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종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종은 고려의 제23대 왕으로, 강종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무신정권 시기에 즉위하여 실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고, 몽골의 침략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쟁했다. 몽골과의 오랜 전쟁 끝에 1259년 몽골에 복속되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그의 재위 기간 동안 팔만대장경 조각이 이루어졌고, 묘호는 고종, 시호는 안효대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9년 사망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 1259년 사망 - 우쓰노미야 요리쓰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유모 양자이자 오슈 전투 공훈자인 우쓰노미야 요리쓰나는 호조씨 득세에 협력했지만 모반 혐의로 출가하여 렌쇼라 칭하며 후지와라노 사다이에와 교류하고 우쓰노미야 가단을 발전시킨 가인이다.
  • 고려 고종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은 13세기 고려 시대에 몽골 침입을 불력으로 막고자 제작된 대장경 판목으로, 팔만대장경이라고도 불리며 대한민국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어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고, 방대한 분량과 보존 상태로 동아시아 불교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고려 고종 - 강화 홍릉
    강화 홍릉은 고려 23대 왕인 고종의 능으로, 고종 사후 강화도에 조성되었으며, 현재 인물 형상 조각과 무덤만 남아 사적 제224호로 문화재청에서 관리 중인 대한민국 내 몇 안 되는 고려 왕릉 중 하나이다.
  • 1192년 출생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 1192년 출생 - 툴루이 칸
    툴루이 칸은 칭기즈 칸의 넷째 아들로, 몽골 제국 건국에 참여하여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나, 섭정으로 제국을 통치하고 금나라 정벌에 활약하다가 여러 설 속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들이 몽골 제국 발전에 기여했다.
고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제국 국새
어보
칭호국왕
재위 기간1213년 ~ 1259년
즉위1213년, 개경 강안전
폐위없음
왕철(王皞), 왕진(王日+眞), 왕질(王晊)
묘호고종(高宗)
시호안효대왕(安孝大王) (고려)
시호 (원)충헌왕(忠憲王)
능묘홍릉(洪陵)
아버지강종
어머니원덕왕후
왕후안혜왕후
자녀원종, 안경공, 수흥궁주, 딸
생애
출생1192년
사망1259년
출생지개경 별궁
사망지강화도 유경의 집
가계
강종 왕오(王祦)
원덕왕후 유씨(元德王后 柳氏)
왕비안혜왕후 유씨(安恵王后 柳氏)
후궁미상
자녀2남 2녀
아들원종 왕전(王巃), 안경공 왕창(安慶公 王淐)
수흥궁주(壽興宮主), 미상
기타
이름왕질(王晊), 왕오(王皞)
존호안효대왕(安孝大王)
종교불교

2. 생애

고종은 1213년부터 1259년까지 45년 10개월간 재위하여 역대 고려 국왕 중 가장 오랜 기간 왕위에 있었다. 그러나 재위 기간 대부분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로 이어지는 4대 62년간의 최씨정권 시기였기 때문에 실권을 제대로 행사하지는 못했다.[1]

치세 동안 최광수의 난, 이연년 형제의 난 등 내부 반란이 끊이지 않았고, 외부적으로는 1216년 거란의 침입을 격퇴하기도 했으나, 1231년부터 시작된 몽골 제국의 대대적인 침략으로 인해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1232년에는 최우 정권의 주도로 수도를 개경에서 강화도로 옮기고 몽골에 대한 항전을 이어갔다.[2] 이후 수십 년간 이어진 몽골과의 전쟁으로 전국토가 황폐화되고 수많은 백성들이 고통받았다.

1251년에는 국난 극복을 염원하며 팔만대장경 조판 사업을 완성하였다.

1258년 유경, 김준 등이 최의를 제거하는 무오정변을 일으켜 최씨 정권이 붕괴되었고,[3] 이듬해인 1259년 고려는 결국 몽골과 강화를 맺고 태자(원종)를 인질로 보냈다. 고종은 강화가 성립된 직후인 1259년 7월 강화도에서 승하하였다.[2] 능은 홍릉(洪陵)으로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다. 왕비는 희종의 딸인 안혜왕후이다.

2. 1. 탄생과 가계

1192년(명종 22년), 당시 국왕이었던 명종의 태자 왕숙(강종)과 태자비 유씨(원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종의 외할아버지는 예종의 외손자인 신안후 왕성이며, 외할머니는 인종의 셋째 딸인 창락궁주이다. 고종의 할아버지인 명종과 외할머니인 창락궁주는 남매 사이이기도 하다.

