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주 원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주 원씨는 당나라 태종이 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 중 한 명인 원경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운곡공계, 원성백계, 시중공계, 충숙공계의 4개 파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려 개국공신 원극유, 고려 신종 때 문과에 급제한 원익겸, 임진왜란 때 활약한 원균, 원호 등을 배출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60명, 무과 급제자 136명을 배출했으며, 정순왕후, 수빈 박씨 등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현재는 강원도 원주시, 횡성군, 경기도 여주시, 평택시, 전라북도 진안군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주 원씨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원주 원씨 - 원유철
    원유철은 고려대학교 졸업 후 5선 국회의원,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핵무장을 주장하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원주 원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원주 원씨
한자 표기原州 元氏
로마자 표기Wonju Wonssi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설립자원경
관련 인물성비 원씨
원진아
원천석
원희룡
원유철
원세훈
원균
웹사이트원주 원씨 대종회 웹사이트
역사
시조원경(元鏡)
중시조원극유(元克猷), 원익겸(元益謙)
분포
집성촌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경기도 여주시
경기도 평택시
평안북도 귀성군
평안남도 성천군
전라북도 진안군
인구 통계
2015년126,677명
주요 인물
인물원부
원선지
원충
원송수
원창명
원천석
원보륜
원호
성비 원씨
원준량
원균
원연
원유남
원사웅
원두표
원몽린
원경하
원인손
원계손
원응상
원종억
원종린
원용석
원나영
원철희
원세훈
원혜영
원희목
원창묵
원경환
원인철
원유철
원희룡
관련 웹사이트
웹사이트원성백파 대종회
시중공파 종친회
원주 원씨 종문
원주 원씨 종문

2. 역사

당 태종고구려에 파견한 8학사(學士) 중 한 명인 원경(元鏡)이 원주 원씨의 시조이다. 원경은 원훤(元喧)의 41세손이며, 중국 원성(原城) 사람으로 처음 이름은 원경(元慶)이었다. 『원주원씨원사(原州元氏源史)』에 따르면, 원경은 당에서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고구려에 와서 두 나라의 국교 회복과 보장왕(寶藏王)의 책봉에 힘썼으므로 보장왕이 그를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봉하였다고 한다.

원주 원씨는 운곡공계(耘谷公系 : 원경), 원성백계(原城伯系 : 원극유), 시중공계(侍中公系 : 원익겸)의 세 계통으로 나뉜다.

원성백파(原城伯派)의 파조 원극유(元克猷)는 고려를 개국할 때 공을 세워 통합 삼한벽상(統合三韓壁上) 개국익찬일등공신(開國翊贊一等功臣)으로 정의대부 병부령을 지냈으며 원성백(原城伯)에 봉해졌다.

시중공파(侍中公派)의 파조 원익겸(元益謙)는 고려 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우시랑(宇侍郞)을 역임하였다.

3. 본관

원주(原州)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인데 신라 시대에 북원소경(北原小京)으로 불렸으며, 940년(태조 23년)에 원주로 고쳤다. 그 후 일신현, 정원도호부, 익흥도호부 등을 거쳐 1896년 강원도 원주군이 되었다.

4. 분파

원주 원씨는 운곡공계(耘谷公系 : 원경), 원성백계(原城伯系 : 원극유), 시중공계(侍中公系 : 원익겸) 세 계통으로 계대하고 있다.

원주 원씨는 운곡계(耘谷系), 원성백계(原城伯系), 시중공계(侍中公系), 충숙공계(忠肅公系)의 네 파로 나뉘어 있다. 각 계통의 의견이 달라 합보간행은 못하고 있지만 원경을 시조로 하는 단일본임은 일치를 보았다.


