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원장 추기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무원장 추기경은 교황이 직접 임명하며 교황의 주요 조언자 중 한 명으로 봉사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상급 공직이다. 국무원장은 추기경이어야 하며, 임기는 보통 교황의 선종이나 사임으로 종료된다. 국무원장은 교황청 내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으로, 16세기 초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외교 사절과의 연락을 위해 특무성성이 신설되면서 시작되었다. 역대 국무원장으로는 지롤라모 단디니, 카를로 보로메오, 에르콜레 콘살비, 라파엘 메리 델 발, 에우제니오 파첼리 등이 있으며, 2013년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이 현직 국무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기경 - 추기경단 단장
추기경단 단장은 교황의 사망 또는 사임 후 콘클라베를 소집하고 주재하며 새 교황 선출 시까지 교황청의 공식적인 얼굴 역할을 수행하고, 콘클라베에서 교황 선출자에게 수락 여부를 묻고 새 이름을 확인하며, 새 교황이 주교가 아닌 경우 서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오스티아 교구의 명목 주교 직함을 겸임한다. - 추기경 - 추기경회의
추기경회의는 로마 교황이 추기경들과 교회의 중요 사안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회의로, 추기경 서임 시 반지, 주케토, 비레타 수여 및 본당 배정 절차가 이루어지며 교황에 의해 교회 개혁 논의에 활용된다. - 국무원장 추기경 - 에르콜레 콘살비
에르콜레 콘살비는 이탈리아 출신의 추기경이자 국무성성 장관으로, 나폴레옹과의 정교 협약 체결 및 빈 회의 참여를 통해 교황령 영토 회복에 기여했으며, 내정 개혁을 추진하다 실각하고 사망했다. - 국무원장 추기경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알렉산데르 7세는 1655년부터 166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전통 의례를 허용했으며 얀센주의를 비판하며 금서 목록을 발행했다. - 교황청 - 국무원 (교황청)
국무원은 교황청의 행정 비서실로서 교황청 활동 계획, 직원 인사, 공문서 발표, 어부의 반지 보관, 주교황청대사관 관계 처리, 공식 보도 발표 등 교회의 일반적인 경영을 담당하며, 15세기부터 기원을 찾아 여러 교황의 개혁을 거쳐 현재의 조직 구조를 갖추었고 최근에는 자산 손실 및 부패 조사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 교황청 - 카스텔간돌포
카스텔간돌포는 이탈리아 라치오 주 로마 수도권의 코무네로, 알반 언덕의 알바노 호수 호반에 위치하여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며, 교황의 여름 별장인 교황 사도 궁전이 있는 역사적 명소이다.
국무원장 추기경 | |
---|---|
직책 개요 | |
직책 | 국무원장 |
소속 | 로마 교황 |
공식 명칭 (라틴어) | Secretarius Status Sanctitatis Suae |
공식 명칭 (이탈리아어) | Segretario di Stato di Sua Santità |
문장 | Coat of arms of the Vatican City.svg |
문장 설명 | 교황청의 문장 |
현직 | 피에트로 파롤린 |
임기 시작 | 2013년 10월 15일 |
소속 부서 | 국무원 |
경칭 | 각하 |
구성원 | 로마 교황청 추기경 평의회 |
보고 대상 | 교황 |
임명권자 | 교황 |
임기 | 새 교황 선출 시까지 |
설립 | 1551년 11월 20일 |
초대 | 지롤라모 단디니 |
별칭 | 국무원장 추기경 |
웹사이트 | 국무원 공식 웹사이트 |
역할 및 권한 | |
주요 역할 | 교황의 최측근 협력자로서 교황청의 전반적인 정책 결정 및 집행을 보좌 |
외교 관계 | 교황청의 대외 관계를 총괄하며, 국제 사회와의 소통 및 협력을 증진 |
행정 업무 | 교황청 내 주요 부서들을 지휘하고 조정하여 효율적인 행정 시스템을 구축 |
자문 역할 | 교황에게 주요 사안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며, 교황의 의사 결정을 지원 |
기타 | 교황이 위임하는 특별 임무 수행 |
2. 직무
국무원장은 교황이 직접 임명하며, 교황의 주요 조언자 가운데 한 명으로 봉사한다. 로마 가톨릭교회 내 상급 공직자 중 한 명으로서, 국무원장으로 임명되려면 추기경이어야 한다. 국무원장 직위가 공석일 경우, 부(副)국무원장으로 근무하는 추기경이 아닌 사람이 적당한 후임자를 찾거나 부국무원장이 이후 추기경단의 추기경으로 서임될 때까지 국무원장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4]
국무원장 추기경의 역사는 16세기 초 교황 레오 10세가 교황청의 외교 사절과의 연락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한 특무성성(特務聖省)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국무성성 장관은 교황의 가족 중 신뢰할 만한 추기경이 맡는 비교적 낮은 직책이었다.
