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겐나디 콜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겐나디 콜빈은 소련의 정치인이다. 1927년 니즈니타길에서 태어났으며, 기술자, 공산당 간부, 지역 서기를 거쳐 1986년부터 1989년까지 카자흐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를 지냈다. 1989년 모스크바로 전출되어 인민통제위원회 위원장, 소련 인민 대표를 역임했으며, 1990년 정계에서 은퇴했다. 이후 모스랄뱅크 이사회 의장을 지내다 1998년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 -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카자흐스탄의 초대 대통령으로, 소련 공산당 간부 출신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어 경제 성장과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 통치와 부정부패 논란, 그리고 2022년 소요 사태 이후 정치적으로 몰락했다.
  •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 - 니콜라이 벨랴예프
    니콜라이 벨랴예프는 소련의 정치인으로, 흐루쇼프의 후원 아래 고위직을 맡았으나 카자흐스탄 공산당 서기장 재임 시절의 실책과 이후 고르바초프와 협력 시도에도 불구하고 영향력을 회복하지 못하고 은퇴했다.
  • 카자흐스탄 공산당의 정치인 - 딘무하메드 코나예프
    딘무하메드 코나예프는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제1서기를 지내며 공화국의 경제 성장을 이끌고 소련의 3대 경제 대국으로 부상시키는 데 기여했으나, 이후 해임되어 알마티에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
  • 카자흐스탄 공산당의 정치인 - 이스마일 유수포프
    이스마일 유수포프는 붉은 군대 입대 후 레닌그라드 포위전에 참전한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수자원부 장관과 카자흐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를 역임하며 처녀지 개척 사업과 남카자흐스탄 지역 이관 등의 주요 정책 결정에 관여하고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위원과 소련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지냈다.
  • 니즈니타길 출신 - 빅토르 스타루힌
    빅토르 스타루힌은 러시아 출신으로 일본 프로야구에서 활약하며 노히트 노런, MVP 선정, 통산 200승 및 300승을 최초로 달성한 전설적인 투수이다.
  • 니즈니타길 출신 - 다닐 할리모프
    다닐 할리모프는 러시아 출신의 레슬링 선수로,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과 2004년 아시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5위를 기록했다.
겐나디 콜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겐나디 바실리예비치 콜빈
원어 이름Геннадий Васильевич Колбин
국적러시아
출생일1927년 5월 7일
출생지니즈니타길, 우랄 주, RSFSR, 소비에트 연방
사망일1998년 1월 15일
사망지모스크바, 러시아
정당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1954년–1991년)
경력
직위당 및 국가 통제위원회 위원장
임기 시작1989년 6월 7일
임기 종료1990년 12월 26일
이전세르게이 마냐킨
이후직위 폐지
직위카자흐 SSR 공산당 제1서기
임기 시작1986년 12월 16일
임기 종료1989년 6월 22일
이전딘무하메드 쿠나예프
이후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직위CPSU 울리야놉스크 지역위원회 제1서기
임기 시작1983년 12월 15일
임기 종료1987년 1월 12일
이전이반 쿠즈네초프
이후유리 삼소노프
군사 경력
수상
훈장레닌 훈장 (2회)

2.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겐나디 콜빈은 1927년 니즈니타길에서 태어났다. 1942년부터 1943년까지 니즈니타길의 공장에서 모델 디자이너 견습생과 구두장이로 일했다.[7] 1943년 니즈니타길 광산 야금 대학에서 공부를 시작했다. 1947년부터 1959년까지 니즈니타길 공장에서 디자이너 기술자, 기술 국장, 차장, 수석 엔지니어를 지냈다. 1954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다.[7]

1955년 S. M. 키로프의 이름을 딴 우랄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를 졸업하고 나중에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3. 정치 경력

겐나디 콜빈은 1959년 공장 당 위원회 서기를 시작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62년 니즈니타길 공산당 레닌 지구위원회 제2서기 및 제1서기를 거쳐, 1970년까지 니즈니타길 시 공산당 위원회 제2서기 및 제1서기를 역임했다.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스베르들로프스크 주 공산당 지역 위원회 서기, 제2서기를 역임했다. 이후 조지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2서기를 지냈으며, 1975년부터 1984년까지 조지아 SSR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역임했다. 1976년, 스베르들로프스크 주 공산당 지역 위원회 제1서기였던 야코프 P. 랴보프가 모스크바로 이동하면서 보리스 옐친이 후임으로 지명되었다.[8]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울리야놉스크 주 공산당 지역 위원회 제1서기를 역임했다. 콜빈의 주도로 모스크바 대학교 지부인 미세 전자 센터가 울리야놉스크에 설립되었고, 볼가강을 가로지르는 대통령교 건설이 결정되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RSFSR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지냈다.[9]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구성원을 역임했다.[10]

3. 1. 카자흐스탄 공산당 제1서기 시절

미하일 고르바초프카자흐 SSR 공산당의 부패를 근절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1986년 디니무하메드 쿠나예프를 대신하여 콜빈을 카자흐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비서로 임명했다.[5] 콜빈은 임명되기 전까지 카자흐 SSR에서 근무한 적이 없었다.[5]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콜빈은 카자흐 SSR 최고 소비에트 부의원 및 카자흐 SSR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위원을 역임했다.