1197년(명종 27년), 할아버지 명종이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자 아버지 강종 역시 태자 자리에서 쫓겨나 강화로 유배되었다. 이로 인해 고종도 궁궐에서 나와야 했다. 이후 희종이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하고 폐위되자, 최충헌에 의해 아버지 강종이 왕위에 올랐다.

'''고종의 가계'''

구분관계이름비고
조부모조부명종제19대 국왕
조모의정왕후 김씨
외조부모외조부신안후 왕성예종의 외손자
외조모창락궁주인종의 딸, 명종의 누이 (? ~ 1216년)
부모아버지강종제22대 국왕 (1152년 ~ 1213년)
어머니원덕왕후 유씨(? ~ 1239년)
배우자 및 자녀배우자안혜왕후 유씨(? ~ 1233년), 사촌
장남원종제24대 국왕 (1219년 ~ 1274년)
차남영종(1223년 ~ ?)
장녀수흥궁주


2. 2. 즉위

1212년 아버지 강종이 즉위하자 개경으로 돌아와 태자로 책봉되었다. 이듬해인 1213년 8월, 강종이 승하하자 연경궁(延慶宮) 강안전(康安殿)에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당시 고려최충헌을 필두로 한 무신정권 시기였기 때문에, 강종을 왕위에 앉혔던 최충헌이 실권을 장악하고 있어 고종은 왕으로서의 권력을 제대로 행사하기 어려웠다.[1]

1216년에는 거란족이 고려를 침략하였으나 격퇴하였다. 1218년에는 희종의 딸인 승복궁주(承福宮主)를 왕비(안혜왕후)로 맞이하였다. 이처럼 고종의 치세 초기는 강력한 무신정권의 그늘 아래 왕권이 제약되고 외부의 침입에 대응해야 하는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시작되었다.

2. 3. 최씨 정권의 통치

(1149 - 1219)최우
(1166 - 1249)최항
(1209 - 1257)최의
(1233 - 1258)통치 기간1213년 - 1219년1219년 - 1249년1249년 - 1257년1257년 - 1258년통치 기구교정도감교정도감 · 정방 · 서방사병 조직도방삼별초



1249년 최우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최항이, 1257년 최항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최의가 차례로 정권을 승계했다. 그러나 최씨 정권의 통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1258년 유경, 김준 등이 최의를 살해하는 무오정변을 일으켜, 62년간 이어진 최씨 정권은 막을 내렸다.[3]

3. 몽골의 침략과 여몽 전쟁

고종의 재위 기간은 최씨정권의 집권기와 맞물려 몽골 제국의 대대적인 침략이 시작된 시기였다. 1218년 강동성 전투 이후 고려와 접촉한 몽골은 1225년 사신 피살 사건을 빌미로 1231년부터 본격적인 침공을 시작했다.

몽골의 위협이 커지자 1232년 최우 정권은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항전을 선택했으나, 이는 약 30년간 이어질 여몽전쟁의 시작이었다. 수차례에 걸친 몽골의 침략으로 전국토는 황폐화되었고, 초조대장경, 황룡사와 9층 목탑 등 귀중한 문화유산이 소실되었으며[6] 막대한 인명 피해[16]가 발생했다.

이러한 국난 속에서도 고려는 1251년 팔만대장경을 완성하며 항전 의지를 다졌으나, 계속되는 전쟁과 1258년 최씨정권의 붕괴(무오정변)로 결국 1259년 몽골에 복속하고 태자(원종)를 인질로 보냈다. 고종은 고려 역대 국왕 중 가장 긴 45년 10개월 동안 재위했지만[2], 재위 기간 대부분은 몽골과의 전쟁으로 점철되었다.

3. 1. 강동성 전투

1218년(고종 6년) 12월, 몽골군에 쫓기던 거란 세력이 고려 국경을 넘어 강동성(江東城)에 들어가 농성하였다. 몽골군은 거란 세력을 소탕하기 위해 고려 영토로 진입하면서 처음으로 고려와 접촉하게 되었다.[7] 몽골은 고려에 군사와 군량 지원을 요청하고, 양국 간 외교 관계 수립을 요구했다.

