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트벨리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트벨리어족은 밀접하게 관련된 네 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반어, 조지아어, 밍그렐어, 라즈어가 여기에 속한다. 조지아어는 조지아의 공용어이며, 스반어는 스바네티 지역에서, 밍그렐어는 조지아 서부 지역에서, 라즈어는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아자르 지역에서 사용된다. 이 언어들은 문법적 성의 흔적, 격변화, 그리고 동사의 인칭 표시 등 공통적인 특징을 공유한다. 카르트벨리어족은 다른 언어족과의 관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언어연대학적 분석을 통해 기원전 7600년경에 스반어와 카르토-잔어(조지아-잔어파)로 분리되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캅카스어족 - 라즈어
라즈어는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중 하나로 메그렐어와 함께 잔어파를 형성하며,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터키 알파벳 기반 문자와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나 표준 문자가 없어 화자들은 터키어나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 남캅카스어족 - 조지아어
조지아어는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독립된 어족의 언어로, 5세기부터 문헌으로 기록되었고 므케드루리 문자를 사용하며, 복잡한 자음 체계와 다양한 방언을 가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의 교착어이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카르트벨리어족 | |
---|---|
지도 | |
언어 정보 | |
이름 | 카르트벨리어족 |
다른 이름 | ქართველური |
지역 | 코카서스 남서부, 아나톨리아 북동부 |
어족 색상 | 캅카스 |
어족 | 세계의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원시 카르트벨리어 |
하위 언어 | 스반어 조지아어-잔어 (카르토-잔) |
ISO 639-5 코드 | ccs |
Glotto 코드 | kart1248 |
Glotto 참조 이름 | 카르트벨리어 |
Lingua 코드 | 42-C |
LingList 코드 | kart, scau |
추정 사용 시기 | 기원후 430년경 |
![]() |
2. 분류
카르트벨리어족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네 개의 언어로 구성된다.
3. 현황
조지아어는 조지아의 공용어이며(인구의 90%가 사용), 문학 및 상업 용도로 주요 언어로 사용된다. 독창적이고 독특한 알파벳으로 쓰여 있으며, 가장 오래된 기록물은 5세기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조지아 문자는 그리스 알파벳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만,[12] 확실하지는 않다.
메그렐어는 1864년부터, 특히 메그렐인들이 일정한 문화적 자치를 누렸던 1930년부터 1938년까지 그리고 1989년 이후로 조지아 알파벳으로 쓰여 왔다.
라즈어는 주로 1927년부터 1937년까지, 그리고 현재는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여 터키에서 다시 쓰이고 있다. 그러나 라즈어는 사용자들이 주요 언어인 터키어로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스반어는 약 3만 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지만, 소멸이 우려되고 있다.
메그렐어와 라즈어는 비교적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두 언어를 합쳐서 잔어파(Zan) 또는 잔어(Zan)라고 부른다. 네 언어 중에서 조지아어만이 1500년 이상의 문자 언어로서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화자 수도 가장 많다. 조지아어는 거의 모든 메그렐어와 스반어 화자, 일부 라즈어 화자에게도 문어로 사용된다.
4. 계통
카르트벨리어족은 스반어, 조지아어, 민그렐어, 라즈어의 네 개 언어로 구성된다. 이 언어들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조지아어는 1500년 이상의 문자 언어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화자 수가 가장 많다. 거의 모든 민그렐어와 스반어 화자, 그리고 일부 라즈어 화자에게 문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요한 안톤 굴덴슈테트(Johann Anton Güldenstädt)가 1773년 코카서스 지역 언어 분류에서 처음으로 이들 언어 간의 연관성을 보고했으며, 이후 1840년대 G. 로젠(G. Rosen), 마리-펠리시테 브로세(Marie-Félicité Brosset), 프란츠 보프(Franz Bopp) 등이 이를 증명했다.
