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령 신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령 신씨는 고려 고종 때 호장을 지낸 신성용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는 신덕린이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공조 판서를 역임했으며, 고려가 멸망하자 신포시가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신포시의 아들 신장은 대제학, 신숙주는 영의정을 지냈다. 본관은 경상북도 고령이며, 암헌공파, 정은공파, 감찰공파, 시중공파로 분파된다. 고령 신씨는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129,718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령 신씨 - 신규식
    신규식은 충청북도 청주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만민공동회에서 활동하고 신해혁명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법무총장 등을 역임하다가 단식 투쟁으로 사망했다.
  • 고령 신씨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고령 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령 신씨의 종문
고령 신씨의 종문
성씨고령 신씨
高靈申氏
관향경상북도 고령군
시조신성용(申成用)
집성촌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전라남도 고흥군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순천시
충청북도 옥천군
충청북도 청주시 가덕면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경기도 안성시
함경북도 청진시
황해남도 봉천군
주요 인물신덕린, 신포시, 신장, 신숙주, 신말주, 신면, 신정, 신용개, 신공제, 신익상, 신경준, 신한평, 신윤복, 신복모, 신홍식, 신창휴, 신규식, 신채호, 신성모, 신인식, 신석초, 신원식, 신용우, 신인우, 신범식, 신준식, 신희택, 신계륜, 신각수, 신문식, 신현수, 신동근
년도2015
인구129,718명
나라한국
비고고령신씨 대종회

2. 역사

고령 신씨(高靈 申氏)의 시조 신성용(申成用)은 고려 고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역임하였다. 호장(戶長)은 고려 시대에 지방 호족에게 주어지던 관직이었으므로, 그는 고령 지방에 근거지를 둔 대가야의 왕족 출신일 것이라고 고령신씨 대종회 측에선 추측하고 있다.

5세손 신덕린(申德隣)이 고려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하지만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공조참의를 역임한 아들 신포시(申包翅)와 함께 전라도 광주(光州)의 서석산에 은거하며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신포시의 장남 신장(申檣)은 대제학, 차남 신평(申枰)은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삼남 신제(申梯)는 사헌부 감찰을 지냈다. 신장(申檣)의 아들 신맹주(申孟舟), 신중주(申仲舟), 신숙주(申叔舟), 신송주(申松舟), 신말주(申末舟) 5형제도 모두 과거에 급제하였고, 신숙주가 세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2. 1. 시조 및 초기 역사

고령 신씨(高靈 申氏)의 시조 신성용(申成用)은 고려 고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역임하였다. 호장(戶長)은 고려 시대에 지방 호족에게 주어지던 관직이었으므로, 그는 고령 지방에 근거지를 둔 대가야의 왕족 출신일 것이라고 고령신씨 대종회 측에선 추측하고 있다.

5세손 신덕린(申德隣)이 고려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하지만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공조참의를 역임한 아들 신포시(申包翅)와 함께 전라도 광주(光州)의 서석산에 은거하며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신포시의 아들, 신장(申檣)은 대제학, 신평(申枰)은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신제(申梯)는 사헌부 감찰을 지냈으며, 신장(申檣)의 아들 신맹주(申孟舟), 신중주(申仲舟), 신숙주(申叔舟), 신송주(申松舟), 신말주(申末舟) 5형제도 모두 과거에 급제하였고, 신숙주가 세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2. 2. 고려 말 조선 초

고령 신씨(高靈 申氏)의 시조 신성용(申成用)은 고려 고종 때 호장(戶長)을 지냈고, 검교군기감(檢校軍器監)을 역임하였다. 호장(戶長)은 고려 시대에 지방 호족에게 주어지던 관직이었으므로, 그는 고령 지방에 근거지를 둔 대가야의 왕족 출신일 것이라고 고령신씨 대종회 측에선 추측하고 있다.

