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동 (광명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명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광명시의 행정동으로, 삼국시대 잉벌노현에서 시작되어 여러 시대와 행정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괭매'라는 옛 마을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광명1동부터 광명7동까지 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과 광명재래시장을 중심으로 교통 및 상업이 발달했으며, 최근 대규모 재개발 사업을 통해 주거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광명동에는 여러 초, 중, 고등학교가 위치하여 교육 환경이 잘 갖춰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명시의 행정 구역 - 소하동
소하동은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소하1동, 소하2동, 소하3동, 학온동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다 광명시 승격과 함께 편입되었고,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과 광명역세권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다. - 광명시의 행정 구역 - 하안동
하안동은 경기도 광명시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여러 행정 구역을 거쳐 1981년 광명시 하안동이 되었으며, 현재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 하안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광명시의 법정동 - 소하동
소하동은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소하1동, 소하2동, 소하3동, 학온동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다 광명시 승격과 함께 편입되었고, 기아자동차 소하리 공장과 광명역세권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다. - 광명시의 법정동 - 하안동
하안동은 경기도 광명시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삼국시대부터 여러 행정 구역을 거쳐 1981년 광명시 하안동이 되었으며, 현재 하안1동, 하안2동, 하안3동, 하안4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 1981년 설치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1981년 설치 - 동두천시
경기도 북단에 위치한 동두천시는 고구려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1981년 시로 승격되었고, 한국 록 음악의 발상지이자 소요산, 탑동계곡 등 관광 명소가 있는 곳이며, 시 면적의 상당 부분이 미군에 공여되어 미군 기지 이전 및 반환에 따른 개발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광명동 (광명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1동 |
한자 표기 | 光明1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1(il)-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0.31 |
세대 | 127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154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
통 | 18 |
반 | 109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광복로31번길 10 |
홈페이지 | 광명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2동 |
한자 표기 | 光明2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2(i)-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0.28 |
세대 | 1,693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3,237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
통 | 16 |
반 | 87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광명로 947 |
홈페이지 | 광명2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3동 |
한자 표기 | 光明3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3(sam)-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0.30 |
세대 | 4,836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9,831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
통 | 17 |
반 | 111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광명로928번길 18-20 |
홈페이지 | 광명3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4동 |
한자 표기 | 光明4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4(sa)-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0.27 |
세대 | 6,280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13,554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
통 | 24 |
반 | 147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광명로888번길 26-6 |
홈페이지 | 광명4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5동 |
한자 표기 | 光明5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5(o)-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0.423 |
세대 | 6,031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14,092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
통 | 23 |
반 | 153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너부대로35번길 20 |
홈페이지 | 광명5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6동 |
한자 표기 | 光明6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6(yuk)-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2.41 |
세대 | 3,974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10,521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옥길동 |
통 | 20 |
반 | 126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광명로791번길 6 |
홈페이지 | 광명6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광명7동 |
한자 표기 | 光明7洞 |
영어 표기 | Gwangmyeong 7(chil)-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광명시 |
면적 | 2.35 |
세대 | 8,530 |
세대 조사 | 2021.10 |
인구 | 21,327 |
인구 조사 | 2021.10 |
법정동 | 광명동 |
통 | 34 |
반 | 199 |
동주민센터 | 경기도 광명시 도덕로 53 |
홈페이지 | 광명7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광명동의 역사는 삼국시대 잉벌노현에서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 곡양현, 고려시대 금주현을 거쳐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금천현 남면과 시흥현 남면 광명리, 광화대리로 이어졌다.
1963년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구역에 편입되었다가 1982년에 해제되었다. 1970년에는 시흥군 서면 광명출장소가 설치되어 광명리와 철산리 일대를 관할했다. 1970년대에 서울통화권에 편입되었고, 1973년과 1995년에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현 구로구) 개봉동, 천왕동과 목감천 부근의 행정구역 경계 조정이 있었다.
1985년부터 2010년까지 광명1동에서 광명7동까지 각 동의 주민센터(구 동사무소)가 신축되거나 이전하였다.
2. 1. 행정 구역 변천
조선 말기 경기도 시흥현 남면 광명리, 광화대리에 속했다. 1914년 3월 1일 경기도 시흥군 서면 광명리가 되었다. 1979년 5월 1일 서면이 소하읍으로 승격되면서 시흥군 소하읍 광명리가 되었다. 1981년 7월 1일 소하읍이 광명시로 승격되면서 광명리 일대가 광명동이 되었고, 광명1동, 광명2동, 광명3동, 광명4동, 광명5동, 광명6동, 광명7동으로 분할되었다. 1983년 2월 15일 경기도 시흥군 소래읍 옥길리 일부(현재 옥길동)가 광명6동으로 편입되었다.3. 유래
광명동의 명칭은 옛 마을인 '괭매'에서 유래했으며, '원광명'이라고도 불린다. 이 자연촌락은 광명7동 영서변전소 부근에 있다.
