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장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장공은 북제의 황족으로, 541년에 태어나 573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그는 뛰어난 용맹함과 미려한 외모로 널리 알려졌으며, 특히 북주의 침략을 막아낸 망산 전투에서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적진을 돌파하는 활약을 펼쳤다. 그의 용맹을 기리는 '난릉왕입진곡'이라는 노래가 만들어졌고, 이 이야기는 가면을 쓰고 싸웠다는 전설로 이어져 당나라와 일본 등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해졌다. 그러나 고장공은 후주 고위의 질투를 받아 결국 독살되었으며, 그의 죽음 이후 북제는 쇠퇴하여 멸망에 이르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장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야지마구치역 바깥쪽, 이쓰쿠시마 신사로 가는 페리 방향에 있는 난릉왕상
전체 이름성: 고(高)
이름: 숙(肅) / 효관(孝瓘)
자: 장공(長恭)
출생541년
사망일573년 6월 또는 7월
배우자정씨 부인
작위
작위명난릉왕(蘭陵王)
시호무왕(武王)
가계
부친고징
자녀목염군주(穆念郡主)
군사 경력
주요 참전 전투/전쟁전투/전쟁 정보가 없습니다.

2. 생애

고장공(高長恭)은 북제 초대 황제 고양의 형인 고징의 넷째 아들로, 북제의 왕자였다. 560년 5월 1일에 란릉왕의 작위를 받았다.[3] 숙부인 북제 무성제 (고담)에 의해 장군으로 임명되었으며, 뛰어난 전투 능력과 자애로움, 용맹함으로 널리 사랑받고 존경받았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여자처럼 아름다운 외모를 지녔기에, 전투에서 적에게 더 위협적으로 보이기 위해 가면을 썼다고 한다.[4]

고장공은 돌궐이 진양 (晉陽, 현재 타이위안시)을 공격했을 때 그들을 격퇴하는 등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다. 564년 금용(金墉, 현대 뤄양 근처) 포위 공격을 구원한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는데, 500명의 기병을 이끌고 10만 명의 군사를 거느린 북주 군대와 싸워 성문까지 돌파, 투구와 가면을 벗어 병사들에게 용기를 주고 성문을 열어 북주군을 패배시켰다.

이 승리를 기념하여 군인들은 "란릉왕입진곡" (蘭陵王入陣曲, 일명 大面, "큰 가면")을 작곡했다. 당나라 교방기에 따르면 "큰 가면" 춤은 황제 알현과 함께 공연되는 궁중 음악 중 하나였다.[5] 이 노래와 춤은 중국에서는 사라졌지만, 당나라 때 일본에 전해져 蘭陵王 (らんりょうおう)|란료오일본어로 알려졌으며, 오늘날에도 일부 의식에서 공연되고 있다.[6]

일본에서 란릉왕 (蘭陵王)의 가면 무용 공연.


고담 사후, 사촌 고위가 왕위에 오르자 고장공의 명성과 능력은 젊은 황제를 불안하게 했다. 고위는 금용 전투에 대해 질문하며 "너무 깊숙이 진형으로 들어갔다"고 하자, 고장공은 "집안의 일을 책임지고 있기에,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그렇게 했습니다."라고 답했다. 황제는 "집안의 일"이라는 언급에 의심을 품고[6] 그를 두려워했다.

고장공은 황제의 의심을 피하고자 병을 핑계로 전쟁과 정치에서 멀리했다. 그러나 573년 황제가 보낸 독주를 마시고 30대 초반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고장공 사후 4년 뒤, 북제는 북주에 멸망당했고 고씨 왕족들은 학살되었다.[6]

1999년, 룽먼 석굴에서 란릉왕의 후손이 살아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조각된 조각상이 발견되었다.

2. 1. 탄생과 성장 배경

541년, 고장공은 고징의 셋째 혹은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고징은 많은 부인을 두었으나, 고장공의 어머니는 형제들 중 유일하게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다.[30] 이는 고장공이 북제 황실에서 방계 혈족으로 취급되는 배경이 되었다.[31]

549년 아버지 고징이 암살되자, 고장공의 숙부인 고양(북제 문선제)이 복수하고 550년 동위 효정제에게 선양을 강요해 북제를 건국했다. 이로써 고장공은 황족의 일원이 되었다.[31]

557년, 고장공은 관직에 진출하여 산기시랑(散騎侍郞)에 임명되었다. 558년에는 낙성현개국공(落城縣開國公)에 봉해지고 식읍 800호를 받았다.

