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김씨는 신라 왕족의 후예로, 65년에 김알지가 시림에서 발견된 것을 기원으로 한다. 신라 13대 왕인 미추 이사금이 김씨 성을 가진 최초의 왕이며, 경순왕까지 왕위를 계승했다. 고려 시대에는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고, 조선 시대에는 왕비를 배출하는 등 명문가의 지위를 유지했다. 현재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전국 각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15년 기준 약 188만 명의 인구를 가진 성씨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경주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문명 | 경주 김씨 |
국가 | 조선 |
영지 | 경주시 |
시조 | 김알지 |
중시조 | 김부 |
저명한 인물 | 경순왕 정안왕후 인원왕후 정순왕후 김부식 김정희 김홍집 |
년도 | 2015년 |
인구 | 1,888,121명 |
순위 | 4위 |
나라 | 한국 |
인물 |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Gyeongju Kim |
2. 역사
경주 김씨의 시조 김알지는 65년(탈해 이사금 9년) 금성 서쪽 시림에서 탄생했다. 탈해왕이 금성 서쪽 시림 숲속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신하 호공을 보냈는데, 숲속 소나무에 금궤가 걸려 있고 궤에서 빛이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고 한다. 왕이 직접 가서 금궤를 열어 보니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나왔고,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김이라 하고, 아이는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알지라 불렀다고 한다.[4]
김알지의 7대손인 미추 이사금이 김씨 최초로 왕위에 즉위하여 신라 13대 왕이 되었고, 이후 56대 경순왕까지 신라 왕조가 계속되었다. 경주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기원전 57년 6촌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국호를 서라벌·사로·사라라 하고, 수도를 '''금성'''이라 하였다. 65년(탈해 이사금 9년) 시림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으로 삼았다가, 307년(기림 이사금 10)에 국호를 신라로 하였다.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게 정권을 이양하자, 금성을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으로 주어 사심관으로 봉했다. 이때 금성이 경주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987년(성종 6) 동경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낙랑군이라 개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을 설치하였으며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항쟁으로 지경주사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충렬왕 10) 계림부로 개편하였다.
조선 후기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 후 맞아들인 고려 태조의 딸 낙랑공주 왕씨 소생의 후손이라 주장하는 김씨들이 경주를 본관으로 하여 분파하였다. 이들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수십 개의 지파로 나누어졌다.
2. 1. 기원
탈해 이사금 9년(65년) 금성 서쪽 시림(始林)에서 닭 우는 소리가 들려, 왕이 신하 호공을 보냈다. 숲 속 소나무에 금궤가 걸려 있고 빛이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왕이 직접 금궤를 여니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있었다.탈해왕은 아이를 금궤에서 얻었다 하여 성을 김씨로 하고,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이름을 알지라 하였다.[4]
《삼국사기》〈미추왕조〉 세보에 따르면, 알지는 세한을 낳고, 세한은 아도, 아도는 수류, 수류는 욱보, 욱보는 구도를 낳았으며, 구도는 미추를 낳았다. 김알지의 7대손 미추 이사금이 김씨 최초로 왕위에 올랐는데, 신라 13대 왕이다. 이후 56대 경순왕까지 신라 왕조가 이어졌다.
2. 2. 신라 시대
탈해 이사금 9년(65년)에 왕이 금성 서쪽 시림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듣고 신하 호공을 보내 살펴보게 하니, 숲속 소나무에 금궤가 걸려 있고 궤에서 빛이 나오며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왕이 직접 가서 금궤를 열어 보니 용모가 수려한 사내아이가 나왔다.탈해왕은 이 아이를 길렀는데 금궤에서 나왔다고 해서 성을 김이라 했으며, 성장하면서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 알지라 불렀다고 한다.[4]
《삼국사기》〈미추왕조〉 세보에 따르면 알지가 세한을 낳고, 세한이 아도, 아도가 수류, 수류가 욱보, 욱보가 구도를 낳고, 구도는 미추를 낳았다고 한다. 김알지의 7대손인 미추 이사금이 김씨 최초로 왕위에 올랐는데, 그가 신라 13대 왕이다. 이후 56대 경순왕까지 신라 왕조가 이어졌다.
2. 3. 고려 시대
경주 김씨는 고려 시대에 여러 파에서 많은 인물들을 배출했다.- 파조 '''김예겸'''(金禮謙)은 신라 왕의 후손으로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으로 내사령을 지냈다.[5] 손자 김의진은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양신이다. 6세손 김인경도 문과 급제 후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정숙이다.
