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동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명동굴은 1903년 시흥광산으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 강제 노동의 현장이었던 곳이다. 해방 이후 1972년까지 광산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새우젓 저장 시설로 사용되다가 광명시가 부지를 매입하여 테마파크로 조성했다. 현재는 역사, 문화, 예술, 관광이 어우러진 복합 문화 공간으로, 동굴 예술의 전당, 와인 동굴, 다양한 전시, 그리고 시원한 지하 온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광명동굴은 108년의 역사를 간직한 산업 유산으로, 갱도와 선광장 등 시설이 보존되어 역사적, 교육적 가치를 지니며, 국제 교류를 통해 성공적인 개발 사례를 알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광명동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명칭 | 광명동굴 |
한자 명칭 | 光明洞窟 |
로마자 표기 | Gwangmyeong Donggul |
일반 정보 | |
깊이 | 275m |
길이 | 7.8km |
웹사이트 | 광명시 공식 웹사이트 (영어) |
2. 역사
1903년 5월 2일 가학리에 시흥광산이 설립되었다는 기록을 시작으로, 1912년 일본인에 의해 광명동굴이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 징용과 생계를 위해 온 농민 출신 광부들이 많았으며, 전성기에는 500여 명이 근무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도 광산으로 계속 사용되다가 1972년 홍수에 의한 환경 오염 및 보상 문제로 폐광되었다. 전문가들은 아직도 동굴 내에 많은 양의 황금이 남아있을 것으로 분석한다.[4]
1978년부터 2010년까지는 새우젓 저장 시설로 사용되었다. 이후 광명시가 이 부지를 매입하여 테마파크로 조성하였다.[1] 2011년 재개장한 광명동굴은 현재 역사 전시관, 수족관, 조각, 빛 쇼, 어린이 놀이 시설, 지하 와이너리 등 주로 엔터테인먼트에 중점을 두고 있다.[3][1]
2. 1. 일제강점기
1903년 5월 2일 가학리에 시흥광산이 설립되었다는 기록을 시작으로, 1912년 일본인 고바야시 도우에몬에 의해 광명동굴이 설립되었다. 당시 조선총독부는 광업권 침탈 차원에서 대한제국 고종 황제를 압박하며 '광산조사기관'을 설치하고 금, 은 광산을 독점하려 하였다. 광명동굴에는 징용과 생계를 위해 온 농민 출신 광부들이 많았으며, 전성기에는 500여 명의 광부가 근무하였다고 알려졌다. 광명동굴은 일제강점기 강제 노동의 현장이었다.[2][1]2. 2. 해방 이후와 폐광
해방 이후에도 광산은 계속 운영되었으며, 1955년부터 1972년까지 52kg의 황금을 캤다고 알려졌다. 1972년 홍수에 의한 환경 오염 및 보상 문제로 인해 폐광되었다.[4] 1978년부터 2010년까지는 새우젓 저장 시설로 사용되었다.[1]2. 3. 복합 문화 공간으로의 재탄생

광명시는 2011년에 새우젓 저장 시설로 사용되던 광명동굴 부지를 매입하여 역사, 문화, 예술, 관광이 어우러진 테마파크로 조성하였다.[1]
현재 광명동굴 내부는 수족관, 조각, 빛 쇼, 어린이 놀이 시설, 지하 와이너리 등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추고 있다.[3][1] 특히 여름철에는 시원한 지하 온도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이다.[1]
3. 보존과 활용
광명동굴은 108년의 역사를 간직한 산업 유산으로, 광산 개발 방식과 작업 환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갱도와 선광장터 등 당시 시설들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 역사적, 교육적 가치가 높다.[6] 갱도와 선광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1978년부터 2010년까지는 새우젓 저장 시설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광명시가 이 부지를 매입하여 테마파크로 조성하였다.[1] 2011년에 재개장한 현재는 역사 전시관 외에도 수족관, 조각, 빛 쇼, 어린이 놀이 시설, 지하 와이너리 등 주로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3][1] 특히 여름철에는 시원한 지하 온도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1]
3. 1. 갱도
광명동굴은 상부 레벨부터 지하 7레벨까지 708km에 달하는 갱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광산 개발 방식과 통풍, 환기 등 지하 갱도에서의 작업 환경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6] 갱도는 일제강점기 강제 노동의 현장이었으며,[2][1] 1945년 광복 이후에도 1972년까지 광산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광산은 인근의 홍수와 오염된 논 때문에 폐쇄되었다.[1]3. 2. 선광장터
광석을 선별하던 선광장은 하나하나 쌓아 올린 석조 플랜트와 기계를 받쳐주던 콘크리트 기초들이 남아있어 당시 산업 건축 양식과 시설 용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시설이다.[6]4. 국제 교류
광명시 대표단은 2016년 5월 말 프랑스 의회와 드르도뉴주 의회 초청으로 파리를 방문해 '광명동굴 성공 사례 및 라스코 동굴 벽화 광명동굴전의 의미' 등을 발표해 프랑스인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7] 광명시는 라오스 정부에도 동굴 개발 성공 사례를 알려주고 있으며, 광명동굴엔 벤치마킹을 위해 방문하는 전 세계 공무원들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7]
5. 주요 전시
광명동굴은 일제강점기에 강제 노동의 현장으로 만들어졌으며,[2][1] 1945년 해방 이후에도 1972년까지 광산으로 사용되었다. 인근의 홍수와 오염된 논 때문에 폐광된 후, 1978년부터 2010년까지 새우젓 저장 시설로 이용되었다. 이후 광명시가 매입하여 테마파크로 조성하였다.[1] 2011년에 재개장하여 현재 역사 전시관 외에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3][1] 특히 여름철에는 시원한 온도로 인기가 많다.[1]
5. 1. 판타지 웨타 갤러리
웨타 워크숍(Weta Workshop)이 제작한 실물 크기의 골룸과 간달프 지팡이, 국내 최대의 용인 '동굴의 제왕'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국내 최대의 용은 길이 41m, 무게 800kg이다.[8]5. 2. 기타 전시
광명동굴은 수족관, 조각, 빛 쇼, 어린이 놀이 시설 등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추고 있다.[3][1]
참조
[1]
웹사이트
"[Eye Plus] Theme park in abandoned gold mine"
https://www.koreaher[...]
2018-08-09
[2]
웹사이트
Gwangmyeong Cave (광명동굴)
http://english.visit[...]
2017-09-05
[3]
웹사이트
Set Off to Gwangmyeong for a Refreshing Cave Tour!
http://english.visit[...]
2017-09-05
[4]
웹인용
광명동굴 스토리 3
http://www.gm.go.kr/[...]
[5]
웹인용
광명동굴 스토리 2
http://www.gm.go.kr/[...]
[6]
웹인용
광명동굴 스토리 6
http://www.gm.go.kr/[...]
[7]
웹인용
광명동굴 스토리 4
http://www.gm.go.kr/[...]
[8]
웹인용
광명동굴 홈페이지 1
http://www.gm.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