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조지아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조지아어는 5세기부터 11세기까지 사용된 조지아어의 고대 형태이다. 초기 고대 조지아어(5~8세기)와 고전 고대 조지아어(9~11세기)로 구분되며, 각 시기별로 동사 형태와 문헌의 특징을 보인다. 고대 조지아어는 아솜타브룰리라는 고유한 알파벳 문자를 사용했으며, 29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초기 고대 조지아어 텍스트는 비문과 종교적 텍스트를 포함하며, 고전 고대 조지아어 문헌은 철학 및 역사 관련 작품으로 그 범위가 확장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대 조지아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고대 조지아어 |
자기 이름 | ႤႬႠჂ ႵႠႰႧႭჃႪႨ |
계통 색 | 캅카스 |
사용 지역 | 캅카스 |
사용자 수 | 약 600만~700만 명 |
문자 | 조지아 문자 |
어족 | 카르트벨리어족 |
ISO 639-3 | oge |
글롯톨로그 | oldg1234 |
글롯톨로그 이름 | Old Georgian |
2. 주기화
고대 조지아어에는 초기 고대 조지아어(5~8세기)와 고전 고대 조지아어(9~11세기)의 두 시기가 구별된다. 초기 고대 조지아어에는 Khanmet’i(ხანმეტიka, 5~7세기)와 Haemet’i(ჰაემეტიka, 7~8세기)라는 두 가지 방언이 있었다. 이 방언들은 동사 형태에서 2인칭 주어 접두사와 3인칭 목적어 접두사 kh- 또는 h-를 사용했기 때문에 그러한 이름이 붙여졌는데, 고전 고대 조지아어에서는 h-, s- 또는 0이 사용되었다.
2. 1. 초기 고대 조지아어 (5~8세기)
고대 조지아어는 초기 고대 조지아어(5~8세기)와 고전 고대 조지아어(9~11세기)로 나뉜다. 초기 고대 조지아어에는 Khanmet’i(ხანმეტი, 5~7세기)와 Haemet’i(ჰაემეტი, 7~8세기) 방언이 있었다. 이 방언들은 동사 형태에서 2인칭 주어 접두사와 3인칭 목적어 접두사로 kh- 또는 h-를 가졌는데, 고전 고대 조지아어에서는 h-, s- 또는 0으로 나타난다.2. 2. 고전 고대 조지아어 (9~11세기)
고대 조지아어에는 초기 고대 조지아어(5~8세기)와 고전 고대 조지아어(9~11세기)의 두 시기가 구별된다. 초기 고대 조지아어에는 Khanmet’i(ხანმეტი, 5~7세기)와 Haemet’i(ჰაემეტი, 7~8세기)라는 두 가지 방언이 있었다. 이 방언들은 동사 형태에서 2인칭 주어 접두사와 3인칭 목적어 접두사 kh- 또는 h-를 사용했기 때문에 그러한 이름이 붙여졌는데, 고전 고대 조지아어에서는 h-, s- 또는 0이 사용되었다.3. 문자
고대 조지아어는 아솜타브룰리 "대문자" 또는 므르글로바니 "둥근"이라고 알려진 고유한 알파벳 문자로 작성되었다. 알파벳은 음소에 매우 가까워 음소와 문자소 사이에 훌륭한 "적합"을 보여준다. 그리스 알파벳을 모델로 하여 기본적으로 동일한 알파벳 순서를 보이고 비그리스 음소를 나타내는 문자가 끝에 모였다. 거의 모든 조지아 음소에 대한 문자 외에도 알파벳에는 조지아어에 없는 그리스 음소를 나타내는 세 개의 문자(ē, ü 및 ō)가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개별 문자는 완전히 독립적인 디자인인 것처럼 보이며 그리스어 대응 문자를 직접 기반으로 하는 문자는 몇 개뿐이다(그리스어 Φ Θ Χ [pʰ tʰ kʰ], Asomtavruli Ⴔ Ⴇ Ⴕ 참조).
