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현공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현공주는 조선 중종과 문정왕후의 셋째 딸로, 1530년에 태어나 1584년에 사망했다. 1537년 경현공주에 봉해졌으며, 1541년 신의에게 하가하여 아들 신사정을 두었다. 남편 신의는 패악한 성격으로 인해 유배, 살인 등의 죄를 저질렀고, 아들 신사정 또한 불효로 인해 유배되었다. 경현공주는 남편과 사별한 후, 자신의 생일에 55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4년 사망 - 이반 4세
    이반 4세는 1547년부터 1584년까지 러시아를 통치한 최초의 차르로, 초기 개혁과 영토 확장에도 불구하고 오프리치니나 시행과 리보니아 전쟁 실패로 혼란과 쇠퇴를 초래했으며, 잔혹함과 권력욕으로 악명 높지만 중앙집권화와 영토 확장에 기여한 복잡적인 인물이다.
  • 1584년 사망 - 빌럼 1세 판 오라녜
    빌럼 1세 판 오라녜는 16세기 네덜란드 독립을 이끈 지도자로서 오라녜 공작으로서 독립 전쟁을 이끌었으며, 정치적 수완과 군사적 전략으로 네덜란드 공화국 건립의 토대를 마련하고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여 네덜란드의 국부로 추앙받는다.
  • 1530년 출생 - 장 보댕
    장 보댕은 프랑스의 법학자, 정치철학자, 경제학자이자 저술가로서, 『국가론』에서 제시한 주권 개념으로 절대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나, 마녀사냥에 대한 견해와 저술은 비판받으며 후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 1530년 출생 - 에티엔 드 라 보에시
    에티엔 드 라 보에시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외교관으로 미셸 드 몽테뉴와 교류했으며, 폭군의 권력 유지가 피지배자들의 자발적 복종에 기인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표작 『자발적 예속론』을 통해 전제군주제와 폭정을 비판하고 시민 불복종과 비폭력 저항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무정부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경현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조선 중종의 공주
배우자영천위 신의(靈川尉 申檥)
자녀1남
신사정(申士楨)
옥현(玉賢)
아버지중종
어머니문정왕후
출생일1530년 8월 13일 (음력)
사망일1584년 8월 13일 (음력)
능묘경현공주묘
경기도 광주시 목현동 산 107

2. 생애

1530년(중종 25년) 8월 13일, 중종과 문정왕후의 3녀로 태어났다. 문정왕후가 경현공주를 잉태하였을 때, 시어머니인 정현왕후가 병상에 눕자 간호를 하였고, 경현공주를 낳은지 7일밖에 되지 않아 몸이 성치 않을 때도 정현왕후를 보살폈는데, 정현왕후는 이에 감동하였다고 한다.[3]

1537년(중종 32년) '''경현공주'''(敬顯公主)에 봉해졌고, 1541년(중종 36년), 신수경(申秀涇)의 아들 영천위(靈川尉) 신의에게 하가하여 1남을 두었으나 혼인 관계는 평탄치 못하였고 가정사는 불운하였다.

그의 남편인 영천위 신의는 경망스럽고 패악무도한 성격으로, 폭행을 저질러 통천으로 유배되었으며 후에 살인까지 저질러 직첩을 박탈당하였다.

1554년(명종 9년), 영천위 신의는 경현공주 집에 왕래할 수 없도록 하였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공주의 의복을 억지로 벗겨 기생에게 주고 공주와 서로 잘잘못을 따지며 심한 말을 퍼부어 강원도 통천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4]

1565년(명종 20년) 문정왕후의 국상중에 경현공주의 아들인 신사정(申士楨)이 기생 석빙정과 간음하고 공주 집의 재물과 외조모인 문정왕후가 하사한 물건까지 석빙정에게 건내주어 문제가 되었다.[5]

1566년(명종 21년) 공주는 후종(喉腫)을 앓아, 명종이 어의를 보내어 진찰하게 하고 약을 지어 보냈다.