3. 1. 광명1동
목감천을 사이에 두고 서울특별시와 연접하여 동일 생활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인근에 개봉역과 구일역이 있어 서울 교통의 중요한 관문 역할을 한다. 전형적인 공동주택 밀집지역으로 주거공간과 주차공간이 협소했으나, 전 구역이 재개발되어 주거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3. 2. 광명2동
전통적인 주상복합지역으로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이 밀집되어 있다. 광명로 변 상업지구에는 가구점, 유흥업소, 여관이 밀집되어 있다. 목감천 주변에 있고 지형 고저차가 심해 수해와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3. 3. 광명3동
서울 지하철 7호선과 광명재래시장을 중심으로 한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이자 역세권이기도 한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이 밀집되어 있어 주거, 주차공간이 협소하다.3. 4. 광명4동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를 중심으로 교통이 편리하고, 패션문화의 거리 등 상업 및 유통이 활성화되어 있다. 생활 및 도시 기반 시설이 비교적 안정된 지역이다.3. 5. 광명5동
서쪽은 목감천을 경계로 구로구 천왕동과 인접하고 있으며, 과거 이곳에 있던 자연부락 이름인 "너부대"라는 지명이 사용되고 있다. "너부대"의 의미는 말 그대로 넓은 터(벌판)를 나타내며 동서남쪽으로 확 트인 남향받이 마을로 광명시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1911년에 광명리로 통합되기 이전에는 행정구역 상으로 광화대리였다.3. 6. 광명6동
도시 지역인 광명동과 농촌 지역인 옥길동이 함께하는 도농복합동이다.3. 7. 광명7동
광명7동은 괭매 마을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괭매 마을은 원광명이라고도 불린다. 이 자연마을은 오늘날까지 남아 광명7동 영서변전소 부근에 있다.도덕산을 중심으로 중앙하이츠아파트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외환은행에서 광명로와 연결된다. 남쪽으로는 학온동, 서쪽으로는 광명6동, 북쪽으로는 광명4동과 경계를 이룬다. 현재 관할구역상 제34통인 지역은 "원광명"이라 불리는데, 원래 광명리가 시작된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곳의 또 다른 명칭인 "괭매"는 마을의 지세가 풍수에서 "광명두"(등잔을 얹어 놓는 기구)와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광명을 "廣明" 혹은 "光明"으로 불리기도 하며, 광명시의 명칭인 "光明市"가 여기서 유래하였다. 매년 10월 1일 도덕산 아래에서 통장이 제주가 되어 산신제를 지낸다.
1964년 당시 시흥군 서면 광명3리였던 지역에는 고령 신씨, 청주 한씨, 수원 백씨, 개성 왕씨의 집성촌이 있었다. 지금의 광문고등학교에서 원광명으로 가는 길을 "구용고개", 광문초등학교에서 광문고등학교로 가는 길을 "덕다리고개"라고 하였다. 또한 동 시대에 광명2리였던 지역은 광산 김씨, 남양 홍씨, 원주 원씨 집성촌이 있었다. 현재 광명7동 주민센터 인근 지역에서 광명교회에 이르는 지역을 "새터말"이라고 칭하였는데 새로 생긴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리고 동 주민센터 인근 지역은 "가장골"이라고 칭하였다.
4. 교육
광명동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모두 있어 교육 환경이 잘 갖춰져 있다. 특히, 광명시는 교육 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4. 3. 고등학교
5. 아파트
광명동에서는 대규모 재개발 사업으로 새로운 아파트 단지가 많이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재개발 사업은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재개발 사업을 통해 서민들의 주거 안정을 돕고,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쓰고 있다.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트리우스 광명 |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 광명제2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
광명자이 힐스테이트 SK VIEW | 지에스건설㈜, 현대건설, SK에코플랜트 | 광명5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
광명자이 더샵 포레나 | 지에스건설㈜, 한화㈜ 건설부문, 포스코이앤씨 | 광명제1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
광명 아크포레 자이위브 | 지에스건설㈜, 두산건설 | 광명제16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
광명 푸르지오 센트베르 | 대우건설 | 광명제15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
광명 푸르지오 포레나 | 대우건설, 한화㈜ 건설부문 | 광명14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
광명 센트럴 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 | ||||
광명 롯데캐슬 시그니처 | 롯데건설 | 광명제9R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