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베드로의 후계자이며 보편 교회의 최고 목자이다. 가톨릭교회는 베드로에게 교회를 세울 권한을 부여한 예수의 말씀을 근거로 교황의 수위권을 주장하며, 교황은 로마 주교로서 최고의 권위를 갖는다. 교황은 선출, 장례 절차를 거치며 삼중관, 어부의 반지, 하늘나라의 열쇠 등 다양한 상징을 사용한다. 1870년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황 무류성이 교리로 선포되었으며, 교황은 교회법 제정, 주교 임명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기독교 교파에서는 교황의 권위에 대해 이견을 보이는데, 동방 정교회는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지 않으며, 개신교는 교황권 자체를 부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지도자 - 성하 (호칭)
성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과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를 지칭하는 존칭으로, 가톨릭에서는 교황에게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총대주교에게 사용되지만, 최근 다른 종교 지도자에게도 사용되면서 논란이 있다. - 종교 지도자 - 찰스 테이즈 러셀
찰스 테이즈 러셀은 미국의 종교 지도자이자 성경 연구가로, 시온 워치 타워 전도 협회를 설립하고 잡지 《파수대》를 창간했으며, 독자적인 성경 해석과 저술 및 강연 활동으로 자신의 신앙을 전파했으나 논쟁과 비판에 직면했고, 사후 그의 조직은 분열을 겪었다. - 성좌 (가톨릭) - 교황청
교황청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중앙 행정 기관으로, 교황을 중심으로 국무원, 여러 성, 기타 기구들로 구성되어 교회의 다양한 업무를 총괄하며, 역사적으로 "로마 법원"으로도 불렸고, 교황좌 공석 시에는 추기경단이 행정을 담당한다. - 성좌 (가톨릭) - 로세르바토레 로마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1861년 로마에서 창간된 바티칸 시국의 공식 신문으로, 교황령 수호와 가톨릭 신학 논쟁, 교황청 입장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 8개 언어로 발행된다.
교황 | |
---|---|
기본 정보 | |
![]() | |
관할 | 주교 |
명칭 | 로마 |
현지 명칭 | 교황 |
라틴어 명칭 | Pontifex maximus |
관할권 | 가톨릭 |
![]() | |
현직 | 프란치스코 |
현직 시작일 | 2013년 3월 13일 이후 |
경칭 | 성하 |
관할 구역 | 로마 관구 |
거주지 | 사도 궁전 (공식 교황 거주지) 산타 마르타 관 (프란치스코 교황의 현재 거주지) |
설립 | 1세기 |
대성당 |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
초대 교황 | 성 베드로 |
교단 | 가톨릭교회 |
교구 | 로마 |
본부 | 사도 궁전, 바티칸 시국 |
통치 기관 | 성좌 |
웹사이트 | 교황 |
로마자 표기법 | Pāpa |
이탈리아어 명칭 | Papa |
그리스어 명칭 | πάπας |
영어 명칭 | The Pope / The Pontiff |
일본어 명칭 | 教皇 |
라틴어 명칭 | papa / pontifex |
한국어 명칭 | 교황 |
기타 명칭 | 로마 주교 그리스도의 대리인 사도 수장의 계승자 세계 교회의 최고 사제 이탈리아 수석 주교 로마 수도 관구의 대주교 바티칸 시국 원수 하느님의 종들의 종 |
교황 스타일 | |
![]() | |
의전상 경칭 | 성하 |
공식 경칭 | 각하 |
종교적 경칭 | 거룩하신 아버지 |
권한 | |
교회 권위 | 교회 최고 권위자 사도적 계승의 정점 무류성 (교리적 선언에 한함) 전 세계 가톨릭 신자 대상 교도권 행사 로마 교구의 주교 |
세속 권위 | 바티칸 시국의 국가 원수 국제 정치에 큰 영향력 행사 |
역사 | |
기원 | 성 베드로를 초대 교황으로 봄 가톨릭 교회 창립 시점부터 시작 |
중세 시대 | 정치적 권력 강화 세속 군주와 갈등 |
현대 시대 | 종교적, 도덕적 리더십 강조 국제 외교 및 평화 노력에 기여 |
기타 | |
교황 선출 |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이 선출 |
영향력 |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하나 신앙, 윤리, 사회 문제에 대한 발언 영향력 가톨릭교회와 세계 정치의 중심 역할 |
언어 | 공식 언어: 라틴어 업무에 여러 언어 사용 |
호칭 변화 | 일본 정부: '로마 법왕'에서 '로마 교황'으로 변경 일본 언론: '로마 법왕'과 '로마 교황' 혼용 사용 |
종신직 | 죽을 때까지 재임 |
2. 역사
초대 교회 시절, 교황은 '파파'(그리스어 πάππας|파파스grc에서 유래, 아버지라는 뜻)라고 불렸으며, 이는 모든 주교, 특히 동방 지역 주교들을 가리키는 호칭이었다. 11세기 교회 대분열 이후 서방교회에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대주교에게만 사용되었다.[275][276][277][278][279][280]
예수는 베드로를 교회의 반석으로 삼았고, 베드로는 로마에서 순교한 것으로 전해진다. 가톨릭교회는 베드로를 초대 교황으로 여기며, 로마는 초기부터 기독교의 중심지로 중시되었다. 초기 교황들은 기독교의 기틀을 다지고 발전시키는 데 힘썼으나, 로마 제국의 박해로 많은 교황들이 순교하거나 유배되었다. 이러한 박해는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밀라노 칙령으로 종식되었다.[291]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아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삼위일체를 교리로 선언했으며, 로마를 포함한 주요 주교좌에 특별한 역할을 인정했다.[292] 이후 교황들은 훈족과 반달족의 침입으로부터 로마를 구하는 등 서방에서 영향력을 강화해 나갔다.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교회 행정 개혁, 선교 활동 지원, 그레고리오 성가 정착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교황 스테파노 2세는 프랑크족의 도움을 받아 교황령을 확립했으며, 교황 레오 3세는 카롤루스 대제를 서방 제국 황제로 임명했다.