- 파조 '''김봉모'''(金鳳毛)는 고려 신종 때 평장사를 지내고 정평의 시호를 받았다.[6] 아들 김태서는 문과 출신으로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문장공이다. 손자 김약선은 벼슬이 평장사이고, 시호가 장익공이며, 고려 원종의 비인 순경왕후의 아버지이다.
- 파조 '''김인관'''(金仁琯)은 헌강왕의 후예로 고려 예종 때 검교태자태사를 역임했다.[7] 5세손 김자수는 안동출신으로 고려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충청도 관찰사,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는데 조선 태종이 형조 판서를 제수하며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자진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 파조 '''김장유'''(金將有)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 말 판도판서를 역임했다.[8]
- 파조 '''김순웅'''(金順雄)은 원성왕의 후예로 고려 초 장군을 역임하였다.[9][10] 아들 김인위는 평장사 참지정사를 지내고, 손자 김원정은 평장사 문하시중을 역임했다.
- 파조 '''김균'''(金稛)은 고려 초 장군 '''김순웅'''(金順雄)의 아들 김원정의 10세손으로 조선 개국공신으로 계림군에 봉해지고 제숙의 시호를 받았다.
- 파조 '''김위영'''(金魏英)는 김알지의 후예로 고려 초 호장을 역임했다.[11] 증손자 김부일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태위였으며, 시호는 문간이었으며, 동생 김부식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중서령이었고, 낙랑후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열이다. 인종 묘실에 배향되었다. 동생 김부의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공이었으며, 시호는 문의이다.[12]
3. 본관
경주는 경상북도 남동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기원전 57년 6촌이 연합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고 국호를 서라벌·사로·사라라 하고, 수도를 '''금성'''이라 하였다. 65년(탈해왕 9) 시림에서 김씨의 시조 김알지가 탄생하여 국호를 계림으로 삼았다가, 307년(기림왕 10)에 국호를 신라로 하였다.
935년(태조 18)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고려 태조 왕건에 정권을 이양하자, 금성을 경주로 개칭하고 식읍으로 주어 사심관으로 봉했다. 이때 금성이 경주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987년(성종 6) 동경으로 개칭하고 1008년(목종 11) 낙랑군이라 개칭하다가 1030년(현종 21) 삼경의 제도가 실시되자 동경을 설치하였다. 1202년(신종 5) 경주 야별초의 항쟁으로 지경주사로 강등되었다가 1219년(고종 6) 동경으로 환원되었다. 1308년(충렬왕 10) 계림부로 개편하였다.
1413년(태종 13) 경주로 개칭하고, 1415년 병마절도사영을 두었다가 1417년 울산으로 이전하였다. 1637년(인조 15)에 속현인 자인현이 분리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대구부 경주군이 되었다가, 1955년 경주읍과 내동면 전역, 천북면과 내남면 일부가 통합되어 경주시로 승격되었다.
4. 분파
조선 후기에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후 고려 태조의 딸 낙랑공주 왕씨를 부인으로 맞아들여 낳은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경주를 본관으로 하여 분파하였다. 이들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수십 개의 지파로 나뉘었다. 주요 분파 및 파조는 다음과 같다.
- '''삼한벽상공신 내사령공파''' : 김예겸[5]
- '''평장사공파''' : 김봉모[6]
- '''태사공파''' : 김인관[7]
- '''판도판서공파''' : 김장유[8]
- '''장군공파''' : 김순웅[9][10], 김균
- '''호장공파''' : 김위영[11]
- '''기타 분파''' : 김여진[13], 김소[14], 김의[15], 김덕재[16], 김수구[17], 김중약[18]
각 분파별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 계림군(稛)파 판윤공·송애공 종파
○세손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행렬자[2] | 식(植) 경(經) | 학(學) 관(冠) 지(知) | 종(鍾) 탁(鐸) 기(基) 식(式) | 수(洙) 호(浩) 진(鎭) 영(榮) 시(是) | 동(東) 주(柱) 수(洙) 호(浩) 우(友) | 환(煥) 현(炫) 상(相) 위(渭) | 규(奎) 치(致) 환(煥) 훈(勳) 소(韶) | 진(鎭) 호(浩) 규(奎) 재(在) 영(迎) | 영(泳) 순(淳) 현(鉉) 후(厚) | 해(海) 근(根) 걸(杰) 태(泰) |
