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1년 2월 25일에 설립되어 1991년 4월 9일에 독립을 선언한 소비에트 연방의 공화국이었다. 1922년부터 1936년까지는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에 속했다.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에는 대숙청으로 많은 그루지야인들이 희생되었고, 1956년에는 스탈린 비판에 대한 시위가 발생하여 유혈 사태가 벌어졌다. 1970년대에는 그루지야어의 국어 규정 삭제 시도에 반대하는 시위가 있었고,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 시기에는 민족 운동이 고조되었다. 1990년 민주적 선거를 통해 조지아 공화국으로 국명이 변경되었고, 1991년 독립을 선언했으나, 남오세티야와 압하지야 지역의 분쟁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남오세티야 자치주
    남오세티야 자치주는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 오세티아인 자치주였으나, 소련 붕괴 후 조지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며 분쟁이 시작되어 자치권이 무효화되었고, 현재까지 조지아와 갈등 중이다.
  • 소련의 공화국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2년 소련에 가입한 구성 공화국으로, 농업 및 공업 기지였으나 중앙집권적 통제와 홀로도모르 등의 비극을 겪었으며,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확정지었다.
  • 소련의 공화국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부터 1991년까지 존속한 소련의 구성 공화국으로, 계획경제 체제하에 면화 재배 중심의 농업과 소규모 공업이 발전했으나 중앙집권적 통제와 경제적 착취, 문화적 동화 정책, 민족 갈등, 종교적 자유 제한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독립 후에도 그 시대의 경험이 현재 키르기스스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조지아의 역사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조지아의 역사 - 장미 혁명
    2003년 조지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시민 운동인 장미 혁명은 부정부패한 셰바르드나제 정권을 무너뜨리고 사카슈빌리를 대통령으로 만들었으며, 독립 언론과 NGO의 활동, 서방 국가들의 지원 감소가 영향을 미쳐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로 셰바르드나제 사임과 사카슈빌리 집권, 그리고 조지아의 친서방 개혁을 이끌어냈다.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국기 (1951–1990)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
국장 (1981–1990)
소련 내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위치
소련 내 위치 (빨간색)
국가 모토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국가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1946–1990)
sound_file: Anthem-ssr-georgian-instr-1968.ogg
영광 (1990–1991)
sound_file: Former Georgian national anthem, 1990–2004.oga
좌표41°43′21″N 44°47′33″E
종교국가 무신론
존속 기간1921년 – 1991년
오늘날조지아
러시아 (분쟁 지역)
정치
정치 체제1921–1990:
단일 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 사회주의 공화국
1990–1991:
단일 다당제 의원 내각제 공화국
1991년 4월 - 12월:
단일 다당제 준 대통령제 공화국
최고 지도자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
초대 최고 지도자마미야 오라켈라슈빌리 (1921–1922)
마지막 최고 지도자기비 검바리제 (1989–1990)
국가 수반대통령
초대 국가 수반필리프 마하라제 (1922–1923)
마지막 국가 수반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1990–1991)
정부 수반총리
초대 정부 수반폴리카르프 므디바니 (1922)
마지막 정부 수반베사리온 구구슈빌리 (1991)
의회최고 소비에트
역사
주요 사건소비에트 침공 및 점령 (1921년 2월 25일)
건국 (1921년 2월 25일)
소련 가입 (1922년 12월 30일)
자캅카스 SFSR 해체 (1936년 12월 5일)
주권 선언 (1989년 11월 18일)
조지아 공화국으로 개칭 (1990년 11월 14일)
독립 선언 (1991년 4월 9일)
독립 승인 (1991년 12월 26일)
이전 국가그루지야 민주 공화국
이전 국가 국기
이전 국가 2압하지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이전 국가 2 국기
이전 국가 3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이전 국가 3 국기
이후 국가조지아
이후 국가 국기
언어
공용어조지아어
러시아어
압하스어 (압하지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세트어 (남오세티야 자치주)
밍그렐리아어
스반어
경제
통화소비에트 루블 (Rbl)
통화 코드SUR
기타
전화 코드+7 881/882/883

