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승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승진법은 자연수 a를 0부터 i-1까지의 숫자 ai를 사용하여 각 자릿수의 팩토리얼(i!)을 곱하여 나타내는 혼합 진법 기수법이다.
가장 오른쪽 자리는 항상 0이며, 계승진법은 순열과의 관계를 통해 자연수와 순열 간의 일대일 대응을 제공한다.
또한 소수를 표현하기 위해 확장될 수 있으며, 유리수는 유한 소수로, 무리수는 특징적인 소수 표시를 갖는다.
계승진법은 게오르크 칸토어에 의해 연구되었으며, 샤를앙주 레장에 의해 순열과의 관계가 밝혀졌다.
계승 진법은 레머 코드를 제공하며, 순열을 계산하고 두 순열군의 직접곱을 표현하는 데 활용된다. 소수 계승 진법은 계승 진법과 유사하며, 소수 계승을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합론 - 집합의 분할
집합의 분할은 주어진 집합을 서로소인 부분 집합들로 나누는 것이며, 동치 관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고, 벨 수로 표현되며, 플레잉 카드를 나누는 것과 같은 예시가 있다. - 조합론 - 계승 (수학)
계승은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자연수를 곱한 값으로, 0의 계승은 1로 정의되며, 대칭군의 크기와 같다는 성질을 통해 기수로 확장될 수 있고, 다중 계승, 지수 계승 등으로 확장 및 응용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기수법 - 이진법
이진법은 0과 1 두 개의 숫자를 사용하는 밑이 2인 위치 기수법으로, 컴퓨터 과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현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 - 기수법 - 구진법
구진법은 9를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8까지의 숫자를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며, 3의 배수 표현이 간결하고 3의 역수는 유한소수로 표현되는 특징이 있다.
계승진법 | |
---|---|
개요 | |
종류 | 자리 표기법 |
기수 | 계승 |
필요 숫자 | 10진법에서는 0부터 9까지 |
위치 값 | ..., 5!, 4!, 3!, 2!, 1!, 0! |
사용 | 조합론 |
예시 | |
10진수 463 | (3, 4, 1, 1, 0, 0) = 3 × 5! + 4 × 4! + 1 × 3! + 1 × 2! + 0 × 1! + 0 × 0! = 463 |
알고리즘 | |
계승진법에서 10진법으로 변환 | 각 자리 숫자에 해당 자리의 계승값을 곱하여 모두 더한다. |
10진법에서 계승진법으로 변환 | 10진수를 계승으로 나누는 것을 반복하고 나머지를 기록한다.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한다. |
2. 정의
자연수 는 계승진법에서 다음과 같은 꼴로 표현된다.
:
여기서
:
이다. 특히, 마지막 자리 의 값은 항상 0이다.
예를 들어,
:
이다.
계승진법은 여러 밑이 혼재된 기수법이며, 아래에서부터 ''i''번째 자리의 가수가 0부터 ''i''-1, 밑이 ''i''가 된다.
자리수 | 8 | 7 | 6 | 5 | 4 | 3 | 2 | 1 | |
---|---|---|---|---|---|---|---|---|---|
자리수의 가중치 | 7! | 6! | 5! | 4! | 3! | 2! | 1! | 0! | |
자리수의 가중치 (십진법) | 5040 | 720 | 120 | 24 | 6 | 2 | 1 | 1 | |
자리수의 가수 | 7 | 6 | 5 | 4 | 3 | 2 | 1 | 0 |
계승진법은 혼합 진법 기수법의 일종으로, 각 자릿수의 가중치가 팩토리얼로 증가하는 특징을 가진다. 즉, 오른쪽에서 ''i''번째 자릿수는 밑(기수)이 ''i''가 되며, 해당 자릿수에 올 수 있는 수는 0부터 ''i''-1까지이다. 각 자릿수의 값은 (''i'' − 1)! (해당 자리 값)을 곱한 값이다.
