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경제적 민주주의 실현을 목표로 1989년 설립된 시민단체이다. 합법적이고 비폭력적인 평화운동을 지향하며, 토지공개념, 금융실명제 등을 통해 경제적 독점 폐단을 줄이는 대안을 제시해왔다. 주요 활동으로는 의정 감시, 정기간행물 발행, 시민운동 지원, 국제 심포지엄 개최 등이 있으며, 조세 개혁, 재벌 구조 해체, 정치 개혁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경실련은 중앙 조직과 전국 각지에 지역 조직을 두고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설립된 단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항공우주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기술 보급을 통해 국민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개발, 국가 항공우주 개발 정책 지원, 시험평가 시설 공동 활용, 중소·중견기업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나로호, 누리호, 천리안위성, 다누리 등의 주요 성과를 거두었다. - 1989년 설립된 단체 -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IPC)는 장애인 스포츠 발전을 도모하고 패럴림픽 대회를 조직·운영하는 국제 기구로서, 패럴림픽 운동의 지배 기구 역할을 수행하며 하계·동계 패럴림픽 대회를 비롯한 다양한 장애인 스포츠 대회를 관장한다. -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 - 민주화추진협의회
민주화추진협의회는 1980년대 중반 정치 억압 시대에 김영삼과 김대중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신한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야당 성장에 기여했으나, 대통령 선거 후보 단일화 실패로 분열되어 해체되었지만 한국 민주화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정치 조직이다. - 대한민국의 정치 단체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의 단체 - 한국기자협회
한국기자협회는 196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기자 단체로, 언론 자유 수호, 기자 자질 향상, 기자 권익 옹호, 국제 교류 강화, 민족 동질성 회복을 5대 강령으로 하며, 언론 자유 신장 캠페인, 기자 권익 향상, '기자협회보' 발행, 이달의 기자상 및 한국기자상 시상, 기자수첩 배포 등의 활동을 펼치고 국제기자연맹(IFJ) 정회원으로서 국제 협력을 강화한다. - 대한민국의 단체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시·도 간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지역 사회의 균형 발전을 목표로 1999년 설립 의결, 2005년 사무처 개소, 201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기관이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단체명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
로마자 표기 | Gyeongjejeong-uisilcheonsimin-yeonhab |
영문명 |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
약칭 | CCEJ |
조직 | |
설립일 | 1989년 |
활동 분야 | 경제 정의, 사회 개혁, 시민 운동 |
주요 활동 | 경제 정책 감시 및 제안 사회 불평등 해소 운동 부패 방지 운동 시민 참여 확대 |
수상 | |
수상 내역 | 바른생활상 |
외부 링크 | |
공식 웹사이트 | 바른생활상 웹사이트 |
관련 뉴스 | 시민운동 인사, 역대정권 진출사 |
2. 주요 활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기본적으로 급진적인 사회변혁보다는 합법적·비폭력적인 평화운동의 형태로 경제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모임이다. 이를 위해 1989년 7월 8일 명동 YMCA 강당에서 500여 명이 참석한 발기인대회가 개최되었다. 1989년 11월 3일 경실련 의정감시단을 발족했으며, 1990년 6월 20일부터 정기간행물 《경제정의》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1991년 5월 7일, 강경대 열사 치사사건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어 시국성명서를 발표했다.
1993년 5월 29일 주간지 시민의 신문을 발행했다. 1994년 9월 전국 35개 시민단체 공동으로 한국시민단체협의회 창립대회를 개최했으며, 1997년 5월에는 시민운동지원기금이 제정한 제1회 한국시민운동상을 수상했다. 2000년 9월 30일 경실련 공공사업감시단을 발족했다. 2003년 12월 19일 경실련회관이 서대문구 정동에서 대학로 동숭동으로 이전하여 개소식을 가졌다. 2007년 6월, 시민단체 사회적 책임 헌장과 행동규범을 선포했다.
2010년 7월에는 금융규제의 강화와 투기자본과세 방안에 대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2012년 분권국가 실현을 위해 경실련 전국 분권운동본부를 발족했다. 2013년 동양그룹 사태와 관련하여 현재현 회장, 정진석 사장 등 경영진 38명에 대해 검찰 고발을 추진했다.