- 태사공(인관)후 상촌공(자수)파
○세손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
행렬자[2] | 재(載) 희(喜) 수(秀) | 상(商) 용(容) | 제(濟) 호(浩) 근(近) | 동(東) 원(元) 흠(欽) | 환(煥) 렬(烈) 기(冀) 홍(鴻) | 기(基) 주(周) 집(執) 식(植) | 호(鎬) 종(鍾) | 연(淵) 택(澤) 녕(寧) | 직(稷) 의(義) | 병(丙) 범(範) |
- 판도판서공(서건)파
- 판도판서공(장유)파
○세손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행렬자[2] | 태(泰) 정(鼎) | 수(秀) | 희(熙) | 기(基) 재(在) 교(敎) | 구(九) 현(鉉) 호(鎬) | 홍(洪) 영(永) 한(漢) | 식(植) 모(模) 환(桓) | 응(應) 병(炳) | 규(圭) | 진(鎭) |
- 수은공(충한)파후 쌍향당(구)파
○세손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
행렬자[2] | 렬(烈) 걸(杰) | 종(種) 만(萬) 중(重) 규(奎) 효(孝) | 섭(燮) 흠(欽) 수(秀) 욱(旭) 구(九) | 영(泳) 홍(洪) 회(會) 병(柄) 남(南) | 상(相) 수(秀) 영(永) 행(行) 우(宇) | 병(柄) 훈(勳) 성(成) 재(宰) 무(茂) | 중(重) 곤(坤) 필(弼) 기(起) | 강(康) 용(庸) | 재(宰) 익(翊) 달(達) | 정(廷) 헌(憲) 임(任) |
- 두계공(충유)파
- 월성부원군(천서)파
- 충선공(요)파
- 병조판서공(덕재)파
○세손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행렬자[2] | 철(喆) 기(基) 재(在) 규(圭) 혁(赫) | 종(鍾) 진(鎭) 석(錫) 련(鍊) | 영(永) 태(泰) 구(求) | 식(植) 근(根) 림(林) | 환(煥) 병(炳) 형(炯) 찬(燦) | 주(周) 배(培) 균(均) 준(埈) | 호(鎬) 종(鍾) 용(鎔) 현(鉉) | 수(洙) 숙(淑) 원(源) 연(淵) | 모(模) 상(相) 격(格) 계(桂) | 렬(烈) 희(熹) 훈(熏) |
- 익화군(인찬)파·백촌공(문기)파
○세손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행렬자[2] | 기(基) 재(在) 규(圭) 진(鎭) | 종(鍾) 석(錫) 현(鉉) 호(浩) | 영(泳) 락(洛) 연(演) 동(東) | 근(根) 모(模) 주(柱) 렬(烈) 병(炳) | 형(炯) 경(炅) 훈(勳) 재(載) | 훈(塤) 은(垠) 지(志) 현(鉉) | 용(鎔) 정(鉦) 은(銀) 영(永) 락(洛) | 구(求) 하(河) 한(漢) 근(根) | 상(相) 격(格) 계(桂) 용(容) | 균(均) |
- 장군공(순웅)후 봉익대부(남기)공파
○세손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행렬자[2] | 동(東) 병(柄) | 렬(烈) 걸(杰) | 규(奎) 효(孝) | 현(鉉) 흠(欽) | 영(泳) 홍(洪) | 식(植) 수(秀) | 병(炳) 훈(勳) | 중(重) 곤(坤) | 종(鍾) 건(鍵) | 락(洛) 태(泰) |
4. 1. 삼한벽상공신 내사령공파
파조 '''김예겸'''(金禮謙)은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로서 내사령을 지냈다.[5] 손자 김의진은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양신이다. 6세손 김인경도 문과에 급제한 후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정숙이다.'''인물'''
4. 2. 평장사공파
고려 신종 때 평장사를 지내고 정평의 시호를 받은 김봉모(金鳳毛)의 아들 김태서는 문과 출신으로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문장공이다.[6] 김태서는 전주 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김봉모의 손자 김약선은 벼슬이 평장사이고 시호가 장익공이며, 고려 원종의 비인 순경왕후의 아버지이다.인물
4. 3. 태사공파
- 파조 '''김예겸'''(金禮謙)은 신라 왕의 후손으로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으로 내사령을 지냈다.[5] 손자 김의진은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양신이다. 6세손 김인경도 문과 급제 후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정숙이다.
'''인물'''
- 파조 '''김봉모'''(金鳳毛)는 고려 신종 때 평장사를 지내고 정평의 시호를 받았다.[6] 아들 김태서는 문과 출신으로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문장공이다. 손자 김약선은 벼슬이 평장사이고, 시호가 장익공이며, 고려 원종의 비인 순경왕후의 아버지이다.
