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에우제니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우제니오 1세는 654년부터 657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그는 로마에서 태어나 성직자가 되었으며, 전임 교황 마르티노 1세가 단의론을 반대하여 동로마 황제 콘스탄스 2세와 대립하다 폐위된 후 황제의 지지를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교황 재위 기간 동안 단의설을 비판하며 황제와 대립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서신을 거부하며 갈등을 빚었다. 657년에 사망하여 성 베드로 대성전에 묻혔으며,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에우제니오 1세는 로마 아벤티노 언덕에서 태어났으며, 유년 시절 성덕이 출중했다는 점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젊은 시절 성직자가 되어 로마 교회 내에서 여러 업무를 맡았다.[2][3]
동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스 2세는 교황 마르티노 1세를 납치하여 유배 보냈다. 마르티노 1세는 653년 6월 18일 로마에서 끌려나가 유배길에 올랐으며, 655년 9월에 선종하였다.[1] 마르티노 1세가 떠난 후 로마 교회는 수석사제와 수석부제 등이 임시로 사목하였다.[1]
에우제니오 1세는 교황으로 선출된 후 그리스도는 하나의 의지만 지녔다고 주장하는 단의설을 처결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그는 전임 교황 마르티노 1세처럼 단의설을 비판하며 황제와 대립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페트로스를 인정하지 않는 성명을 발표했다.
에우제니오 1세는 657년에 선종하였으며,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그의 축일은 6월 2일이다. 콘스탄스 2세가 그에게 대항 조치를 취하기 전인 657년 6월 2일에 사망했으며, 옛 성 베드로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그는 성인으로 공경받았으며,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 교구의 성 에우제니오 대성당의 수호 성인이자 이름의 유래로 기념된다.
[1]
서적
Pope St. Eugene I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2. 생애 초기
3. 교황 선출
마르티노 1세가 선종하고 2개월 후인 654년 8월 10일, 에우제니오 1세가 후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 황제는 에우제니오 1세가 협조적일 것이라고 믿고 그의 선출을 승인했다.[1]
4. 교황 재위 기간
에우제니오 1세는 세계 여러 지역의 주교 21명을 서품했다. 윌프리드 주교가 로마를 처음 방문했을 때 그를 맞이하여 안수 기도를 하고 축복했다.
657년에 선종하였으며,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축일은 6월 2일이며, 성 베드로 대성전에 묻혔다.
4. 1. 콘스탄티노폴리스 서신 문제
에우제니오 1세는 교황으로 선출되자마자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콘스탄스 2세 황제에게 사절단을 보냈다. 사절단은 새 교황 선출 소식과 신앙 고백을 담은 서신을 전달했다. 그러나 교황의 사절단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측으로부터 뇌물을 받았거나 속임수에 넘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그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베드로의 서신을 갖고 로마로 돌아왔다.[1] 황제의 사절은 성 베드로 사도에게 바칠 예물과 함께, 교황에게 신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인정하고 그와 친교 관계를 맺으라는 요청을 전달하였다.[1] 총대주교 베드로는 황제의 사절을 통해 에우제니오 1세에게 서신을 보냈으나, 난해하고 모호한 문체로 쓰여 그리스도 안에 두 의지가 있다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다.[1] 656년 베드로 총대주교의 서신 내용이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의 모든 성직자와 신자들에게 낭독되자 그들은 분개하여 서신을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했다.[1] 또한 교황이 서신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약속하기 전까지는 대성전 밖으로 나가지 않겠다고 시위하였다.[1] 결국 에우제니오 1세는 베드로 총대주교의 서신을 공적으로 거부했다.[1] 동로마 제국은 마르티노 1세를 체포해 유배 보냈듯이 에우제니오 1세도 체포하여 유배 보내겠다고 위협했다.[1] 그러나 이슬람교도의 공격을 받게 되면서 에우제니오 1세를 실질적으로 위협하지는 못하였다.[1] 654년 이슬람군이 로도스섬을 침략하고, 콘스탄스 2세는 피닉스 해전에서 패배했다.[1]
4. 2. 단의설 논쟁
에우제니오 1세는 교황으로 선출된 후 얼마 안 있어 그리스도는 하나의 의지만 지녔다고 주장하는 단의설을 처결하라는 요구를 받았다.[1]
그는 전임 교황 마르티노 1세처럼 단의설을 비판하며 황제와 대립했다. 에우제니오 1세는 황제에 대한 보복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페트로스를 인정하지 않는 성명을 발표했다.
5. 죽음과 유산
참조
[2]
웹인용
Saint of the Day, June 2: Eugenius I
http://www.saintpatr[...]
2012-03-07
[3]
웹인용
St. Eugene I
http://www.cfpeople.[...]
2006-04-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