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괴팅겐 18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팅겐 18인은 1957년 4월 12일, 서독의 핵 연구학자 18명이 당시 수상 콘라트 아데나워와 국방부 장관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에게 핵무장에 반대하며 관련 연구 참여를 거부하는 성명을 발표한 사건을 지칭한다. 이들은 수소폭탄 실험과 제5 후쿠류마루 사건,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등 세계적인 반핵 운동의 영향 속에서 괴팅겐 선언(Göttinger Erklärung)을 발표했다. 이 명칭은 하노버 왕국의 헌법 폐지에 항의한 괴팅겐 7교수 사건에 비유된 것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반핵무기 운동가 - 페트라 켈리
    독일 녹색당 창립 멤버이자 환경 운동가였던 페트라 켈리는 평화 정책, 인권, 소수자 배려를 옹호하며 독일 연방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고, 생태주의, 평화주의, 여성주의를 융합한 사회 운동을 펼치다 동거인에 의해 살해당했다.
  • 독일의 반핵무기 운동가 - 알베르트 슈바이처
    알베르트 슈바이처는 독일 태생의 신학자, 음악가, 철학자, 의사, 선교사, 인도주의자이자 평화주의자로서, '생명에 대한 경외심' 철학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에서 의료 봉사를 하고 평화 운동에 참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삶과 사상은 오늘날에도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 1957년 서독 - 195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
    1957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이끄는 기민/기사련은 50.2%의 득표율로 전후 독일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단독으로 과반수를 차지하며 정권 재창출에 성공, 전후 독일 정치의 3당 체제가 확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 1957년 서독 - 괴팅겐 선언
    괴팅겐 선언은 1957년 독일 핵 연구자들이 독일 연방군의 핵무기 장착 계획에 반대하며 핵무기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독일의 핵무기 포기가 세계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한 선언이다.
  • 명수 18 - 십팔사략
    십팔사략은 원나라 시대에 초학자를 위해 편찬된 중국 역사서로, 18개의 주요 역사서 내용을 발췌, 요약했으나, 간략한 내용과 부정확한 정보로 학계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며, 조선과 일본에서는 교재로 활용되었고 현대에는 일본에서 재해석되기도 한다.
  • 명수 18 - 십팔반병기
    십팔반병기는 중국 무술에서 여러 종류의 무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명나라 시대 문헌에서 유래되었으며, 소림 무술과 문학 작품을 통해 알려져 한국 무예에도 영향을 주었고, 무기술을 넘어 중국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괴팅겐 18인
배경
1958년 4월, 괴팅겐 대학교의 마당에서. 왼쪽부터: 프리츠 바우어, 볼프강 아베크, 카를 야스퍼스, 에리히 미쉬, 에른스트 포르슈토프, 헤르만 아우빈, 발터 얀센, 헬무트 쿠엔, 귄터 다이케, 발터 제하르트, 한스 요아힘 티에센, 파울 틸리히, 에두아르트 간스, 아돌프 레프슈츠, 프리드리히 쾨네, 에른스트 볼프, 에른스트 부슈코, 루돌프 슈뮐러
개요
명칭괴팅겐 18인
독일어 명칭Göttinger Achtzehn
유형그룹
결성 시기1957년
결성 장소괴팅겐 대학교
활동 시기1957년 ~ 1958년
목표독일 연방군의 핵무장에 반대
구성원
구성원 목록프리츠 바우어
볼프강 아베크
헤르만 아우빈
에른스트 부슈코
귄터 다이케
에두아르트 간스
발터 얀센
카를 야스퍼스
프리드리히 쾨네
헬무트 쿠엔
아돌프 레프슈츠
에리히 미쉬
에른스트 포르슈토프
볼프강 리츨러
루돌프 슈뮐러
발터 제하르트
한스 요아힘 티에센
파울 틸리히
에른스트 볼프

2. 배경 및 진행 과정

냉전 하에 핵 개발이 진행되는 가운데, 1954년 일본의 어선 선원이 피폭되는 제5 후쿠류마루 사건이 발생했다. 이듬해 1955년에는 원수폭 금지 세계 대회 개최, 과학자들의 러셀-아인슈타인 선언 발표 등 세계적인 규모의 반핵 운동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57년 4월 12일, 18명의 관련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이 서독 괴팅겐에서 서독 총리 콘라트 아데나워와 당시 국방 장관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에게 핵무장에 반대하고 핵 보유를 위한 일체의 연구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것을 '''괴팅겐 선언'''(Göttinger Manifest, Göttinger Erklärungde)이라고 칭한다.

2. 1. 국제적 배경

냉전 시대에 미국은 원자폭탄보다 더 큰 파괴력을 지닌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 하지만 1954년 미국의 수소폭탄 실험으로 인해 일본의 참치잡이 어선 승무원이 사망한 제5 후쿠류마루 사건을 계기로, 1955년에는 처음으로 원자 및 수소폭탄 금지를 위한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이 발표되는 등 세계적인 반핵 운동이 일어났다. 또한 이 해는 서독이 국가 주권을 회복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맹한 해이기도 했다.

2. 2. 서독의 상황

냉전 시대에 핵무기 개발에 힘을 쏟았던 미국은 원자폭탄보다 더 큰 파괴력을 지닌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 하지만 1954년 미국의 수소폭탄 실험으로 인해 일본의 참치잡이 어선 승무원이 사망한 제5 후쿠류마루 사건을 계기로, 다음 해인 1955년에는 처음으로 원자 및 수소폭탄 금지를 위한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러셀-아인슈타인 선언이 발표되는 등 세계적인 반핵 운동이 일어났다. 또한 이 해는 서독이 국가주권을 회복하여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맹한 해이기도 했다.

2. 3. 괴팅겐 7교수 사건과의 연관성

"괴팅겐 18인"이라는 표현은 19세기 전반 괴팅겐 대학교의 7명의 교수가 당시 괴팅겐을 다스리던 하노버 왕국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이 시행한 신헌법 파기에 대해 항의한 사건(괴팅겐 7교수 사건)의 "괴팅겐 7인"에 빗댄 것이다.

3. 선언 서명자 (괴팅겐 18인)

}

|-

| 하인츠 마이어라이프니츠

|-

| 요제프 마타우흐Josef Mattauch|영어

|-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

| 빌헬름 발허Wilhelm Walcher|영어

|-

| 막스 보른

|-

| 프리츠 보프Friedrich Bopp|영어

|-

| 카를 비르츠

|-

| 프리츠 슈트라스만

|-

| 한스 코퍼만Hans Kopfermann|영어

|-

| 프리드리히 아돌프 파네트Friedrich Paneth|영어

|-

| 볼프강 파울

|-

| 루돌프 플라이슈만Rudolf Fleischmann|영어

|-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 오토 학셀Otto Haxel|영어

|-

| 오토 한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서명자
발터 게를라흐
막스 폰 라우에
볼프강 리츨러{{lang|de|Wolfgang Riez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