'''인물'''
- 파조 '''김인관'''(金仁琯)은 헌강왕의 후예로 고려 예종 때 검교태자태사를 역임했다.[7] 5세손 김자수는 안동 출신으로 고려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충청도 관찰사,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는데 조선 태종이 형조 판서를 제배하며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자진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호가 상촌이다. 안동 타양서원, 영동 초강서원, 음성 지천서원 등 여러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자수의 현손 김세필은 문과 급제 후 이조 참판이었으며 호당에 뽑혔다. 기묘년에 사화를 입어 관직을 종용하고, 음성에 은거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다. 시호가 문간이며, 지천서원에 배향되었다.
'''인물'''
4. 4. 판도판서공파
파조 '''김장유'''(金將有)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 말 판도판서를 역임했다.[8] 6세손 김정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에 선정되고, 순창군수,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기묘사화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시호는 문간이며, 충북 보은 상현서원에 배향되었다. 1685년(숙종 11) 경에 제작한 희귀한 목판본이 남아 있다. 이 목판은 2009년 12월 4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4. 5. 장군공파
- 파조 '''김순웅'''(金順雄)은 원성왕의 후예로 고려 초 장군을 역임하였다.[9][10] 아들 김인위는 평장사 참지정사를 지냈고, 손자 김원정은 평장사 문하시중을 역임했다.
- 파조 '''김균'''(金稛)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계림군에 봉해졌고 제숙의 시호를 받았다. 김균은 고려 초 장군 '''김순웅'''(金順雄)의 아들 김원정의 10세손이다.
4. 6. 경주 김씨 계림군파
파조 '''김균'''(金稛)은 조선 개국공신으로 계림군에 봉해지고 제숙의 시호를 받았다. 고려 초 장군 '''김순웅'''(金順雄)의 아들 김원정의 10세손이다.[1]인물: 김맹성, 김중성, 김계성, 김안민, 김신민, 김인민, 김승경, 김태경, 김원중, 김민도, 김재휘, 김원립, 김신민, 김종순, 김천령, 김명원, 김남중, 김당, 김경여, 김주신, 김사목, 김정집, 김홍집, 김창희, 원순숙비, 용절덕비, 인목왕후, 인원왕후[1]
4. 7. 호장공파
고려 초 호장을 역임한 '''김위영'''(金魏英)은 김알지의 후예로 경주 김씨 호장공파의 파조이다.[11] 김위영의 증손자 김부일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태위에 이르렀으며, 시호는 문간이었다. 김부일의 동생 김부식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중서령이었고, 낙랑후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열이다. 인종 묘실에 배향되었다. 김부일, 김부식 형제의 동생 김부의(초명 김부철)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사공이었으며, 시호는 문의이다.[12]주요 인물
4. 8. 기타 분파
- 파조 '''김예겸'''(金禮謙)은 신라 왕의 후손으로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으로 내사령을 지냈다.[5] 손자 김의진은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양신이다. 6세손 김인경도 문과 급제 후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정숙이다.
- 파조 '''김봉모'''(金鳳毛)는 고려 신종 때 평장사를 지내고 정평의 시호를 받았다.[6] 아들 김태서(전주 김씨 분적)는 문과 출신으로 평장사였으며 시호가 문장공이다. 손자 김약선은 벼슬이 평장사이고, 시호가 장익공이며, 고려 원종의 비인 순경왕후의 아버지이다.
- 파조 '''김인관'''(金仁琯)은 헌강왕의 후예로 고려 예종 때 검교태자태사를 역임했다.[7] 5세손 김자수는 안동 출신으로 고려조에 문과에 급제하고 충청도 관찰사,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에 은거하였는데 조선 태종이 형조 판서를 제배하며 출사를 종용하였으나 자진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호가 상촌이다. 안동 타양서원, 영동 초강서원, 음성 지천서원 등 여러 서원에 배향되었다. 김자수의 현손 김세필은 문과 급제 후 이조 참판이었으며 호당에 뽑혔다. 기묘년에 사화를 입어 관직을 종용하고, 음성에 은거하여 후학을 양성하였다. 시호가 문간이며, 지천서원에 배향되었다.
- 파조 '''김장유'''(金將有)는 경순왕의 후예로 고려 말 판도판서를 역임했다.[8] 6세손 김정은 조선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에 선정되고, 순창군수,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기묘사화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시호는 문간이며, 충북 보은 상현서원에 배향되었다. 1685년(숙종 11) 경에 제작한 희귀한 목판본이 남아 있다.