그는 카자흐스탄 외부인이었기에 현지에서 환영받지 못했다. 그의 임명은 카자흐스탄 수도 알마티 및 기타 도시에서 폭력적인 시위를 야기했으며, 수천 명의 시위자가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을 입었다.[5] 이 봉기는 현재 "젤토크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카자흐어로 "12월"을 의미한다.[5] 퇴임하는 제1비서 디니무하메드 쿠나예프가 6만 명의 시위대가 참여한 이 시위를 조직하는 데 참여했다는 보고가 있지만, 쿠나예프가 당시 가택 연금 상태였고 외부와 격리되어 누구와도 소통할 수 없었던 점을 고려할 때, 쿠나예프의 참여 보고는 조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5]

1989년 6월, 콜빈은 카자흐 출신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로 교체되었고, 이후 콜빈은 모스크바로 전출되었다.[5]

3. 2. 모스크바 시절과 이후 활동

1959년 공장에서 당위원회 서기를 지냈다. 1962년, 그는 니즈니타길 공산당 레닌 지구위원회 제2서기 겸 제1서기를 지냈다. 1962년부터 1970년까지 그는 소련 공산당의 니즈니타길 시위원회의 제2서기 겸 제1서기를 지냈다.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콜빈은 소련 공산당 스베르들롭스크 지역위원회의 서기장과 제2서기로 임명되었다. 1975년부터 1984년까지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지냈다. 1976년 소련 공산당의 스베르들롭스크 지역위원회 제1서기로 승진한 후, 야코프 P. 랴보프는 소련 공산당의 스베르들롭스크 지역위원회 제1서기로 주요 후보로 고려되었다. 보리스 옐친은 이 직위에 지명되었다.[8]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소련 공산당 울리야놉스크 지방위원회 제1서기를 지냈다. 그의 주도로 울리야놉스크에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의 분교인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센터가 열렸고 볼가강을 가로지르는 프레지던트 브리지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지냈다.[9]

콜빈은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의 부대표를 역임했다. 그는 또한 1987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장단의 일원으로 재직했다.[10]

모스크바로 전출된 후, 콜빈은 1989년부터 1990년까지 인민통제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소련 인민 대표를 지냈다. 1990년 12월 모든 정치적 직위에서 물러났다. 1990년 12월부터 콜빈은 연방 정부의 중요한 개인 연금 수급자였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OJSC 모스랄뱅크의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다.[11]

1998년 1월 15일, 콜빈은 그의 딸을 방문하기 위해 모스크바 지하철을 타고 여행하던 중 갑자기 몸이 좋지 않아 지하철에서 쓰러졌고,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는 모스크바의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에 묻혔다.

4. 사망

1990년 12월부터 콜빈은 연방 정부의 개인 연금 수급자였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OJSC 모스랄뱅크의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다.[11]

1998년 1월 15일, 콜빈은 딸을 방문하기 위해 모스크바 지하철을 타고 가던 중 갑자기 몸이 좋지 않아 지하철에서 쓰러졌고,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그는 모스크바의 트로예쿠롭스코예 묘지에 묻혔다.

5. 개인사

콜빈은 소피야 이바노브나 콜비나(1926년 ~ 1998년)와 결혼하여 슬하에 두 딸을 두었다. 장녀는 마리나(1950년생)이며, 차녀는 나탈리아(1952년 ~ 1984년)이다.

6. 수상

레닌 훈장 2회
10월 혁명 훈장
노동 적기 훈장 2회
명예 훈장


참조

[1] 뉴스 Жизнь и смерть Геннадия Колбина https://e-history.kz[...]
[2] 뉴스 «Пришел на крови, но, слава богу, ушел бескровно» https://e-history.kz[...]
[3] 뉴스 Жизнь и смерть Геннадия Колбина https://azh.kz/ru/ne[...]
[4] 뉴스 «Пришел на крови, но, слава богу, ушел бескровно» https://e-history.kz[...]
[5] 웹사이트 Kazakhstan Daily Digest http://www.eurasiane[...] 2008-09-04
[6] 뉴스 Колбина показали казахским руководителям еще летом 1986 года https://rus.azattyq.[...]
[7] 뉴스 Жизнь и смерть Геннадия Колбина https://e-history.kz[...]
[8] 뉴스 «Пришел на крови, но, слава богу, ушел бескровно» https://e-history.kz[...]
[9] 뉴스 Жизнь и смерть Геннадия Колбина https://azh.kz/ru/ne[...]
[10] 뉴스 «Пришел на крови, но, слава богу, ушел бескровно» https://e-history.kz[...]
[11] 뉴스 Колбина показали казахским руководителям еще летом 1986 года https://rus.azattyq.[...]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