단, 최하위 자리는 항상 0이므로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아래에서부터 11번째 자리 이후의 자리에는 10 이상의 수가 들어가므로 알파벳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문서에서 계승진법 표기는 아래 첨자 "!"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3:4:1:0:1:0!는 다음과 같다.
: 3×5! + 4×4! + 1×3! + 0×2! + 1×1! + 0×0!
: ((((3×5 + 4)×4 + 1)×3 + 0)×2 + 1)×1 + 0
: 46310
3. 성질
자리수 8 7 6 5 4 3 2 1 자리수의 가중치 7! 6! 5! 4! 3! 2! 1! 0! 자리수의 가중치 (십진법) 5040 720 120 24 6 2 1 1 자리수의 가수 7 6 5 4 3 2 1 0
가장 오른쪽 자릿수는 항상 0이고, 두 번째 자릿수는 0 또는 1, 세 번째 자릿수는 0, 1, 2 중 하나가 되는 식이다. 팩토리얼 진법은 0! 자리가 항상 0이기 때문에 이 자리를 생략하여 정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3:4:1:0:1:0!는 3×5! + 4×4! + 1×3! + 0×2! + 1×1! + 0×0! = 46310을 의미한다.
혼합 기수 숫자 시스템의 일반적인 속성은 팩토리얼 숫자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십진수를 팩토리얼 표현으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3. 1. 계승진법으로의 변환
자연수 의 계승진법 표기는 다음과 같은 재귀적 알고리즘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63을 계승진법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bi−1 | = | bi | × | i | + | ai |
---|---|---|---|---|---|---|
463 | = | 463 | × | 1 | + | 0 |
↙ | ||||||
463 | = | 231 | × | 2 | + | 1 |
↙ | ||||||
231 | = | 77 | × | 3 | + | 0 |
↙ | ||||||
77 | = | 19 | × | 4 | + | 1 |
↙ | ||||||
19 | = | 3 | × | 5 | + | 4 |
↙ | ||||||
3 | = | 0 | × | 6 | + | 3 |
↙ | ||||||
0 | = | 0 | × | 7 | + | 0 |
↙ | ||||||
0 | = | 0 | × | 8 | + | 0 |
↙ | ||||||
⋮ | ⋮ | ⋮ | ⋮ |
따라서 463 = 341010!이다.
46310을 계승진법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몫이 0이 될 때까지 나눗셈을 반복하고,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하면 341010!를 얻는다.
십진법 428을 계승진법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마찬가지로 나머지를 아래에서부터 읽으면 42810=323100!이 된다.
3. 2. 순열과의 관계
계승진법은 크기 의 알파벳의 순열들과 자연수 집합 사이에 전단사 함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자연수 를 자릿수의 계승진법으로 표기하면
:
가 된다. 이때 에 대응하는 순열은 다음 알고리즘으로 구할 수 있다.
- 크기 의 집합 의 번째 원소가 이다.
- 크기 의 집합 의 번째 원소가 이다.
- 일반적으로, 크기 의 집합 의 번째 원소가 이다.
- 크기 2의 집합 의 번째 원소가 이다.
- 크기 1의 집합 의 번째 원소가 이다.
이 알고리즘에서 '집합의 〜번째 원소'는 0번째부터 센다.
예를 들어 일 때, 수 {0, 1, 2, 3, 4, 5}와 알파벳 위의 순열 사이의 대응은 다음과 같다.
수 | 계승진법 | 순열 |
---|---|---|
0 | 000! | |
1 | 010! | |
2 | 100! | |
3 | 110! | |
4 | 200! | |
5 | 210! |
레머 코드를 이용하면 순열의 사전식 순서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일 때의 레머 코드는 다음 표와 같다.
