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갈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갈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이다. 지명은 갈천이라는 호를 가진 김원립의 거주지에서 유래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구흥면 지역이었다. 현재는 신갈천이 흐르고, 다양한 교육 기관과 편의 시설,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국도 제42호선과 용인 경전철, 분당선이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구갈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구갈동 |
한자 표기 | 舊葛洞 |
영문 표기 | Gugal-dong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기흥구 |
면적 | 4.21 |
세대 | 18,121 |
세대 조사 | 2022년 2월 |
인구 | 41,635 |
인구 조사 | 2022년 2월 |
법정동 | 구갈동 |
통 | 44 |
반 | 259 |
동주민센터 | '[16977]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강남로 23 (구갈동)' |
홈페이지 | 구갈동 행정복지센터 |
2. 지명 유래
설화에 의하면, 경주 김씨 문중 김원립의 호인 갈천에서 유래하여 갈곡, 또는 갈천이라 불리던 곳이 구갈이라는 지명이 되었다. 이웃 마을은 신갈이라 불렀고, 기존 마을은 구갈이라 불렀다. 조선시대 구흥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갈곡, 내기, 하관곡리를 합쳐 구갈리가 되었다. 갈곡은 마을 뒷산에 칡이 많이 자생하여 붙여졌다는 속설이 있으며, 하관곡은 조선시대 이 지역에 구흥역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내기는 안터, 안골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식으로 표기한 것이다.[2]
2. 1. 전해오는 이야기
설화에 의하면 경주 김씨 문중에 김원립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호가 갈천이었다고 한다. 이 사람이 사는 곳을 갈곡, 또는 갈천이라 하던 것이 지명으로 바뀌었다. 그 이웃에 마을이 생겼으므로 신갈이라 하였고, 이에 반해 예로부터 있던 마을이므로 구갈이라고 했다고 한다.[2]이곳 지역은 조선시대 구흥면(駒興面)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갈곡, 내기, 하관곡리를 합쳐 신갈에 대칭되는 구갈리(舊葛里)라고 하였다. 갈곡(葛谷)은 마을 뒷산에 칡이 많이 자생하여 그렇듯 붙여졌다는 속설이 전해진다.[2]
하관곡(下館谷)은 조선시대 이 지역에 구흥역(駒興驛)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되는데, 역에 딸린 관사 윗마을은 상관곡(上館谷, 혹은 상관골)으로, 아랫마을은 하관곡(혹은 하관골)으로, 그리고 역에 딸린 마을은 역촌(驛村)으로 불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기(內基)는 말 그대로 길 안쪽에 들어가 있는 마을, 즉 안터, 안골이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식으로 표기한 것이라고 한다.[2]
3. 위치 및 지리
구갈동 남부에는 상하동 남쪽 산에서 발원한 신갈천이 신갈동과 상갈동에서 만나 신갈저수지로 흘러들어가고 있으며, 북쪽에는 100~200m 정도의 산이 있다.
2012년 7월 말 현재 면적은 4.2km2이며, 총 10,923세대에 27,582명(남자 13,928명, 여자 13,654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동쪽은 중동, 서쪽은 신갈동, 남쪽은 상갈동과 보라동, 북쪽은 언남동과 각각 접하고 있다.[2]
총 면적 4.2km2 중 경지 면적은 0.08km2이며, 밭이 0.05km2, 논이 0.03km2, 임야가 1.02km2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콩, 고추와 채소 종류가 재배되고 있다. 대단지 아파트 단지로 이루어져 있어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단지 내에 상가가 형성되어 있어 음식점을 비롯하여 각종 학원, 병원, 의원 등의 편의 시설이 있다.[2]
4. 인구
2015년 2월 28일 기준으로 구갈동의 인구는 27,356명(내국인)이며, 용인시 전체 인구의 2.8%를 차지한다. 남자는 13,741명, 여자는 13,615명이며 세대수는 11,492세대이다. 외국인은 727명이다.[3]
구갈동의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유소년(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14.70%로 용인시 전체 18.3%보다 적으며, 노년(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7.90%로 용인시 전체 10.3%보다 적다.[4]
5. 교통
국도 제42호선이 동의 중앙을 관통하고, 용인 경전철의 시작점인 기흥역이 위치해 있다.
한국철도공사 분당선이 이곳을 지나며, 2011년 12월 28일에 기흥역이 개통하였다. 기흥역은 용인경전철 기흥역과 환승역이다.
6. 교육
기흥구와 경기도용인교육지원청을 참고하면 된다.
7. 주거
구갈동에는 다양한 형태의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있다.
7. 1.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강남마을 3단지 주공 | 대한주택공사 | 2004년 11월 | 국민임대 | ||
강남마을 2단지 한라비발디 아델70 | 한라건설㈜ | 용인시 기흥구 강남서로 86 | 2005년 5월 | ||
강남마을 자연& 4단지 | 풍림산업 | 경기도시공사 | 용인시 기흥구 강남동로 43 | 2004년 8월 | |
강남마을 자연& 6단지 | 용인시 기흥구 강남동로 42 | ||||
강남마을 7단지 계룡리슈빌 | 계룡건설산업㈜ | 계룡산업㈜ | 용인시 기흥구 강남동로 54 | 2004년 6월 | |
강남마을 1단지 코오롱하늘채 수(秀) | 코오롱글로벌㈜ | 2004년 10월 | |||
강남마을 5단지 코오롱하늘채 | 2004년 9월 | ||||
기흥역 지웰 푸르지오 | 대우건설 | ㈜신영 | 용인시 기흥구 기흥역로 16 | 2017년 11월 | |
기흥역 센트럴 푸르지오 | DS네트웍스㈜ | 용인시 기흥구 기흥역로58번길 10 | 2018년 6월 | ||
기흥역 파크 푸르지오 | ㈜피데스피엠씨 | 용인시 기흥구 기흥역로58번길 56 | 2018년 7월 | ||
가현마을 신안 | 신안종합건설 | 2001년 12월 | |||
기흥역더샵 | 포스코이앤씨 | 2018년 11월 | |||
힐스테이트 기흥 | 현대엔지니어링 | 2018년 8월 |
7. 2. 연립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세종그랑시아 1차 | ㈜세종건설 | 1999년 10월 | |||
세종그랑시아 2차 | 1999년 11월 | ||||
안골마을 롯데캐슬 | 롯데건설 | 2005년 4월 |
참조
[1]
조례
용인시 조례 제648호 구및읍·면·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5-10-05
[2]
서적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3]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 바다
http://yongin.estat.[...]
2015-02
[4]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 바다
http://yongin.estat.[...]
201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