경실련은 특정 당파나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활동하며, 시민의 공익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비당파적 시민운동을 전개해왔다. 또한 '토지공개념'과 '금융실명제'를 통해 경제적 독점의 폐단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왔다.[3]
경실련은 창립 이후 토지공개념 요구 및 주택 문제 해결 요구 활동(1989년), 조세개혁 요구 운동 전개(1990년), 경제 부정 고발 센터 개설 및 재벌 감시 활동 / 경제 정의 평가 모델 연구(1992년), 한약 분쟁 조정, 금융 실명제 조기 정착을 위한 캠페인(1993년), 우루과이 라운드 재협상 등 농업 보호 캠페인(1994년), 한국은행 독립 요구 캠페인 실시, 1996년 총선을 위한 정책 캠페인(1995년), OECD 조기 가입 반대 / 안기부법·노동 관계법 재개정 운동(1996년), 정보 공개법, 행정 절차법 제정 운동 / 한보 부도 사태 관련 정경 유착 근절 캠페인(1997년),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한 손해배상 창구 소송 / 예산 감시 운동 전개(1998년)등을 하였다. 또한 조세 정의 실현 운동, 재벌 구조 해체 운동, 정치 개혁 운동을 꾸준히 진행했다.[3]
2. 1. 1980년대 ~ 1990년대 초반: 창립 및 초기 활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급진적인 사회변혁보다는 합법적·비폭력적인 평화운동의 형태로 경제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모임이다.[3] 1989년 7월 8일 명동 YMCA 강당에서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기인대회가 개최되었다.[3] 같은 해 11월 3일 경실련 의정감시단을 발족했으며,[3] 1990년 6월 20일부터 정기간행물 《경제정의》를 발행하기 시작했다.[3] 1991년 5월 7일에는 강경대 열사 치사사건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어 시국성명서를 발표했다.[3]1989년 창립 이후, 경실련은 '토지공개념'과 '금융실명제'를 통해 경제적 독점의 폐단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왔다. 주요 초기 활동으로는 토지공개념 요구 및 주택 문제 해결 요구 활동(1989년), 조세개혁 요구 운동 전개(1990년), 경제 부정 고발 센터 개설 및 재벌 감시 활동, 경제 정의 평가 모델 연구(1992년) 등이 있다. 1993년에는 한약 분쟁 조정 및 금융 실명제 조기 정착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3] 1994년에는 우루과이 라운드 재협상 등 농업 보호 캠페인을 전개했다.[3] 1995년에는 한국은행 독립 요구 캠페인을 실시하고, 1996년 총선을 위한 정책 캠페인을 진행했다.[3] 1996년에는 OECD 조기 가입에 반대하고, 안기부법·노동 관계법 재개정 운동을 펼쳤다.[3] 1997년에는 정보 공개법, 행정 절차법 제정 운동과 한보 부도 사태 관련 정경 유착 근절 캠페인을 전개했다.[3] 1998년에는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한 손해배상 창구 소송과 예산 감시 운동을 전개했다.[3]
2. 2. 1990년대 중후반 ~ 2000년대: 활동 다각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0년대에 걸쳐 활동 범위를 넓혀갔다. 1993년 5월 29일 주간지 시민의 신문을 발행하였고,[3] 1994년 9월에는 전국 35개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한국시민단체협의회 창립대회를 개최하였다.[3] 1997년 5월에는 시민운동지원기금이 제정한 제1회 한국시민운동상을 수상하였다.[3]1990년대 중반, 경실련은 우루과이 라운드 재협상 등 농업 보호 캠페인(1994년)을 전개하고, 한국은행 독립 요구 캠페인 및 1996년 총선을 위한 정책 캠페인(1995년)을 실시했다.[3] 또한 OECD 조기 가입에 반대하고, 안기부법·노동 관계법 재개정 운동(1996년)을 펼쳤다.[3] 1997년에는 정보 공개법, 행정 절차법 제정 운동과 더불어 한보 부도 사태와 관련하여 정경 유착 근절 캠페인을 벌였다.[3]
1998년에는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한 손해배상 창구 소송과 예산 감시 운동을 전개했다. 이후 조세 정의 실현 운동, 재벌 구조 해체 운동, 정치 개혁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3]
2000년 9월 30일에는 경실련 공공사업감시단을 발족하였고,[3] 2003년 12월 19일에는 경실련회관을 서대문구 정동에서 대학로 동숭동으로 이전하여 개소식을 가졌다.[3] 2007년 6월에는 시민단체 사회적 책임 헌장과 행동규범을 선포하였다.[3]
2. 3. 2000년대 후반 ~ 현재: 최근 활동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급진적인 사회변혁보다는 합법적·비폭력적인 평화운동의 형태로 경제적 민주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모임이다.[3] 1989년 7월 8일 명동 YMCA 강당에서 500여 명이 참석한 발기인대회를 개최했다. 1990년 6월 20일부터 정기간행물 <경제정의>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1991년 5월 7일, 강경대 열사 치사사건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어 시국성명서를 발표했다.[3]1993년 5월 29일 주간지 <시민의 신문>을 발행했다. 1994년 9월 전국 35개 시민단체 공동으로 한국시민단체협의회 창립대회를 개최했으며, 1997년 5월에는 시민운동지원기금이 제정한 제1회 한국시민운동상을 수상했다. 2003년 12월 19일 경실련회관이 서대문구 정동에서 대학로 동숭동으로 이전하여 개소식을 가졌다. 2007년 6월, 시민단체 사회적 책임 헌장과 행동규범을 선포했다.[3]
