 용이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위협받고 있다.
검은댕기수리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명명자Swainson, 1836
모식종Aviceda cuculoides
모식종 명명자Swainson, 1837
하위 분류
하위 종

2. 어원

avisla '새'와 '살해자'라는 뜻의 caederela('죽이다'에서 유래)에서 온 ''-cida''가 합쳐진 단어이다.[3]

3. 하위 종

검은댕기수리속(''Aviceda'')에는 다음 5종이 속한다.[4][5][7][8][9]

검은댕기수리속(''Aviceda'')의 종
이름학명명명자 및 연도분포 지역
아프리카뻐꾸기매Aviceda cuculoides스와인슨, 1837년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 남부 동부 지역
제르돈바자Aviceda jerdoni블라이스, 1842년동남아시아
검은댕기수리Aviceda leuphotes뒤몽, 1820년북동부 인도, 동히말라야, 중국 및 동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뻐꾸기매Aviceda madagascariensis스미스, 1834년마다가스카르
태평양바자Aviceda subcristata굴드, 1838년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티모르


3. 1. 아프리카뻐꾸기매 (''Aviceda cuculoides'')



아프리카뻐꾸기매(''Aviceda cuculoides'')는 스와인슨이 1837년에 명명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및 아프리카 남부 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3개의 아종이 있다.[4]

아종
A. c. subsp. cuculoides
A. c. subsp. batesi
A. c. subsp. verreauxii


3. 2. 제르돈바자 (''Aviceda jerdoni'')

제르돈바자(''Aviceda jerdoni'')는 블라이스가 1842년에 명명한 종으로,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5] 6개의 아종이 있다.[6]

제르돈바자(''Aviceda jerdoni'')의 아종[6]
아종학명
제르돈바자A. j. jerdoni (Blyth, 1842)
실론바자A. j. ceylonensis (Legge, 1876)
보르네오바자A. j. borneensis (Sharpe, 1893)
필리핀바자A. j. magnirostris (Kaup, 1847)
A. j. leucopias (Sharpe, 1888)
술라웨시바자A. j. celebensis (Schlegel, 1873)


3. 3. 검은댕기수리 (''Aviceda leuphotes'')

검은댕기수리(''Aviceda leuphotes'')는 뒤몽이 1820년에 명명한 종으로,[7] 북동부 인도, 동히말라야, 중국 및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아종
A. l. syama (Hodgson, 1837)
A. l. leuphotes (Dumont, 1820)
A. l. andamanica (Abdulali & Grubh, 1970)


3. 4. 마다가스카르뻐꾸기매 (''Aviceda madagascariensis'')

마다가스카르뻐꾸기매는 스미스가 1834년에 명명했으며, 마다가스카르에 분포한다.[8]

3. 5. 태평양바자 (''Aviceda subcristata'')

태평양바자는 굴드가 1838년에 명명했다.[9]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솔로몬 제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티모르 등지에 분포한다.[9]

13개의 아종이 있다.[9]

아종
Aviceda subcristata bismarckii (Sharpe, 1888)
A. s. coultasi (Mayr, 1945)
A. s. gurneyi (E. P. Ramsay, 1882)
A. s. megala (Stresemann, 1913)
A. s. obscura (Junge, 1956)
A. s. pallida (Stresemann, 1913)
A. s. reinwardtii (Schlegel & S. Müller, 1841)
A. s. rufa (Schlegel, 1866)
A. s. stenozona (G. R. Gray, 1858)
A. s. stresemani (Siebers, 1930)
A. s. subcristata (Gould, 1838)
A. s. timorlaoensis (A. B. Meyer, 1893)
A. s. waigeuensis (Mayr, 1940)


참조

[1] 웹사이트 Accipitridae https://www.aviansys[...] The Trust for Avian Systematics 2023-07-26
[2]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originating from the Indian region' https://archive.org/[...] 2015-09-24
[3]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Alive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4] 간행물 Aviceda cuculoides
[5] 간행물 Aviceda jerdoni
[6]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1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Aviceda leuphotes
[8] 간행물 Aviceda madagascariensis
[9] 간행물 Aviceda subcrist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