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화국 선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화국 선포는 1916년 부활절 봉기 지도자들이 아일랜드 독립과 새로운 국가 건설에 대한 비전을 담아 발표한 문서이다. 이 선언문은 봉기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아일랜드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아일랜드 국민의 아일랜드 소유 권리, 공화국 정부 형태, 모든 시민에게 종교적·시민적 자유와 평등한 권리 보장, 성별에 관계없는 보편적 선거권, 국가의 모든 아이들을 평등하게 존중할 것을 선언했다. 선언문은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 아일랜드 의용군, 아일랜드 시민군을 통해 조직되었으며, 7명의 지도자가 서명했으나 봉기 이후 모두 처형되었다. 현재 아일랜드의 국보로 여겨지며, 매년 부활절 봉기 기념 행사에서 낭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아일랜드 - 부활절 봉기
    1916년 부활절 주간에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영국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인 부활절 봉기는 군사적으로는 실패했으나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16년 4월 - 부활절 봉기
    1916년 부활절 주간에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들이 영국의 지배에 맞서 독립을 목표로 일으킨 무장 봉기인 부활절 봉기는 군사적으로는 실패했으나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공화국 선포
선언 정보
문서 이름공화국 선포문
원어 이름Forógra na Poblachta (아일랜드어)
1916년 공화국 선포문
선포문 원본 복사본
선포 날짜1916년 4월 24일
작성자아일랜드 공화국 임시 정부의 7인
목적영국으로부터의 분리 발표

2. 선언문의 원칙

아일랜드 부활절 봉기 지도자들은 선언문을 통해 아일랜드 독립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드러냈다. 이들은 아일랜드가 주권 독립 국가로서 공화국이 되어야 하며, 모든 아일랜드인은 종교와 시민의 자유, 평등한 권리와 기회를 보장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당시 영국에서는 여성에게 투표권이 없었지만, 선언문에서는 성별에 관계없는 보편적 선거권을 약속하여 시대를 앞서가는 진보적인 가치를 담고 있었다. 또한 "국가의 모든 아이들을 평등하게 소중히 여길 것"을 약속했는데, 이는 모든 아일랜드 사람들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1990년대 이후 아동 권리 옹호자들에 의해 인용되기도 했다.[5]

2. 1. 주요 내용

아일랜드 부활절 봉기는 군사적으로 실패했지만, 선언문의 원칙들은 이후 세대의 아일랜드 정치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문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주장을 담고 있다.

  • 봉기의 지도자들은 아일랜드를 대변했다.
  • 봉기는 무력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려는 시도였다.
  •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 아일랜드 의용군, 아일랜드 시민군은 봉기의 중심이었다.
  • "아일랜드 국민의 아일랜드 소유권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 정부 형태는 공화국이 될 것이었다.
  • "모든 시민에게 종교적 및 시민적 자유, 평등한 권리 및 평등한 기회"를 보장하며, 성 평등을 처음 언급했다. 당시 영국 법에 따라 아일랜드 여성은 투표가 허용되지 않았다.
  • 성별에 관계없이 보편적 선거권을 약속했는데, 이는 당시 소수의 국가에서만 시행되었고, 영국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았다.
  • "국가의 모든 아이들을 평등하게 소중히 여길 것"을 약속했다. 이 말은 1990년대 이후로 아동 권리 옹호자들에 의해 인용되었지만, "국가의 아이들"은 모든 아일랜드 사람들을 의미한다.[5]
  • 민족주의자와 연합주의자 간의 분쟁은 "외국 정부에 의해 신중하게 조장된 차이"로 기인하며, 이는 나중에 두 국민 이론이라고 불리게 된 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아일랜드 공화국 임시 정부는 아일랜드 국민에게 보내는 선언문에서 하느님의 이름과 죽은 세대들의 이름으로 아일랜드의 자유를 쟁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임시 정부는 비밀 혁명 조직인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과 공개적인 군사 조직인 아일랜드 의용군아일랜드 시민군을 통해 훈련을 받았으며, 미국의 망명자들과 유럽의 동맹국들의 지원을 받아 공격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선언문은 아일랜드 국민이 아일랜드를 소유하고 그 운명을 통제할 권리가 있다고 선언하며, 이는 외국 민족과 정부에 의해 오랫동안 찬탈되었지만 소멸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일랜드 공화국을 주권 독립 국가로 선포하고, 자유와 복지를 위해 생명을 걸 것을 약속했다.