국무원장의 임기는 보통 그를 지명한 교황이 선종하거나 장관직에서 물러날 때 끝난다. 사도좌 공석 기간에 국무성성 장관은 바티칸 시국 주교 위원회 의장으로서 새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추기경 의전관과 더불어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 역할을 일부 수행한다. 새 교황이 선출되면 자동적으로 위원회 의장직과 국무성성 장관으로서의 임기가 종료되지만, 다시 복직될 수도 있다.[4]
3. 역사
교황 율리오 3세는 10대이자 사생아인 조카 인노첸초 초키 델 몬테를 국무성성 장관에 임명하는 경솔한 행동을 저질렀다.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는 추기경 시절 국무성성 장관을 역임했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1692년 족벌주의를 폐지했다. 이후 국무성성 장관은 교황청 내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이 되었다.
1968년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령 《교황청 개편에 관하여 (''Regimini Ecclesiae Universae'')》를 통해 국무원장의 지위를 교황청 내 다른 성(省)의 장관들보다 높였다. 1973년에는 교황청 상서원장을 폐지하고 그 기능을 국무성성 장관에게 넘겨주었다.[5]
3. 1. 기원
16세기 초 교황 레오 10세는 교황청의 외교 사절과의 연락을 처리하기 위해 특무성성(特務聖省)을 신설했다. 당시 국무성성 장관은 보통 교황의 가족 가운데 믿을 만한 사람으로 지목된 추기경이 맡아 바티칸을 관리하는 이류 직책이었다.
교황 율리오 3세는 10대 사생아였던 조카 인노첸초 초키 델 몬테를 국무성성 장관으로 위임하였다.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는 자신이 추기경이었을 동안 국무성성 장관으로 일했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1692년에 족벌주의를 폐지하였다. 이때부터 국무성성 장관은 교황청 내 관직 가운데 가장 중요한 직책이 되었다.
1968년,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령 《교황청 개편에 관하여 (''Regimini Ecclesiae Universae'')》를 통해 국무원장의 지위를 로마 교황청 내 다른 성(省)의 장관들보다 더 높였다. 1973년에 바오로 6세는 교황청 상서원장을 폐지하고 그 기능을 국무성성 장관에게 넘겨주었다.
3. 2. 초기 발전
교황 레오 10세가 16세기 초 교황청의 외교 사절과의 연락을 처리하기 위해 특무성성(特務聖省)을 신설하면서 국무원장의 시초가 시작되었다. 당시 국무성성 장관은 보통 교황의 가족 가운데 신뢰할 만한 추기경이 맡아 바티칸을 관리하는, 이류 직원에 해당하는 직책이었다.
교황 율리오 3세는 10대이자 사생아였던 자신의 조카 인노첸초 초키 델 몬테를 국무성성 장관으로 임명하였다.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는 자신이 추기경이었을 때 국무성성 장관으로 일했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1692년에 족벌주의를 폐지하였다. 이때부터 국무성성 장관은 교황청 내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이 되었다.
