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성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순숙비 김씨의 딸로, 고려 덕종의 왕후이다. 덕종과는 이복 남매 사이였으며, 1034년 왕후로 책봉되었으나 같은 해 덕종이 사망하여 52년간 수절했다. 1086년에 사망하여 질릉에 묻혔으며, 사후 유정관숙경성왕후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덕종의 왕비 - 효사왕후
효사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혜왕후의 딸이자 덕종의 왕후로, 문종의 동복 누이이며 덕종과는 이복 남매이자 외사촌 관계이고, 본래 왕씨였으나 외조모의 성을 따라 김씨로 바꾸었으며, 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고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 1086년 사망 - 사마광
사마광은 북송 시대의 정치가이자 역사가이며 《자치통감》 편찬으로 유명하고 왕안석의 신법에 반대했으며 철종 시대에 재상으로 복귀하여 신법 폐지를 주도하는 등 시대적 배경과 평가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인물이다. - 1086년 사망 - 서하 혜종
서하 혜종은 서하의 제3대 황제이며,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량씨의 섭정을 받았고, 16세에 친정을 시작했으나 26세에 사망했다. - 고려 현종의 자녀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고려 현종의 자녀 - 효사왕후
효사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혜왕후의 딸이자 덕종의 왕후로, 문종의 동복 누이이며 덕종과는 이복 남매이자 외사촌 관계이고, 본래 왕씨였으나 외조모의 성을 따라 김씨로 바꾸었으며, 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고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경성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작위 | 고려 공주 |
작위 | 고려 덕종의 왕비 |
인물 정보 | |
출생 | 1015년 |
사망 | 1086년 9월 23일 (음력) |
능묘 | 질릉 |
시호 | 유정관숙경성왕후 (柔貞寬肅敬成王后)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현종 |
어머니 | 원순숙비 김씨 |
배우자 | 덕종 |
자녀 | 없음 |
왕후 정보 | |
재위 기간 | 1034년 2월 8일 ~ 1034년 9월 17일 (음력) |
즉위 | 1034년 |
이전 왕비 | 경목현비 왕씨 |
다음 왕비 | 용신왕후 한씨 |
가문 | |
본관 | 경주 김씨 (공식) |
왕가 | 개성 왕씨 (부계 및 혼인) |
2. 생애
경성왕후는 현종과 원순숙비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덕종과는 이복 남매였다. 왕실의 족내혼 풍습에 따라 덕종과 혼인하여 1034년(덕종 3년) 음력 2월에 왕후로 책봉되었다. 덕종에게는 이미 경목현비가 왕비로 있었으나, 경성왕후가 왕족이었기 때문에 《고려사》〈열전〉에서는 경성왕후를 덕종의 제1후로 기록하고 있다.
그해 남편 덕종이 사망하면서 경성왕후는 52년간 홀로 지내다가 1086년(선종 3년) 음력 7월 23일에 사망하였다. 사후 질릉에 안장되었으며, 시호는 '''경성왕후'''(敬成王后)이다.[5] 1096년(숙종 원년)에 태묘에 부묘되었고, 이후 시호가 여러 차례 추가되어 '''유정관숙경성왕후'''(柔貞寬肅敬成王后)가 되었다. 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2. 1. 가계와 혼인
현종과 원순숙비 김씨의 딸로, 남편 덕종과는 이복 남매간이다. 같은 성씨를 피하기 위해 외가의 성(경주 김씨)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4] 어머니 원순숙비는 김인위의 딸로, 권신 이자연의 부인인 계림국대부인과 자매간이다.[9] 따라서 경성왕후는 이자연 소생의 왕후들을 비롯, 그 슬하에서 태어난 왕들과도 가까운 혈족 관계에 있었다. 경성왕후는 고려 왕실의 전통적인 족내혼 풍습에 따라 이복 오빠인 덕종과 결혼하여 1034년(덕종 3년) 음력 2월에 왕후에 책봉되었다.어린 시절, 어머니의 공식 거처가 경흥원(慶興院)이었기 때문에 '''경흥원 장녀(長女)'''라고 불렸다.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왕순 고려 현종 | 992년 8월 1일 – 1031년 6월 17일 | |
할아버지 | 왕욱 고려 안종 | 920년 – 996년 7월 24일 | |
할머니 | 헌정왕후 황보씨 헌정왕후 | 966년–992년 | |
어머니 | 원순숙비 김씨 원순숙비 | 995년–? | |
외할아버지 | 김인위 (金因渭) | 970–1031 | |
외할머니 | 연안 이씨 이씨 부인 (延安 李氏) | 970–? | 이항원 (李杭遠; 940–?)의 딸 |
사촌 | 인예왕후 이씨 인예왕후 | 1026년 – 1092년 10월 5일 | |
사촌 | 경원 이씨 이씨 인경현비 | 1027–? | |
사촌 | 경원 이씨 이씨 인절현비 | 1030년 – 1082년 8월 25일 | |
배우자 겸 이복 오빠 | 왕흠 고려 덕종 | 1016년 6월 9일 – 1034년 10월 31일 | 자녀 없음 |
2. 2. 왕후 시절과 말년
현종과 원순숙비 김씨의 딸로, 남편 덕종과는 이복 남매간이다. 같은 성씨를 피하기 위해 외가의 성을 따랐다.[4] 어머니 원순숙비는 김인위의 딸로, 이자연의 부인인 계림국대부인 김씨와는 자매간이다.[9] 따라서 경성왕후는 이자연 소생의 왕후들을 비롯, 그 슬하에서 태어난 왕들과도 가까운 혈족 관계에 있었다.경성왕후는 고려 왕실의 전통적인 족내혼 풍습에 따라 이복 오빠인 덕종과 결혼하여 1034년(덕종 3년) 음력 2월에 왕후로 책봉되었다. 이미 덕종에게는 1031년에 책봉된 왕비인 경목현비가 있었으나, 경성왕후가 왕족이었던 까닭에 《고려사》〈열전〉에서는 경성왕후를 덕종의 제1후로 기록하고 있다.
1034년 왕비에 책봉된 해에 남편 덕종이 사망하였으며, 경성왕후는 52년을 더 살다가 1086년(선종 3년) 음력 7월 23일에 사망하였다. 사망 후 질릉(質陵)에 장사지내고 시호를 '''경성왕후'''(敬成王后)라 하였다.[5] 1096년(숙종 원년)에 태묘에 부묘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시호를 가상받아 '''유정관숙경성왕후'''(柔貞寬肅敬成王后)가 되었다. 소생은 없었다.
어린 시절에는 어머니의 공식 거처를 따라 '''경흥원 장녀'''라고 불렸다. 과부가 된 후 고려 정종, 고려 문종, 고려 순종, 고려 선종의 치세를 지켜보았다. 다른 대비들과 달리 존호를 받지 못했거나 받지 않았다.
3. 가계
4. 시호
1140년 4월(고려 인종 18년)에 '유정'(柔貞|유정한국어)이라는 시호가 추가되었다.[6][7] 1253년 10월(고려 고종 40년)에는 '관숙'(寬肅|관숙한국어)이 추가되었다.[6][7]
참조
[1]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04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04
[3]
서적
https://books.google[...]
Goldstar Publishing House
2016
[4]
서적
https://books.google[...]
Yeogang Publishing House
1991
[5]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04
[6]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04
[7]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5-04
[8]
문서
《고려사》 권10 〈세가〉 권10 - 선종 3년 7월 무인(戊寅) 기사
[9]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김인위〉항목
http://people.aks.ac[...]
2012-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