닝샤 후이족 자치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치구로, 북쪽은 내몽골 자치구, 남쪽은 간쑤성, 동부 일부는 산시성과 접한다. 황하 상류에 위치하며, 닝샤 평원과 황토 고원, 헬란산맥 등 다양한 지형을 갖추고 있다. 주요 도시로는 인촨이 있으며, 구기자 재배가 활발하다.
역사적으로는 유목 민족과 정착 농경민 사이의 국경 지대였으며, 195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5개의 지급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이족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경제적으로는 농업이 발달했으며, 석탄, 석고 등 광물 자원이 풍부하다. 교통으로는 공항, 고속도로, 철도 등이 있으며, 닝샤 대학교 등 교육 기관도 위치해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서하왕릉, 헬란산, 108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닝샤 - 후이족
후이족은 중국 정부가 조상을 기준으로 정의하는 민족으로, 중동,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출신 이민자 후손이며 중국 무슬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중국 전역에 분포하여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지만 종교 활동 탄압과 민족 간 긴장이라는 복잡한 문제도 안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후이족 자치지방 - 관청 후이족구
관청 후이족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정저우시에 위치한 구로, Ao 유적, 정저우 상성 유적, 위퉁 산업 단지 등을 포함하며, 룽하이 철도 등이 지나간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후이족 자치지방 - 창지 후이족 자치주
창지 후이족 자치주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있는 자치주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러시아의 일부 지역과 교류하고 있지만, 소수 민족 정책 관련 논란이 있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간체자 | 宁夏回族自治区 |
정체자 | 寧夏回族自治區 |
병음 | Níngxià Huízú Zìzhìqū |
웨이드-자일스 | Ning²-hsia⁴ Hui²-tsu² Tzŭ⁴-chih⁴-chʻü¹ |
민난어 | Lêng-hā Hôe-cho̍k Chū-tī-khu |
객가어 | Nèn-ha Fui-tshu̍k Tshṳ-tshṳ-khî |
상하이어 | Nyin평ya거 we평zoh입 zy거zy거chiu평 |
광둥어 | Ning4haa6 Wui4zuk6 Zi6zi6keoi1 |
소수 민족어 (샤오얼징) | نِئٍثِيَا خُوِزُو زِجِٿِيُوِ |
둥간어 | Нинщя Хуэйзў Зыҗычў |
약칭 | 닝 |
"닝샤"의 의미 | 평정된 서하 |
ISO 3166-2 | CN-NX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국가 | 중국 |
행정 구역 유형 | 자치구 |
수도 (최대 도시) | 인촨 시 |
하위 행정 구역 | 5개 지구 21개 현 219개 향 |
정부 형태 | 자치구 |
통치 기구 | 닝샤 후이족 자치구 인민대표대회 |
당 서기 | 리 이페이 |
인민대표대회 주임 | 량 옌순 |
정부 주석 | 장 위푸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 천 융 |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 | 23명 |
지리 | |
면적 | 66,399.73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27위 |
최고 고도 | 3,556 미터 |
최고 지점 | 허란 산맥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7,202,654명 |
인구 순위 | 30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밀도 순위 | 25위 |
민족 구성 | 한족: 62% 후이족: 38% |
언어 및 방언 | 란인 관화 중원 관화 |
경제 | |
GDP (2023년) | 5,314억 9,500만 인민폐(29위; 754억 2,500만 미국 달러) |
1인당 GDP (2023년) | 72,957 인민폐(18위; 10,353 미국 달러) |
기타 | |
인간 개발 지수 (2022년) | 0.764 (21위) |
2. 지리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중국에서 가장 작은 성급 행정구역 중 하나로, 북쪽으로는 내몽골 자치구, 남쪽으로는 간쑤성, 동쪽 일부는 산시성(섬서성)과 접하고 있다.[58] 황하 상류 지역에 위치하며, 지형은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은 형태이다. 남부는 황토고원과 육반산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북부는 닝샤 평원이, 북서부는 헬란산이 자리 잡고 있다. 헬란산맥의 아오바오거다는 해발 3,556미터로 닝샤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15]
황하가 흐르는 닝샤 평원에는 인촨을 비롯한 도시와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비교적 건조한 사막과 같은 지역이지만, 관개를 통해 구기자 재배가 활발하다. 닝샤의 사막에는 사포터우의 텅거 사막이 포함된다. 란저우와 바오터우를 잇는 철도가 이 지역을 가로지르며, 은촨에는 황하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1920년 12월 16일, 에서 발생한 규모 8.6의 하이위안 지진으로 약 20만 명이 사망하고, 600개가 넘는 황토 산사태로 40개 이상의 새로운 호수가 생겼다.[16][17]