2. 역사

1921년 2월 25일, "그루지야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이 설립되었다. 1922년 3월 12일부터 1936년 12월 5일까지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함께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의 일부였다가 이후 해체되었다.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 기간 동안 라브렌티 베리야 주도로 수많은 그루지야인들이 처형되었는데, 여기에는 저명한 그루지야인과 그루지야 볼셰비키 당원도 포함되었다.[14] 스탈린 사후에는 자본주의 원리가 은밀하게 도입되어 자동차나 주택 소유율이 소련 내에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에는 행정권 분권화로 그루지야 공산당의 힘이 강해졌고, 지하 경제 활성화로 부패가 만연했다.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85년까지 부패와 싸웠으며, 이후 소련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스탈린주의를 지지하는 사람이 많은 그루지야에서는 스탈린 비판에 대한 반발이 컸다. 1956년 3월 4일부터 10일까지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고,[15] 소비에트 연방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1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6][17]

1970년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가 그루지야어의 국어 지위 삭제를 시도하자, 1978년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8] 당국은 무력 진압 대신 즉시 철회했고, 4월 14일은 "그루지야어의 날"로 제정되었다.[19] 이를 계기로 그루지야 민족 운동이 활발해졌고, 셰바르드나제는 유화 정책을 펼쳤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민족 운동은 더욱 거세졌다. 1989년 4월 9일, 4월 9일의 비극으로 불리는 반소 시위대 발포 사건으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후 반소비에트, 반고르바초프 움직임이 가속화되어 주권 선언이 채택되었으나, 이는 그루지야 내 압하스인, 오세트인 등의 반발을 샀다. 그루지야의 그루지야어 교육 추진으로 수흐미 폭동이 일어났고, 압하지야에서는 민족주의와 반그루지야 운동이 활발해졌다.

1990년 10월 28일, 민주적 의회 선거에서 "원탁=자유 그루지야"가 제1당이 되고 그루지야 공산당은 제2당으로 전락했다.[20] 11월 14일, 국명을 "그루지야 공화국"으로 개칭하고, 그루지야 민주 공화국 시대의 국기·국장·국가를 부활시켰다.[21] 1991년 4월 9일, 독립 선언을 했으나,[23] 소비에트 정부는 9월까지 승인하지 않았다.

독립 이후,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대통령은 압하지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병합, 남오세티야 자치주 폐지 등을 실시했다. 1991년 11월 28일 남오세티야, 1992년 7월 23일 압하지야가 독립을 선언했고, 아자리아 자치 공화국도 1992년부터 2004년까지 사실상 독립 상태가 되는 등 내정이 혼란에 빠졌다. 압하지야 분쟁, 남오세티야 분쟁 등 내전이 발생했고, 러시아와도 대립했다. 조지아는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그루지야"(Грузияru) 대신 영어 이름 "조지아"(Georgia)를 사용하도록 각국에 요청했다.

2. 1. 초기 역사와 소비에트 연방 편입

1917년 11월 28일, 러시아10월 혁명 이후 트빌리시에는 자캅카스 위원회가 수립되었다. 1918년 4월 22일, 자캅카스 민주 연방 공화국이 수립되었지만, 한 달 만에 해체되고 조지아 민주 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아제르바이잔 민주 공화국으로 분리되었다. 1919년 의회 선거에서 조지아 사회민주당이 집권하였다. 이 당은 온건 좌익 성향의 다당제를 추구했지만, 아르메니아 및 오스만 제국 잔당과의 전쟁, 그리고 라차, 사메그렐로, 두셰티 등지에서 발생한 소련 지원 농민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다.[3]

1921년, 제11 적군이 조지아를 침공하여 트빌리시를 점령하면서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다. 같은 해 2월 25일, 일주일간의 공격 끝에 트빌리시는 볼셰비키에게 함락되었다.[3] 조지아 볼셰비키는 조지아를 장악하고 조지아 SSR 수립을 선포했으며, 조지아 방위군과의 소규모 전투 후 조지아 민주 공화국 정부는 망명했다. 1922년 3월 2일, 소비에트 조지아의 첫 헌법이 채택되었다.

1921년 10월 13일, 카르스 조약을 통해 터키와 소련 자캅카스 3개 공화국 간의 국경이 확정되었다. 조지아 SSR은 아르트빈 오크루크를 터키에 할양하는 대신 아자리아에 대한 정치적 자치권을 얻었다.