아일랜드 공화국은 모든 아일랜드 남녀의 충성을 요구하며, 종교적, 시민적 자유, 평등한 권리와 기회를 보장하고, 모든 국민을 동등하게 소중히 여길 것을 선언했다.

임시 정부는 국민을 대표하여 선출된 영구적인 국민 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공화국의 민사 및 군사 업무를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하느님의 보호와 축복을 간구하며, 용기와 규율, 희생을 통해 숭고한 운명에 합당함을 증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선언문에는 임시 정부를 대표하여 다음 인물들이 서명했다.

서명자
토마스 J. 클라크
숀 맥디어마다
P. H. 피어스
제임스 코놀리
토마스 맥도나
에이먼 켄트
조셉 플런켓


3. 선언문의 인쇄 및 배포

부활절 봉기 직전, 아일랜드 시민군 본부인 리버티 홀에서 공화국 선언문이 비밀리에 인쇄되었다. 활자 부족으로 인해 레이아웃과 디자인에 문제가 있었으며, 문서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인쇄되었다. 이후 만들어진 복제본이 원본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10][11]

3. 1. 인쇄 과정

아일랜드 시민군 본부였던 리버티 홀에서 서미트 워페일 실린더 인쇄기를 사용하여 봉기 이전에 인쇄되었다.[6] 활자 부족으로 인해 레이아웃과 디자인에 문제가 있었다. 문서는 두 부분으로 인쇄되었는데, 먼저 상단을 인쇄한 다음 한 장의 종이에 하단을 인쇄했다. 이 종이는 사가트의 스위프트 브룩 제지 공장에서 공급되었다.[6] 활자공은 윌리 오브라이언, 마이클 몰로이, 크리스토퍼 브래디였다.[7] 그들은 같은 크기의 글꼴 활자 공급이 충분하지 않았고, 그 결과 문서의 일부에서는 크기가 작고 일치하지 않는 다른 글꼴의 'e'를 사용했다.

문구는 선언문의 원본이 봉기의 지도자들에 의해 서명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서명된 사본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고, 당시 기록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몰로이는 수감 중 씹어서 파괴한 별도의 종이에 서명이 있는 손으로 쓴 사본으로 문서를 조판했다고 말했지만, 다른 참여자들은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8] 몰로이는 또한 코놀리가 문서가 전반적인 디자인에서 경매인의 공고와 유사하도록 요청했다고 회상했다.[10]

약 30개의 원본이 남아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국립 인쇄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9] 영국 군인들이 리버티 홀을 재탈환한 후, 그들은 선언문 하단의 활자를 인쇄기와 함께 발견했고, 기념품으로 일부 사본을 인쇄하여 이러한 '반쪽 사본'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10] 제임스 모즐리는 완전한 원본이 혼란 속에서 빠르게 희귀해졌고, 한 달이 넘도록 더블린 경찰이 파일을 찾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0]

3. 2. 배포 및 보존

아일랜드 시민군 본부인 리버티 홀에서 봉기 이전에 공화국 선언문이 인쇄되었다. 인쇄에는 서미트 워페일 실린더 인쇄기가 사용되었고, 종이는 사가트의 스위프트 브룩 제지 공장에서 공급되었다.[6] 활자공은 윌리 오브라이언, 마이클 몰로이, 크리스토퍼 브래디였다.[7]