2. 1. 기후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1월 평균 기온은 북부가 -10°C, 남부가 -8°C이며, 7월 평균 기온은 북부가 22°C, 남부가 18°C로, 북부가 남부보다 온도차가 큰 것이 특징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북부가 약 200mm, 남부가 500mm로, 남부가 습윤하고 북부가 건조하다.이 지역은 바다에서 1200km 떨어져 있으며, 북쪽은 건조한 대륙성 기후, 남쪽은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7월 평균 기온은 17°C에서 24°C까지 올라가고, 1월 평균 기온은 -7°C에서 -15°C까지 내려간다. 계절별로는 여름 최고 기온이 39°C에 달하고, 겨울 최저 기온은 -30°C까지 내려갈 수 있다. 특히 봄에는 일교차가 17°C를 넘을 수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190mm에서 700mm이며, 남쪽으로 갈수록 강수량이 많아진다.[25]
2. 2. 초원
닝샤 후이족 자치구 전체 면적의 약 34%(3,385만 무(畝); 약 2256km2)가 초원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고되었다.[18] 이 수치는 1990년대 약 40%에서 감소한 것이다. 초원은 북동부의 건조한 사막-스텝 지역(내몽골 스텝 지역의 일부를 형성)과 남부의 반건조 황토고원에 위치한 구릉성 목초지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19] 닝샤의 초원은 다양한 정도로 훼손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20] 과학자들은 이러한 훼손이 공간과 시간에 걸쳐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에 대해 논쟁하고 있다.[21] 역사적 연구에서도 닝샤에서 초원 훼손과 사막화가 확대되고 있다는 제한적인 증거만 발견되었다.[22][23] 닝샤의 토지 관리의 주요 구성 요소는 2003년부터 시행된 방목 금지이다.[24] 초원과 목축민의 생계와 관련된 이 방목 금지의 생태적 및 사회경제적 영향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19] 이 금지는 가축 사육을 울타리 안으로 제한하고 자치구 인민정부가 설정한 특정 기간에는 방목을 허용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다.2. 3. 광물 자원
닝샤 후이족 자치구에서는 34종의 광물 매장량이 확인되었으며, 이 광물들의 대부분은 초원 지역에 위치해 있다.[19] 2011년 기준으로 1인당 광물자원 잠재 가치는 전국 평균의 163.5%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닝샤는 확인된 석탄 매장량이 300억 톤이 넘고, 추정 매장량은 2020억 톤이 넘어 전국 6위를 차지한다. 석탄 매장지는 닝샤 전체 면적의 3분의 1에 걸쳐 분포하며, 헬란산과 샹산, 닝둥, 위안저우(구위안)의 4대 광산 지역에서 채굴된다.옌츠와 링우 현에는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여, 대규모 석유, 천연가스, 화학 산업 개발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닝샤는 중국에서 석고 매장량이 가장 많은데, 확인된 매장량은 45억 톤이 넘고, 그중 희귀한 최상급 석고가 전체 매장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퉁신현의 허지아커우즈 광산에는 두께 100m에 달하는 2000만 톤의 석고 매장량이 있다. 상당량의 석영 사암이 매장되어 있으며, 그중 1700만 톤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인, 부싯돌, 구리, 철, 중정석(바륨광) 등 다른 광물과 헬란석이라는 특수 점토석이 있다.[26][27]
3. 역사
진나라 북지군(北地郡)이었으며, 한나라 때에는 삭방군(朔方郡)이 되었다. 송나라 때에는 탕구트 족이 세력을 확대해 서하를 건국했다. 서하의 수도는 현재의 은천에 있었으며, 실크로드를 제패하며 강성했지만, 몽골 제국에 멸망당했다. 원나라 때에 영하로(寧夏路)가 설치되었고, 이때부터 서방 민족이 유입되어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명나라, 청나라 시대에는 영하부(寧夏府)가 설치되었다.
1914년에 닝샤는 간쑤성과 합쳐졌으나, 1928년에 분리되어 성이 되었다. 1914년부터 1928년 사이에 마씨 세력이 칭하이성, 간쑤 성과 닝샤를 지배했다. 1958년에 닝샤는 공식적으로 중국의 자치구가 되었다. 1969년에 닝샤의 경계는 북쪽으로 확장되었고 내몽골 자치구의 일부를 획득했으나, 1979년에 반환되었다.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가장 초기 인류 활동은 3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령우에서 발견된 수이둥거 문화 유적이 이를 증명한다.[11] --
닝샤는 유목민 목축업자와 정착 농민 사이의 국경 지대였기 때문에 비한족 부족의 잦은 전쟁과 침입이 있었다. 닝샤와 그 주변 지역은 기원전 3세기 초 진에 북티 군현으로 편입되었다. 이 지역을 평정하기 위해 황실 정부는 토지를 개간하기 위해 군사 식민지를 설립했다. 또한, 서한(기원전 206년 ~ 기원후 9년) 시대 초부터 황실 마구간 아래에 군마 공급을 보장하기 위한 목장이 설립되었다.[22] 한나라와 당나라 전역에 걸쳐 이 지역에는 여러 개의 대도시가 세워졌다. 한나라 말기의 량주 반란은 닝샤에 영향을 미쳤다.