현재까지 북서 코카서스어족 및/또는 북동 코카서스어족을 포함한 다른 언어와의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다.[12] 노스트라틱어족과 같은 다른 어족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지지를 얻지 못했다.[13] 바스크어와 특정 문법적 유사성이 지적되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하다고 여겨진다.[12] 다른 언어 계통과의 유사성은 면적적 영향 때문일 수 있다. 북 코카서스어족에서 카르트벨리어족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상호 대규모 차용이 관찰되었으므로, 특정 문법적 특징 또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카르트벨리어족의 공통 특징으로는 방출음의 존재, 능격을 포함한 10개 정도의 격 구별, 동사가 주어뿐만 아니라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의 인칭·수도 표시하는 것 등이 있다. 자음과 모음 체계는 거의 같지만, 스반어의 몇몇 방언은 많은 모음을 구별한다. 현대 라즈어에는 터키어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4. 1. 계통도
카르트벨리어족의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9][10]
이들 언어 간의 연관성은 1773년 코카서스 지역 언어 분류에서 요한 안톤 굴덴슈테트(Johann Anton Güldenstädt)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으며, 이후 1840년대 G. 로젠(G. Rosen), 마리-펠리시테 브로세(Marie-Félicité Brosset), 프란츠 보프(Franz Bopp) 등에 의해 증명되었다. 잔어파는 민그렐어와 라즈어를 포함한다.
언어연대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게오르기 클리모프(Georgi Klimov)는 원시 카르트벨리어가 스반어와 원시 조르지아-잔어(원시 카르토-잔어)로 분화된 시기를 기원전 19세기로 추정하며, 조지아어와 잔어파로의 추가적인 분화는 기원전 8세기로 추정한다.[10] 하지만 이러한 연대 측정은 매우 예비적인 것이며 상당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9]
2023년 연구에서는 베이즈 통계를 이용한 언어 계통 발생 분석과 고고학적, 민족생태학적, 인구 유전학적 데이터를 함께 사용하여 스반어와 카르토-잔어의 분기가 훨씬 이전에 발생했음을 시사한다. 이 다학제적 접근 방식은 기원전 약 7600년, 초기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발산 시기를 제시한다.[11]
5. 음운론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네 언어는 자음과 모음 체계가 거의 같지만, 스반어의 몇몇 방언은 많은 모음을 구별한다. 이들 언어는 방출음을 가지고 있으며, 능격을 포함한 10개 정도의 격을 구별한다. 또한 동사는 주어뿐만 아니라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의 인칭·수도 표시한다. 현대 라즈어에는 터키어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14]
5. 1. 정규 대응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모음과 자음에 있어서 정규적인 대응 관계를 보인다.원시 카르트벨리어 | 조지아어 | 자니어 | 스반어 |
---|---|---|---|
*ა (*a) | a | o | a |
*ე (*e) | e | a | e |
*ი (*i) | i | i | i |
*ო (*o) | o | o | o |
*უ (*u) | u | u | u |
6. 문법
카르트벨리어족에 속하는 네 언어는 모두 교착어이며, 동사는 주어뿐만 아니라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의 인칭 및 수를 표시한다. 또한 방출음이 존재하고, 능격을 포함하여 10개 정도의 격이 구별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자음과 모음 체계는 거의 유사하지만, 스반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더 많은 모음을 구별한다.
메그렐어와 라즈어는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어 잔어파(Zan)로 묶이기도 한다. 카르트벨리어족의 분기 과정을 살펴보면, 기원전 1000년경 스반어가 먼저 분리되었고, 이후 기원전후경 조지아어가 잔어파(메그렐어·라즈어)로부터 분리되었다. 메그렐어와 라즈어는 약 1200년 전에 분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라즈어는 현대에 들어 터키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16]
6. 1. 명사 분류
카르트벨리어족 언어는 생명력에 기반한 문법적 성의 흔적을 보이며, 사물을 '지적인' ("누구"-계열) 존재와 '비지적인' ("무엇"-계열) 존재로 분류한다.구체적인 | 추상적인 | ||
---|---|---|---|
생명체 | 무생물 | ||
인간 및 "인간과 유사한" 존재 (예: 신, 신들, 천사) | 동물 | 무생물적 실체 | 추상적인 사물 |
지적인 | 비지적인 | ||
"누구"-계열 | "무엇"-계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