1922년 3월 12일부터 1936년 12월 5일까지 조지아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과 함께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 (자캅카스 SFSR)의 일부로 소련에 통합되었다. 이 기간 동안 라브렌티 베리야가 조지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로 지역을 이끌었다.[4] 1936년 자캅카스 SFSR이 해체되면서 조지아는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2. 2. 스탈린 시대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 시기, 대숙청으로 인해 수많은 그루지야인들이 희생되었다. 희생자 중에는 미케일 자바키슈빌리, 에브게니 미켈라제와 같은 저명한 지식인과 미케일 카키아니, 마미아 오라켈라슈빌리와 같은 그루지야 볼셰비키 당원도 포함되었다.[14] 라브렌티 베리야가 이 지역의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를 맡았다.[14]

정확한 조지아인 희생자 수는 추정하기 어렵지만, 일부 학자들은 3만 명에서 6만 명 사이로 추정한다. 굴라크로 보내진 사람들도 많았으며, 소련 공산당 관리들 역시 숙청 대상이었다.

1941년 6월 아돌프 히틀러바르바로사 작전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코카서스 유전 확보였으나, 추축국 군대는 조지아까지 진격하지 못했다. 조지아는 붉은 군대에 약 70만 명의 전투병(35만 명 사망)을 제공했으며, 섬유 및 군수품의 중요 공급원이었다.

이 시기 조지아 출신인 이오시프 스탈린체첸인, 독일인, 잉구쉬인 등 여러 민족들을 나치 협력 혐의로 코카서스에서 강제 이주시켰다. 이들은 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로 이송되었고, 해당 민족들의 자치 공화국은 폐지되었다.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57년까지 잠시 이들의 영토 일부를 부여받았다.[5]

2. 3.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의 탈스탈린화 정책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1956년에 발생하여, 약 100명의 그루지야 학생들이 사망했다.[16][17] 이는 흐루쇼프의 반 스탈린 연설과 더불어 그루지야인에 대한 무심한 발언이 원인이었다.

1950년대 중반, 흐루쇼프의 분권화 정책으로 그루지야 공산당 관리들은 지역 권력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공식 경제 외에 유사 자본주의 암시장이 번성했다. 그루지야의 공식 경제 성장률은 소련에서 가장 낮았지만, 저축, 자동차 및 주택 소유율 등은 연방 내에서 가장 높아 경제적으로 성공적인 공화국 중 하나였다.[6] 또한, 고등 교육 또는 특수 중등 교육을 받은 주민 수도 가장 많았다.[7]

부패는 그루지야에서 매우 심각하여 모스크바 당국을 당혹스럽게 했다.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내무부 장관이었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부패와의 투쟁으로 명성을 얻었고, 부패한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 바실 므자바나제를 제거했다. 셰바르드나제는 모스크바의 지지로 제1서기 자리에 올라 1972년부터 1985년까지 그루지야를 통치하며 공식 경제를 개선하고 부패한 관리들을 해임했다.

2. 4. 셰바르드나제 시대와 민족주의 운동

1970년대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소련에서 만연했던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 부패 척결에 힘썼으며, 공식 경제를 개선하고 수백 명의 부패한 관리들을 해임하는 등 개혁을 추진하였다.[8] 1978년, 소련 당국이 그루지야어의 헌법적 지위를 제거하려는 시도에 맞서 수천 명의 그루지야인들이 트빌리시에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1978년 트빌리시 시위)[8] 결국 모스크바는 셰바르드나제가 헌법적 보장을 복원하는 것을 승인했고, 4월 14일은 그루지야 언어의 날로 지정되었다.[8] 이는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페레스트로이카글라스노스트 정책으로 인해 민족주의 운동이 더욱 강화되었다. 공산당 당국과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 그리고 조지아 내 소수 민족(특히 남오세티야 자치주)의 민족주의 운동 사이에 폭력적인 충돌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1989년 4월 9일, 소련군은 트빌리시에서 열린 평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투입되었고, 이 과정에서 20명의 조지아인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 (4월 9일의 비극) 이 사건은 조지아 정치를 급진화시켰고, 많은 사람들, 심지어 일부 조지아 공산주의자들까지도 독립이 소련과의 연합보다 낫다고 결론짓게 만들었다.[9]