9~11세기에는 교회의 부패가 심해졌으나,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개혁 운동이 일어났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그레고리오 개혁을 통해 교회 쇄신을 추진했으며, 성직 서임권을 둘러싸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대립했다. 1122년 보름스 협약을 통해 교황은 성직 서임권을 보장받았다.[296]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로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가 분열되었다.[301] 이는 교리적 이견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발생한 분열이었다. 이후 중세 시대 교황들은 세속 군주들과 권력 다툼을 벌였으나, 아비뇽 유수와 서구 대이교를 겪으며 교황권이 쇠퇴했다.
16세기에는 마르틴 루터를 필두로 종교 개혁이 일어나 가톨릭 교회는 가톨릭 개혁을 통해 교회 내 폐단을 철폐하고 교리를 체계화했다.[307] 19세기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교황령이 소멸되었다가 부활했지만, 이탈리아 통일 운동으로 완전히 소멸되었다.
1870년 교황 비오 9세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황 무류성을 교의로 선포했다.[308]
교황 레오 13세는 근대 민주주의를 승인하고 노동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교황 비오 11세는 라테라노 조약을 통해 바티칸 시국을 선언, 교황의 독립성을 보장받았다. 교황 요한 23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하여 교회 쇄신과 현대화를 추진했으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동유럽 공산주의 붕괴에 기여하고 사회 정의와 윤리를 강조했다.[309]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13년 고령을 이유로 자진 사임했다.
2. 1. 호칭의 어원
한국에서 '교황'(敎皇)으로 번역되는 라틴어 '파파'(papa)는 그리스어 πάππας|파파스grc(아버지)에서 유래했다. 초대 교회 시절에는 모든 주교, 특히 동방 지역의 주교들을 가리키는 호칭이었으나, 11세기 교회 대분열 시기에 서방교회에서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대주교에게만 사용하게 되었다.[275][276][277][278][279][280] 이 칭호를 처음 사용한 이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헤라클라스(232-248)로 추정된다.[281]'파파'를 한국어로 옮긴 '교황'은 본래 '교화황'(敎化皇)이었는데, 1614년 이수광의 저서 《지봉유설》에서 마테오 리치 신부가 쓴 《천주실의》를 소개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구라파(유럽)의 풍속은 임금을 교화황이라고 하는데 결혼을 하지 않으므로 후손이 없고 어진 이를 선택하여 임금으로 세운다.”라는 구절이 그 예이다. 1915년경부터 교화황과 교황이 혼용되다가 1920년대부터 '교황'이 일반 용어로 정착되었다. '교종'(敎宗)은 한때 기도문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1962∼1965) 이후 사라졌다. 1992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춘계총회 용어위원회 논의를 거쳐 2000년 10월 《천주교 용어집》 출간을 통해 '교황'으로 통일되었다.[282]
2. 2. 초기 기독교 시대 (c. 30–325)
로마 가톨릭교회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베드로에게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겠다."(마태 16,18)라고 말하며 교회의 반석으로 삼았다.[284][285] 베드로는 로마에서 선교하다가 네로 황제의 박해 시기에 순교한 것으로 전해지며, 가톨릭교회는 그를 초대 교황으로 여긴다.[286]
1세기(30–130) 이래 베드로의 주교좌였던 로마는 기독교의 중심지로 받아들여졌으며, 다른 곳과 비교하여 이례적으로 중시되었다. 그리하여 교황의 수위권은 초대 교회 때부터 이미 각 지역 교회들에 의해 공인되었다. 95년경 코린토 교회에 분쟁이 일어났을 때, 제4대 교황 클레멘스 1세는 코린토 교회의 분쟁을 조정하고, 조기에 조치를 취하지 못한 것에 대해 사과하는 서신을 써서 보냈다. 제14대 교황 빅토르 1세는 소아시아 교회에 부활절 날짜에 대하여 논쟁이 일어났을 때, 로마 교회가 종래 지켜온 것을 따르라고 명령했다. 제15대 교황 제피리노는 몬타누스가 최초의 교회 분열을 일으켰을 때, 그를 파문했다. 제16대 교황 갈리스토 1세는 참회한 죄인에 대한 엄격한 처치를 완화시키라는 명령을 온 교회에 내렸다.
189년 교부 이레네오는 저서 《이단 논박》(Adversus haereses)에서 "모든 교회, 즉 온 세상에 있는 모든 신도는 이 (로마) 교회가 지니고 있는 강력한 수위권 때문에 이 교회와 일치해야 합니다."라며 로마의 수위권을 옹호하였다.[290]
초대 교황들은 기독교의 기틀을 다지고 발전시키는 데 온 힘을 쏟아부었다. 그러나 초대 교회 때에 일어난 로마 제국의 기독교 박해로 베드로를 시작으로 고르넬리오, 루치오 1세, 식스토 2세 등 많은 교황이 유배되거나 처형됐다. 이러한 박해는 313년 제32대 교황 멜키아데 때에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밀라노 칙령을 내려 로마 제국 내 모든 종교의 자유를 인정함으로써 일단락되었다.[291]
2. 3. 제1차 니케아 공의회부터 교회 대분열 시기(325–1054)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325년에 소집되어 아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삼위일체를 교회의 교리로 선언하였다. 또한, 로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주교좌에 특별한 역할을 인정하였다.[292] 교황 리베리오는 삼위일체 신앙을 지켰다는 이유로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에 의해 베리아로 유배되기도 하였다.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는 삼위일체 신앙을 로마 제국의 국교로 공인하였다.[293]서방에서는 교황이 영향력을 강화해 나갔는데, 교황 레오 1세는 훈족과 반달족의 침입으로부터 로마를 구하는데 큰 역할을 하여 '대교황' 칭호를 받았다.[295] 서로마 제국 멸망 후,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는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교황과 동맹을 맺었다.[295]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교회 행정 개혁, 선교 활동 지원, 전례 개혁, 그레고리오 성가 정착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
교황 스테파노 2세는 프랑크족의 도움을 받아 교황령을 확립했으며, 교황 레오 3세는 카롤루스 대제를 서방 제국 황제로 임명했다.
