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두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두천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북단에 위치한 도시로, 고구려 시대부터 통일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까지 역사를 이어왔다. 1963년 동두천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동두천시는 광주산맥이 지나가는 산악 지형을 이루며, 대륙성 기후와 난온대 기후가 공존하여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주요 산업은 3차 산업이 주를 이루며, 소요산과 왕방산 등 관광 자원과 매년 열리는 동두천 록 페스티벌이 유명하다. 또한, 시 면적의 상당 부분을 주한 미군이 사용하고 있으며, 캠프 케이시 등 여러 미군 기지가 위치해 있다. 경원선 전철과 국도, 지방도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며, 교육 시설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1981년 설치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1981년 설치 - 영천시
    영천시는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삼한 시대부터 시작하여 시 승격 및 통합을 거쳐 보현산, 팔공산 등의 지형과 금호강을 포함하고, 중앙선, 경부고속도로 등 교통 요충지이며, 보현산천문대, 임고서원 등의 관광지와 포도, 한방약초 축제 등을 개최하고, 육군3사관학교 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최기문 시장과 이만희 국회의원이 있고, 일본 구로이시시 등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동두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동두천시
한글동두천시
한자東豆川市
로마자 표기Dongducheon-si
한글동두천시
한자
로마자 표기(개정)Dongducheon-si
로마자 표기(매큔-라이샤워)Tongduch'ŏn-si
면적95.66 km²
인구87,099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864 명/km²
방언서울
하위 행정 구역8
시청 소재지경기도 동두천시 방죽로 23
홈페이지동두천시청
시목은행나무
시화황매화
시조파랑새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7동
법정동12
정치
시장박형덕 (국민의힘)
국회의원김성원 (국민의힘,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
이미지
동두천시 지행역 전경
동두천시 휘장
동두천시 기
가을의 소요산

2. 역사

고구려가 한반도 남쪽으로 영토를 넓히면서 동두천은 '내을매현'이라는 이름으로 고구려 땅이 되었다. 이후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 때는 사천촌이 되었고, 고려 시대에는 양주 지역에 속했다.[2] 조선 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했다.

1963년 동두천읍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미군 기지가 있지만, 소요산을 찾는 등산객도 많다. 기온은 낮고 매우 추운 날씨가 심하며, 2001년 1월 15일에는 -26.2℃를 기록하기도 했다. 추운 날씨 덕분에 피겨스케이팅 같은 빙상 경기가 활발하다. 한국 전쟁을 기념하는 자유수호평화박물관도 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구려 시대에 고구려의 영토가 한반도 남쪽으로 확장되었고, 동두천은 '내을매현'(고대의 특정한 형태의 마을 토지 소유) 형태로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동두천은 남북국 시대 통일 신라의 사천촌이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양주 지역에 속했다.[2]

2. 2. 현대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했으며, 1963년 동두천읍으로 개칭되었다가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미군 기지가 있는 도시이지만, 소요산을 찾는 등산객들도 많다. 기후는 춥고, 혹한이 심하며, 2001년 1월 15일에는 -26.2℃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러한 추운 기후를 활용하여 피겨스케이팅 등 빙상 경기가 활발하다. 한국 전쟁을 기념하는 자유수호평화박물관도 운영되고 있다.

3. 지리

동두천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a'')를 띤다. 조선시대에는 양주목(楊州牧)에 속했으며, 1963년 동두천읍(東豆川邑)으로 개칭되었다가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미군 기지가 있는 도시이지만, 소요산(逍遥山)을 찾는 등산객들도 많다. 기온은 춥고, 혹한이 심하며, 2001년 1월 15일에는 -26.2°C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러한 추운 기후를 활용하여 피겨스케이팅 등 빙상 경기가 활발하다. 한국 전쟁을 기념하는 자유수호평화박물관도 운영되고 있다.