1968년,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령 《교황청 개편에 관하여 (''Regimini Ecclesiae Universae'')》를 통해 국무원장의 지위를 로마 교황청 내 다른 성(省)의 장관들보다 더 높여 국무성성의 권한을 강화하였다. 1973년에는 교황청 상서원장을 폐지하고 그 기능을 국무성성 장관에게 넘겨주어 권한을 더욱 강화하였다.[5]
3. 3. 현대
16세기 초, 교황 레오 10세는 교황청의 외교 사절단과의 연락을 처리하기 위해 '비밀 서기'라는 직책을 만들었다. 이 직책은 처음에는 중요하지 않았고, 주로 교황의 가족 중 믿을 만한 추기경이 맡아 바티칸의 행정을 관리했다.
교황 율리오 3세는 10대이자 사생아였던 자신의 조카 인노첸초 초키 델 몬테를 국무성성 장관에 임명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는 자신이 추기경이었을 때 국무성성 장관을 맡았으며,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는 1692년에 족벌주의를 폐지했다. 이후 국무성성 장관은 교황청 내에서 가장 중요한 직책이 되었다.
1968년, 교황 바오로 6세는 교황령 《교황청 개편에 관하여 (''Regimini Ecclesiae Universae'')》를 통해 국무원장의 지위를 다른 성(省)의 장관들보다 높였다. 1973년에는 교황청 상서원장을 폐지하고 그 기능을 국무성성 장관에게 넘겨주어 권한을 더욱 강화했다.
4. 역대 국무원장
역대 국무원장은 다음과 같다.
대수 | 초상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교황 |
---|---|---|---|---|---|
41 | ![]() | 알레산드로 프란키 | 1878년 3월 5일 | 1878년 7월 31일[6] | 레오 13세 |
42 | ![]() | 로렌초 니나 | 1878년 8월 9일 | 1880년 12월 16일 | |
43 | ![]() | 루이지 야코비니 | 1880년 12월 16일 | 1887년 2월 28일[6] | |
44 | ![]() | 마리아노 람폴라 델 틴다로 | 1887년 7월 2일 | 1903년 7월 20일 | |
45 | ![]() | 라파엘 메리 델 발 이 술루에타 | 1903년 11월 12일 | 1914년 8월 20일 | 비오 10세 |
46 | ![]() | 도메니코 페라타 | 1914년 9월 4일 | 1914년 10월 10일[6] | 베네딕토 15세 |
47 | ![]() | 피에트로 가스파리 | 1914년 10월 13일 | 1930년 2월 7일 | |
48 | ![]() | 에우제니오 파첼리 | 1930년 2월 9일 | 1939년 2월 10일 | 비오 11세 |
49 | 루이지 마글리오네 | 1939년 3월 10일 | 1944년 8월 22일[6] | 비오 12세 | |
공석 | |||||
50 | ![]() | 도메니코 타르디니 | 1958년 12월 15일 | 1961년 7월 30일[6] | 요한 23세 |
51 | ![]() | 암레토 조반니 치코냐니 | 1961년 8월 12일 | 1969년 4월 30일 | |
52 | ![]() | 장마리 빌로 | 1969년 5월 2일 | 1979년 3월 9일[6] | 바오로 6세 |
53 | ![]() | 아고스티노 카사롤리 | 1979년 7월 1일 | 1990년 12월 1일 | 요한 바오로 2세 |
54 | ![]() | 안젤로 소다노 | 1991년 6월 29일 | 2006년 9월 15일 | |
55 | ![]() |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 2006년 9월 15일 | 2013년 10월 15일 | 베네딕토 16세 |
56 | ![]() | 피에트로 파롤린 | 2013년 10월 15일 | 현직 | 프란치스코 |
4. 1. 1551년 - 1644년
재임 기간 | 이름 |
---|---|
1551년 - 1555년 | 지롤라모 단디니 |
1560년 - 1565년 | 카를로 보로메오 |
1565년 - 1566년 | 톨로메오 갈리오 |
1566년 - 1572년 | 지롤라모 루스티쿠치 |
1572년 - 1585년 | 톨로메오 갈리오 (연임) |
