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민족사무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산하 부처로, 소수 민족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1949년 중앙인민정부 민족사무위원회로 설립되어 1954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문화대혁명 기간 해체되었다가 1978년 부활했다. 2018년부터는 중국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의 지도를 받으며, 산하에 여러 부서와 직속 기관, 교육 기관 등을 두고 있다. 또한, 각 지방에도 민족사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소수 민족의 자치 보장과 권익 보호,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와 민족 - 민족주의
민족주의는 민족 공동체의 자결권을 핵심으로 하는 이념으로, 세계대전 이후 국제 정치의 주요 동력이 되었으나, 최근에는 배타적 토착주의 확산과 사회 갈등 심화, 극단적 형태의 집단 학살 및 민족 청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 정치와 민족 - 조국
조국은 개인의 혈통, 역사, 국적, 성장 배경, 조상의 삶과 관련된 국가를 의미하며, 가족적 유대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 1949년 설립된 단체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은 1949년 북조선과 남한의 단체가 통합되어 결성되었으며, 조선로동당의 통일전선 전술을 수행하고 대한민국 내 지지 세력과의 연계 활동을 목표로 했으나, 김정은의 평화통일 목표 포기 선언에 따라 2024년 3월 해산되었다. - 1949년 설립된 단체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중국 국무원 산하 최고 경제기획 및 관리 기관으로, 경제 및 사회 발전 계획 총괄, 거시경제 관리, 투자 정책 수립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담당하며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능과 역할이 변화해왔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자오커즈
자오커즈는 중국 공산당의 고위 관료로서, 중학교 교사로 시작해 여러 지방 및 중앙 정부 요직을 거쳐 중국 공안부장까지 역임하며 중국 정치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인권 탄압과 사회 통제 강화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국가민족사무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 |
기본 정보 | |
설립일 | 1949년 |
관할권 | 중국 정부 |
소재지 | 베이징 |
모기관 |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공작부 |
산하 기관 | 민족출판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주요 담당자 | |
주임 | 판웨 |
개요 | |
목적 | 중국의 민족 문제를 담당하는 행정 부서 |
역할 | 민족 정책 수립 및 시행 소수 민족 지역 발전 지원 민족 간 관계 조정 민족 문화 보호 |
역사 | 1949년 설립 초기에는 민족 사무위원회로 운영 현재의 명칭은 1954년부터 사용 |
조직 | 주임, 부주임, 위원 등 여러 부서와 산하 기관으로 구성 |
기능 | 민족 정책 연구 및 개발 민족 지역 사회 개발 계획 수립 민족 문화 진흥 사업 추진 민족 관련 분쟁 해결 지원 민족 관련 정보 수집 및 분석 |
논란 및 비판 | |
비판 | 소수 민족 정책에 대한 비판 민족 문화 억압 논란 티베트, 위구르 등 소수 민족 탄압 비판 문화적 동화 정책 비판 인권 문제 제기 |
서구 비판 | 소수민족의 전통 문화 및 종교적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는 비판 |
의견 | 중국 정부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국가 통합 및 안정 유지라는 목표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주장 |
기타 | |
![]() |
2. 역사
1949년 10월 22일 중앙인민정부 민족사무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중앙정부 위원회 중 하나이다.[3]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민족사무위원회라고 개칭되었다.[3] 1970년에 일어난 문화대혁명에 의해 위원회는 해체되었지만,[3] 1978년 국가민족사무위원회라는 이름으로 복귀되어 현재까지 국무원의 구성 부처로서 기능하고 있다.[4][5][6]
국가민족사무위원회의 기능구조, 내부조직 및 인원 배치에 관한 규정과 중앙편집부의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조직설치 조정 승인에 따라, 국가민족사무위원회(NEAC)는 다음과 같은 조직을 설치하였다.[13]
2018년 3월 21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가 발표한 당과 국가 기구 개혁 심화 계획에 따라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통일전선공작부의 지도를 받게 되었다.[7][8][9] 단,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국무원의 구성 부처 지위는 유지하였다.[10]
2020년 8월 31일,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협회와 행정기관 분리 개혁 전면 추진에 관한 시행 의견에 따라, 이전에는 국가민족사무위원회의 감독을 받던 중국민족민속공예예술가협회, 중국민족경제국제협력촉진협회, 전국민족중등교육협회가 국가민족사무위원회로부터 분리되었다.[11][12]
3. 조직 구조
중국 국가위원회는 부처 간의 벽을 넘어 각종 정부 활동을 조정하는 조직이며, 위원회 주임은 각료급으로 국무원 전체 회의에 참석한다.
'''내부 조직'''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내부에는 판공청을 비롯하여 여러 담당 부서와 감독 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담당 부서로는 정책법규사, 경제발전사, 문화선전사, 교육과학기술사, 국제사, 기획재무사, 인사사(기관당위원회) 등이 있다. 감독 기관으로는 위원회 주재 당기율검사조, 감찰국 등이 있으며, 퇴직간부국, 기관봉사국, 민족연구센터, 정보센터도 설치되어 있다.