  • 운곡파(耘谷派) 시조 '''원경'''은 당 태종이 파견한 8학사(學士)의 일원으로 고구려에 동래하여 보장왕 책봉에 공을 세웠다.
  • 원성백파(原城伯派) 파조 '''원극유'''는 고려를 개국할 때 공을 세워 통합 삼한벽상(統合三韓壁上) 개국익찬일등공신(開國翊贊一等功臣)으로 정의대부 병부령을 지냈으며 원성백(原城伯)에 봉해졌다. 10세손 원부가 충렬왕 때 첨의중찬에 올랐다.[7]
  • 상호군을 지낸 '''원충갑'''(元沖甲)을 파조로 하는 충숙공계(忠肅公系)는 원극유의 11세손이다.
  • 시중공파(侍中公派) 파조 '''원익겸'''은 고려 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우시랑(宇侍郞)을 역임하였다. 조선 현종 때 좌의정에 오른 원두표는 원익겸의 후손이다.

5. 주요 인물

원주 원씨의 주요 인물로는 고려와 조선, 현대를 아울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사람들이 있다.

고려 시대에는 원부와 그의 후손 원선지, 원충, 원송수 등이 주요 관직을 맡았다. 원선지는 혼란 속에서도 절개를 지켜 칭송받았고, 원천석은 은거 생활 중에도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알렸다.

조선 시대에는 원상이 건국 이후 등용되었고, 아들 원창명도 관직을 지냈다. 원균임진왜란삼도수군통제사였으나 칠천량 해전에서 전사했고, 원호는 왜군 격퇴 공으로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원두표인조반정 공신으로 좌의정을 지냈고, 후손들은 왕실과 인연을 맺었다.

현대에는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원혜영 전 국회의원, 원인철 전 합동참모의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있다.

5. 1. 고려


  • 원부(1220년 ~ 1287년): 원극유의 10세손. 고려 충렬왕 때 첨의중찬을 지냈다.
  • 원선지(1281년 ~ 1330년): 원부의 손자. 충숙왕 때 판선공시사, 대사헌, 판전의시사를 거쳤다. 충선왕이 토번으로 유배되고 충숙왕이 원나라에 억류되자, 고려인들 사이에서 혼란이 있었으나 원선지는 정도를 지켜 선비들의 칭송을 받았다. 동지밀직사사에 올랐으나 곧 파직되어 검교첨의평리로 생을 마쳤다.
  • 원충(1290년 ~ 1337년): 원부의 손자. 음보로 벼슬에 올라 동면도감판관이 되었다. 충숙왕이 원나라에 억류되었을 때 끝까지 절개를 지켰고, 충숙왕이 복위하여 귀국한 후 찬성사로 승진하고 추성좌리공신의 칭호를 받았다.
  • 원송수(1324년 ~ 1366년): 원선지의 아들. 고려 공민왕 때 첨서추밀원사를 거쳐 충근찬화공신이 되었고, 정당문학에 올랐다.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 원상: 원송수의 아들. 1389년(공양왕 1) 군기시소윤을 지내고, 장단의 대덕산에 은거하였다. 조선 개국 후 다시 등용되어 1413년(태종 13) 의정부 검교참찬사를 지냈고, 1435년(세종 17) 중추원판사를 지냈다. 시호는 희정(僖靖)이다.
  • 원천석: 고려 말 은거하여 절의를 지킨 대문장가. 학문과 문장이 당대에 유명하여 이방원(조선 태종)을 가르쳤으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5. 2. 조선