그리스 문자 | Α | Β | Γ | Δ | Ε | Ϝ | Ζ | Η | Θ | Ι | Κ | Λ | Μ | Ν | (Ξ) | Ο | Π | (Ϙ) | Ρ |
---|---|---|---|---|---|---|---|---|---|---|---|---|---|---|---|---|---|---|---|
아솜타브룰리 | Ⴀ | Ⴁ | Ⴂ | Ⴃ | Ⴄ | Ⴅ | Ⴆ | Ⴡ | Ⴇ | Ⴈ | Ⴉ | Ⴊ | Ⴋ | Ⴌ | Ⴢ | Ⴍ | Ⴎ | Ⴏ | Ⴐ |
로마자 | a | b | g | d | e | v | z | ē | t | i | k’ | l | m | n | y | o | p’ | zh | r |
그리스 문자 | Σ | Τ | Υ | Φ | Χ | (Ψ) | – | – | – | – | – | – | – | – | – | – | – | Ω | |
아솜타브룰리 | Ⴑ | Ⴒ | Ⴣ | Ⴔ | Ⴕ | Ⴖ | Ⴗ | Ⴘ | Ⴙ | Ⴚ | Ⴛ | Ⴜ | Ⴝ | Ⴞ | Ⴤ | Ⴟ | Ⴠ | Ⴥ | |
로마자 | s | t’ | ü | p | k | gh | q’ | sh | ch | ts | dz | ts’ | ch’ | kh | q | j | h | ō |
3. 1. 아솜타브룰리 문자
고대 조지아어는 아솜타브룰리 "대문자" 또는 므르글로바니 "둥근"이라고 알려진 고유한 알파벳 문자로 작성되었다. 알파벳은 음소에 매우 가까워 음소와 문자소 사이에 훌륭한 "적합"을 보여준다. 그리스 알파벳을 모델로 하여 기본적으로 동일한 알파벳 순서를 보이고 비그리스 음소를 나타내는 문자가 끝에 모였다. 거의 모든 조지아 음소에 대한 문자 외에도 알파벳에는 조지아어에 없는 그리스 음소를 나타내는 세 개의 문자(ē, ü 및 ō)가 포함되어 있다. 대부분의 개별 문자는 완전히 독립적인 디자인인 것처럼 보이며 그리스어 대응 문자를 직접 기반으로 하는 문자는 몇 개뿐이다(그리스어 Φ Θ Χ [pʰ tʰ kʰ], Asomtavruli Ⴔ Ⴇ Ⴕ 참조).그리스 문자 | Α | Β | Γ | Δ | Ε | Ϝ | Ζ | Η | Θ | Ι | Κ | Λ | Μ | Ν | (Ξ) | Ο | Π | (Ϙ) | Ρ |
---|---|---|---|---|---|---|---|---|---|---|---|---|---|---|---|---|---|---|---|
아솜타브룰리 | Ⴀ | Ⴁ | Ⴂ | Ⴃ | Ⴄ | Ⴅ | Ⴆ | Ⴡ | Ⴇ | Ⴈ | Ⴉ | Ⴊ | Ⴋ | Ⴌ | Ⴢ | Ⴍ | Ⴎ | Ⴏ | Ⴐ |
로마자 | a | b | g | d | e | v | z | ē | t | i | k’ | l | m | n | y | o | p’ | zh | r |
그리스 문자 | Σ | Τ | Υ | Φ | Χ | (Ψ) | – | – | – | – | – | – | – | – | – | – | – | Ω | |
아솜타브룰리 | Ⴑ | Ⴒ | Ⴣ | Ⴔ | Ⴕ | Ⴖ | Ⴗ | Ⴘ | Ⴙ | Ⴚ | Ⴛ | Ⴜ | Ⴝ | Ⴞ | Ⴤ | Ⴟ | Ⴠ | Ⴥ | |
로마자 | s | t’ | ü | p | k | gh | q’ | sh | ch | ts | dz | ts’ | ch’ | kh | q | j | h | ō |
4. 음운론
고대 조지아어에는 29개의 음소 자음과 5개의 음소 모음이 있었다. 모국어 철자는 모음 i의 모음 뒤에 있는 이중모음인 반모음 y를 구별한다.[3]
다음 표는 국가 음역 시스템(2002)의 자음을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유기음은 표시하지 않고 성문음은 아포스트로피로 표시한다. 국제 음성 알파벳(IPA) 동등어는 다를 경우 대괄호로 표시한다.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음/ 치경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기본 | 치찰음 | |||||||