9~11세기에는 성직매매, 성직자 혼인 등 교회의 부패가 심해졌으나, 클뤼니 수도원을 중심으로 개혁 운동이 일어났다.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그레고리오 개혁을 통해 교회 쇄신을 추진했으며, 성직 서임권을 둘러싸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대립했다. 1122년 보름스 협약을 통해 교황은 성직 서임권을 보장받고, 황제는 주교에게 세속적인 직책을 수여할 권리를 인정받았다.[296]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는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십자군 원정을 제창했다.
9~11세기에 교황권이 실추되었으나, 교황 레오 9세가 교회 개혁을 통해 권위를 회복했다.
2. 4. 서방교회 내부의 분열 (1054–1517)
1054년 동서 교회의 분열로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가 분열되었다.[301] 이는 교리적 이견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 때문에 발생한 분열이었다. 교황들은 라벤나 총독부를 통해 개입하려는 동로마 황제의 간섭에서 벗어나고자 프랑크 왕국을 황제로 추대하여 맞섰다. 양측의 갈등은 8세기 성상 파괴 운동 이래 표면화되었으며, 9세기에는 필리오케 문제와 그에 따른 포티우스의 분리 등에서 만성적인 불화가 잇달아 일어났다. 결국 1054년,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는 서로를 파문하기에 이르렀다.[301] 이후 12~13세기 교황들은 공의회를 여러 번 소집하여 동서 교회의 재일치를 시도했으나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중세 시대 교황들은 세속 군주들과 권력 다툼을 벌였다. 그러나 세속 권력과의 대립은 중세 말기부터 교황 측의 패배나 전면적인 양보로 끝나는 양상을 자주 보이게 된다.
십자군 원정이 실패로 끝나면서 교황의 권위는 크게 하락했다. 유럽 각국의 군주들은 영토 분쟁을 벌여 힘을 키우면서 중앙집권체계를 갖추어 나갔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필리프 4세 대에 들어 왕권이 크게 강화됨에 따라 교황의 입지가 줄어들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각국의 군주들이 교회에 과세하는 것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는데, 이에 필리프 4세는 국내 화폐의 국외 반출을 금지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이후 교황권은 급격히 쇠퇴했다. 1309년 필리프 4세의 압박에 굴복하여 교황청은 로마를 떠나 프랑스 남부의 도시 아비뇽으로 이전해야 했다. 1309년부터 1377년까지 약 70년간 교황들은 아비뇽에 거주하며 프랑스 국왕의 강력한 간섭을 받았다. 아비뇽 유수라고도 부르는 이 시기 동안 교황은 모두 프랑스인이 선출되었고, 교회의 요직에도 프랑스인 성직자가 대거 차지하였다. 1377년 교황 그레고리오 11세가 로마로 복귀했으나 아비뇽 시절을 겪으면서 발생한 교회의 혼란은 끝나지 않았다. 1378년 이탈리아인이었던 교황 우르바노 6세가 새 교황에 선출되자 프랑스인 추기경들은 이에 대해 무효 선언을 하고 프랑스 출신인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를 자체적으로 선출하여 내세웠다. 이후 교회는 40년 동안 서구 대이교 시대를 맞게 되었다.[302] 결국, 교회의 분열은 국가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는데, 잉글랜드와 헝가리, 스칸디나비아, 이탈리아의 대다수 도시국가, 신성 로마 제국 등은 로마 교황을 지지했으며, 프랑스와 나폴리, 사보이아, 스코틀랜드, 스페인, 시칠리아 등은 아비뇽의 대립교황을 지지하였다. 나중에는 대립교황이 한 명 더 생겨, 세 명의 교황이 서로 자신이 진짜 교황이라고 주장하며 상대편을 서로 파문하였으며, 교회는 혼란에 빠졌다. 서방 교회의 분열은 1417년 소집된 콘스탄츠 공의회에서 교황 마르티노 5세를 새 교황으로 선출함으로써 종결되었다.
2. 5. 종교 개혁 ~ 현대 (1517 ~ )
16세기 마르틴 루터를 필두로 종교 개혁의 바람이 유럽 전역에 불었다. 마르틴 루터는 대사 남용에 항의하였으며,[303] 독일에서 시작된 종교 개혁은 스위스의 울리히 츠빙글리, 제네바의 장 칼뱅 등으로 이어졌다.[304][305][306] 이들은 다섯 솔라를 내세워 교황과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비판했다.이에 가톨릭 교회는 가톨릭 개혁(1560–1648)에 착수했다. 교황 바오로 3세는 트리엔트 공의회를 소집하여 교리를 체계화하고 교회 내 폐단을 철폐했다.[307] 교황 비오 5세, 교황 그레고리오 13세, 교황 식스토 5세 등도 교회 개혁에 힘썼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교황의 정치적 영향력은 줄어들었다. 19세기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해 교황령이 소멸되었다가 빈 회의로 부활했지만, 이탈리아 통일 운동으로 1870년 이탈리아 왕국에 의해 완전히 소멸되었다. 교황들은 '바티칸의 포로'를 자처하며 이탈리아 당국과 교섭을 거부했다.