활자 부족으로 인해 문서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인쇄되었다. 먼저 상단을 인쇄한 다음 하단을 인쇄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같은 크기의 글꼴 활자가 충분하지 않아 문서 일부에서는 크기가 작고 일치하지 않는 다른 글꼴의 'e'가 사용되었다.[6]

선언문 원본에는 봉기 지도자들의 서명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서명된 사본은 발견되지 않았고 관련 기록도 없다.[8] 몰로이는 수감 중 씹어서 파괴한 별도의 종이에 서명이 있는 손으로 쓴 사본으로 문서를 조판했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참여자들은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8] 몰로이는 또한 코놀리가 문서가 전반적인 디자인에서 경매인의 공고와 유사하도록 요청했다고 회상했다.[10]

현재 약 30개의 원본이 남아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국립 인쇄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9] 이후 제작된 복제본이 원본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있다.[10][11] 영국 군인들이 리버티 홀을 재탈환한 후, 선언문 하단의 활자를 발견하고 기념품으로 일부 사본을 인쇄하면서 '반쪽 사본'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10] 제임스 모즐리는 완전한 원본이 혼란 속에서 빠르게 희귀해졌고, 한 달이 넘도록 더블린 경찰이 파일을 찾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0]

4. 서명자

선언문에 서명한 7명의 지도자는 톰 J. 클라크, 숀 맥 디어마다, 토마스 맥도너, P. H. 피어스, 이몬 켄트, 제임스 코놀리, 조셉 플렁킷이다.[12]

이들은 봉기 이후 영국군에 의해 처형되었는데, 처음에는 봉기에 비판적이었던 아일랜드 여론은 이들의 처형 방식 때문에 동정적으로 변했고, 결국 영국 정부는 처형을 중단해야 했다.[13]

4. 1. 7인의 지도자

톰 J. 클라크, 숀 맥 디어마다, 토마스 맥도너, P. H. 피어스, 이몬 켄트, 제임스 코놀리, 조셉 플렁킷이(가) 선언문에 서명했다.[12]

서명자 중 첫 번째는 피어스가 아닌 베테랑 공화주의자 톰 클라크였다. 이름이 알파벳 순서였다면 켄트가 맨 위에 있었을 것이다. 클라크의 미망인은 클라크가 '임시 공화국 대통령'이 되는 것이 계획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봉기에 연루된 다른 사람들은 이러한 주장을 일축했다. 봉기군이 발행한 후기 문서에서는 피어스에게 우선권을 부여했지만, '공화국 대통령'이 아닌 '아일랜드 공화국 군대 사령관이자 임시 정부 대통령'이었다.[12]

선언문에 서명한 일곱 명은 모두 봉기 이후 영국군에 의해 처형되었다(전투에서 부상당한 제임스 코놀리는 의자에 앉아 처형되었다). 그들은 제1차 세계 대전반역죄를 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13] 영국 총리 H. H. 애스퀴스데이비드 로이드 조지는 영국군이 전쟁 중 군법 문제로 처리하도록 허용한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 처음에는 봉기에 매우 비판적이었던 아일랜드 여론은 이들의 처형 방식 때문에 바뀌어 더 동정적으로 변했다. 결국 애스퀴스 정부는 처형 중단을 명령했고, 이미 처형되지 않은 사람들은 군법이 아닌 민간법으로 처리하도록 했다.

4. 2. 처형과 역사적 평가

선언문 서명자 전원은 봉기 이후 영국군에 의해 처형되었다.[13] 이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반역죄를 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13] 제임스 코놀리는 전투에서 부상을 당해 의자에 앉은 채로 처형되었다.[13]

영국 정치 지도자들은 처음에는 처형을 현명하지 않다고 여겼고, 나중에는 재앙이라고 생각했다. 영국 총리 H. H. 애스퀴스와 훗날 총리가 된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는 영국군이 이 사건을 군법 문제로 처리하도록 허용한 것을 후회한다고 밝혔다. 그들은 지도자들이 민간 형사법에 따라 재판받도록 주장하지 않은 것을 후회했다.