- 파조 '''김여진'''(金麗珍)은 경순왕의 후예로 조선조 상서를 역임했다.[13]
- 파조 '''김소'''(金邵)는 경순왕의 후예로 조선조 목사를 역임했다.[14]
- 파조 '''김의'''(金義)는 고려 말 판서를 역임했다.[15]
- 파조 '''김덕재'''(金德載)는 경순왕의 후예로 조선조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16]
- 파조 '''김수구'''(金壽龜)는 상의원 직장을 역임했다.[17]
- 파조 '''김중약'''(金仲約)은 조선 조 상호군을 역임했다.[18]
5. 지파
경주 김씨의 분파는 크게 파조를 기준으로 나뉜다.
- '''경순왕의 후손'''
파조 | 주요 인물 및 사건 | 비고 |
---|---|---|
김예겸(金禮謙) | 김인경 등, 고려 초 삼한벽상공신, 내사령 역임.[5] | |
김봉모(金鳳毛) | 김태서, 김약선, 김경손 등, 고려 신종 때 평장사 역임, 정평 시호.[6] | 전주 김씨 분적 |
김장유(金將有) | 김정 등, 고려 말 판도판서 역임.[8] | 기묘사화 관련 |
김균(金稛) | 조선 개국공신, 계림군, 제숙 시호 | 김순웅(金順雄)의 아들 김원정의 10세손 |
- '''헌강왕의 후손'''
- '''원성왕의 후손'''
- '''김알지의 후손'''
경주 김씨는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이 분파된다.[19][20]
- 벽상공신내사령공파: 두계공파(杜溪公派), 수은공파(樹隱公派), 시어사공파(侍御使公派), 참찬공파(參贊公派), 밀직공파(密直公派), 병판공파(兵判公派), 판삼사사공파(判三司事公派), 월성부원군파(月城府院君派), 강릉공파(江陵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현감공파(縣監公派)
- 평장사공파: 병판공파(兵判公派), 백촌공파(白村公派), 익화군파(益和君派), 충선공파(忠宣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 태사공파(太師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상촌공파(桑村公派), 우재공파(愚齋公派), 송재공파(松齋公派), 도사공파(都事公派), 감사공파(監司公派), 판관공파(判官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사승공파(司丞公派), 공평공파(恭平公派), 남곡공파(南谷公派)
- 판도판서공파: 판군기감사공파(判軍器監事公派), 감사공파(監司公派), 직장공파(直長公派), 공조판서공파(工曹判書公派), 이조판서공파(吏曹判書公派)
- 호장공파: 태사공파(太射公派), 중서령공파(中書令公派), 사공공파(司空公派)
6. 집성촌
지역 | 마을 |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송동면 두신리 두곡마을 |
경기도 평택시 | 현덕면 운정리 구억촌 |
경기도 광주시 | 도척면 도웅리, 남한산성면 오전리 |
경기도 포천시 | 신북면 금동리 |
경기도 양평군 | 양평읍 창대리 |
경기도 이천시 | 신둔면 용면리, 마장면 작촌리 |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 | 서화면 일원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 현북면 하광정리 |
충청북도 보은군 | 보은읍 종곡리 |
충청북도 영동군 | 심천면 각계리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 남이면 외천리 |
충청남도 보령시 | 웅천면 죽청리 |
세종특별자치시 | 금남면 대박리 |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나포면 장상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송동면 장포리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 무장면 옥산리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 팔덕면 청계리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 삼계면 |
전라남도 강진군 | 강진읍 평동 |
전라남도 고흥군 | 도양읍 봉암리 |