1219년(고종 7년), 고려몽골, 동진(東眞)의 연합군은 강동성에서 거란군을 함께 격퇴하였다. 전투 후 몽골 사신 합진(哈眞)이 고려에 화친을 제안하자, 고종은 문무관료들에게 성대한 의식을 갖추도록 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몽골은 고려에 대해 불손한 태도를 보이고 과도한 공물을 요구하면서 양국 관계는 점차 악화되었다.

3. 1. 1. 저고여 피살 사건

1225년(고종 13년), 몽고 사신 저고여가 고려에 왔다가 돌아가는 길에 압록강 근처에서 정체불명의 세력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8] 이후 몽고는 이 사건의 책임을 고려 정부에 돌리며 이를 구실 삼아 다시 침입하였다. 결국 고려는 몽고와 강화 조약을 맺게 되었고, 이 조약에 따라 몽고는 고려 각지에 행정 감독관인 다루가치 72명을 파견하고 일부 군대를 주둔시켰다.

3. 2. 제1차 여몽전쟁

1231년 (고종 18년) 8월, 몽골은 과거 고려에 왔던 몽골 사신 저고여가 돌아가던 길에 피살된 사건을 문제 삼아 고려 침공을 시작했다.[9][10] 몽골 제국오고타이 칸살리타이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고려를 공격하게 했다.

살리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은 압록강을 건너 함신진(咸新鎭)을 포위하고 철주(鐵州)와 의주(義州) 등 국경 지역을 유린했다. 이후 귀주성(龜州城)을 공격했으나, 박서와 김경손 등이 이끄는 고려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큰 피해를 입고 고전했다.[9][10] 몽골군은 서경(西京, 현재의 평양) 공격에도 실패했다. 이때 홍복원과 같은 일부 고려인들은 몽골군에 항복하기도 했다.

귀주성 전투가 길어지자 살리타이는 일부 병력만 남겨 포위를 유지하고 주력 부대를 이끌고 남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몽골군은 선주(宣州)와 곽주(郭州)를 함락시키고 례성강 일대를 비롯해 지나가는 곳곳에서 닥치는 대로 살육과 약탈을 저질렀다.[11] 1231년 11월 29일, 마침내 몽골군은 수도인 개경 외곽에 도착하여 흥왕사를 공격하고 개경을 포위했다. 나아가 광주(廣州), 충주, 청주 등 남쪽 지역까지 내려가 약탈을 자행했다.[12]

수도가 포위되고 전국 각지에서 피해가 속출하자, 고려 조정은 1231년 11월 말 항복을 결정했다. 왕실 종친인 회안공 왕정(王侹)을 보내 강화를 요청하고, 몽골 사신과 군대를 위해 잔치를 베풀었으며 살리타이에게 막대한 양의 공물을 바쳤다. 1231년 12월 1일, 고려는 몽골과 강화를 맺고 남송과 금나라를 함께 공격할 것을 약속했다. 몽골은 고려 전국에 72명의 감독관인 다루가치를 파견하여 고려를 감시하고 통제하려 했다.[3]

3. 3. 제2차 여몽전쟁과 강화 천도

몽골군의 침략으로 수도인 개경마저 위협받자, 당시 실권자였던 최우도병마사에서 재추회의를 열어 반대 의견을 누르고 강화도로 수도를 옮겨 항전할 것을 결정하였다.

1232년(고종 19년) 6월, 최우는 고종에게 압력을 넣어 강화도로 천도를 단행하였다.[13] 7월 7일 왕은 강화도의 객관에 도착했는데,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당시 열흘 넘게 이어진 장마로 길이 흙탕물에 잠겨 이동 과정이 매우 고통스러웠으며, 고위 관리나 양가 부녀자들까지 짐을 이고 맨발로 걸어야 했고, 의지할 곳 없이 울부짖는 노인과 버려진 아이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가 수도를 옮겨 항전 의지를 보이자 몽골과의 제2차 전쟁이 시작되었다. 살리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은 다시 고려를 침략하여 개경을 함락시키고 남하하여 한양(현재의 서울)을 공격하였다. 고려는 외교 문서를 보내 철군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하자 결사항전의 태세를 갖추었다.

국왕과 지배층이 강화도에 머무는 동안, 육지에 남은 백성들은 몽골군의 침략에 그대로 노출되어 전국토가 전쟁터가 되었다. 신라 진흥왕 때 건립된 황룡사선덕여왕 때 세워진 황룡사 9층 목탑이 이 시기 몽골군에 의해 불타 없어지는 등[6] 문화재 피해도 극심했다.