2. 5. 독립 선언과 이후

1980년대 말, 조지아 공산당,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 그리고 남오세티야 자치주 등 소수 민족 거주 지역의 민족주의 운동 간에 충돌이 격화되었다. 1989년 4월 9일, 소련군은 트빌리시에서 열린 평화 시위를 진압했고, 이 과정에서 20명의 조지아인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했다. 이 사건은 조지아 정치를 급진화시켜, 많은 사람들이 독립을 원하게 되었다.[9]

1990년 10월 28일, 민주적인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11월 14일, 조지아는 독립 회복을 위한 과도기를 선포하고, 국명을 "조지아 공화국"으로 변경했다.[9] 조지아는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발트 3국과 함께 1991년 3월 연방 보존 국민투표를 보이콧한 6개 공화국 중 하나였다.[10] 1991년 3월 31일, 조지아 독립 회복에 대한 국민투표가 실시되었고, 대다수의 유권자가 독립에 찬성했다.[10]

1991년 4월 9일, 조지아는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11] 하에서 독립을 선언했다.[23] 그러나 소련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조지아는 1991년 12월 소련 붕괴 전까지 소련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독립 이후,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대통령은 그루지야 민주 공화국의 부활을 추진하며, 압하지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병합과 남오세티야 자치주 폐지를 시도했다. 이로 인해 1991년 11월 28일 남오세티야가, 1992년 7월 23일 압하지야가 각각 독립을 선언하면서 내정이 혼란에 빠졌다. 아자리아 자치 공화국은 1992년부터 2004년까지 사실상 독립 상태가 되었다. 이후 압하지야 분쟁, 남오세티야 분쟁 등 내전이 발생했고, 러시아와도 대립하게 되었다. 조지아는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국명 "그루지야"(Грузияru) 대신 영어 이름 "조지아"(Georgia)를 사용하도록 각국에 요청했다.

3. 정치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권력 기관은 최고 소비에트(최고 회의)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그루지야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특히 제1서기가 가장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다.[14]

니키타 흐루쇼프 시기에는 행정권이 분권화되면서 그루지야 공산당의 힘이 강해졌다. 이와 더불어 지하 경제가 활성화되고 부패가 만연했는데, 이는 소련 내에서도 가장 심각한 수준이었다고 한다.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1960년대 중반부터 1985년까지 이 부패와 맞서 싸웠으며, 이후 소련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15]

1990년 10월 28일, 민주적인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원탁=자유 그루지야'가 60% 이상의 득표율로 제1당이 되었고, 그루지야 공산당은 제2당으로 밀려났다.[20]

3. 1. 역대 당 서기장


  • 1938년 ~ 1941년: 필리프 마하라제
  • 1941년 ~ 1946년: 기오르기 스투루아
  • 1946년 ~ 1952년: V. 고구아

4. 경제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공장의 노동자


이오시프 스탈린 시대에는 중앙 계획 경제 체제 하에서 산업화가 추진되었으며, 농업 집단화가 이루어졌다.[14] 니키타 흐루쇼프 시대 이후에는 분권화 정책과 함께 경공업과 관광 산업이 발전하였다. 조지아는 소련 내에서 경제적으로 부유한 공화국 중 하나가 되었으며, 저축 수준, 자동차 및 주택 소유율과 같은 지표는 연방에서 가장 높았다.[6]

그러나 이와 동시에 암시장 경제와 부패가 만연하였다.[6] 1964년부터 1972년까지 내무부 장관이었던 에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는 부패와의 투쟁으로 명성을 얻었고, 부패한 그루지야 공산당 제1서기인 바실 므자바나제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셰바르드나제는 모스크바의 축복을 받아 제1서기 자리에 올랐으며, 1972년부터 1985년까지 그루지야를 효과적으로 통치하며 공식 경제를 개선하고 수백 명의 부패한 관리들을 해임했다.