'''직속 기관'''
중앙민족간부학원은 소수민족 간부 양성을 위한 기관이다.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종합대학교로는 중앙민족대학교(베이징시 소재), 중남민족대학교(우한시 소재), 서남민족대학교(청두시 소재), 대련민족대학교(다롄시 소재), 북서민족대학교(란저우시 소재), 북방민족대학교(인촨시 소재)가 각지에 설립되었다. 그 외에도 중국민족어문번역센터, 중앙민족가무단, 민족출판사, 민족화보사, 민족단결잡지사, 민족문화궁, 중국민족박물관, 전국소수민족고적정리연구실, 중국민족보사 등의 문화 사업 기관도 위원회에 직속되어 있다.
'''직속 문화 기관'''
중앙소수민족간부학원(中央民族干部学院), 중국소수민족언어번역센터(China Nationalities Language Translation Bureau), 중앙민족가무단(中央民族歌舞团), 소수민족출판사, 민족통일잡지, 소수민족문화궁전, 중국민족박물관, 중국민족신문 등의 문화 사업 기관이 국가민족사무위원회에 직속되어 있다. 소수민족 간부 양성을 위한 중앙민족간부학원과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종합대학교인 중앙민족대학(北京市 소재), 중남민족대학(武漢市 소재), 서남민족대학(成都市 소재), 대련민족대학(大連市 소재), 북서민족대학(蘭州市 소재), 북방민족대학(銀川市 소재)이 각지에 설립되었다.
'''직속 고등 교육 기관'''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소수민족 간부 양성 및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교육 기관들을 직속으로 운영하고 있다. 중앙민족간부학원과 더불어, 중앙민족대학(北京市 소재), 중남민족대학(무한시 소재), 서남민족대학(성도시 소재), 대련민족대학(대련시 소재), 북서민족대학(난주시 소재), 북방민족대학(은천시 소재) 등의 종합대학교가 각지에 설립되었다. 이 외에도 중국민족어문번역센터, 중앙민족가무단, 민족출판사, 민족화보사, 민족단결잡지사, 민족문화궁, 중국민족박물관, 전국소수민족고적정리연구실, 중국민족보사 등의 문화 사업 기관도 위원회에 직속되어 있다.
'''직속 기업 단위'''
중국국가문화출판사(China National Culture Publishing House Ltd.)는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직속 기업 단위이다.
3. 1. 내부 조직
국가민족사무위원회 내부에는 판공청을 비롯하여 여러 담당 부서와 감독 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담당 부서로는 정책법규사, 경제발전사, 문화선전사, 교육과학기술사, 국제사, 기획재무사, 인사사(기관당위원회) 등이 있다. 감독 기관으로는 위원회 주재 당기율검사조, 감찰국 등이 있으며, 퇴직간부국, 기관봉사국, 민족연구센터, 정보센터도 설치되어 있다.
3. 2. 직속 기관
중앙민족간부학원은 소수민족 간부 양성을 위한 기관이다.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종합대학교로는 중앙민족대학교(베이징시 소재), 중남민족대학교(우한시 소재), 서남민족대학교(청두시 소재), 대련민족대학교(다롄시 소재), 북서민족대학교(란저우시 소재), 북방민족대학교(인촨시 소재)가 각지에 설립되었다. 그 외에도 중국민족어문번역센터, 중앙민족가무단, 민족출판사, 민족화보사, 민족단결잡지사, 민족문화궁, 중국민족박물관, 전국소수민족고적정리연구실, 중국민족보사 등의 문화 사업 기관도 위원회에 직속되어 있다.
3. 3. 직속 문화 기관
중앙소수민족간부학원(中央民族干部学院), 중국소수민족언어번역센터(China Nationalities Language Translation Bureau), 중앙민족가무단(中央民族歌舞团), 소수민족출판사, 민족통일잡지, 소수민족문화궁전, 중국민족박물관, 중국민족신문 등의 문화 사업 기관이 국가민족사무위원회에 직속되어 있다. 소수민족 간부 양성을 위한 중앙민족간부학원과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종합대학교인 중앙민족대학(北京市 소재), 중남민족대학(武漢市 소재), 서남민족대학(成都市 소재), 대련민족대학(大連市 소재), 북서민족대학(蘭州市 소재), 북방민족대학(銀川市 소재)이 각지에 설립되었다.
3. 4. 직속 고등 교육 기관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소수민족 간부 양성 및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교육 기관들을 직속으로 운영하고 있다. 중앙민족간부학원과 더불어, 중앙민족대학(北京市 소재), 중남민족대학(무한시 소재), 서남민족대학(성도시 소재), 대련민족대학(대련시 소재), 북서민족대학(난주시 소재), 북방민족대학(은천시 소재) 등의 종합대학교가 각지에 설립되었다. 이 외에도 중국민족어문번역센터, 중앙민족가무단, 민족출판사, 민족화보사, 민족단결잡지사, 민족문화궁, 중국민족박물관, 전국소수민족고적정리연구실, 중국민족보사 등의 문화 사업 기관도 위원회에 직속되어 있다.
