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데니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데니아과는 국화목에 속하는 식물 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16속 400종 이상이 분포한다. 꽃은 좌우대칭 또는 단대칭이며, 암술대는 이 과의 특징인 꽃가루 컵 구조를 갖는다. APG 식물 분류 체계에 따르면 국화목에 속하며, 잎은 나선형으로 배열된다. 일부 종은 관상용으로 이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데니아과 - 초해동
초해동은 해변 식물로 갯개미취속의 Scaevola taccada와 혼동되지만, 잎 모양, 꽃 색깔, 열매 형태, 서식지에서 차이를 보이며 동아프리카, 서아프리카, 스리랑카, 플로리다 남부 등지에 분포하고 해안 모래 언덕과 같은 환경에서 생존하며 1788년 Scaevola plumieri로 재분류되어 식물 분류학 연구에 기여했다.
구데니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oodeniaceae |
명명자 | R.Br. |
발표 연도 | 1810년 |
이명 | Brunoniaceae Dumort. Scaevolaceae Lindl. |
속 | 본문 참조 |
생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계통군) | 속씨식물 |
강 (계통군) | 진정쌍떡잎식물 |
목 | 국화목 |
2. 형태학
구데니아과 종들은 일반적으로 나선형 잎을 지닌 초본식물이다. 꽃은 좌우대칭이며, 씨방은 하위이다.
구데니아과는 전 세계의 열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16속 400종 이상이 분포하며, 일본에도 난세이 제도나 오가사와라 제도 등에 구데니아 등의 자생종이 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 폴리네시아에 매우 많이 분포한다.
분자계통학에 기반한 APG 식물 분류 체계와 크론퀴스트 체계에서 국화목에 속한다.[7]
구데니아과 식물은 일반적으로 초본이며, 잎차례는 나선형이다. 꽃은 하나의 대칭면을 가지며(단대칭; 유일한 예외는 ''브루노니아'') 부채꼴(예: ''스카이볼라'') 또는 입술 모양(''담피에라''처럼)이다. 꽃잎은 종종 두 개의 얇은 가장자리 날개를 가지며, 이는 아스테르목의 다른 과인 용담과와 아르기로필룸과에서도 나타난다. 암술대는 팁에 꽃가루 컵(indusium)이라고도 불리는 구조를 지니며, 이는 이 과의 고유한 특징이다. indusium은 2차 꽃가루 제공에 관여하며, 이는 관련 과인 국화과와 캄파눌라과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씨방은 하위 씨방이며 열매는 핵과, 견과 또는 삭과이다. 삭과 열매의 씨앗은 보통 점액질 날개를 가지고 있다.
작은 관목 또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단엽으로 어긋난다. 꽃은 단생 또는 취산화서이다.
3. 분포
4. 하위 속
속(Genus) 학명 명명자 안토티움 (Anthotium) R.Br. 브루노니아 (Brunonia) Sm. 쿠퍼누키아 (Coopernookia) Carolin 담피에라 (Dampiera) R.Br. 디아스파시스 (Diaspasis) R.Br. 구데니아 (Goodenia) Sm. 레세노티아 (Lechenaultia) R.Br. (동의어 Leschenaultia DC.) 펜타프틸론 (Pentaptilon) E.Pritz. 스카이볼라 (Scaevola) L. 셀리에라 (Selliera) Cav. 벨레이아 (Velleia) Sm. 베로키아 (Verreauxia) Benth.[4]
5. 계통 분류
크론퀴스트 체계에서 구데니아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국화목 Campanulales
* '''굿데니아과''' Goodeniaceae
5. 1. 국화목 내 계통 분류
APG 식물 분류 체계와 크론퀴스트 체계에서 국화목에 속한다.[7] 다음은 국화목의 계통 분류이다.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국화목
|-
|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펜타프라그마과
|-
| style="text-align:left;" |
|-
| style="text-align:left;" |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left;" | 스틸리디움과
|-
| style="text-align:left;" |
|}
|}
|}
|}
|}
|}
6. 이용
최근 오스트레일리아산 원예종이 잇따라 소개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웹사이트
Family: ''Goodeniaceae'' R. Br., nom. cons.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3-01-17
[3]
웹사이트
Flora of Australia vol. 35
http://www.deh.gov.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AGPS)
[4]
웹사이트
GRIN Genera of ''Goodeniaceae''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5]
웹인용
Flora of Australia vol. 35
http://www.deh.gov.a[...]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AGPS)
2006-09-17
[6]
웹인용
"''Flora of Australia'', vol. 35"
http://www.deh.gov.a[...]
2009-12-15
[7]
웹인용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http://www.mobot.org[...]
APWebsite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