1870년 교황 비오 9세는 제1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교황 무류성을 교의로 선포했다.[308]

1901년 교황 레오 13세는 근대 민주주의를 승인하고 노동 문제 해결에 힘썼다. 교황 비오 10세는 교회법을 현대화하고 성무일도서를 개정했다. 1926년 교황 비오 11세는 라테라노 조약을 통해 바티칸 시국을 선언, 교황의 독립성을 보장받았다. 1937년 비오 11세는 공산주의를 단죄했다.
1950년 교황 비오 12세는 성모 승천을 교의로 선언했다.
교황 요한 23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소집하여 교회 쇄신과 현대화를 추진했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마무리하고 교리와 교회 활동 지침을 명확히 했다.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동유럽 공산주의 붕괴에 기여하고 사회 정의와 윤리를 강조했으며, 과거 교회의 잘못을 사과했다.[309]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2013년 고령을 이유로 자진 사임했다. 이는 1415년 이후 약 600년 만의 일이다.
3. 교황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교리
로마 가톨릭교회는 예수가 시몬에게 “너는 베드로이다. 나는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겠다.”(마태 16,18)라고 말하며 베드로라는 새 이름을 주고, 그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우겠다고 약속했다고 설명한다.[284][285]
교회는 교황이 주교단의 단장으로서 다른 주교들과 함께 장엄 교도권을 행사하지만, 교회의 최고 목자로서 단독으로도 장엄 교도권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287][288][289] 베드로는 로마에서 네로 황제의 박해 시기에 체포되어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1세기부터 베드로의 주교좌였던 로마는 기독교의 중심지로 중요하게 여겨졌고, 교황의 수위권은 초대 교회 때부터 공인되었다. 95년경 교황 클레멘스 1세는 고린도 교회의 분쟁을 조정하는 서신을 보냈고, 14대 교황 빅토르 1세는 부활절 날짜 논쟁 때 로마 교회의 전통을 따르라고 명령했다. 16대 교황 교황 갈리스토 1세는 참회한 죄인에 대한 처치를 완화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삼위일체 교리를 잘못 가르친 살베르티오를 파문하며 “베드로의 권위”를 선언했다.
이레네오는 189년 저서 《이단 논박》에서 “모든 교회는 로마 교회가 지니고 있는 강력한 수위권 때문에 이 교회와 일치해야 한다”고 옹호했다.[290]
초세기 교황들은 기독교의 기틀을 다지는 데 힘썼으나, 로마 제국의 박해로 많은 교황이 유배되거나 처형됐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밀라노 칙령으로 종교 자유가 인정되면서 박해가 일단락되었다.[291]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는 아리우스주의를 단죄하고 삼위일체를 교리로 선언했으며, 로마,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 주교좌의 특별한 역할을 인정했다.[292] 교황 리베리오는 삼위일체 신앙을 변호하다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에 의해 유배되기도 했다. 380년 테오도시우스 1세는 삼위일체 신앙을 받아들인 니케아 그리스도교를 로마 제국의 국교로 공인했다.[293]
서방에서는 교황이 영향력을 강화해나갔는데, 교황 레오 1세는 452년 훈족의 침략을 막고, 455년 반달족의 침입 때도 로마 시민들을 보호하여 ‘대교황’ 칭호를 받았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는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교황과 동맹을 맺은 최초의 야만족 군주였다.[295]
가톨릭교회는 교황직의 성경적 근거로 다음 구절들을 제시한다.
- '''마태 16,18-19''':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 또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 '''요한 21,15-17''': “내 어린 양들을 돌보아라.”, “내 양들을 돌보아라.”, “내 양들을 돌보아라.”
- '''루카 22,31-32''': “나는 너의 믿음이 꺼지지 않도록 너를 위하여 기도하였다. 그러니 네가 돌아오거든 네 형제들의 힘을 북돋아 주어라.”
가톨릭 신자들은 마태오 복음서 16장 18-19절이 예수가 베드로를 기반으로 교회를 세우겠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믿는다. 베드로는 그리스도의 교회를 떠받치는 반석이 되었고, 예수는 베드로에게 지상 교회의 우두머리 소명을 주었으며, 이 소명을 계승하여 교황 제도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성경에서 새 이름을 받는 것은 새로운 지위나 사명을 뜻하며,[310] 시몬은 베드로가 되었다.[311] ‘베드로’는 예수 그리스도가 말한 아람어 ‘케파’를 번역한 것으로, ‘반석’을 뜻한다.
성경에서 반석은 힘, 확고부동, 안전하고 견고한 장소를 상징하며,[313] 이스라엘 백성을 보호하는 신을 상징하는 용어로도 사용되었다.[314] 바티칸 시국의 국장에서 볼 수 있는 ‘하늘나라의 열쇠’는 지상의 권한을 상징하는 수위권을 의미한다.