1585년 - 1587년 | 데초 아졸리니 |
1587년 - 1590년 | 알레산드로 페레티 디 몬탈토 |
1591년 | 파올로 에밀리오 스폰드라티 |
1591년 |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 데 누체 |
1592년 - 1593년 | 피에르베네데토 페레티 |
1593년 - 1605년 | 피에트로 알도브란디니, 친치오 파세리 알도브란디니 |
1605년 | 에르미니오 발렌티 |
1605년 - 1621년 | 시피오네 카파렐리-보르게세 |
1621년 - 1623년 | 루도비코 루도비시 |
1623년 - 1628년 | 로렌초 마갈로티 |
1628년 - 1632년 | 로렌초 아촐리니 |
1632년 - 1634년 | 피에트로 베네사 |
1634년 - 1643년 | 프란체스코 체바 |
1643년 - 1644년 | 조반니 바티스타 스파다 |
1644년 | 조반니 자코모 판치롤리 |
4. 2. 1644년 이후
1644년 이후 국무원장 추기경은 다음과 같다.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조반니 자코모 판치롤리 | 1644년 | 1651년 |
파비오 키지 | 1651년 | 1655년 |
줄리오 로스필리오시 | 1655년 | 1667년 |
데치오 아촐리니 (유니오레) | 1667년 | 1669년 |
페데리코 보로메오 (유니오레) | 1670년 | 1673년 |
프란체스코 네를리 (유니오레) | 1673년 | 1676년 |
알데라노 치보 | 1676년 | 1689년 |
잠바티스타 루비니 | 1689년 | 1691년 |
파브리지오 스파다 | 1691년 | 1700년 |
파브리지오 파올루치 (1차) | 1700년 | 1721년 |
조르조 스피놀라 | 1721년 | 1724년 |
파브리지오 파올루치 (2차) | 1724년 | 1726년 |
니콜로 마리아 레르카리 | 1726년 | 1730년 |
안토니오 반키에리 | 1730년 | 1733년 |
주세페 피라오 원로 | 1733년 | 1740년 |
실비오 발렌티 곤차가 | 1740년 | 1756년 |
알베리코 아르킨토 | 1756년 | 1758년 |
루도비코 마리아 토리자니 | 1758년 | 1769년 |
라차로 오피지오 팔라비치니 | 1769년 | 1785년 |
이냐치오 봉콤파니 루도비시 | 1785년 | 1789년 |
프란체스코 사베리오 데 젤라다 | 1789년 | 1796년 |
이냐치오 부스카 | 1796년 | 1797년 |
주세페 도리아 팜필리 | 1797년 | 1799년 |
에르콜레 콘살비 (임시 비서) | 1800년 | 1800년 |
에르콜레 콘살비 | 1800년 | 1806년 |
필리포 카소니 | 1806년 | 1808년 |
줄리오 가브리엘리 2세 | 1808년 | 1814년 |
주세페 도리아 팜필리 (임시 비서) | 1808년 | 1808년 |
바르톨로메오 파카 (임시 비서) | 1808년 | 1814년 |
에르콜레 콘살비 (2차) | 1814년 | 1823년 |
줄리오 마리아 델라 소마글리아 | 1823년 9월 28일 | 1828년 1월 17일 |
톰마소 베르네티 (임시 비서) (1차) | 1828년 6월 17일 | 1829년 2월 10일 |
주세페 알바니 | 1829년 3월 31일 | 1830년 11월 30일 |
톰마소 베르네티 (임시 비서) (2차) | 1831년 2월 21일 | 1831년 8월 10일 |
톰마소 베르네티 (2차) | 1831년 8월 10일 | 1836년 1월 12일 |
루이지 람브루스키니 | 1836년 1월 12일 | 1846년 6월 1일 |
토마소 파스콸레 기치 | 1846년 8월 8일 | 1847년 7월 5일 |
가브리엘레 페레티 | 1847년 7월 17일 | 1848년 12월 31일 |
주세페 보폰디 | 1848년 2월 1일 | 1848년 3월 10일 |
자코모 안토넬리 (1차) | 1848년 3월 10일 | 1848년 5월 3일 |
안토니오 프란체스코 오리올리 (임시) | 1848년 5월 5일 | 1848년 6월 4일 |
조반니 소글리아 체로니 | 1848년 6월 4일 | 1848년 11월 29일 |
자코모 안토넬리 (2차) | 1848년 11월 29일 | 1876년 11월 6일 |
조반니 시메오니 | 1876년 12월 18일 | 1878년 2월 7일 |