전라남도 곡성군 | 석곡면 염곡리 |
전라남도 담양군 | 무정면 서흥리, 용면 추성리 |
전라남도 보성군 | 조성면 용전리 |
전라남도 순천시 | 승주읍 신성리 |
전라남도 장흥군 | 장흥읍 덕재리 |
경상북도 문경시 | 가은면 왕릉리 |
경상북도 의성군 | 금성면 구련리 |
경상북도 영덕군 | 지품면 눌곡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 기계면 봉계리 |
경상북도 영천시 | 자양면 노항리 |
경상북도 고령군 | 다산면 벌지리 |
경상남도 진주시 | 명석면 남성리 남성마을 |
경상남도 남해군 | 이동면 초음리 |
경상남도 함안군 | 대산면 구혜리 |
평안북도 운산군 | 위연면 답상하동 |
평안북도 영변군 | 봉산면 귀산동 |
함경남도 정평군 | 신상면 복흥동 |
2015년 통계에 따르면, 경주 김씨 집성촌이 있는 지역별 인구수 및 비율은 다음과 같다.[3]
지역 | 인구 | 비율(%) |
---|---|---|
경기도광주시 | 12,376명 | 4.44% |
경기도포천시 | 4,971명 | 3.61% |
경기도양평군 | 4,430명 | 4.73% |
강원특별자치도인제군 | 1,390명 | 4.82% |
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 | 1,885명 | 7.84% |
충청북도보은군 | 3,057명 | 10.07% |
충청북도영동군 | 2,145명 | 4.62% |
충청북도청주시서원구 | 13,982명 | 6.77% |
충청남도보령시 | 5,884명 | 6.3% |
세종특별자치시 | 9,337명 | 4.99% |
전라남도곡성군 | 1,207명 | 4.52% |
전라남도보성군 | 825명 | 2.22% |
전라북도고창군 | 1,104명 | 2.18% |
전라북도순창군 | 750명 | 3.13% |
경상북도포항시북구 | 10,609명 | 4.22% |
경상북도문경시 | 3,262명 | 4.9% |
경상북도영천시 | 4,273명 | 4.8% |
경상남도남해군 | 1,602명 | 3.9% |
경상남도함안군 | 1,446명 | 2.37% |
특히, 충청북도 보은군은 경주 김씨가 총 인구의 10.07%를 차지하여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는 지역이다.[3][2]
7. 항렬자
경주 김씨 각 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 항렬자는 같은 혈족의 세수를 나타내기 위해 이름에 공통적으로 넣는 글자이다.[2]
- 영분공파, 대안군파 (파조로 1세)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
호(鎬)·전(銓) | 口수(洙)·口영(永) | 동(東)·병(柄) | 口렬(烈)·口걸(杰) | 규(奎)·효(孝) | 口현(鉉)·口흠(欽) | 홍(洪)·영(泳) | 口식(植)·口수(秀) | 훈(勳)·병(炳) | 口중(重)·口곤(坤) | 종(鍾)·건(鍵) | 口락(洛)·口태(泰) | 주(株)·권(權) | 口혁(赫)·口엽(燁) | 재(在)·교(敎) | 口옥(鈺)·口석(錫) | 철(澈)·하(河) | 口근(根)·口영(榮) | 희(熙)·경(炅) | 口기(基)·口채(埰) | 용(鎔)·진(鎭) | 口준(浚)·口호(浩) | 상(相)·동(東) | 口환(煥)·口섭(燮) | 성(聲)·재(載) | 口수(銖)·口탁(鐸) | 해(海)·제(濟) | 口집(集)·口표(杓) | 현(炫)·형(炯) | 口희(禧)·口철(喆) |
- 태사공파 상촌공파 (파조로 1세)
13세 21세 | 14세 22세 | 15세 23세 | 16세 24세 | 17세 25세 | 18세 26세 | 19세 27세 | 20세 28세 | 21세 29세 | 22세 30세 | 23세 31세 | 24세 32세 | 25세 33세 | 26세 34세 | 27세 35세 | 28세 36세 | 29세 37세 | 30세 38세 | 31세 39세 | 32세 40세 | 33세 41세 |
---|---|---|---|---|---|---|---|---|---|---|---|---|---|---|---|---|---|---|---|---|