5세손 신덕린(申德隣)이 고려 충목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공조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하지만 고려의 국운이 기울자 공조참의를 역임한 아들 신포시(申包翅)와 함께 전라도 광주(光州)의 서석산에 은거하며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신포시의 장남 신장(申檣)은 대제학, 차남 신평(申枰)은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삼남 신제(申梯)는 사헌부 감찰을 지냈다. 신장(申檣)의 아들 신맹주(申孟舟), 신중주(申仲舟), 신숙주(申叔舟), 신송주(申松舟), 신말주(申末舟) 5형제도 모두 과거에 급제하였고, 신숙주(申叔舟)가 세조 때 영의정에 올랐다.

3. 본관

고령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옛 대가야국의 중심지였다. 757년 (신라 경덕왕)에 고양군이 되었고, 그 후 조선 태종 때 고양군의 '고'와 영천현의 '영'을 따서 고령현이라 하였으며, 1895년에 고령군이 되었다.

4. 분파

신포시의 아들인 7세손에서 암헌공파(巖軒公派)·정은공파(靜隱公派)·감찰공파(監察公派)의 3파로 갈라졌다.


  • 7세 신장(申檣) → 암헌공파(巖獻公派)
  • * 8세 신맹주 - 서윤공파(庶尹公派)
  • * 8세 신중주 - 순창공파(淳昌公派)
  • * 8세 신숙주 - 문충공파(文忠公派)
  • * 8세 신송주 - 안동공파(安東公派)
  • * 8세 신말주 - 귀래정공파(歸來亭公派)
  • 7세 신평(申枰) → 정은공파(靜隱公派)
  • * 8세 신맹정 - 정재공파(靖齎公派)
  • * 8세 신중정 - 죽재공파(竹齋公派)
  • * 8세 신숙정 - 성오재공파(省悟齋公派)
  • 7세 신제(申梯) → 감찰공파(監察公派)
  • * 8세 신자교 - 사성공파(司成公派)
  • * 8세 신자강 - 부사공파(府使公派)
  • * 8세 신자동 - 사정공파(司正公派)
  • * 8세 신자정 - 사직공파(司直公派)
  • 3세 신인기(申仁杞) → 시중공파(侍中公派)


7세 신장(申檣)은 암헌공파(巖獻公派), 신평(申枰)은 정은공파(靜隱公派), 신제(申梯)는 감찰공파(監察公派)의 파조가 되었다. 3세 신인기(申仁杞)는 시중공파(侍中公派)의 파조가 되었다.

4. 1. 암헌공파(巖獻公派)

신포시의 아들인 7세손 신장은 암헌공파(巖獻公派)의 파조이다.

4. 2. 정은공파(靜隱公派)

신포시의 아들인 7세손 신평(申枰)을 파조로 한다. 신평의 아들 대에서는 정재공파(靖齎公派)·죽재공파(竹齋公派)·성오재공파(省悟齋公派)로 분파되었다.

4. 3. 감찰공파(監察公派)

신포시의 아들인 7세손 신제(申梯)를 파조로 한다. 감찰공파(監察公派)는 8세에서 다시 사성공파(司成公派)·부사공파(府使公派)·사정공파(司正公派)·사직공파(司直公派)로 분파되었다.

4. 4. 시중공파(侍中公派)

신포시의 아들인 7세손에서 암헌공파(巖軒公派)·정은공파(靜隱公派)·감찰공파(監察公派)의 3파로 갈라졌다. 7세 신장(申檣)은 암헌공파(巖獻公派), 신평(申枰)은 정은공파(靜隱公派), 신제(申梯)는 감찰공파(監察公派)의 파조가 되었다. 3세 신인기(申仁杞)는 시중공파(侍中公派)의 파조가 되었다.

5. 항렬자

고령 신씨는 항렬자를 쓴다.

19세20세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
口권(權)口록(綠)口모(模)口구(求)口휴(休)
口빈(彬)
口우(雨)口식(植)口호(浩)口수(秀)희(熙)口규(圭)종(鍾)口영(永)상(相)口섭(燮)재(在)口용(鎔)태(泰)口근(根)


6.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7. 집성촌

고령 신씨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8. 인구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116,966명으로 조사되었다. 2015년에는 129,718명으로 조사되었다.

9. 주요 인물

고령 신씨의 주요 인물 목록은 분류:고령 신씨를 참고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