1568년(선조 1년)에는 신사정이 아버지와 불화하여 반목하고, 어머니 경현공주와 한통속이 되어 아버지를 거역하고 헐뜯으며 궁녀와 결탁해 편지를 통해 아버지를 고발한 일과, 아버지가 쫓겨나던 날에는 집에 편안히 누워있으면서 나가 보지도 않았다는 죄목으로 신사정의 불효를 처벌해달라는 계가 올라왔다.[6]

이에 선조는 공주의 아들 신사정이 아버지 신의가 죄를 지어 형을 받음에도 감정이 태연하고, 귀양을 가게 되었는데도 나와보지 않는 등의 불효를 저질렀음을 이유로 사판에서 이름을 삭제하고 유배를 보냈다.[7]

1584년(선조 17년) 1월, 남편 신의와 사별하였다. 같은해 8월 13일, 경현공주는 자신의 생일날에 5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2. 1. 출생과 혼인

1530년(중종 25년) 8월 13일, 중종과 문정왕후의 3녀로 태어났다. 문정왕후가 경현공주를 잉태하였을 때, 시어머니인 정현왕후가 병상에 눕자 간호를 하였고, 경현공주를 낳은지 7일밖에 되지 않아 몸이 성치 않을 때도 정현왕후를 보살폈는데, 정현왕후는 이에 감동하였다고 한다.[3]

1537년(중종 32년) '''경현공주'''(敬顯公主)에 봉해졌고, 1541년(중종 36년), 신수경(申秀涇)의 아들 영천위(靈川尉) 신의에게 하가하여 1남을 두었으나 혼인 관계는 평탄치 못하였고 가정사는 불운하였다.[4][5][6][7] 그의 남편인 영천위 신의는 경망스럽고 패악무도한 성격으로, 폭행을 저질러 통천으로 유배되었으며 후에 살인까지 저질러 직첩을 박탈당하였다.

1584년(선조 17년) 1월, 남편 신의와 사별하였다. 같은해 8월 13일, 경현공주는 자신의 생일날에 5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2. 2. 남편 신의의 패악

경현공주의 남편 영천위 신의는 경망스럽고 패악무도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3] 신의는 폭행을 저질러 유배되었고, 살인까지 저질러 직첩을 박탈당했다.[3] 1554년(명종 9년)에는 신의가 경현공주 집에 왕래할 수 없도록 하였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공주의 의복을 억지로 벗겨 기생에게 주고 공주와 서로 잘잘못을 따지며 심한 말을 퍼부어 강원도 통천으로 귀양을 갔다.[4]

2. 3. 아들 신사정의 불효

경현공주의 아들 신사정(申士楨)은 1565년(명종 20년) 문정왕후의 국상중에 기생 석빙정과 간음하고, 공주 집의 재물과 외조모가 하사한 물건까지 석빙정에게 건네주어 문제가 되었다.[5] 1568년(선조 1년)에는 신사정이 아버지와 불화하여 반목하고, 어머니 경현공주와 한통속이 되어 아버지를 거역하고 헐뜯으며 궁녀와 결탁해 편지를 통해 아버지를 고발한 일과, 아버지가 쫓겨나던 날에는 집에 편안히 누워있으면서 나가 보지도 않았다는 죄목으로 신사정의 불효를 처벌해달라는 계가 올라왔다.[6] 선조는 신사정이 아버지 신의가 죄를 지어 형을 받음에도 감정이 태연하고, 귀양을 가게 되었는데도 나와보지 않는 등의 불효를 저질렀음을 이유로 사판에서 이름을 삭제하고 유배를 보냈다.[7]

2. 4. 죽음

경현공주는 1584년(선조 17년) 1월, 남편 신의와 사별하였다.[1] 같은 해 8월 13일, 경현공주는 자신의 생일날에 55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