성경에서 열쇠는 열고 닫는 권한, 즉 모든 권한을 상징한다.[316] 교회의 전권을 받은 베드로에게 예수는 “내 양들을 잘 돌보라.”며 거듭 요청했고,[317] 베드로를 위해 특별히 기도했다.[318]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베드로를 ‘제1의 사도’라 했고, 에우세비우스는 ‘사도의 수령’ 또는 ‘사도직의 원수’라고 표현했다.[319]
베드로에게 위임된 직책은 후계자들에게 이어져 오늘에 이른다. 교황 바오로 6세는 1969년 세계 교회 협의회 본부를 방문했을 때 자신을 “나는 바오로라고 불리며 이름은 베드로입니다.”라고 소개했다.[320]
4. 다른 호칭들
교황은 여러 가지 공식 직함을 가지고 있다. 교황청 연감에 제시된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129]
이 외에도 비공식적으로 '파파(Papa)'라고 불리며, '성하(聖下)', '성스러운 아버지' 등의 경칭으로 불린다.[17] '폰티펙스 막시무스(Pontifex Maximus)'는 '최고 사제장'이라는 뜻으로, 교황은 하느님과 사람을 잇는 최고의 연결자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152][162][163]
교황의 서명은 '교황의 이름, PP, ○세'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바오로 6세의 경우 'Paulus PP. VI'라고 서명한다. PP는 파파(Papa)의 약어이며, 여기에 폰티펙스 막시무스의 약칭인 'P.M.' 혹은 'Pont.Max.'를 추가 기입하기도 한다.[130][131][132][133][134]
'서방 총대주교(Patriarcha Occidentis)'라는 칭호는 2008년부터 교황청 연감에서 제외되었으나,[166] 2024년에 다시 포함되었다.[167]
5. 선출과 장례
초기 기독교 문헌에는 로마 주교, 즉 교황의 권위와 특별한 위치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다.[70] 카르타고의 키프리아누스는 로마 주교를 성 베드로의 후계자로 보았고,[73][74] 리옹의 이레네우스는 초기 교황들의 목록을 작성했다.[76][77] 안티오크의 이냐시오는 로마 교회를 "사랑을 주관하는 교회"라고 표현했다.[78][79]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성 베드로 부터 시작되는 38명의 교황 목록을 제시했다.[80]
교황은 추기경단의 투표로 선출된다. 과거에는 “만장일치”, “사제단 대표에 의한 결정” 등의 방법도 있었지만, 현재는 오직 투표를 통해서만 선출한다. 교황 선거 후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서 삼중관을 쓴 교황이 첫 축복(우르비 에트 오르비)을 주는 의식이 있었으나, 요한 바오로 1세 이후 중단되었다.
교황이 사망하거나 부재 시(사도좌 공석)에는 추기경단이 바티칸과 가톨릭교회를 이끌지만, 중요한 결정은 새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미뤄진다. 과거에는 수석 추기경이 은색 망치로 교황의 이마를 세 번 두드려 사망을 확인하는 의식이 있었으나, 현대에는 의학적 판단 후 '전통 의식'으로 진행된다. 이후 수석 추기경은 교황의 '어부의 반지'를 빼내 파기한다. 교황의 유해는 며칠간 성당에 안치된 후 매장되며, 9일간 애도 기간이 이어진다.
교회법에 따라 교황은 자발적으로 사임할 수 있다. 베네딕토 16세는 2013년 고령을 이유로 실제로 사임했으며, 이후 명예 교황으로 불리며 성하 존칭을 유지한다.
4세기 로마 제국에서 기독교 신자가 급증했지만, 교황(당시 로마 주교)이 세속 권력을 갖게 된 것은 5세기 이후이다. 452년 레오 1세가 외교로 아틸라를 물리친 사건은 교황의 정치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초기 사례이다.
754년 프랑크 왕국의 피핀 3세가 교황에게 영토 일부를 기증하면서(피핀의 기증) 교황의 정치적 영향력은 더욱 커졌다. 이 땅은 이후 교황령의 기반이 되었다. 800년 레오 3세는 카롤루스 마그누스에게 로마 황제 관을 수여했다.
교황은 교황령을 다스리는 세속 군주이자, 모든 기독교인의 수장이라는 강력한 권위를 동시에 가졌다. 알렉산데르 6세, 율리오 2세 등은 정치적 권력을 행사한 대표적 교황이며, 그레고리오 7세, 알렉산데르 3세 등은 교회 개혁을 이끈 종교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현대 외교 관례에 따라, 교황이 외국을 공식 방문하면 해당 국가 원수가 교황의 숙소를 방문해 인사한다.[243]
5. 1. 교황의 선출
새 교황은 전임 교황의 선종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후 15일에서 20일 이내에 선출된다. 교황 선출은 콘클라베라 불리는데, 이는 라틴어로 '열쇠로 잠근다'는 뜻이다. 추기경들은 시스티나 성당에서 외부와의 소통이 단절된 채 매일 두 번의 비공개 투표를 한다. 80세 이하의 전 세계 모든 추기경들이 투표에 참여하며, 국적이나 출신은 상관없다.[321]투표 결과는 짚이나 종이를 태워 나오는 연기 색깔로 알린다. 검은 연기는 새 교황이 아직 선출되지 않았음을, 하얀 연기는 새 교황이 선출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연기는 시스티나 성당 내부의 작은 굴뚝을 통해 성당 정면 오른편 박공 앞의 한 지점으로 뿜어져 나온다. 성 베드로 광장에서 기다리는 사람들은 이 연기 색깔을 보고 새 교황 선출 여부를 알게 된다.[321]
새 교황이 확정되면 "수용한다(Accepto)"는 답변으로 공식 확인하고, 수석 추기경은 군중에게 "하베무스 파팜(Habemus Papam)"이라고 외치며 새 교황의 이름을 발표한다. 새 교황은 임시 제의를 입고 군중 앞에 나타나 '우르비 에트 오르비'(Urbi et Orbi, '로마 시와 전 세계에게'라는 뜻)라는 말로 첫 축복을 준다.[321]
만약 새로 선출된 교황이 주교품을 받지 않았다면, 수석 추기경이 주교품을 서품한다. 주교품을 받는 즉시 로마 주교이자 교황이 된다.[322] 역대 교황 중에는 이탈리아 출신이 210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중 99명은 로마 출신이었다. 그 외에도 프랑스(16명), 그리스(12명), 독일(8명), 시리아(6명) 등 다양한 국적의 교황들이 있었다. 잉글랜드, 포르투갈, 네덜란드, 폴란드, 아르헨티나 출신 교황도 각각 1명씩 있었다.
1274년 제2 리옹 공의회에서는 교황 선거 시스템을 규정했다. 교황 사후 10일 이내에 추기경단이 모여 다음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그 자리를 떠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1268년 교황 클레멘스 4세 사후 3년간 교황이 없었던 혼란을 겪은 후 정해진 것이다.