토지 이용 통계

3. 1. 지형

동두천시는 경기도 북단에 위치한 도시로, 동쪽은 탑동동이 포천시에 접하며, 서쪽은 상패동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접해있다. 남쪽은 송내동양주시 봉양동에 접하며, 북쪽은 하봉암동이 연천군 전곡읍과 접해 있다. 면적은 동서간으로 12.9km, 남북으로 15.3km이며 총면적은 95.66km2이다.[14]

일대는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산들은 광주산맥태백산맥의 철령 부근에서 갈라져 서울 근처에 이르는 산으로서 동두천 일대에 험준한 산지는 대부분 여기에 속한다. 동쪽으로는 국사봉을 주봉으로 왕방산, 해룡산이 둘러 쳐져 있으며, 남쪽으로는 천보산의 회암령에서 서북으로 칠봉산이 솟아 그 지맥이 여러 갈래로 펼쳐져 남쪽으로 높고 잦은 봉우리를 보여준다. 서쪽으로는 마차산이 에워싸고 북으로 뻗으며 옥녀봉이 북계를 이루고 있다.

3. 2. 기후

동두천은 한반도의 중심에 위치해, 기온의 연교차가 큰 북부 대륙성 기후와 남부의 난온대 기후가 같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특히 겨울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위도에 비해 매우 낮은 기온을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1.5°C, 1월 평균기온은 -3.8°C, 8월 평균기온은 24.9°C로 연교차가 30°C가 넘는다. 가장 추운 달과 가장 더운 달의 기온차가 매우 커서 여름철은 열대기온을 이루는가 하면, 겨울철은 한대기온을 이룬다. 여름철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으로 고온이 되고, 겨울철은 한랭건조한 시베리아 기단의 영향으로 저온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17.1mm이고, 연평균 상대습도는 65.6%, 연평균 일조시간은 2221.8시간이다. 평균 초설은 11월 20일경이고, 마지막 눈은 3월 20일 전후이며, 처음으로 결빙되는 시기는 10월 20일경, 얼음이 마지막으로 녹는 시기는 4월 초순으로 경기도의 평균치와 거의 같다.[14]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는 냉대 습윤 기후에 속한다. 겨울은 한국에서 손꼽히는 혹한 지역으로, 최저 기온이 -10°C 이하로 내려가는 날이 많다. 여름은 강수량이 매우 많고 비교적 고온다습하다. 최고 기온 극값은 38.7°C(2018년 8월 1일), 최저 기온 극값은 -26.2°C(2001년 1월 15일)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2.4°C5.8°C12.1°C19°C24.5°C28.2°C29°C30.1°C26.3°C20.5°C12.2°C3.9°C17.8°C
평균 기온 (℃)-3.8°C-0.8°C5°C11.6°C17.4°C21.8°C24.3°C24.9°C20.1°C13.1°C5.7°C-1.9°C11.5°C
평균 최저 기온 (℃)-9°C-6.2°C-0.8°C5.2°C11.3°C16.7°C20.9°C21.2°C15.3°C7.4°C0.5°C-6.9°C6.3°C
최고 기온 기록 (℃)15°C19.8°C24.7°C31°C33.4°C35.5°C36.2°C38.7°C33.2°C29.7°C26.2°C16.3°C38.7°C
최저 기온 기록 (℃)-26.2°C-19.7°C-10.7°C-4.7°C2.6°C8°C15.3°C12.1°C4.4°C-4.7°C-10.1°C-18°C-26.2°C
강수량 (mm)18.4mm26mm32mm73.2mm95.2mm130.5mm431.7mm347.5mm137.9mm55.1mm47.4mm22.2mm1417.1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5.25.37.29.09.010.316.814.88.46.58.37.6108.4
평균 상대 습도 (%)60.957.555.355.362.368.479.577.873.669.364.962.465.6
평균 일조시간183.7180.8209.6206.0231.2203.9128.7164.1182.4201.2160.6169.62221.8


4. 행정 구역

조선시대에는 양주목(楊州牧)에 속했으며, 1963년 동두천읍(東豆川邑)으로 개칭되었다가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미군 기지가 있는 도시이지만, 소요산(逍遥山)을 찾는 등산객들도 많다. 기후는 춥고, 혹한이 심하며, 2001년 1월 15일에는 -26.2℃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러한 추운 기후를 활용하여 피겨스케이팅 등 빙상 경기가 활발하다. 한국 전쟁을 기념하는 자유수호평화박물관도 운영되고 있다.