파열음/ 파찰음 | 유기음 | p [pʰ] | t [tʰ] | ts [tsʰ] | ch [tʃʰ] | k [kʰ] | q [qʰ] | |
성문음화음 | p’ [pˀ] | t’ [tˀ] | ts’ [tsˀ] | ch’ [tʃˀ] | k’ [kˀ] | q’ [qˀ] | ||
유성음 | b | d | dz | j [dʒ] | g | |||
마찰음 | 무성음 | s | sh [ʃ] | kh [χ] | h | |||
유성음 | z | zh [ʒ] | gh [ʁ] | |||||
비음 | m | n | ||||||
전동음 | r | |||||||
설측음 | l | |||||||
반모음 | w | y [j] |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 | u | |
중모음 | e | o | |
저모음 | a |
4. 1. 자음
고대 조지아어에는 29개의 음소 자음과 5개의 음소 모음이 있었다. 모국어 철자는 모음 i의 모음 뒤에 있는 이중모음인 반모음 y를 구별한다.[3]다음 표는 국가 음역 시스템(2002)의 자음을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유기음은 표시하지 않고 성문음은 아포스트로피로 표시한다. 국제 음성 알파벳(IPA) 동등어는 다를 경우 대괄호로 표시한다.
rowspan="2" colspan="2" | | 순음 | 치음/ 치경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파열음/ 파찰음 | p | t | ts | ch | k | q | ||
p’ | t’ | ts’ | ch’ | k’ | q’ | |||
j | ||||||||
마찰음 | sh | kh | ||||||
zh | gh | |||||||
비음 | ||||||||
전동음 | ||||||||
설측음 | ||||||||
반모음 | y |
4. 2. 모음
고대 조지아어에는 5개의 음소 모음이 있었다.[3] 모국어 철자는 모음 i의 모음 뒤에 있는 이중모음인 반모음 y를 구별한다.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
중모음 | |||
저모음 |
5. 텍스트
초기 고대 조지아어 텍스트의 코퍼스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며, 12개의 비문과 종교적 텍스트가 포함된 8개의 사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 고대 조지아어의 문헌은 철학 및 역사학 작품을 포함하여 범위가 더 넓다.
5. 1. 초기 고대 조지아어 텍스트
초기 고대 조지아어 텍스트의 코퍼스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며, 12개의 비문과 종교적 텍스트가 포함된 8개의 사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 고대 조지아어의 문헌은 철학 및 역사학 작품을 포함하여 범위가 더 넓다.5. 2. 고전 고대 조지아어 텍스트
초기 고대 조지아어 텍스트의 코퍼스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며, 12개의 비문과 종교적 텍스트가 포함된 8개의 사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전 고대 조지아어의 문헌은 철학 및 역사학 작품을 포함하여 범위가 더 넓다.참조
[1]
서적
An Encyclopedia of the Languages of Europe
Blackwell
1998
[2]
문서
새 문자 Ⴓ u가 ႭჃ oü를 대체한 뒤에 ႤႬႠჂ ႵႠႰႧႳႪႨ를 철자했다.
[3]
논문
유성 구개수 파열음 *ɢ는 Proto-Kartvelian(Fähnrich 2007:15)에 대해 재구성될 수 있다. 조지아어에서 이 자음은 선사 시대에 gh와 합쳐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