2. 2. 난릉왕 책봉과 초기 군사 활동

560년 3월, 고장공은 서주(徐州) 난릉왕(蘭陵王)에 봉해졌다. (난릉군(蘭陵郡)은 현재 산동성(山東省) 임기시(臨沂市)에 위치)[3] 같은 해 8월, 중령군(中領軍)으로 전직되었다. 562년에는 사지절도독병주제군사(使持節・都督幷州諸軍事) 및 병주자사(幷州刺史)로 승진했다. 당시 병주는 북쪽으로는 돌궐(突厥), 서쪽으로는 북주(北周)와 접하는 최전선이었는데, 돌궐이 진양(晉陽)을 침입하자 고장공은 힘껏 싸워 이를 물리쳤다.[30][31]

564년, 북주의 재상 우문호가 어머니 염씨의 신병 반환과 양국의 화의를 요청했으나, 약속을 깨고 낙양을 포위했다. 고장공은 곡률광과 함께 구원에 나섰지만, 망산에 진을 친 북주군 때문에 발이 묶였다. 그러나 단소가 정예 기병 1,000기를 이끌고 와서 좌군을 맡고, 고장공이 중군, 곡률광이 우군이 되어 북주군과 대치했다. 단소우문호의 불의를 비난하자 북주군이 공격해 왔고, 북제군은 퇴각하며 피로해지기를 기다려 반격하여 대승을 거두었다.

이후 고장공은 500기의 기병을 이끌고 북주군을 향해 재돌입하여 낙양성 서북쪽의 금용성(金墉城)에 다다랐다. 포위가 심해 성의 수비병들은 고장공의 부대가 아군인지 알 수 없었다. 고장공이 투구를 벗고 맨얼굴을 드러내자, 아군임을 확인한 수비병들은 쇠뇌를 내리고 문을 열었고, 결국 북주에게 승리했다. 북제의 병사들은 그의 용맹을 칭송하며 "란릉왕 입진곡"이라는 노래를 만들었다.[16] 이 일화는 당나라 때에는 "그 미모가 병졸들의 사기를 떨어뜨릴까 두려워, 항상 가면을 쓰고 싸웠다"라는 전설로 변화했다.[17]

2. 3. 망산 전투와 "난릉왕입진곡"

564년, 북주의 재상 우문호는 어머니 염씨가 북제에 있다는 것을 알고 신병 반환과 양국 간 화친을 제안했다. 무성제는 중신 단소의 반대를 무릅쓰고 염씨를 돌려보냈으나, 우문호는 약속을 어기고 그해 11월 우문헌, 위지경, 달해무 등에게 10만 군사를 주어 낙양을 포위하게 했다. 고장공은 곡률광과 함께 구원군으로 나섰으나, 낙양 북쪽 망산(邙山)에 진을 친 북주군으로 인해 진군을 멈추게 되었다. 그러나 단소가 진양에서 정예병 1천 기를 이끌고 와서 단소가 좌군, 고장공이 중군, 곡률광이 우군을 맡아 북주군과 대치했다. 단소가 우문호의 불의를 비난하자 북주군은 산을 올라 공격해 왔고, 북제군은 퇴각했다가 적군이 피로해진 틈을 타 반격하여 크게 이겼다.

이후 고장공은 500기의 기병을 이끌고 다시 북주군에 돌입, 낙양 서북쪽 금용성(金墉城)에 이르렀다. 그러나 북주군의 포위가 심하여 성의 수비병들은 고장공의 부대가 아군인지 적군인지 알 수 없었다. 고장공은 투구를 벗어 얼굴을 보였고[32], 아군임을 확인한 수비병들은 문을 열어 북주군을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북제의 병사들은 '''난릉왕입진곡'''(蘭陵王入陣曲)이라는 노래를 지어 그의 용맹을 기렸다.[33] 이 일화는 당나라 때 '그 미모가 병사들의 사기를 떨어뜨릴 것을 우려하여 항상 가면을 쓰고 싸웠다'라는 전설로 발전했다. 당나라 『교방기(敎坊記)』에는 '「대면(大面)」이라는 무곡은 북제 난릉왕 고장공에게서 나왔다. 고장공은 성품이 대담하고 용맹하지만 용모는 부인과 같지만 스스로 적을 위압할 수 없다는 것을 싫어하여 나무를 깎아 가면을 만들고 군진에 나가서 그것을 썼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난릉왕입진곡"은 무측천의 연회에서 손자 기왕(岐王) 이범(李範)이 『난릉왕(蘭陵王)』이라는 무곡을 추는 등 후세에도 이어졌다.[34]

"난릉왕입진곡"은 중국에서는 오래전에 사라졌지만, 당나라 때 일본에 전해져 란료오|蘭陵王 (らんりょうおう)|Ran-ryō-ō일본어로 알려졌으며, 오늘날에도 일부 의식에서 공연되고 있다.[6]

2. 4. 후주 고위와의 갈등과 죽음

망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후주 고위는 고장공에게 "적진 깊숙이 들어갔는데, 만약 패배했다면 어쩔 뻔했는가?"라고 물었다. 고장공은 "집안일이라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그렇게 했습니다."라고 대답했다.[6] 황제는 '집안일'이라는 표현에 의심을 품게 되었다.[6] 그는 고장공이 자신을 몰아낼 수도 있다고 두려워했다. 많은 고씨 가문 사람들이 형제나 사촌의 손에 죽었기 때문에, 자신도 같은 운명을 맞을까 봐 걱정했다.