4. 1. 행정동

동두천시의 행정 구역은 8개 행정동, 152개 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두천시의 면적은 경기도 전체 면적의 0.9%에 해당하는 95.66 km2이며, 이 중 미군 공여지가 전체 면적의 42%인 40.63 km2에 이른다. 군사시설보호구역은 전체 면적의 24%인 22.99 km2이다.[17] 인구는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9만 1,546명, 4만 3,974가구이다.[9]

동두천시 행정구역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생연1동生淵1洞2.166,9803,299
생연2동生淵2洞0.7211,6454,996
중앙동中央洞0.855,2583,193
보산동保山洞13.683,1261,731
불현동佛峴洞33.3728,07412,128
송내동松內洞5.5225,97210,673
소요동消遙洞31.318,6754,218
상패동上牌洞8.055,0382,761
동두천시東豆川市95.6694,76842,999


  • 인구·세대는 2019년 12월 31일 기준, 면적은 2012년 12월 31일 기준


행정동법정동
생연1동생연동
생연2동
중앙동
보산동걸산동, 보산동
불현동지행동, 생연동, 광암동, 탑동동
송내동송내동, 지행동
소요동동두천동, 안흥동, 상봉암동, 하봉암동
상패동상패동


4. 2. 법정동

행정동법정동
생연1동생연동
생연2동
중앙동
보산동걸산동, 보산동
불현동지행동, 생연동, 광암동, 탑동동
송내동송내동, 지행동
소요동동두천동, 안흥동, 상봉암동, 하봉암동
상패동상패동


5. 인구

2012년 12월 31일 기준으로 동두천시의 인구는 97,175명, 40,886가구이며[17], 인구 밀도는 974.4명/km2이다. 0~14세 인구는 17.3%, 65세 이상 인구는 12.4%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3%로 전국평균 72.8%보다 비율이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4.6%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으며, 노년인구부양비는 17.7%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00.5로 남자가 다소 많다.[18]

동두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총인구
1985년68,610명
1990년71,437명
1995년71,305명
2000년72,366명
2005년78,897명
2010년90,433명
2015년97,424명


6. 산업

동두천시는 2012년 기준으로 지역 내 총생산이 3조 1,582억원으로, 경기도 전체의 0.4%를 차지한다. 산업 구조를 보면 농림어업(1차산업)은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81.4억(25.8%),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3,110억원(73.2%)으로 3차 산업의 비중이 크다. 3차 산업 중에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 도매 및 소매업, 공공행정, 보건업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9]

2014년 동두천시의 산업 종사자는 총 26,559명으로, 경기도 전체의 0.6%이다. 농림어업 종사자는 거의 없고, 광업 및 제조업(20%), 상업 및 서비스업(79.9%) 순으로, 3차 산업 비중이 경기도 전체보다 높다. 3차 산업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 도소매업, 보건업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0]

6. 1. 개요

동두천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3조 1,582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0.4%를 차지한다. 농림어업(1차산업)은 332억원,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81.4억(25.8%),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조 3,110억원(73.2%)이다.[19] 3차산업에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12.1%), 도매 및 소매업(8.1%),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7.6%),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6.4%)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19]

6.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동두천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26,559명으로 경기도 총 종사자 수의 0.6%를 차지한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6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5,322명(20%),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21,231명(79.9%)이다. 2차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27.1%)보다 낮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높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숙박 및 음식점업(14%), 도소매업(13.4%),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1.5%)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0]

7. 관광

소요산은 경기의 작은 금강산(소금강, 小金剛)으로 불리는 명산이다. 서울특별시에서 북쪽으로 44km지점에 있으며, 동두천시청에서는 동북쪽으로 약 5km 지점에 있다. 높이는 536m이다. 소요산 입구에 소요산역이 있다.

