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소는 한국의 전통 관악기로,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나 퉁소를 개량하여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대나무로 제작되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교육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맑고 유창한 음색을 내며 전통 음악에서 고음역을 담당하고, 독주 악기나 생황, 양금과 함께 병주하는 악기로 사용된다. 영산회상, 세악 등 줄풍류에 편성되며, 전용선과 같은 명인에 의해 단소 산조가 연주되기도 한다. 현재는 교육용 악기로도 널리 사용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고음단소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청성곡, 세령산, 헌천수, 타령 등이 단소로 연주되는 대표적인 악곡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관악기 - 대금
    대금은 신라 시대부터 사용된 한국 전통 관악기로, 쌍골죽으로 만들어 맑고 청아한 소리를 내며 다양한 음악에 사용된다.
  • 죽관악기 - 피리
    피리는 대나무로 만든 한국 전통 관악기로, 서역에서 유래되어 고구려 시대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피리, 향피리, 세피리 세 종류로 나뉘어 다양한 장르에서 주선율을 담당한다.
  • 관악기 - 아울로스
    아울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관악기로, 갈대 재료 설과 프리지아 유래 설이 있으며 기원전 3000년경부터 지중해 지역에서 사용되었고 군악, 애가, 제례, 극 등 다양한 사회적 환경에서 사용되었으며 마르시아스가 아폴론과의 음악 경연에 사용한 악기로도 알려져 있다.
  • 관악기 - 케나
    케나는 U자 또는 V자 모양의 홈으로 취구를 형성하고 앞면에 6개, 뒷면에 1개의 지공이 있는 세로피리 종류의 목관악기로, 안데스 민속 음악에서 삼포냐와 함께 사용된다.
  • 목관악기 - 색소폰
    색소폰은 아돌프 삭스가 발명한 목관 악기로, 다양한 음역과 음색을 지니며 재즈와 클래식 등 여러 장르에서 사용되고 알토, 테너, 바리톤, 소프라노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목관악기 - 오보에
    오보에는 이중 리드를 사용하는 목관 악기로, 17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다양한 음악 장르에서 활용된다.
단소

2. 기원과 역사

단소는 《악학궤범》은 물론 그 이후의 문헌에도 나오지 않아 정확한 기원을 알 수 없다.[5] 함화진의 《한국음악소사》에는 단소가 4000여 년 전 황제(黃帝) 때에 기백(岐佰)이 만들었고 우리나라에는 조선 순조 때에 에서 들어왔다고 하나 정확한 근거는 없다.[6]

제도와 형태가 퉁소와 유사한 점으로 보아서 조선 후기에 퉁소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보고 있다.[4]

3. 특징

단소는 전통음악에서 주로 고음역을 담당하며 매우 복잡한 꾸밈음을 구사한다. 관악기 특유의 길게 뻗는 소리와 생김새가 잘 어우러져 맑고 유창한 느낌을 준다.

3. 1. 구조

단소는 주로 대나무로 만든다. 그러나 악기가 작아 섬세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육용으로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단소를 많이 사용한다. 길이는 재료로 삼은 대나무에 따라 다르나 약 43cm가량 되며, 아래쪽은 뚫려 있다. 지공은 퉁소와 같이 앞에 4개, 뒤에 1개가 있으며, 퉁소와 달리 가장 아래쪽의 지공은 잘 쓰지 않는다.

3. 2. 음역

단소의 음역은 협종(夾: G)부터 중청중려(㴢: A)까지이다.

4. 이용과 편성

단소는 산조에 쓰이거나, 현대에는 교육용 악기로 많이 사용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고음단소를 개발하여 배합관현악에 이용하고 있다. 단소로 연주되는 대표적인 악곡에는 <청성곡>, <세령산>, <헌천수>, <타령> 등이 있다.[8]

4. 1. 병주

단소는 음색이 맑아 전통 음악에서 독주 악기로 많이 쓰인다. 또한 병주(倂奏) 악기로도 많이 쓰이는데, 생황과 병주하는 음악을 '생소병주(笙簫倂奏)', 양금과 병주하는 음악은 '양소병주(洋簫倂奏)'라고 한다. 양금과 마찬가지로, 영산회상과 같은 줄풍류나 세악에도 편성된다.

4. 2. 편성

단소는 음색이 맑아 전통 음악에서 독주 악기로 많이 쓰인다. 또한 병주(倂奏) 악기로도 많이 쓰이는데, 생황과 병주하는 음악을 '생소병주(笙簫倂奏)', 양금과 병주하는 음악은 '양소병주(洋簫倂奏)'라고 한다. 영산회상과 같은 줄풍류나 세악에도 편성된다.[7]

4. 3. 단소 산조

단소 산조는 단소의 명인이었던 전용선 등이 취구가 작아 요성의 폭이 좁은 악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단소 산조를 짜서 연주한 것이다.[7]

4. 4. 현대적 이용

단소는 음색이 맑아 전통 음악에서 독주 악기로 많이 쓰인다. 생황과 함께 연주하는 '생소병주(笙簫倂奏)', 양금과 함께 연주하는 '양소병주(洋簫倂奏)'와 같이 병주(倂奏) 악기로도 많이 쓰인다. 또한 양금처럼 영산회상과 같은 줄풍류나 세악에 편성되기도 한다.

전용선 등 단소 명인들은 취구가 작아 요성 폭이 좁은 악기 한계를 극복하고 단소 산조를 짜서 연주하였다.[7] 현대에는 초보자가 배우기 쉽고 음량이 작아 학생들이 배우는 교육용 악기로 많이 사용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단소 음역을 높인 고음단소를 개발하여 배합관현악에 쓰고 있다.

단소로 연주하는 대표적인 곡으로는 <청성곡>, <세령산>, <헌천수>, <타령> 등이 있다.[8]

5. 연주곡

단소는 음색이 맑아 전통 음악에서 독주 악기로 많이 쓰인다. 또한 생황과 함께 연주하는 '생소병주(笙簫倂奏)', 양금과 함께 연주하는 '양소병주(洋簫倂奏)'와 같이 병주(倂奏) 악기로도 많이 쓰인다. 양금과 마찬가지로, 영산회상과 같은 줄풍류나 세악에도 편성된다.

단소 산조는 단소의 명인이었던 전용선 등이 취구가 작아 요성의 폭이 좁은 악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단소 산조를 짜서 연주하였다.[7]

단소로 연주되는 대표적인 악곡에는 청성곡, 세령산, 헌천수, 타령 등이 있다.[8]

6. 단소 종류 (갤러리)

옥단소 ( 단소)

참조

[1] 웹사이트 TANSO https://omeka1.grinn[...] Grinnell College 2016-01-01
[2] 웹사이트 단소(短簫) http://encykorea.aks[...] 2021-05-21
[3] 웹사이트 단소 - 문화콘텐츠닷컴 https://www.culturec[...] 2021-05-04
[4] 서적 국악 길라잡이 서울미디어
[5] 서적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6] 서적 국악작곡입문 현대음악출판사
[7] 웹사이트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http://www.ncktpa.go[...] 2008-09-16
[8] 웹인용 단소 - 문화콘텐츠닷컴 https://web.archive.[...] 2021-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