3. 가족 관계


  • '''부왕''' : 중종(1488 ~ 1544)
  • '''모친''' : 문정왕후(1501 ~ 1565)
  • * 언니 : 의혜공주(1521 ~ 1564)
  • * 언니 : 효순공주(1522 ~ 1538)
  • * 동생 : 명종(1534 ~ 1567)
  • * 동생 : 인순공주(1542 ~ 1545)
  • '''남편''' : 영천위(靈川尉) 신의(? ~ 1584)[8]
  • * '''아들''' : 신사정(申士楨, 1546 ~ 1593)
  • * 며느리 : 판서(判書) 박충원(朴忠元)의 딸 밀양 박씨
  • ** 손녀 : 신혜정(申惠貞, 1561 ~ ?)
  • ** 손자 : 신순(申楯, 1562 ~ ?)
  • * 며느리(측실) - 노비 양옥(良玉)
  • ** 서손녀 : 신난영(申蘭英, 1574 ~ ?)
  • * 며느리(측실) : 노비 향개(香介)
  • ** 서손자 : 신덕성(申德成, 1575 ~ ?)
  • * 며느리(측실) - 양첩 중대(仲代)
  • ** 서손녀 : 신정순(申正順, 1580 ~ ?)
  • ** 서손자 : 신영(申梬, 1584 ~ ?)
  • * 며느리(측실) - 양첩 애영(愛英)
  • ** 서손자 : 신남(申楠)
  • ** 서손자 : 신매(申梅)
  • * 며느리(측실) - 노비 종대(終代)
  • ** 서손자 : 신경(申㯳, 1587 ~ ?)
  • * 며느리(측실) - 노비 복상(福祥)
  • ** 서손자 : 신탑(申㯓, 1588 ~ ?)
  • * 며느리(측실) - 노비 영춘(永春)
  • ** 서손자 : 신용(申榕, 1589 ~ ?)
  • * 며느리(측실) : 양첩 이름 미상
  • ** 서손녀 : 신순(申順, 1592 ~ ?)
  • * 며느리(측실) : 양첩 성대(聖代)
  • ** 서손자 : 신영(申楹, 1598 ~ ?)
  • * 며느리(측실) : 노비 (이름 미상)
  • ** 서손녀 : 군수(郡守) 김규문(李圭文)의 처
  • ** 서손녀 : 인천 공씨(仁川 貢氏) 공덕창(貢德彰)의 처
  • ** 서손녀 : 김응선(金應善)의 처

3. 1. 부모

경현공주의 부왕은 중종이며, 모친은 문정왕후이다.[8] 언니는 의혜공주효순공주이며, 동생은 명종인순공주이다.[8]

3. 2. 형제자매

경현공주의 부왕은 중종이며, 모친은 문정왕후이다.[8] 언니는 의혜공주효순공주이며, 동생은 명종인순공주이다.[8]

3. 3. 배우자와 자녀

경현공주는 중종과 문정왕후의 딸이며, 의혜공주, 효순공주의 동생이자, 명종, 인순공주의 언니이다.[8] 남편은 영천위(靈川尉) 신의이다.[8]

신의와의 사이에서 아들 신사정(申士楨)을 낳았다. 신사정은 판서(判書) 박충원(朴忠元)의 딸 밀양 박씨와 혼인하여 신혜정(申惠貞)과 신순(申楯)을 낳았다. 그 외에도 신의는 노비 양옥(良玉), 향개(香介), 종대(終代), 복상(福祥), 영춘(永春) 및 양첩 중대(仲代), 애영(愛英), 성대(聖代) 등과의 사이에서 여러 서자녀를 두었다.

4. 평가

참조

[1] 문서 〈경현공주묘지명〉
[2] 간행물 선원록
[3] 실록 명종실록 1565-04-20
[4] 실록 명종실록 1554-01-10
[5] 실록 명종실록 1566-05-28
[6] 간행물 신사정의 불효한 죄를 처벌하기를 청하는 계 덕계집
[7] 실록 선조실록 1568-08-08
[8] 문서 혜숙옹주의 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