1978년 이전에는 교황 선거 후 산 피에트로 대성당으로 행렬을 하고, 삼중관을 쓴 교황이 첫 축복(우르비 에트 오르비)을 주는 의식이 있었다. 하지만 요한 바오로 1세 이후 이 의식은 사라졌다.
교황 부재 상태는 라틴어로 "세데 바칸테"(사도좌 공석)라고 불린다. 1996년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 문서 『우니베르시 도미니치 그레기스』(Universi Dominici Gregis)에 따르면, 교황 부재 시 추기경단이 집단 지도 체제를 통해 바티칸 시국과 가톨릭교회를 이끌지만, 중대한 결정은 새 교황이 선출될 때까지 보류된다.
교황 사망 확인은 전통적으로 수석 추기경이 은색 망치로 이마를 세 번 두드리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는 의사의 과학적 판단에 따른 사망 확인 후 '전통적인 의식'으로 행해진다. 이후 수석 추기경은 교황의 오른손에서 '어부의 반지'를 빼내 파괴한다. 교황 유해는 수일간 성당에 안치된 후 매장되며, 교황청은 9일간의 애도 기간('노벰 디아리스(Novem Diaris)')을 갖는다.
5. 2. 이름
교황 선거에서 차기 교황으로 선출된 당선자는 교황직 수락 의사를 밝히면서 즉시 자신의 본명을 버리고 평소 존경하던 성인이나 전임 교황의 이름을 골라서 자신의 교황명(敎皇名)으로 삼아 공표해야 한다.[323] 역대 교황명 가운데 가장 많이 선택된 것은 ‘요한’으로 지금까지 통틀어 23명의 교황이 이 이름을 선택하였다.[323] ‘요한’ 다음으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이름은 ‘그레고리오’와 ‘베네딕토’로 둘 다 총 16명이 있으며, ‘클레멘스’는 14명, ‘레오’ 및 ‘인노첸시오’는 13명, ‘비오’는 12명 등이다.[323] 다만 ‘베드로’는 초대 교황인 베드로만을 위해 쓰도록 정해져 있어 베드로를 교황명으로 쓴 사례는 없다.[323]교황들 가운데 처음으로 개명한 이는 교황 요한 2세로, 본래의 이름인 메르쿠리우스가 이교도의 신을 딴 이름이기 때문에 교황으로는 부적절하다고 생각해 '요한 2세'로 이름을 바꿨다.[323] 반면 원 세례명을 그대로 유지한 교황은 16세기의 교황 하드리아노 6세가 유일하다.[323] 두 개의 교황 이름을 합쳐서 개명한 사람은 요한 바오로 1세가 처음이며 다음 교황인 요한 바오로 2세도 이 이름을 사용했다.[323]
교황은 즉위 시 새로운 이름, 즉 이탈리아어와 라틴어로는 교황명을 채택한다. 새 교황이 선출되어 선출을 수락하면 "어떤 이름으로 불리시겠습니까?"라고 묻는다. 새 교황은 그때부터 알려질 이름을 선택한다. 교황을 언급할 때는 관례적으로 교황명을 모든 현지 언어로 번역한다. 예를 들어, 현직 교황은 라틴어로 Papa Franciscus, 이탈리아어로 Papa Francesco, 모국어인 스페인어로는 Papa Francisco, 영어로는 Pope Francis 등으로 불린다.
- 교황명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지만, 베드로(페트로)라는 이름을 선택한 사람은 없다.
- 반(對)교황을 제외하고 가장 많이 선택된 교황명은 "요하네스(요하네)"로 22명이다. 다음으로 "그레고리우스(그레고리오)"와 "베네딕투스(베네딕트)"가 각각 16명이다.
- 과거에는 역사적 혼란으로 "17세" 이후가 하나 더 많이 계산되었다. 이후 이 오류는 수정되어 "17세"부터 "20세"까지는 각각 1세씩 줄어 "16세"부터 "19세"가 되었지만, 21세 이후 3명은 수정되지 않고 남아 있다. 따라서 "요하네스 20세"가 실존하지 않으므로, 현재 마지막으로 "요하네스"를 사용한 교황은 요하네스 23세(요하네스로는 22대)이다.
- 복합 이름으로 "요하네스"를 사용한 교황이 2명 있다(요한 바오로 1세와 요한 바오로 2세). 이를 포함하면 "요하네스"를 사용한 교황은 총 24명이 된다.
- 완전히 새로운 이름을 사용한 최근 교황은 2013년 3월에 선출된 현 교황 프란치스코이다. 그 전까지는 오랫동안 랜드가 그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5. 3. 교황이 되면 달라지는 것
- 교황은 자신의 이름, 이전의 국적 및 시민권을 버려야 한다.[324]
- 교황은 일상생활에서 때로는 아주 사소한 부분까지 전부 규제를 받는다.[324]
- 교황은 일주일에 한 번씩 예수회 사제인 고해 사제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해야 한다.[324]
- 교황은 교의상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절대적인 권력을 갖는다. 교회 안 모든 법령은 교황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교황은 일을 처리함에 있어 선례를 따를 수도 있고, 무시할 수도 있다. 전통을 폐지하고 교회법을 제정하거나 개정할 수 있으며, 교서를 발표할 수 있고, 협의를 거치지 않고도 교회 안 규정을 바꿀 수 있다. 어떤 문제들에 관해서는 추기경단의 자문과 충고를 받도록 되어 있지만, 모든 일에 있어 교황 자신이 독자적으로 결정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다.[324]
- 교황은 인간이 하는 재판은 받지 않기에 법정에 소환되지 않을 권한을 갖는다.[324]
5. 4. 교황의 장례 절차
교황의 장례식은 엄격한 형식과 절차에 따라 진행된다.[325] 먼저 교황의 시종관이 교황의 사망을 공식적으로 확인하고,[325] 교황을 상징하는 어부의 반지(교황의 공식인장)를 교황의 손가락에서 빼내어 모든 사람이 보는 앞에서 두 개의 선을 그어 훼손시킨다. 이는 교황의 통치 기간이 종식되었음을 의미하며, 문서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그 다음, 교황의 시신을 시스티나 경당으로 옮기는데, 추기경들과 바티칸의 주요 인사들이 긴 행렬을 이루어 시신을 호위한다. 시신이 경당에 모셔지면 하얀색 실크와 특별하게 짠 팔리움으로 된 수의를 입힌다. 시신의 손에는 장갑을 끼우고, 교황의 주교관을 가슴 위에 놓는다. 교황의 시신은 시스티나 경당의 거대한 프레스코화 ‘최후의 심판’ 아래서 꼬박 하룻밤을 보낸 다음, 다시 성 베드로 대성전 안 클레멘타인 경당으로 옮겨진다.