10진법 | 계승진법 | 순열 |
---|---|---|
010 | 0:0:0! | (0,1,2) |
110 | 0:1:0! | (0,2,1) |
210 | 1:0:0! | (1,0,2) |
310 | 1:1:0! | (1,2,0) |
410 | 2:0:0! | (2,0,1) |
510 | 2:1:0! | (2,1,0) |
4. 소수 (Fractional values)
계승 진법은 유리수를 표현하기 위해 소수점 아래 자릿값을 사용할 수 있다.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릿값은 형태이다. 예를 들어, , 등과 같이 표현된다.
다음은 십진법으로 표현된 유리수와 계승 진법으로 표현된 유리수를 비교한 표이다.
십진법 | 계승 진법 |
---|---|
1/2 | |
1/3 | |
2/3 | |
1/4 | |
3/4 | |
1/5 | |
1/6 | |
5/6 | |
1/7 | |
1/8 | |
1/9 | |
1/10 | |
1/11 | |
2/11 | |
9/11 | |
10/11 | |
1/12 | |
5/12 | |
7/12 | |
11/12 | |
1/15 | |
1/16 | |
1/18 | |
1/20 | |
1/24 | |
1/30 | |
1/36 | |
1/60 | |
1/72 | |
1/120 | |
1/144 | |
1/240 | |
1/360 | |
1/720 |
모든 유리수는 유한한 계승 진법 소수로 표현 가능하다.
일부 무리수는 계승 진법으로 변환했을 때 특징적인 소수 표시를 가진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5. 역사
게오르크 칸토어가 1869년에 이미 자릿수마다 진법이 바뀌는 수 표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6] 1888년에 샤를앙주 레장(Charles-Ange Laisant|샤를 앙주 레장프랑스어, 1841〜1920)이 구체적으로 다루었으며, 순열과의 관계를 밝혔다.[7]
6. 활용
계승진법은 순열의 조합론적 성질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정수가 계승진법으로 표현되었을 때, 정수 0, ..., n!−1 (또는 계승진법으로 n자리 수)과 사전식 순서에서의 n개 요소의 순열 사이에는 자연스러운 사상이 있으며, 이 사상은 레머 부호라고 불린다.[1] 예를 들어 n=3인 경우, 사상은 다음 표와 같다.
10진법 | 계승진법 | 순열 |
---|---|---|
010 | 0:0:0! | (0,1,2) |
110 | 0:1:0! | (0,2,1) |
210 | 1:0:0! | (1,0,2) |
310 | 1:1:0! | (1,2,0) |
410 | 2:0:0! | (2,0,1) |
510 | 2:1:0! | (2,1,0) |
계승진법은 컴퓨터 과학에서 순열 생성 알고리즘 등에 응용될 수 있다.
7. 소수 계승 진법
소수 계승 진법은 계승 진법과 유사한 기수법으로, n번째 자릿수의 가중치를 로 하는 것이다.
자릿수 | 8 | 7 | 6 | 5 | 4 | 3 | 2 | 1 | |
---|---|---|---|---|---|---|---|---|---|
자릿수 가중치 | (p7=17)# | (p6=13)# | (p5=11)# | (p4=7)# | (p3=5)# | (p2=3)# | (p1=2)# | (p0=1)# | |
자릿수 가중치 (10진법) | 510510 | 30030 | 2310 | 210 | 30 | 6 | 2 | 1 | |
자릿수 계수 | 18 | 16 | 12 | 10 | 6 | 4 | 2 | 1 |
이 기수법의 유일성은 다음 항등식에 의해 보장된다.
:
단, 는 소수 계승을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Addison-Wesley
[2]
간행물
Zeitschrift für Mathematik und Physik
[3]
서적
The Art of Computer Programming
Addison-Wesley
[4]
간행물
Sur la numération factorielle, application aux permutations
http://www.numdam.or[...]
[5]
간행물
Using Permutations in .NET for Improved Systems Security
http://msdn2.microso[...]
Microsoft Developer Network
[6]
저널
[7]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