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별은 철학 및 법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서로 다른 개념이나 사례를 구분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철학에서는 분석-종합 구별과 선험적-후험적 구별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분석-종합 구별은 주어와 술어의 관계에 따라 명제를 구분하며, 선험적-후험적 구별은 지식의 획득 방식에 따라 지식을 분류한다. 법학에서 '구별'은 판례법 체계에서 기존 판례와 사실관계가 다른 경우, 새로운 판결을 내리는 과정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법이 유연하게 적용되고 발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념적 구별 - 분석-종합 구분
분석-종합 구분은 명제의 술어 개념이 주어 개념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분석 명제와 종합 명제로 나누는 것으로, 칸트가 제시한 인식론적 틀의 중요한 요소이며 이후 철학적 논쟁의 중심 주제가 되었다. - 개념적 구별 - 섹스와 젠더의 구분
섹스와 젠더의 구분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섹스와 사회적 역할, 행동, 정체성을 포괄하는 젠더를 명확히 구분하는 개념으로, 젠더는 생물학적 성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적, 문화적 맥락에서 젠더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젠더 관련 논의의 한계와 사회 변화를 다룬다. - 추상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추상 - 이론
이론은 특정 주제를 이해, 설명, 예측하기 위한 분석적 도구로, 논리적 원칙을 따르며, 과학에서는 관찰과 실험으로 확인된 사실에 기반한 자연 세계에 대한 설명으로, 반증 가능성을 지니고 학문 분야에서 지식 축적과 논리적 설명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구별 | |
---|---|
법률의 추론 | |
유형 | 법적 추론 |
세부 사항 | |
설명 | 법률에서, 식별하기는 특정 이전 사건이 현재 사건에 대한 선례를 설정하지 않는 법적 추론이다. |
목표 | 식별의 목표는 이전 사건이 특정 법률에 따라 결정되었지만, 현재 사건은 다른 법률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활용 | 구별은 변호사, 법원 또는 재판관이 현재 사건에 적용할 선례로 이전 사건의 적용을 제한하거나 피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
방법 | 구별의 방법은 이전 사건의 중요한 사실이 현재 사건의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참고 자료 추가 자료 |
관련 항목 | 선례 법적 추론 재판결 공통 법률 |
2. 현대 철학에서의 구별
현대 철학에서 '구별'은 주로 인식론과 논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2. 1. 분석-종합 구별
칸트 이전의 영국 경험론자들은 (더 나아가 스콜라주의 사상에서도) 분석-종합 구별을 예상했지만, 이 용어를 도입한 사람은 칸트였다.[1] 분석-종합 구별은 주어와 술어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1] 분석적 주장은 "모든 몸체가 확장된다."에서와 같이 주어가 술어를 포함하는 주장이다.[1] 종합적인 주장은 "모든 사건이 발생한다"와 같이 두 가지 개념을 하나로 묶는다.[1] 이러한 구별은 윌러드 밴 오먼 콰인이 "경험주의의 두 독단"이라는 논문에서 의문을 제기하였다.[1]2. 2. 선험적-후험적 구별
지식의 기원과 관련하여 구별의 기원은 덜 명확하다. 사후 지식은 경험에서 발생하거나 경험에 의해 발생한다. 선험적 지식은 경험 후에 일시적으로 올 수 있지만, 그 확실성은 경험 자체에서 파생되지 않는다. 솔 크립키는 분석적 사후 지식 주장이 있다고 제안한 최초의 주요 사상가였다.[1]3. 법학에서의 구별
법학에서 '구별'은 판례법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판례 구별은 기존 판례의 법리가 현재 사건에 적용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광범위하고 새로운 종류의 구별되는 사례가 만들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법원이 만든 불법 행위인 과실의 확립에서 계약 당사자 관계 법에 관한 모든 사례를 구별하거나, 또는 사례가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판례에 비해 너무 좁은 사실의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자체 사실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이러한 결정은 상급 법원에서 파기될 위험이 높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3]
# 하급 법원이 법을 창조했다.
# 하급 법원이 구속력 있는 판례를 따르지 않았다.
''Balfour v Balfour''(1919)와 ''Merritt v Merritt''(1970)는 유지 계약의 집행 가능성과 관련된 사건으로, ''Merritt v Merritt'' 사건에서 ''Balfour v Balfour'' 판례와 구별되는 판결이 나왔다. ''Read v Lyons''(1947)[4] 사건에서는 ''Rylands v Fletcher''(1868) 판례와 구별되는 판결이 내려졌다.