동두천시의 '무주구천동'이라고 불리며 동두천 시내에서 동쪽으로 7km가량 떨어진 왕방산과 그와 이어진 국사봉 사이로 길게 이어져있는 6km가량의 계곡이다. 일대에 광암동과 왕방부락이 있으며 왕방계곡으로도 불리며, 경기도 향토지적재산으로 선정되었다. '탑동계곡'의 '탑동'이라는 이름은 주변에 고려 말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3층 석탑이 있었던 데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그 3층 석탑은 일제강점기에 유실되어 함께 놓여있던 석불만이 남아있다.

1999년부터 동두천시에서는 매년 한국에서 가장 큰 록 페스티벌 중 하나인 동두천 록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2007년에는 한국에 반환된 미군 시설인 캠프 님블에서 페스티벌이 열렸다.

가을이면 시내 여러 거리와 지역에서 단풍 축제가 열린다.

조선시대에는 양주목(楊州牧)에 속했으며, 1963년 동두천읍(東豆川邑)으로 개칭되었다가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미군 기지가 있는 도시이지만, 소요산(逍遥山)을 찾는 등산객들도 많다. 기후는 춥고, 혹한이 심하며, 2001년 1월 15일에는 -26.2°C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러한 추운 기후를 활용하여 피겨스케이팅 등 빙상 경기가 활발하다. 한국 전쟁을 기념하는 자유수호평화박물관도 운영되고 있다.

8. 문화

1999년부터 동두천시에서는 매년 한국에서 가장 큰 록 페스티벌 중 하나인 동두천 록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2007년에는 한국에 반환된 미군 시설인 캠프 님블에서 페스티벌이 열렸다.

가을이면 시내 여러 거리와 지역에서 단풍 축제가 열린다.

8. 1. 음악

동두천은 록의 대부라 불리는 신중현이 국내 최초의 록 밴드 애드훠(ADD4)를 결성하고 활동한 곳으로 록과 한국 대중음악의 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군의 문화적 갈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출발한 쇼단 문화는 역설적으로 이 지역에서 걸출한 음악인들을 많이 배출하게 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신중현(애드훠), 유현상(백두산), 인순이, 나미, 페티김, 현미 등이 있다.

1999년 1회 공연을 계기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동두천록페스티벌은 대한민국의 대표적 록 페스티벌이며 매년 8월 중에 열린다. 미군기지, 소요산, 동두천종합운동장(어등산레포츠공원) 등지에서 개최된다. 동두천록페스티벌은 사실상 쇼단의 역사를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로 재편하고 한국 대중음악 1세대를 기념하는 공연이다. 페스티벌 초창기, 신중현은 페스티벌의 상징적 인물이었다.

  • '''동두천청소년뮤직페스티벌'''


2004년 1회 공연을 시작으로 지금에 이르고 있으며, 매년 5월 청소년의 달을 기념하여 개최된다. 1, 2부로 진행되며 1부는 경연대회, 2부는 유명 가수들의 축하공연으로 꾸며진다. 동두천 청소년들의 끼를 북돋고 동두천의 음악적 감수성을 고취시키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8. 2. 축제 및 행사


  • '''소요 단풍 문화제'''

매년 10월 중 소요산, 지행동 차 없는 거리, 시민회관 공연장, 전시장 등에서 개최되는 축제이다. 동두천시민의 날을 기념하기 위해 열리는 축제이다.

  • '''왕방산 국제 MTB 대회'''

2007년 1회 대회를 시작으로 지금에 이르고 있다. 동두천시에서 개발한 35km의 임도를 이용해 매년 8월 중에 열리는 산악자전거 대회이다. 집결지는 종합운동장이다. 2011년 대회부터는 국제대회로 개최되고 있다.

동두천시 거리


1999년부터 동두천시에서는 매년 한국에서 가장 큰 록 페스티벌 중 하나인 동두천 록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2007년에는 한국에 반환된 미군 시설인 캠프 님블에서 페스티벌이 열렸다.

가을이면 시내 여러 거리와 지역에서 단풍 축제가 열린다.

9. 미군



동두천시는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했으며, 1963년 동두천읍으로 개칭되었다가 1981년 시로 승격되었다. 미군 기지가 있는 도시이지만, 소요산을 찾는 등산객들도 많다. 시 전체 면적의 39%가 주한 미군에 공여되어 있으며, 미국 제2보병사단 등의 기지들이 있다. 2003년 11월에는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이 캠프 케이시를 방문하기도 했다.