11세기까지 탕구트족은 당시 송나라 변방에 서하를 건국했다. 1489년 대홍수로 개봉의 토라가 파괴된 후 닝보와 닝샤의 유대인 공동체가 개봉 유대인에게 토라를 보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유대인들 또한 닝샤에 거주했다.[12]
그 후 13세기 초 칭기즈칸이 인촨을 정복한 후 몽골의 지배를 받았다. 중앙아시아 출신 무슬림들도 서쪽에서 닝샤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7세기 후반까지 닝샤는 초기 중국 카펫을 생산하는 직조 중심지가 되었다.[13] 19세기의 무슬림 둥간 반란은 닝샤에 영향을 미쳤다.
1914년 닝샤는 성인 감숙성에 합병되었다. 1928년에는 별도의 성이 되었다. 1914년부터 1928년 사이에 마씨 세력이 칭하이성, 닝샤, 감숙성을 지배했으며, 마홍쿠이 장군이 닝샤의 군사 총독으로서 성에 대한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1927년부터 1930년까지 지속된 감숙성 무슬림 분쟁은 닝샤로 확산되었다. 1934년 군벌이자 국민혁명군 장군인 손전영이 닝샤 정복을 시도했으나, 마씨 세력이 이끄는 연합군에 패배했다.
1950년부터 1958년까지 국민당 이슬람 반란으로 인해 닝샤를 포함한 중국 북서부 전역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1954년 중국 정부는 닝샤를 감숙성에 합병했지만, 1958년 닝샤는 공식적으로 중국의 자치구가 되었다. 1969년 닝샤는 내몽골 자치구의 일부를 받았지만, 이 지역은 1979년에 반환되었다.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의 중국 유물 중 일부는 진종이 소유했던 것들로, 발굴된 후 마홍쿠이 손에 들어갔는데, 그는 이 발견을 공표하기를 거부했다. 유물 중에는 당나라의 흰 대리석 비석, 금못, 금속으로 만든 띠가 있었다. 마홍쿠이가 사망한 후에야 그의 아내가 1971년 미국에서 대만으로 가서 유물을 장제스에게 가져다주었고, 장제스는 이 유물을 타이페이 국립고궁박물원에 넘겼다.[14]
진의 속지 북지군(北地郡)이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삭방군(朔方郡)이 되었다. 송나라 시대에는 당항(党項)족이 세력을 확장하여 서하(西夏) 왕국을 건국했다. 서하의 국도는 흥경부(興慶府)에 있었고, 실크로드를 장악하여 강성을 자랑했지만 몽골 제국의 침공을 받았으며, 칭기즈칸은 서하 원정(西夏遠征) 중 육반산(六盤山)에서 사망했다. 원나라 시대에 닝샤로(寧夏路)가 설치되었는데, 이 무렵부터 서방 민족이 유입되어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닝샤위(寧夏衛)가 설치되었다. 1591년에 일어난 명나라에 대한 반란인 압배의 난(哱拝の乱)은 다른 이름으로 "닝샤의 역(寧夏の役)"이라고도 불린다. 청나라 시대에는 닝샤부(寧夏府)가 설치되었다.
중화민국 성립 후에도 감숙성 닝샤도(寧夏道)로 되었으나, 1929년에 닝샤성(寧夏省)이 신설되었다. 육반산(六盤山)은 장정(長征)의 마지막 난관이 되었고, 중국 공산당이 실효 지배하는 섬감녕변구(陝甘寧辺区)도 성립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감숙성 닝샤지구(寧夏地區)로 되었으나, 1958년에 성급의 닝샤 후이족 자치구가 설치되어 현재에 이른다.
4. 인구
연도 | 인구 |
---|---|
1912년[43] | 303,000명 |
1928년[44] | 1,450,000명 |
1936년~1937년[45] | 978,000명 |
1947년[46] | 759,000명 |
1982년[47] | 3,895,578명 |
1990년[48] | 4,655,451명 |
2000년[49] | 5,486,393명 |
2010년[50] | 6,301,350명 |
2020년[51] | 7,202,654명 |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1914년~1929년과 1954년~1958년에 간쑤성의 일부였으며, 1947년에는 닝샤성/자치구의 일부가 내몽골 자치구에 편입되었다.
후이족은 이슬람교도이며, 오랜 혼혈로 인해 외모상으로는 한족과 구분하기 어렵지만, 기원은 원나라 시대에 중국으로 유입된 튀르크족, 페르시아인, 아랍인 등의 서역 민족으로 여겨진다. 후이족이 자치구 인구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대부분 한족이다.
5. 행정 구역
닝샤 후이족 자치구는 5개의 지급시와 22개의 현급 행정구역(9개의 시할구, 2개의 현급시, 1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구역 코드 | 행정구역 | 면적 (km2) | 2020년 인구 | 행정 중심지 | 하위 행정구역 | ||
---|---|---|---|---|---|---|---|
시할구 | 현 | 현급시 | |||||
640000 | 닝샤 후이족 자치구 (宁夏回族自治区) | 66400km2 | 7,202,654 | 인촨 시 | 9 | 11 | 2 |
5. 1. 지급시
(km2)(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