5. 사회

소비에트 시대에는 러시아어 교육이 강조되었고, 민족 문화는 제한적으로 허용되었다. 1956년 3월 4일부터 3월 10일까지 스탈린 비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15] 혼란에 빠진 그루지야 공산당은 소비에트 연방군에게 책임을 전가했고, 소비에트군은 시위대에 발포하여 1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6][17]

1970년대에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소비에트 인민의 형성"을 내걸고 1978년 그루지야 신헌법에서 그루지야어의 국어 규정이 삭제될 뻔 했으나, 두 번째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자 당국은 즉시 철회했다.[18] 이 철회가 이루어진 4월 14일은 "그루지야어의 날"로 제정되었으며,[19] 이날을 기점으로 그루지야에서는 민족 운동이 활발해졌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집권 이후 민족 운동은 더욱 고조되었고, 1989년 4월 9일에는 반소 시위대에 치안 부대가 발포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사건은 4월 9일의 비극으로 불린다.

이러한 민족주의 운동의 강화와 사회적 변화는 그루지야가 독립을 향해 나아가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6. 문화

조지아의 전통 문화는 소비에트 시대에도 유지되었지만, 종교 생활 면에서는 이전보다 억압받았다.[1]

7. 갤러리

8. 같이 보기


  • 조지아 민주 공화국
  • 자캅카스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압하지야 분쟁
  • 남오세티야 분쟁

참조

[1] 문서 On 14 November 1990, article 6 on the monopoly of the Communist Party of Georgia on power was excluded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Georgian SSR
[2] 문서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საბჭოთა სოციალისტური რესპუბლიკა; Грузин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3] 서적 The Europa World Year Book 2004, Volume I Europa Publications
[4] 문서 . Geronti Kikodze (1954) Notes of a Contemporary, first published in 1989, Mnatobi, Issue 1, Tbilisi, Georgia.
[5] 서적 The Lesser Terror: Soviet State Security, 1939–1953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6] 간행물 Autonomy and Conflict: Ethnoterritoriality and Separatism in the South Caucasus – Case in Georgia http://www.silkroads[...] University of Uppsala 2007-06-30
[7] 서적 Armenia, Azerbaijan, and Georgia https://archive.org/[...] DIANE Publishing
[8] 웹사이트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ს გასაბჭოების 60 წლისთვისადმი მიძღვნილი საზეიმო დემონსტრაცია 1981 https://www.youtube.[...] 2017-11-08
[9] 웹사이트 Закон об объявлении переходного периода в республике Грузия — Российский правовой портал: Библиотека Пашкова https://constitution[...] 2010-01-06
[10] 뉴스 Референдум о восстановлении независимости Грузии 31 марта 1991 г. https://ria.ru/20110[...]
[11] 웹사이트 АКТ о Восстановлении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Независимости Грузии http://www.rrc.ge/la[...] www.rrc.ge 2019-12-10
[12] 문서 ラテン文字表記の例:Sak'art'velos Sabčota Soc'ialisturi Respublika
[13] 문서 ラテン文字表記の例:Gruzinskaya Sovetskaya Sotsialisticheskaya Respublika
[14] 문서 Geronti Kikodze (1954) Notes of a Contemporary, first published in 1989, Mnatobi, Issue 1, Tbilisi, Georgia.
[15] 서적 Soviet disunion : a history of the nationalities problem in the USSR https://www.worldcat[...] 1990
[16]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https://www.worldcat[...]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17] 서적 Autonomy and conflict : ethnoterritoriality and separatism in the South Caucasus : cases in Georgia https://www.worldcat[...] '[publisher not identified]' 2002
[18] 서적 Soviet politics in perspective https://www.worldcat[...] Routledge 1998
[19] 서적 Alevi identity : cultural, religious and social perspectives : papers read at a conference held at the Swedish Research Institute in Istanbul, November 25-27, 1996 https://www.worldcat[...] Curzon 1998
[20] 뉴스 グルジアの共産党、第2党転落が確定 最高会議代議員選 朝日新聞 1990-11-13
[21] 뉴스 グルジア国名 社会主義削除 「独立へ移行期」宣言 朝日新聞 1990-11-15
[22] 뉴스 首都で共和国の独立賛成が95%超す グルジアの国民調査 ソ連 朝日新聞 1991-04-02
[23] 뉴스 グルジア共和国が独立宣言 ソ連政権に新たな障害 朝日新聞 1991-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