교황의 시신은 그곳에서 3일간 수십만 조문객의 조문을 받는다. 이 전통은 과거 로마 제국의 장례 풍습에서 유래한 것이다. 장례 미사는 대성전 돔 아래에 있는 중앙 제대에서 거행된다. 장례 미사가 끝나면 시신은 윤이 나게 잘 닦인 삼중 나무관 속에 안치된다. 그 후 교황의 업적을 기리는 송덕문이 라틴어로 읽히며, 그 송덕문은 청동으로 된 원통에 담겨 교황의 발치에 놓인다.
이때 금화, 은화, 동화 등 동전을 가득 담은 붉은 벨벳 자루를 시신 옆에 놓아두는데, 그 개수는 교황의 재임 연수(1년에 금화, 은화, 동화 각각 1개씩)에 따라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이전에 훼손했던 어부의 반지를 넣고 시신의 얼굴을 비단 천으로 덮으면 바로 관을 봉한다. 봉해진 교황의 관은 대성전 제대의 왼쪽에 있는 ‘죽음의 문’을 통해 아래로 천천히 운구되어 역대 교황이 묻히는 대성전 지하 묘소 안에 미리 준비한 대리석관 안으로 옮겨지고 나서 거대한 석판으로 덮여 안치된다.[326]
6. 교황의 상징들
- 삼중관(Triregnum) : 교황이 머리에 쓰는 관으로, 일반 주교관과 다르며 전통적으로 교황 즉위 미사 때 사용되었다. 삼중관은 교황의 통치권, 신품권, 교도권을 상징하며, 유럽의 어떤 군주들보다도 교황이 더 위대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1978년 교황 요한 바오로 1세가 세속적 권력의 상징이라며 사용을 중단하여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 주교 지팡이(Baculus) : 교황이 예식 때 쓰는 지팡이로 목장(牧杖)이라고도 한다. 목자가 양을 칠 때 사용하던 지팡이에서 유래하며 목자의 직무와 권위를 상징한다. 일반 주교의 지팡이는 윗부분이 원형으로 구부러져 있지만, 교황의 지팡이는 윗부분이 십자가 모양이다. 이는 교황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대리인이라는 뜻이다.
- 팔리움(Pallium) : 양털로 만든 띠로 ‘잃었던 양의 비유’(루카 15,1~7)에서 양을 찾아 어깨에 메고 집으로 돌아오는 목자의 모습을 연상시키며, 교황의 명예와 자치권을 상징한다.
- 어부의 반지(Pescatorio) : 교황이 손가락에 끼는 황금 반지인데, 예수의 수제자였던 성 베드로가 어부였다는 사실에서 기인한다. 공문서를 봉인할 때 쓰고, 교황을 알현하는 사람은 무릎을 꿇은 채 어부의 반지에 입을 맞추는 인사를 한다. 교황이 선종하면 반지를 훼손시켜서 교황의 시신과 같이 넣는데, 이는 해당 교황의 통치가 종식되었음을 의미한다.
- 하늘나라의 열쇠 : 성 베드로가 예수에 대한 바른 신앙을 고백했을 때, 예수는 성 베드로에게 왕국의 문들을 열 하늘나라의 열쇠를 주었다(마태 16,13~19). 하늘나라의 열쇠는 지상의 권한을 상징하는 수위권을 상징하며, 성 베드로의 후계자인 교황이 그 권한을 계승하고 있다.

교황에게는 교황을 상징하는 특별한 문장이 있다. 모든 교황들의 문장에는 삼중관이 포함되었지만, 베네딕토 16세와 프란치스코의 문장에는 주교관으로 바꾸었다. 교황관 아래 방패의 배경에는 전통적으로 금열쇠와 은열쇠가 있는데, 이는 마태오 복음서 16장 18절~19절을 참고로 한 것으로, 지상과 천국에서 묶고 매는 교황의 능력을 상징한다. 따라서 교회 문장학에서 열쇠는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교황으로서의 지위의 영적인 권위를 상징한다.
금색과 은색의 두 개의 열쇠가 교차하는 형태로 그려지는 천국의 열쇠도 교황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그중 은색 열쇠는 세속적인 권위를, 금색 열쇠는 종교적인 권위를 나타낸다. 어부였던 베드로를 기념하여 "어부의 반지"라고 불리는 금반지도 교황이 사용한다. 또한 움브라쿨룸(unbracullum)으로 알려진 빨간색과 금색 줄무늬가 있는 우산 그림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7. 교황의 지위와 권위
1870년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황의 지위와 권위를 교의적으로 정의했다.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황이 신앙과 도덕에 관한 문제에 있어서 '교좌에서'(Ex Cathedra) 엄숙하게 정의를 내릴 때 오류가 있을 수 없다는 교황 무류성을 지닌다고 정의했다.[330]
1964년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교회에 관한 교의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에서 교황과 친교를 이루며 가르치는 주교들은 하느님의 보편 진리에 대한 증인으로서 존경받아야 하며, 신자들은 신앙과 도덕에 관하여 주교의 판단에 일치해야 한다고 선언했다.[331]
동서 분열로 인해 1054년 동방 정교회와 가톨릭교회가 완전히 분리되었다. 이러한 분열은 사소한 교리 차이보다는 정치적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중세 시대에 교황들은 권력을 놓고 군주들과 싸웠다.[69] 1309년부터 1377년까지 교황은 로마가 아닌 아비뇽에 거주했다. 아비뇽 유수는 탐욕과 부패로 악명이 높았다. 이 기간 동안 교황은 사실상 프랑스 왕국의 동맹국이었고, 잉글랜드 왕국과 같은 프랑스의 적들을 소외시켰다.