번호 | 이름 | 시작 | 종료 | 임명자 | |
---|---|---|---|---|---|
41 | 알레산드로 프란키 | 1878년 3월 5일 | 1878년 7월 31일[6] | 교황 레오 13세 | |
42 | 로렌초 니나 | 1878년 8월 9일 | 1880년 12월 16일 | ||
43 | 루이지 야코비니 | 1880년 12월 16일 | 1887년 2월 28일[6] | ||
44 | 마리아노 람폴라 델 틴다로 | 1887년 7월 2일 | 1903년 7월 20일 | ||
45 | 라파엘 메리 델 발 이 술루에타 | 1903년 11월 12일 | 1914년 8월 20일 | 교황 비오 10세 | |
46 | 도메니코 페라타 | 1914년 9월 4일 | 1914년 10월 10일[6] | 교황 베네딕토 15세 | |
47 | 피에트로 가스파리 | 1914년 10월 13일 | 1930년 2월 7일 | ||
48 | 에우제니오 파첼리 | 1930년 2월 9일 | 1939년 2월 10일 | 교황 비오 11세 | |
49 | 루이지 마글리오네 | 1939년 3월 10일 | 1944년 8월 22일[6] | 교황 비오 12세 | |
공석 | |||||
50 | 도메니코 타르디니 | 1958년 12월 15일 | 1961년 7월 30일[6] | 교황 요한 23세 | |
51 | 암레토 조반니 치코냐니 | 1961년 8월 12일 | 1969년 4월 30일 | ||
52 | 장-마리 빌로 | 1969년 5월 2일 | 1979년 3월 9일[6] | 교황 바오로 6세 | |
53 | 아고스티노 카사롤리 | 1979년 7월 1일 | 1990년 12월 1일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
54 | 안젤로 소다노 | 1991년 6월 29일 | 2006년 9월 15일 | ||
55 | 타르치시오 베르토네 | 2006년 9월 15일 | 2013년 10월 15일 | 교황 베네딕토 16세 | |
56 | 피에트로 파롤린 | 2013년 10월 15일 | 현직 | 프란치스코 |
5. 대중 문화
실비오 오를란도는 2016년 Sky Italia, Sky Atlantic, HBO, Canal+가 공동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 《더 영 팝》과 2019년 후속작 《더 뉴 팝》에서 가상의 국무원장 보이엘로 추기경 역을 연기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The Secretariat of State
https://www.vatican.[...]
The Holy See
2007-04-18
[2]
뉴스
The Vatican's secretary of state visits Moscow for the first time in 19 years
https://www.economis[...]
2017-08-26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3-10-28
[4]
웹사이트
Roman Curia | Roman Catholicism
https://www.britanni[...]
2020-03-10
[5]
문서
Chirografo Avendoci Ella
https://www.vatican.[...]
Pope Gregory XVI
1833-02-20
[6]
문서
Pope Pius XII
[7]
웹사이트
Paolo Sorrentino's 'Young Pope' Rounds Out Cast With James Cromwell And Slew Of Top International Talent
https://variety.com/[...]
2015-08-04
[8]
웹사이트
Profile: The Secretariat of State
https://www.vatican.[...]
教皇庁
2023-12-28
[9]
웹사이트
バチカン詳細情報
https://www.mofa.go.[...]
2023-12-28
[10]
웹사이트
Roman Curia | Roman Catholicism
https://www.britanni[...]
2023-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