2010년 7월에는 금융규제의 강화와 투기자본과세 방안에 대한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2012년 분권국가 실현을 위해 경실련 전국 분권운동본부를 발족했다. 2013년 동양그룹 사태와 관련하여 현재현 회장, 정진석 사장 등 경영진 38명에 대해 검찰 고발을 추진했다. 경실련은 특정 당파나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활동하며, 시민의 공익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비당파적 시민운동을 전개해왔다. 또한 '토지공개념'과 '금융실명제'를 통해 경제적 독점의 폐단을 줄일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왔다.[3]
1989년 토지공개념 요구 및 주택 문제 해결 요구 활동, 1990년 조세개혁 요구 운동을 전개했다. 1992년 경제 부정 고발 센터 개설 및 재벌 감시 활동과 경제 정의 평가 모델을 연구했다. 1993년 한약 분쟁 조정, 금융 실명제 조기 정착을 위한 캠페인을 벌였다. 1994년 우루과이 라운드 재협상 등 농업 보호 캠페인을 벌였다. 1995년 한국은행 독립 요구 캠페인 실시, 1996년 총선을 위한 정책 캠페인을 벌였다. 1996년 OECD 조기 가입 반대, 안기부법·노동 관계법 재개정 운동을 벌였다. 1997년 정보 공개법, 행정 절차법 제정 운동, 한보 부도 사태 관련 정경 유착 근절 캠페인을 벌였다. 1998년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한 손해배상 창구 소송, 예산 감시 운동을 전개했다. 조세 정의 실현 운동, 재벌 구조 해체 운동, 정치 개혁 운동을 해왔다.[3]
3. 조직
wikitext
colspan=2| | 이름 | 비고 | |
---|---|---|---|
공동대표 | イム・ヒョンジン/임현진한국어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 |
サンウォル・ムンサン/선월 몽산한국어 | 축성사 주지, 사단법인 한국문화예술교류협회 이사장 | ||
チェ・ジョンピョ/최정표한국어 |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チェ・インス/최인수한국어 | 전 대한법무사협회 상임부회장, 경실련 경기도협의회 상임대표 | ||
중앙위원회 | 의장 | パク・サンギ/박상기한국어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부의장 | クォン・ヘス/권해수한국어 |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
イ・ギウ/이기우한국어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
ファン・シンモ/황신모한국어 | 청주대학교 부총장, 청주경실련 공동대표 | ||
コン・ジェシク/공재식한국어 | 대구대학교 금융보험학과 교수, 대구경실련 공동대표 |
3. 1. 중앙 조직
wikitextcolspan=2| | 이름 | 비고 | |
---|---|---|---|
공동대표 | イム・ヒョンジン/임현진한국어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 |
サンウォル・ムンサン/선월 몽산한국어 | 축성사 주지, 사단법인 한국문화예술교류협회 이사장 | ||
チェ・ジョンピョ/최정표한국어 |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チェ・インス/최인수한국어 | 전 대한법무사협회 상임부회장, 경실련 경기도협의회 상임대표 | ||
중앙위원회 | 의장 | パク・サンギ/박상기한국어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부의장 | クォン・ヘス/권해수한국어 |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
イ・ギウ/이기우한국어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
ファン・シンモ/황신모한국어 | 청주대학교 부총장, 청주경실련 공동대표 | ||
コン・ジェシク/공재식한국어 | 대구대학교 금융보험학과 교수, 대구경실련 공동대표 |
3. 1. 1. 공동대표
wikitable이름 | 비고 | |
---|---|---|
임현진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 |
선월 몽산 | 축성사 주지, 사단법인 한국문화예술교류협회 이사장 | |
최정표 |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최인수 | 전 대한법무사협회 상임부회장, 경실련 경기도협의회 상임대표 |
3. 1. 2. 중앙위원회
wikitable이름 | 비고 |
---|---|
박상기(パク・サンギ)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권해수(クォン・ヘス) |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이기우(イ・ギウ)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황신모(ファン・シンモ) | 청주대학교 부총장, 청주경실련 공동대표 |
공재식(コン・ジェシク) | 대구대학교 금융보험학과 교수, 대구경실련 공동대표 |
3. 2. 지역 조직
경실련은 전국 각지에 지역 조직을 두고 있다.이름 | 비고 | ||
---|---|---|---|
공동대표 | イム・ヒョンジン/임현진한국어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 |
サンウォル・ムンサン/선월 몽산한국어 | 축성사 주지, 사단법인 한국문화예술교류협회 이사장 | ||
チェ・ジョンピョ/최정표한국어 |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
チェ・インス/최인수한국어 | 전 대한법무사협회 상임부회장, 경실련 경기도협의회 상임대표 | ||
중앙위원회 | 의장 | パク・サンギ/박상기한국어 |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부의장 | クォン・ヘス/권해수한국어 | 한성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
イ・ギウ/이기우한국어 |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
ファン・シンモ/황신모한국어 | 청주대학교 부총장, 청주경실련 공동대표 | ||
コン・ジェシク/공재식한국어 | 대구대학교 금융보험학과 교수, 대구경실련 공동대표 |
4. 비판 및 논란
5.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CCEJ)
https://www.rightliv[...]
2020-01-08
[2]
웹사이트
경실련, Right Livelihood Awards 수상 확정
http://www.ccej.or.k[...]
2003-10-14
[3]
서적
한국NGO100데이터북
미즈노사와출판
[4]
뉴스
시민운동 인사, 역대정권 진출사
http://weekly.khan.c[...]
경향신문
2017-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