  • 원상 : 원송수의 아들. 1389년(공양왕 1) 군기시소윤(軍器寺少尹)을 지냈고, 장단의 대덕산(大德山)에 은거하였다. 조선 개국 후 다시 등용되어 1413년(태종 13) 의정부 검교참찬사(檢校參贊事)를 지냈고, 1435년(세종 17) 중추원판사가 되었다. 시호는 희정(僖靖).[1]
  • 원창명 : 원상의 아들. 조선 세종 때 우군첨총제, 예조참의, 지돈녕부사를 지냈다.[1]
  • 원천석 : 고려 말 초야에 은거하여 절의를 지켰으며, 고려의 대문장가로 학문과 문장이 당세에 유명하여 이방원(조선 태종)을 가르친 스승이었으나 고려의 충신이었다.[1]
  • 원보륜 : 원천석의 증손. 1462년(세조 8) 문과에 급제하고, 1486년(성종 17) 통훈대부(通訓大夫) 행 사헌부지평(行司憲府持平)에 이어 홍문관 교리를 역임했다.[1]
  • 원호 : 생육신. 1423년(세종 5) 문과에 급제하여 문종 때 집현전직제학에 이르렀다. 수양대군이 정권을 잡자 원주로 돌아가 은거하였다. 1699년(숙종 25) 원주에 정려가 세워지고, 1782년(정조 6)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정간(貞簡).[1]
  • 원균 : 원성백계. 임진왜란 때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칠천도(漆川島) 해전에서 전사했다. 이순신, 권율과 더불어 임진왜란 선무공신 1등에 책봉.[1]
  • 원호 : 시중공계. 임진왜란 때 전라우도수군절도사를 역임하고, 강원도조방장(江原道助防將)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경기·강원 방어사 겸 여주목사로 임명되었다. 좌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장(忠壯).[1]
  • 원두표 : 원호의 손자. 인조반정 때 세운 공으로 정사공신(靖社功臣) 2등에 책록되고 원평부원군(原平府院君)에 봉하여졌으며, 1656년 우의정을 거쳐 1662년 좌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충익(忠翼). 조선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 김씨의 모친과 조선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의 모친이 원두표의 후손이다.[1]
  • 원만리 : 원두표의 아들. 현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병조참판과 동부승지를 지냈다.[1]
  • 원경하 : 원만리의 증손. 1736년(영조 12) 정시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판돈녕부사로 치사하였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문(忠文).[1]
  • 원인손 : 원경하의 아들. 1753년 문과에 급제하고 1772년(영조 48년) 우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민(文敏).[1]
  • 원계손 : 시중공계. 조선시대 시(詩), 서(書)에 뛰어나 이언진의 시, 임비남의 그림과 함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1]

5. 3. 현대


  • 원세훈: 초대 행정안전부 장관, 제30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하였다.
  • 원혜영: 제14·17·18·19·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 원인철: 제37대 공군참모총장, 제42대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하였다.
  • 원희룡: 제16·17·18대 국회의원, 제7대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6. 과거 급제자

원주 원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60명, 무과 급제자 136명을 배출하였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
종류명단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


7. 집성촌



2015년 통계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는 4,898명(총 인구의 1.61%),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는 710명(총 인구의 1.84%, 전국에서 총 인구에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 경기도 여주시에는 1,079명(총 인구의 1.08%), 경기도 평택시에는 1,902명(총 인구의 0.47%),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에는 135명(총 인구의 0.64%)이 거주하고 있다.[6]

8. 항렬자

원주 원씨 각 파의 항렬자는 다음과 같다.[5]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53세54세55세56세
운곡파
(耘谷派)
(시조로 1세)
태(泰)현(顯)영(永)
승(承)


치(致)
교(敎)
종(鍾)
용(鏞)

동(東)
상(相)

혁(赫)
철(喆)

선(善)
태(泰)
제(濟)

병(炳)
형(炯)

상(商)
정(正)

인(寅)
진(震)

원성백파
(原城伯派)
(중시조로 1세)
후(厚)제(濟)유(裕)종(鍾)영(榮)윤(潤)동(東)현(顯)진(鎭)상(相)중(重)
시중공파
(侍中公派)
(중시조로 1세)
종(鍾)동(東)치(致)선(善)태(泰)병(丙)현(鉉)주(柱)홍(洪)희(熙)


9.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 태조 후궁 성비 원씨
  • 광해군 후궁 숙의 원씨
  • 무안대군(태조의 칠남) 계비 군부인 원주 원씨
  • 덕천군(정종의 서자) 사위 원중치
  • 혜령군(태종의 서자) 사위 원맹수, 원보강
  • 계성군(성종의 서자) 정비 안성군부인 원주 원씨
  • 숙경공주(효종의 육녀) 부마 원몽린
  • 정신옹주(중종의 서녀) 사위 원호준
  • 정순왕후(영조의 계비)의 어머니 원풍부부인 원주 원씨
  • 유빈 박씨(순조의 생모)의 어머니 증정경부인 원주 원씨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the Choson Dynast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원주원씨 原州元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3]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4
[5] 웹사이트 원씨(元氏) 본관(本貫) 원주(原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7] 문서 『고려사』 권107, 열전20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