한(漢) | 口주(柱) | 노(魯) | 口재(載)·口희(喜)·수(秀) | 상(商)·용(容) | 口제(濟)·口호(浩)·교(敎) | 동(東)·口원(元)·口호(鎬) | 口환(煥)·口열(烈)·口익(翼)·홍(鴻) | 기(基)·주(周)·口집(執)·口식(植) | 口호(鎬)·口종(鍾)·병(炳) | 연(淵)·택(澤)·口규(圭) | 口직(稙)·口목(穆) | 병(丙)·창(昌)·口준(浚) | 口규(奎)·춘(椿) | 선(善)·진(鎭) | 口구(求)·口세(世) | 인(寅)·영(營) | 口하(夏)·口연(然) | 정(廷)·준(埈) | 口석(錫)·口현(鉉) | 용(溶)·태(泰) |
- 평장사공파 예의판서공파 (파조로 1세)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
口선(善)·상(相) | 口병(炳)·口노(魯)·口섭(燮) | 규(奎)·규(圭)·헌(憲) | 口진(晉)·口조(釣)·口진(鎭) | 영(泳)·낙(洛)·철(澈) | 口락(樂)·口동(東)·口식(植) | 희(熙)·병(炳)·환(煥) | 口채(埰)·口주(周)·口기(基) | 석(錫)·현(鉉) | 口준(準)·口식(湜)·口한(漢) | 주(柱)·모(模) | 口훈(勳)·口찬(燦) | 철(喆)·재(在) | 口종(鍾)·口용(鎔) | 하(河)·제(濟) | 口근(根)·口림(林) | 돈(焞)·형(炯) | 식(埴)·준(埈) | 정(鉦)·호(鎬) |
- 장군공파 계림군파 (파조로 1세)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口집(集) | 口희(熙)·口원(遠) | 교(敎)·口상(商) | 정(正) | 口식(植)·口경(經) | 학(學)·지(知) | 口기(基)·口식(式) | 진(鎭)·시(是) | 口수(洙)·口우(友) | 상(相)·주(胄) | 口환(煥) | 규(奎) | 口현(鉉) | 해(海) | 口표(杓) | 병(炳) | 口배(培) | 석(錫) | 口한(漢) | 주(柱) | 口변(變)·口섭(燮) | 길(吉) | 口옥(鈺) | 윤(潤) |
- 판도판서공파 (파조로 1세)
16세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
상(商) | 口태(泰)·口정(鼎) | 수(秀) | 口희(熙) | 기(基)·재(在) | 口구(九)·口호(鎬)·口현(鉉) | 홍(洪)·영(永)·한(漢) | 口식(植)·口환(桓)·口모(模) | 응(應)·병(炳) | 口규(圭) | 진(鎭) | 口호(浩) | 동(東) | 口렬(烈) | 재(載) | 口석(錫) | 낙(洛) | 口근(根) | 용(容) | 口균(均) | 종(鍾) | 口한(漢) | 영(榮) | 口환(煥) |
- 계림군(稛)파 판윤공·송애공 종파
- 태사공(인관)후 상촌공(자수)파
○세손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
행렬자[2] | 재(載)·희(喜)·수(秀) | 상(商)·용(容) | 제(濟)·호(浩)·근(近) | 동(東)·원(元)·흠(欽) | 환(煥)·렬(烈)·기(冀)·홍(鴻) | 기(基)·주(周)·집(執)·식(植) | 호(鎬)·종(鍾) | 연(淵)·택(澤)·녕(寧) | 직(稷)·의(義) | 병(丙)·범(範) |
- 판도판서공(서건)파
- 판도판서공(장유)파
○세손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행렬자[2] | 태(泰)·정(鼎) | 수(秀) | 희(熙) | 기(基)·재(在)·교(敎) | 구(九)·현(鉉)·호(鎬) | 홍(洪)·영(永)·한(漢) | 식(植)·모(模)·환(桓) | 응(應)·병(炳) | 규(圭) | 진(鎭) |
- 수은공(충한)파후 쌍향당(구)파
- 두계공(충유)파
- 월성부원군(천서)파
- 충선공(요)파
- 병조판서공(덕재)파
- 익화군(인찬)파·백촌공(문기)파
- 장군공(순웅)후 봉익대부(남기)공파
○세손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행렬자[2] | 동(東)·병(柄) | 렬(烈)·걸(杰) | 규(奎)·효(孝) | 현(鉉)·흠(欽) | 영(泳)·홍(洪) | 식(植)·수(秀) | 병(炳)·훈(勳) | 중(重)·곤(坤) | 종(鍾)·건(鍵) | 락(洛)·태(泰) |
8. 왕실과의 인척 관계
경주 김씨는 고려와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고려 시대에는 신성왕후, 헌숙왕후, 원순숙비, 경성왕후, 용절덕비, 인목덕비, 선희왕후, 순경태후 등 여러 왕비를 배출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정안왕후, 인원왕후, 정순왕후 등의 왕비를 배출하였고, 익녕군, 근녕군, 덕원군, 숙신옹주, 화순옹주 등의 부마를 배출하였다.