봉기 초기에는 아일랜드 여론이 매우 비판적이었다. 주요 아일랜드 민족주의 신문인 ''아이리시 인디펜던트''는 봉기 주동자들의 처형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처우와 처형 방식 때문에 여론은 점차 동정적으로 바뀌었다. 결국 애스퀴스 정부는 처형 중단을 명령했고, 이미 처형되지 않은 사람들은 군법이 아닌 민간법으로 처리하도록 했다. 그러나 그 시점에는 이미 모든 서명자와 다른 여러 명이 처형된 뒤였다.

5. 선언문의 현대적 의미

부활절 선언문은 아일랜드에서 국보로 존경받으며, 그 사본들은 여러 장소에 전시되어 기념품으로 판매되기도 한다. 2004년 12월 경매에서는 390000EUR에 판매되기도 했다.[14] 특히 숀 T. 오켈리가 소유했던 사본은 레인스터 하우스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 매년 부활절에는 아일랜드 방위군 장교가 GPO 밖에서 선언문을 낭독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5. 1. 아일랜드에서의 위상

그레이스톤스에 있는 선언문의 석조 사본


부활절 선언문은 현재 아일랜드의 국보로 존경받고 있으며, 2004년 12월 경매에서 390000EUR에 판매되었다.[14] 봉기 참가자 숀 T. 오켈리가 소유했던 (그리고 나중에 기념으로 서명한) 사본은 그가 아일랜드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동안 레인스터 하우스에 기증되어 현재 정문 로비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 다른 사본들은 GPO (봉기의 본부이자 선언문이 처음 낭독된 장소), 아일랜드 국립 박물관, 트리니티 칼리지 도서관의 롱 룸, 크로크 파크의 GAA 박물관 등 전 세계의 여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팩시밀리 사본은 아일랜드에서 기념품으로 판매되며, 텍스트 사본은 아일랜드 학교와 전 세계 아일랜드 펍에서 종종 전시된다. 선언문은 매년 부활절 부활절 일요일 부활절 봉기 기념 행사에서 GPO 밖에서 아일랜드 방위군 장교에 의해 낭독된다.

참조

[1] 웹사이트 CAIN: 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 24 April 1916 https://cain.ulster.[...] 2023-09-04
[2] 웹사이트 BBC - History - 1916 Easter Rising - Insurrection - The Proclamation https://www.bbc.co.u[...] 2023-09-04
[3] 웹사이트 UCC Library: 1916 Proclamation: Home https://libguides.uc[...] 2023-09-04
[4] 웹사이트 The Proclamation – The Spirit of 1916 Captured on a Piece of Paper https://www.tcd.ie/n[...] 2023-09-04
[5] 서적 De Paor 1997, p.74
[6] 웹사이트 Rewind: Swiftbrook Paper Mills https://www.echo.ie/[...] 2020-04-09
[7] 서적 Fifty years of Liberty Hall: the golden jubilee of the Irish Transport and General Workers' Union 1909–1959 https://books.google[...] Three Candles 2011-05-11
[8] 웹사이트 Witness statement WS 716 (Michael J. Molloy) http://www.bureauofm[...] Bureau of Military History 2015-11-03
[9] 웹사이트 Permanent Exhibitions National Print Museum (Ireland) 2011-05-11
[10] 웹사이트 The image of the 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 1916 http://typefoundry.b[...] 2015-06-24
[11] 웹사이트 The Proclamation of the Irish Republic: notes from Dublin http://typefoundry.b[...] 2015-06-24
[12] 웹사이트 Pamphlet: "The Provisional Government to the Citizens of Dublin on the Momentous occasion of the proclamation of a Sovereign Independent Irish State" http://source.southd[...] 2015-05-17
[13] 뉴스 Dublin Gazette, Proclamation of the Lord Lieutenant of Ireland
[14] 뉴스 History under the Hammer 2005-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