9. 1. 미군 기지

동두천시 면적의 39%에 해당하는 32.31km2주한 미군에 공여되어 있으며, 미 제2보병사단의 광대한 기지가 존재한다. 미국의 새로운 행정부 수장(혹은 국방부 장관 등)은 임기 중 1회 이상 동두천 미군 기지를 방문하고, 한국의 대통령 혹은 그에 상당하는 고위급 인사가 종종 동두천 미군 기지를 방문한다.[1] 2003년 11월에는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이 캠프 케이시를 방문했다.[2] 주한미군 감축 계획에 따라 일부가 반환될 예정이다.[3]

동두천시에는 다음과 같은 미군 기지들이 있다.

기지 이름
캠프 케이시
캠프 캐슬
캠프 호비
캠프 모빌
캠프 님블


9. 2. 미군 기지 이전 및 개발 계획

2005년 짐볼스 훈련장이 철수되었고, 2006년 7월 15일에는 캠프 님블(2만 평)의 관리권이 한국군으로 이양되었다.[1] 하지만 이전 비용 및 반환 절차는 아직 마무리되지 않았으며, 현재 한국군과 용역업체가 경비를 맡고 있다.[1] 2008년에는 캠프 모빌과 캠프 캐슬이 철수되었고, 2009년에는 캠프 케이시와 캠프 호비 병력 중 일부가 이라크로 차출되었다.[1] 2016년에는 캠프 케이시, 캠프 호비 등 동두천 전역의 모든 미군 부대가 평택으로 이전될 계획이었으나 무기한 연기되었다.[1]

1952년부터 동두천에 주둔해 온 주한미군 부대의 '2016년 중 평택 이전'이 확정됨에 따라, 동두천시 관내 미군 공여지에 대한 개발 계획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1] 2011년 1월, 국무총리실에는 '동두천 발전 테스크포스(TF)'가 설치되었다.[1] 동두천은 지난 60여 년 간 대한민국의 안보를 위해 크게 공헌했으므로, 그에 합당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타 지역과의 형평성"(행정안전부)을 이유로 '동두천지원특별법'은 장기간 표류하고 있다.[1] 중앙정부의 이러한 무관심에 반발하여, 2010년 동두천시는 시 면적의 43%에 달하는 미군 공여지를 모두 '공원화'하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1] 국무총리실 TF팀은 이러한 동두천시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결과라고 한다.[1]

현재 확정된 공여지 개발 계획은 다음과 같다.

  • 침례신학대학교 캠퍼스 설립 (캠프 님블): 2006년 반환된 캠프 님블 부지에 아시아 최대 침례신학 대학인 침례신학대학교의 캠퍼스 설립이 확정되었다.[1] 약 25,000m2(약 7,500평) 규모에 들어설 침례신학대학교 동두천 캠퍼스는 2012년 상반기 착공하여, 2013년 1학부 1대학원 정원 380명으로 시작, 2017년까지 4학부 7전공(대학원 포함) 1,300명으로 정원을 늘릴 계획이다.[1]

  • LNG복합화력발전소 건립 (캠프 호비 외곽): 2010년 12월 29일, 지식경제부는 '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동두천에 LNG복합화력발전소 건설을 발표했다.[1] (주)한국서부발전과 (주)삼성물산은 캠프 호비 외곽 20만m2 부지에 1.344조을 들여 설비규모 1,500MW(750MW×2기)의 가스터빈 복합발전 방식의 동두천LNG발전소를 건립한다.[1] 2012년 착공, 2014년 6월 완공 예정이었으며, 현재는 완공되었다.[1]

  • 복합레저스포츠단지 조성 (짐볼스 훈련장): 2011년 3월, 동두천시는 2006년 반환된 짐볼스 훈련장을 대규모 복합 레저스포츠단지로 개발하기 위한 민자사업 공모를 발표했다.[1] 짐볼스 훈련장(571만m2)은 부지의 70% 이상이 생태 1등급의 산악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다.[1]