고장공은 황제의 의심과 질투를 피하고자 종종 아픈 척하며 전쟁과 정치에서 멀어지려 했다. 그러나 573년, 황제는 그에게 독주를 보냈고, 고장공은 이를 마시고 30대 초반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6]

고장공 사후 4년 뒤, 뛰어난 장수를 잃은 북제는 북주에 의해 멸망당했다. 고씨 왕족들은 모두 학살되었다.[6]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정실왕비 정씨(王妃 鄭氏)
후실수비 양씨(粹妃 梁氏)
목염군주(穆念郡主)



1999년 룽먼 석굴에서 발견된 조각상 명문에는 고장공의 손자 고원간이 영륭 2년에 사망한 모친 조씨의 공양을 위해 지장보살상과 관음보살상을 봉납했다는 기록이 있다.[6] 이는 고장공의 가계가 적어도 당나라 고종 시대까지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4. 평가와 영향

고장공은 용맹함, 수려한 외모, 겸손한 성품을 겸비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부하를 아끼고 백성에게 관대했으며,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북제를 여러 차례 위기에서 구했다. 특히 낙양 방위전에서 투구를 벗고 얼굴을 보여 병사들의 사기를 올린 일화는 유명하다. 이러한 모습은 백성들에게 널리 사랑받고 존경받는 이유가 되었다.[4]

고장공의 죽음은 북제의 멸망을 가속화시킨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곡률광과 더불어 고장공이 죽자 북제의 국력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결국 북주에 멸망당했다. 『북제서』는 "만약 난릉왕에게 전권을 맡겼다면 결과는 몰랐을 것"이라며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했다.[37]

그의 용맹함과 승리를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난릉왕입진곡"은 당나라 시대를 거쳐 일본에 전해져 현재까지도 공연되고 있다.[6] 이는 고장공의 이야기가 단순한 역사적 사실을 넘어 동아시아 문화권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현대에 이르러 고장공의 이야기는 소설,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로 재창작되고 있다. 코에이의 게임 ''삼국지 11''에 등장하고, 2013년 드라마 ''난릉왕''[7]과 2016년 드라마 ''난릉공주''로 각색되었다. 또한, 《페이트/그랜드 오더》, "Legend of the Phoenix",[8][9] 왕자영요[10] 등 게임에도 등장하여 그의 인기를 실감케 한다. 일본 소설가 미시마 유키오의 소설에도 등장한다.

5. 대중문화 속 고장공

고장공은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삼국지 11''에 특별 캐릭터로 등장한다.[7] 2013년 텔레비전 드라마 ''난릉왕''과 2016년 텔레비전 드라마 ''난릉공주''에서 그의 이야기가 각색되었다.

고장공은 《페이트/그랜드 오더》에서 "난릉왕"으로 등장하며, 모바일 게임 "Legend of the Phoenix"에서는 측근이자 파트너로,[8][9] 모바일 MOBA 게임 왕자영요에서는 암살자 정글러로 등장한다.[10]

미시마 유키오다나카 요시키는 각각 소설 『란릉왕』과 『란릉왕』을 통해 고장공을 다루었다.

2013년 대만과 중국 합작 텔레비전 드라마 『란릉왕』에서는 윌리엄 펑이, 2016년 텔레비전 드라마 『란릉왕비|란릉왕비중국어』에서는 안디 첸이 고장공(란릉왕) 역을 연기했다.

2018년 다카라즈카 가극단은 『능왕 - 너무 아름다운 무장 -』을 상연했으며, 나기나 루미가 고장공(란릉왕) 역을 맡았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서적 A General History of Chinese Art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2
[5] 서적 中西音乐史简编 https://books.google[...] 西南財經大學出版社
[6] 서적 Music from the Tang Court: Volume 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뉴스 《蘭陵王》收視火 燒給楊登魁知 http://www.chinatime[...] 中國時報 2013-09-04
[8] 웹사이트 『FGO』新サーヴァント「★4 蘭陵王(セイバー)」「★4 秦良玉(ランサー)」「★5 項羽(バーサーカー)」実装決定!【UPDATE】 https://www.inside-g[...] 2018-11-28
[9] 웹사이트 【FGO】蘭陵王(らんりょうおう)の霊基再臨&スキルLv上げ素材、ステータスまとめ http://www.appbank.n[...] 2018-11-29
[10] 웹사이트 王者荣耀兰陵王-王者荣耀官网网站-腾讯游戏 https://pvp.qq.com/w[...] 2023-03-31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간행물 蘭陵王及其後裔 統一論壇 2000-02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인용
[37] 서적 북제서(北齊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