1232년 12월, 살리타이처인성(處仁城, 현재 경기도 용인시)을 공격했으나, 처인성 전투에서 고려의 승려 김윤후가 쏜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14][15] 총사령관을 잃은 몽골군은 고려에서 철수하였고 이로써 제2차 전쟁은 종결되었다. 제2차 여몽전쟁 기간 중 대구 부인사에 보관되어 있던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이 몽골군에 의해 소실되었다.

이후 고려는 약 28년간 강화도에서 몽골에 항전하였으나, 결국 국토가 황폐화되고 백성들이 큰 고통을 겪게 되었다. 이 시기에는 부처의 힘을 빌려 국난을 극복하고자 하는 염원으로 팔만대장경을 만드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3. 4. 강화 천도기

1232년 7월, 당시 집권자였던 최우몽골에 대한 항전 의지를 분명히 하며 수도를 개성에서 강화도로 옮겼다. 이는 고려-몽골 전쟁의 새로운 국면을 여는 결정이었다. 강화도로 천도한 직후 고려에 파견되었던 몽골의 다루가치들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3] 같은 해 8월, 몽골은 이를 빌미로 제2차 침입을 감행하였다.

이듬해인 1233년에는 서경의 홍복원 등이 반란을 일으켜 몽골에 투항하는 내부 분열도 겪었다. 1235년 시작된 제3차 침입 당시 몽골군은 남송을 공격하는 길에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고려를 다시 침공했다. 고려군은 개주(개천), 온수(온수), 죽주(죽산면), 대흥(예산군) 등지에서 몽골군에게 타격을 주기도 했으나, 몽골군은 4년 동안 전국 각지를 휩쓸며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되고 선덕여왕 때 세워진 황룡사와 9층 목탑이 몽골군에 의해 불타 사라지는 비극을 겪었다.[6]

이러한 국난 속에서 최씨정권은 강화도 방어에 주력하는 한편, 부처의 힘을 빌려 위기를 극복하고자 팔만대장경의 재조(再彫) 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대장경판은 1251년에 완성되었으며, 현재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몽골의 침입은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1247년 제4차 침입, 1253년 제5차 침입에 이어 1254년에는 자릴타이가 이끄는 몽골군이 제6차 침입을 감행했다. 이때 충주시의 다인철소(多仁鐵所) 주민들이 몽골군에 맞서 격렬하게 항전하였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다인철소는 익안현(翼安縣)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이 전쟁으로 고려는 20만 명이 넘는 백성이 포로로 끌려가고 셀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살해당하는 등 고려-몽골 전쟁 기간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16] 몽골의 침입은 1255년(7차)과 1257년(8차)에도 이어졌다.

계속되는 전쟁과 피해 속에서 고려 내부의 정치 상황도 급변했다. 1249년 최우가 사망하고 아들 최항이 권력을 승계했으며, 1257년 최항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 최의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1258년 3월, 유경, 김준 등이 최의를 살해하면서 62년간 이어지던 최씨정권은 막을 내렸다(무오정변). 같은 해 동북면에서는 조휘탁청 등이 몽골에 투항하여 철령 이북 지역이 몽골의 쌍성총관부 관할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 지역은 98년 뒤인 1356년 공민왕 때 다시 고려 영토로 수복되었다.

최씨 정권이 무너지면서 몽골과의 강화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결국 1259년 3월, 고려는 몽골에 항복하고 태자(훗날 원종)를 인질로 보냈다. 오랜 항전 끝에 몽골의 요구를 받아들인 것이다. 같은 해 7월, 고종은 강화도에서 세상을 떠났다.[2] 그의 능은 홍릉으로 강화군에 위치해 있다.