3. 1. 판례 구별의 의미와 중요성
법원은 특정 사건에 대해 기존 판례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판단하면, 기존 판례의 법리를 따르지 않고 새로운 판결을 내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법은 구체적인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되고 발전할 수 있다.[3]예를 들어, ''Balfour v Balfour''(1919)와 ''Merritt v Merritt''(1970)는 부부간 유지 계약의 집행 가능성과 관련된 사건이었다. 두 사건 모두 아내가 남편을 상대로 계약 위반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Balfour'' 사건에서 판사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계약이 없다고 판결했다. 반면, ''Merritt v Merritt'' 사건에서 판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Balfour v Balfour'' 사건과 사실관계가 실질적으로 다르다고 판단하여 구별했다.
- 남편과 아내는 별거 상태였고, 더 이상 "우호적인 관계"가 아니었다.
- 계약은 부부가 별거한 후에 서면으로 작성되었다.
또 다른 예로, ''Read v Lyons''(1947) 사건[4](탄약 공장 노동자가 공장 폭발 사고로 부상당한 사건)에서 법원은 ''Rylands v Fletcher''(1868) 사건을 구별했다. 이 사건에서 피고 공장이 "위험한 물건을 토지에 보관"했지만, 그 물건의 "탈출"이 없었기 때문이다.
3. 2. 판례 구별의 기준
광범위하고 새로운 종류의 구별되는 사례가 만들어지는 경우, 예를 들어 법원이 만든 불법 행위인 과실의 확립에서 계약 당사자 관계 법에 관한 모든 사례를 구별하거나, 또는 사례가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판례에 비해 너무 좁은 사실의 변동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자체 사실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이러한 결정은 다음과 같은 근거로 상급 법원에서 성공적으로 파기될 위험이 높다.[3]# 하급 법원이 법을 창조했다.
# 하급 법원이 구속력 있는 판례를 따르지 않았다.
''Balfour v Balfour''(1919)와 ''Merritt v Merritt''(1970)는 유지 계약의 집행 가능성과 관련된 사건이었다. 각 사건에서 아내는 남편을 상대로 계약 위반을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Balfour'' 판사는 법적 규정을 만들 의도에 대한 증거 없이는 주장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계약이 없다고 판결했다. 반대로, ''Merritt v Merritt''에서 판사는 ''Balfour v Balfour''을 구별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서 사실관계가 실질적으로 다르다고 결정했다. (i) 남편과 아내는 별거했고 더 이상 "우호적인 관계"가 아니었다. (ii) 계약은 그들이 별거한 후에, 서면으로 작성되었다.
''Read v Lyons''(1947)[4] (탄약 공장 노동자가 공장 폭발 사고로 부상당한 사건)에서 법원은 ''Rylands v Fletcher''(1868)를 구별했는데, 이는 이 사건에서 피고 공장이 "부자연스러운 사용을 위해 위험한 물건을 토지에 보관"했지만 "탈출"이 없었기 때문이다.
3. 3. 반론(Obiter dictum)의 적용
어떤 반론(가상적 사실에 근거한 구속력 없는 진술)이 후속적으로 채택되고 적용될 경우, 후속 사건은 해당 반론적 발언을 "승인"한 것으로 간주되며, 이전 사건은 "승인됨", "따름", 또는 "반론 채택"으로 표시될 수 있다.[1]참조
[1]
서적
The Legal Syste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Precedent and Analogy in Legal Reasoning: 2.1 Precedents as laying down rules: 2.1.2 The practice of distinguishing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06-06-20
[3]
웹사이트
Example of the Development of Court Made Law
http://www.law.uwa.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4]
법률판례
https://www.iclr.co.[...]
1946-10-18
[5]
저널
The Method of Philosophy: Making Distinctions
https://philpapers.o[...]
1998-01-01
[6]
서적
History of Philosophy Volume 2: Medieval Philosophy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3-06-12
[7]
저널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the Formal Distinction in the Lectura Prima of John Duns Scotus
https://www.pdcnet.o[...]
1965-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