  • 경기도립대학교 및 유엔평화대학 설립: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경기도립 통일대학(가칭)'을 동두천에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1] 2010년 8월 10일, 동두천시는 '통일대학' 유치 건의서를 경기도에 제출했다.[1] 또한, 유엔총회 결의와 유엔평화대학설립조약에 의해 설립될 국제기구 겸 국제대학원대학인 '유엔평화대학' 설립도 추진되고 있다.[1]

9. 3. 사회 문제

1997년 동두천시에 등록된 외국인은 521명이었으나, 2002년에는 1,562명으로 5년 동안 세 배가 증가했다. 2009년 6월 말 기준으로 외국인은 총 2,558명이며, 이 중 여성은 1,411명이다. 필리핀 국적 여성은 722명(남성 105명)으로 전체 외국인 여성의 50%를 차지한다.[22] 미등록자를 포함하면 필리핀 국적 여성은 더 늘어난다. 이들 대부분은 보산동에 있는 클럽에서 일하고 있다. 캠프 케이시 정문 쪽인 보산동에는 45곳, 후문 쪽인 광암동에는 15곳의 클럽이 영업 중이며, 1990년대 이후 규모가 유지되고 있다. 과거 많았던 러시아 여성들은 대부분 떠났고, 필리핀 여성들이 그 자리를 채웠다.[23]

10. 교육

경기도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에서 관할하는 교육 시설은 다음과 같다.[24]


  • 고등학교: 11개교
  • 중학교: 15개교
  • 초등학교: 41개교
  • 4년제 대학교: 2개교


'''4년제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11. 교통

동두천시는 도로망이 좋지 않고 시내버스 노선이 불편하여 철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1]

동두천역


소요산역

11. 1. 철도

한국철도공사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1]: (연천군) ←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보산역 - 동두천중앙역 - 지행역 → (양주시)

11. 2. 도로

11. 3. 버스

12. 출신 인물


  • 장동신(장동신) : 대한민국 아이스 슬레지 하키 선수이자 휠체어 펜싱 선수이다.
  • 오영환(오영환) : 대한민국 소방관, 수필가, 정치인이다.
  • 김동진(김동진) : 전직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황지수(황지수) : 전직 대한민국 축구 선수이다.
  • 김도헌(김도헌) : 대한민국 프로 축구 선수이다.
  • 나미(김명옥) (본명: 김명옥) : 대한민국 가수이다.
  • 양세형(양세형) : 대한민국 배우, 코미디언, 사회자(MC)이자 양세찬의 형이다.
  • 양세찬(양세찬) : 대한민국 배우, 코미디언, 가수이자 양세형의 동생이다.
  • J-NO (본명: 윤대혁(윤대혁)) : 가수, 무용가, K팝 아이돌, K팝 보이그룹 APL 멤버이다.
  • 예은 (본명: 장예은(장예은)) : 가수, 래퍼, 무용가, 모델, 사회자(MC), K팝 아이돌, K팝 걸그룹 CLC 멤버이다.
  • 비투 (본명: 이창현(이창현)) : 가수, 래퍼, 무용가, K팝 아이돌, K팝 보이그룹 업텐션 멤버이다.

13. 자매 도시

중국|중국중국어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Dongducheon city http://www.ddc21.net[...] 2008-01-13
[3]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1-31
[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10-10
[5]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7
[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7]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동두천(9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8]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동두천(9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9]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0] 일반
[11] 법률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12] 법률 광명시 등 시 설치와 군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1-04-13
[13] 법률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 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14] 웹사이트 동두천의 위치-기후 http://www.ddc21.net[...] 2012-04-05
[1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동두천(9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1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동두천(9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17] 웹사이트 동두천 현황 http://www.ddc21.net[...] 2012-04-05
[18] 웹사이트 동두천시 통계연보 http://www.ddc21.net 2009-01-01
[19]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20]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21]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22] 웹인용 등록외국인 지역별 현황_09년 6월말 기준 http://www.immigrati[...]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09-07-11
[23] 뉴스 잔당 만원, 10분 대화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9-07-26
[24] 웹사이트 동두천 교육기관 http://www.ddc21.net[...] 2012-04-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