연도주요 사건
1232년7월 최우, 강화도로 천도 단행. 몽골 다루가치 피살.
8월 몽골의 제2차 침입 시작.
1233년서경에서 홍복원의 반란 및 몽골 투항.
1235년몽골의 제3차 침입 시작. 황룡사 및 9층 목탑 소실.
팔만대장경 재조 시작.
1239년몽골군, 왕족 입조 조건으로 철수했으나 고려의 약속 불이행으로 침공 재개.
1247년몽골의 제4차 침입.
1249년최우 사망, 최항 집권.
1251년팔만대장경 완성.
1253년몽골의 제5차 침입.
1254년7월 몽골의 제6차 침입. 충주시 다인철소 항전. 고려, 최대 인명 피해 발생 (포로 20만여 명).[16]
1255년몽골의 제7차 침입.
1257년4월 최항 사망, 최의 집권.
5월 몽골의 제8차 침입.
1258년3월 무오정변. 유경, 김준 등이 최의를 살해하고 최씨정권 종식.
12월 조휘, 탁청의 투항으로 철령 이북 지역에 쌍성총관부 설치.
1259년3월 고려, 몽골에 복속. 태자(원종)를 인질로 보냄.
7월 고종, 강화도에서 사망.


4. 최씨 정권의 종말

1257년 4월, 최항이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최의최씨 정권을 승계하였다.

1258년(고종 45년) 3월, 고종유경김준 등에게 지시하여 최의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 이들의 정변(무오정변)이 성공하여 최씨 정권의 마지막 집권자인 최의가 살해되었다.[17] 이 사건으로 명종 대부터 시작되어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까지 4대에 걸쳐 60여 년간 지속된 최씨정권은 마침내 막을 내렸다. 최씨 정권이 무너진 후 권력은 김준에게 넘어갔다.[17]

5. 최후

고종은 45년 10개월 동안 재위하여 고려 역대 국왕 중 가장 긴 재위 기간 기록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재위 기간 내내 최씨정권무신들이 실권을 장악하였고[1], 몽골 제국의 침략에 맞서 강화도천도하여 약 30년간 항전하는 등 국가적으로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2]

1258년(고종 45년) 3월, 유경, 김준 등이 마지막 집권자였던 최의를 살해하면서 4대 62년간 이어져 온 최씨정권이 마침내 막을 내렸다(무오정변).[3] 최씨 정권이 무너진 후 몽골과의 화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고려는 압력에 굴복하여 화주(현재의 함경남도 영흥군) 이북 지역을 몽골에 할양하였고, 이곳에는 쌍성총관부가 설치되었다.[3]

1259년(고종 46년) 3월, 고려는 결국 몽골에 복속하기로 하고 태자 왕전(원종)을 인질로 몽골에 보냈다.[3] 몽골과의 관계가 정리되면서 강화도의 방어 시설이었던 내성(內城)을 허물기 시작하였다. 그해 6월 30일, 고종은 강화도에 있던 유경의 집에서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2] 당시 태자 왕전이 몽골에 가 있었기 때문에, 국정은 임시로 태손 왕심(충렬왕)이 맡았다.

사후 묘호는 '''고종'''(高宗),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으로 정해졌다. 능은 인천광역시 강화도에 위치한 홍릉(洪陵)이다.[2] 훗날 1310년(충선왕 2년)에 원나라로부터 '''충헌'''(忠憲)이라는 시호를 추가로 받았다.

6. 평가

재위 기간 동안 최충헌, 최우, 최항, 최의로 이어지는 4대에 걸친 최씨정권이 실권을 장악하였다. 이 시기에는 대내적으로 최광수의 난이연년 형제의 난을 비롯하여 크고 작은 반란들이 발생하였으며, 대외적으로는 몽골 제국의 대대적인 침략이 시작되어 300여 년간 수도였던 개경을 버리고 강화도천도하는 등 큰 혼란을 겪었다. 수차례에 걸친 고려-몽골 전쟁으로 전국토가 황폐화되었다.

고종은 45년 10개월 동안 재위하였는데, 이는 고려의 역대 국왕 중 가장 긴 재위 기간이다.

서거정 등이 편찬한 《동국통감》에서는 고종과 그 시대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고종의 시대에 안으로는 권력을 잡은 신하들이 서로 자리를 이어가며 제멋대로 나라의 권력을 휘둘렀고,


:밖으로는 여진(女眞) · 몽고(蒙古)가 군사를 보내 해마다 침략하였으니,


:당시의 나라 형세는 대단히 위태로웠다.


:


:그러나 왕이 조심스럽게 법도를 지켰으며,


:수치스러움을 가슴속에만 간직하고 참았기 때문에


:왕위를 보전하게 되어 마침내 정권이 왕실로 돌아오게 되었다.