8. 1. 고려
8. 2. 조선
9. 인구
1985년에는 361,189가구 1,523,469명이었다.[3] 2000년에는 542,018가구 1,736,798명이었다.[3] 2015년에는 경주 김씨 1,800,853명과 월성 김씨 87,268명을 합쳐 1,888,121명이었다.[3]
2015년 기준 집성촌과 지역별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3][2]
지역 | 인구 (명) | 비율 (%) |
---|---|---|
경기도광주시 | 12,376 | 4.44 |
경기도포천시 | 4,971 | 3.61 |
경기도양평군 | 4,430 | 4.73 |
강원특별자치도인제군 | 1,390 | 4.82 |
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 | 1,885 | 7.84 |
충청북도보은군 | 3,057 | 10.07 |
충청북도영동군 | 2,145 | 4.62 |
충청북도청주시서원구 | 13,982 | 6.77 |
충청남도보령군 | 5,884 | 6.3 |
세종특별자치시 | 9,337 | 4.99 |
전라남도곡성군 | 1,207 | 4.52 |
전라남도보성군 | 825 | 2.22 |
전라북도고창군 | 1,104 | 2.18 |
전라북도순창군 | 750 | 3.13 |
경상북도포항시북구 | 10,609 | 4.22 |
경상북도문경시 | 3,262 | 4.9 |
경상북도영천시 | 4,273 | 4.8 |
경상남도남해군 | 1,602 | 3.9 |
경상남도함안군 | 1,446 | 2.37 |
평안북도운산군 | 자료 없음 | |
평안북도영변군 | 자료 없음 | |
함경남도정평군 | 자료 없음 |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2]
웹사이트
김씨(金氏) 본관(本貫) 경주(慶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3]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4]
문서
김알지의 '알지'는 알타이어로 '금'이란 뜻으로 '김씨'의 한자 의미 그대로 금을 의미한다. 같은 의미의 단어를 두 번 연속해서 쓰는 경우는 현대 한국어 용례에도 종종 남아 있으며 '역전앞'과 같은 것이 그 사례이다.
[5]
문서
『고려묘지명집성』에 후손 김자류는 신라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제3자로 추정되는 인물인 영분공 김명종이 파조이라 한다. 김예겸은 김명종의 6세손(영분공-임흥공-김억종-김계옹-아개공-김예겸)이라 한다.
[6]
문서
《고려사》에는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조선조 말 우연히 발견된 《김은열 묘지석》 이후 경순왕의 제4자로 추정되는 인물인 김은열이 파조이며, 김봉모는 그의 후손이라 한다.
[7]
문서
《고려사》에는 헌강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조선씨족통보》에는 경순왕의 후예 혹은 헌강왕의 7세손이라 한다.
[8]
문서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9]
문서
「김지우 묘지명」에 신라 원성왕의 후예라 한다. 《증보문헌비고》에는 경순왕의 후예 또는 대안군 김은열의 후손이라 한다.
[10]
문서
일부 '''대장군공파'''라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데 이는 거짓이다.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파조 '''김균'''의 셋째 아들인 김계성의 유일한 아들인 김종순을 부인하고, 여러 동생들을 붙여 '''대장군공파'''라 주장한다. 이는 족보 조작꾼들이 만들어낸 다 가짜이다. 김순웅 장군은 계림군파의 먼 조상으로 대장군도 아니다. 따라서 장군공파 또는 대장군파도 역시 조작꾼들이 꾸며낸 허구일뿐 실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11]
문서
《고려사》 김부일 열전에 그는 경주사람으로 그 선조는 신라의 종성인 김알지의 후예라 한다. 고려 태조가 처음 경주를 설치할 때 김위영을 주장으로 삼았으니 곧 김부일의 증조이다.
[12]
문서
아버지 김근은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국자감 좨주 좌간의대부였다.
[13]
문서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경주 김씨 계림군파 갑자보에 의하면 조선 개국공신 김균의 9세손 김여진이 지금의 경북 상주군 공검면에 세거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14]
문서
《증보문헌비고》에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공민왕 7년에 광록대부 형부상서를 역임한 문간공 청주 이씨 이정의 신도비문을 태종 3년(1403) 권근이 찬하였는데, 맏아들 형부낭중 유신의 둘째 사위가 대호군 김소라는 기록이 보인다. 세종 7년(1425) 술잔치를 벌인 도총제 이순몽의 죄를 적용할 율을 올리면서 전 목사 김소의 이름이 보인다.
[15]
문서
《고려사》에 고려에 귀화한 호인으로 본명은 김야열가(金也列哥)이다. 고려 말 공민왕 때 밀직부사 동지사사등을 역임했다
[16]
문서
경순왕의 후예라 한다. 일설에 김은열의 12세손이라 한다. 조선 개국 보좌공신에 책록되고 병조판서를 역임한 후 함경도 정평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17]
문서
안강 김씨로 분적하였다.
[18]
문서
정종 (조선)의 아들 선성군 이무생의 빙부이다.
[19]
문서
김인경은 파조 김예겸의 6세손이며, 평장사 양신공 김의진의 4세손이다. 고려 명종때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중서시랑평장사 시호는 정숙공이다.
[20]
문서
파조 김의는 김세필의 증손으로 익산군수를 역임하고, 충북 음성군 지천서원에 배향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