3. 5. 직속 기업 단위
중국국가문화출판사(China National Culture Publishing House Ltd.)는 국가민족사무위원회 직속 기업 단위이다.
4. 역대 주임
번호 | 이름 | 민족 | 취임 | 퇴임 |
---|---|---|---|---|
1 | 리웨이한 (리웨이한/李维汉중국어) | 한족 | 1949년 10월 | 1954년 9월[14] |
2 | 울란후 (우란푸/乌兰夫중국어) | 몽골족 | 1954년 9월 | 1975년 1월 |
3 | 양징런 (양징런/杨静仁중국어) | 후이족 | 1978년 3월 | 1986년 1월 |
4 | 이스마일 아마트 (쓰마이·아이마이티/司马义·艾买提중국어) | 위구르족 | 1986년 1월 | 1998년 3월 |
5 | 리더주 (리더주/李德洙중국어) | 조선족 | 1998년 3월 | 2008년 3월 |
6 | 양징 (양징/杨晶중국어) | 몽골족 | 2008년 3월 | 2013년 3월 16일 |
7 | 왕정웨이 (왕정웨이/王正伟중국어) | 후이족 | 2013년 3월 16일 | 2016년 4월 28일[15] |
8 | 바터얼 (바터얼/巴特尔중국어) | 몽골족 | 2016년 4월 28일 | 2020년 12월 14일 |
9 | 천샤오장 (천샤오장/陈小江중국어) | 한족 | 2020년 12월 14일 | 2022년 6월 24일[16][17] |
10 | 판위에 (판위에/潘岳중국어) | 한족 | 2022년 6월 24일 |
5. 지방 조직
각 성, 자치구, 직할시 등에는 지방 민족사무위원회나 민족종교사무청 등의 민족 사업 기관이 설치되어 있다.
6. 과제
중국에는 내몽골 자치구, 광시좡족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5대 자치구와 30개의 자치주 등 다양한 민족 지역 자치 구역이 존재한다. 민족사무위원회는 이러한 민족 자치 구역의 자치를 보장하는 것을 중요한 임무로 삼고 있다. 특히, 길림성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등 한국과 관련된 지역의 자치 현황과 정책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소수민족의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7. 관련 기관
- 전국인민대표대회 민족사무위원회
- 국가종교사무국
참조
[1]
서적
Ethnicity and Sociopolitical Change in Africa and Other Developing Countries: A Constructive Discourse in State Building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24-06-26
[2]
서적
Handbook of Ethnic Conflict: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pringer New York
2024-06-26
[3]
서적
中华人民共和国中央政府机构, 1949-1990年
https://books.google[...]
经济科学出版社
2024-06-26
[4]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ory and Practice Since 1949
https://books.google[...]
Springer Netherlands
2024-06-26
[5]
서적
中央国家机关所属事业单位大全
https://books.google[...]
经济科学出版社
2024-06-26
[6]
서적
中国少数民族教育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24-06-26
[7]
뉴스
Reorganizing the United Front Work Department: New Structures for a New Era of Diaspora and Religious Affairs Work
https://jamestown.or[...]
2019-05-09
[8]
학술지
Ethnic Governance under Xi Jinping: The Centrality of the United Front Work Department & Its Implications
2019-10-13
[9]
웹사이트
党和国家机构改革|中央统战部统一管理民族宗教等工作
https://m.thepaper.c[...]
2024-06-26
[10]
웹사이트
国家民委“三定”规定调整:归口中央统战部领导
https://news.sina.cn[...]
2024-06-26
[11]
웹사이트
关于全面推开行业协会商会与行政机关脱钩改革的实施意见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s://www.gov.cn/x[...]
2024-06-26
[12]
웹사이트
关于做好全面推开全国性行业协会商会与行政机关脱钩改革工作的通知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s://www.gov.cn/x[...]
2024-06-26
[13]
웹사이트
国务院办公厅关于印发国家民族事务委员会职能配置内设机构和人员编制规定的通知
https://www.gov.cn/x[...]
2024-06-26
[14]
서적
Chinese National Identity in the Age of Globalis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Singapore
2024-06-26
[15]
서적
Pollution: China Story Yearbook 2015
https://books.google[...]
ANU Press
2024-06-26
[16]
웹사이트
Chen Xiaojiang was appointed Secretary of the Party Leadership Group of the National Ethnic Affairs Commission
https://www.neac.gov[...]
2020-12-14
[17]
뉴스
China puts Han official in charge of ethnic minority affairs as Beijing steps up push for integration
https://www.scmp.com[...]
2020-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