:


:적이 쳐들어오면 성(城)을 튼튼하게 하여 굳게 지켰고,


:물러가면 사신을 보내어 우호 관계를 통하였으며,


:심지어 태자를 보내 예물을 가지고 친히 조회하게 하였으므로,


:마침내 사직(社稷)이 멸망하지 않았고 나라의 운명이 길이 전해지게 되었다.


::— 《동국통감》 권33, 고려기(高麗紀) 고종 46년(1259년)

7. 가족 관계

1192년 당시 국왕이었던 명종의 태자 왕숙(강종)과 태자비 유씨(원덕왕후)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종의 외할아버지는 예종의 외손자인 신안후 왕성이며, 외할머니는 인종의 셋째 딸인 창락궁주이다. 할아버지인 명종과 외할머니인 창락궁주는 남매 관계이다.

1197년 할아버지 명종이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자 아버지 강종 역시 태자 자리에서 쫓겨나 강화로 유배되면서 고종 또한 궁에서 쫓겨났다. 이후 희종이 최충헌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폐위되면서, 강종이 최충헌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고종의 부모'''
구분이름생몰년부모비고
강종(康宗)1152년 ~ 1213년부: 명종(明宗)
모: 의정왕후 김씨(光靖太后 金氏)
제22대 국왕
원덕왕후 유씨(元德王后 柳氏)
(원덕태후 元德太后)
미상 ~ 1239년부: 신안후 왕성(信安侯 王珹)[18]
모: 창락궁주(昌樂宮主)[19]



'''고종의 정비'''
구분이름생몰년부모비고
정비안혜왕후 유씨(安惠王后 柳氏)
(안혜태후 安惠太后)
미상 ~ 1232년부: 희종(熙宗)
모: 성평왕후 임씨(成平王后 任氏)
희종의 딸
고종과는 사촌 관계



'''고종의 자녀'''
구분작호이름생몰년생모배우자비고
장남원종(元宗)식(禃)1219년 ~ 1274년안혜왕후 유씨정순왕후 김씨(靜順王后 金氏)
경창궁주 유씨(慶昌宮主 柳氏)
제24대 국왕
차남영종(英宗)
(안경공 安慶公)
창(淐)미상안혜왕후 유씨폐비 권씨(廢妃 權氏)임시 국왕
장녀수흥궁주(壽興宮主)미상안혜왕후 유씨신양공 왕전(新陽公 王㻇)[20]
차녀공주 (이름 미상)[21]미상안혜왕후 유씨대장군 기온(大將軍 奇蘊)


8. 대중문화 속 고종

참조

[1] 뉴스 [Why]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고려판 강화도령 강종 조선의 철종과 닮은꼴 https://www.chosun.c[...] 2009-02-07
[2] 뉴스 ko:고려시대 고종 무덤에는 산새만 울어대네 https://www.koya-cul[...] 2020-12-23
[3] 서적 元史 列伝第九十五 外夷一 高麗
[4] 문서 고려사 강종 원년 7월 21일, 율리우스력 8월 19일
[5] 문서 고려사 강종 2년 8월 9일, 율리우스력 8월 26일
[6] 서적 고려사절요 권16, 고종3, 고종 25년(1238년) 윤4월
[7] 서적 고려사 권22, 세가 권제22, 고종 5년(1218년) 12월 1일 (기해)
[8] 서적 고려사 권22, 세가 권제22, 고종 12년(1225년) 1월 22일 (계미)
[9]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제23, 고종 18년(1231년) 9월 3일 (병술)
[10]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제23, 고종 18년(1231년) 9월 10일 (계사)
[11]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제23, 고종 18년(1231년) 11월 29일 (신해)
[12]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제23, 고종 18년(1231년) 12월 6일 (정사)
[13]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제23, 고종 19년(1232년) 6월 16일 (을축)
[14] 서적 고려사 권23, 세가 권제23, 고종 19년(1232년) 12월
[15] 서적 고려사 권103, 열전 권제16, 제신(諸臣), 김윤후(金允侯)
[16] 서적 고려사절요 권17, 고종4, 고종 41년(1254년) 12월
[17] 서적 고려사 권24, 세가 권제24, 고종 45년(1258년) 3월 26일 (병자)
[18] 문서 한남백 왕기와 고려 예종의 장녀 승덕공주의 아들
[19] 문서 고려 인종의 3녀
[20] 문서 회안공 왕정과 고려 신종의 딸 경녕궁주의 아들
[21] 서적 고려사 권130, 열전 권제43, 반역 임유무(林惟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