교황은 공로의 보물을 활용하여 면죄부를 부여하고 연옥에서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교황들은 오해와 남용을 비난했지만, 수입이 절실하여 면죄부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를 행사할 수 없었다.
교황들은 때때로 추기경들과도 다투었다. 공의회주의는 교회의 최고 권위는 교황이 아닌 공의회에 있다고 주장한다. 15세기 이후 공의회주의가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한 것은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의 요인으로 여겨진다.[62]
특히 서방 분열(1378~1417) 기간 동안 여러 대립 교황들이 교황의 권위에 도전했다. 콘스탄츠 공의회가 교황 후보들 중에서 결정을 내림으로써 종결되었다.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콘스탄티노폴리스를 함락시키면서 비잔티움 제국은 멸망했다.[63]
가톨릭교회에서는 전통적으로 교황의 지위와 권위가 성경에 근거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중요시되는 것은 마태오 복음서 16장 18-19절의 예수의 베드로에 대한 말씀이다.
> “시몬 베드로야, 너는 복이 있다. 네가 이것을 사람에게서 배운 것이 아니라 하늘에 계신 나의 아버지께서 너에게 가르쳐 주신 것이다. 나는 너에게 말한다. 너는 베드로다. 이 반석 위에 내가 내 교회를 세우겠다. 죽음의 권세도 이 교회를 이기지 못할 것이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네가 세상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고, 네가 세상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다.”
이 구절에서 "천국의 열쇠" 디자인이 교황의 문장에 채택되었다. 그러나 이 성경 구절에 대해, 교황권의 근거로 삼는 이러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해석은 정교회, 프로테스탄트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교황은 가톨릭교회의 수장(교황청)으로서 종교적 권위와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로서 국제법상의 권위를 모두 가지고 있다. 수백 년 동안 교황청(로마의 교황청)은 가톨릭교회의 중추 기관으로 기능해 왔다.
“'''교황청'''”(Sancta Sedes) 또는 “사도좌”라는 표현은 교회 용어로 로마 교황(과 교황청 전체)의 특별한 권위를 나타낸다.
국제 사회와 가톨릭교회 안에서 인정받아 온 교황의 특별한 권위, 영예, 특권은 모두 사도 베드로의 권위를 계승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베드로의 권위에 따라 로마는 가톨릭교회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로마 교황은 어디까지나 로마 주교로서 그 권위를 행사하지만, 로마에 거주하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라틴어 정식 “Ubi Papa, ibi Curia”(교황이 있는 곳이 어디든 교회의 중앙 정부이다)라는 말은 교황이 가톨릭교회의 중심 도시에 거주하는 한 로마 주교로 남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1309년부터 1378년까지 교황청은 아비뇽에 있었다(아비뇽 교황청).
현재 교황의 주교좌 성당은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이며, 관저는 바티칸 궁전이다. 또한 피서용 별장으로 (고대 도시 알바 롱가 근처) 카스텔 간돌포에 별장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교황의 지위를 규정하고 있는 것은 제1차 바티칸 공의회(1870년)에서 채택된 교의헌장 「그리스도의 교회」이다.
교황의 권능은 이 헌장의 제3장 등에 규정되어 있다. 그것은 “믿음의 최고 판단자이며, 신앙 문제에 대한 결정권을 가진다. 즉, 교황청으로서의 결정적인 선포는 아무도 뒤집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같은 공의회에서 선포된 교황 무류성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가톨릭교회에서는 “구원을 위해서는 로마 교황청과의 관계가 필요하다(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말)”라고 전통적으로 가르쳐 왔다.
교황의 것으로 여겨지고 실제로 행사되어 온 권능은 다음과 같다. 주교 임명, 교구의 설립과 폐지, 교황청 직원 임명, 교황청 문서의 승인, 전례 의식의 변경, 교회법의 개정, 시복과 시성, 교회 재판의 최고 결정권, 회칙의 공포, (신앙과 도덕에 관한 사항에 대한) 무류한 선언, 수도회의 승인과 금지. 다만, 이러한 권능을 실제로 행하는 것은 교황청의 구성원들이며, 실질적으로 교황이 하는 것은 최종적인 승인을 주는 것뿐이다.
8. 교황의 역할
교회법 제331조에 따르면, 교황은 주교단의 으뜸이자 그리스도의 대리자이며 보편 교회의 최고 목자로서, 교회에서 최고의 완전하고 직접적이며 보편적인 직권을 가진다.[332] 이는 사도들 중 첫째인 베드로에게 독특하게 수여되고 그의 후계자들에게 전달될 임무가 영속되는 로마 교회의 주교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교황은 다음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교황의 권한 |
---|
교황의 공식 좌석(cathedra)은 라테라노 대성당에 있으며, 공식 관저는 사도궁이다. 또한 카스텔 간돌포 교황궁에 여름 별장을 소유하고 있다.[332]
9. 교황권에 대한 다른 기독교 교파의 입장
가톨릭 교회 외부에서는 교황의 권위에 대해 명확하게 의문을 제기한다.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 교황을 인정하면서도 전 세계 주교들 사이에서의 수위권에 대한 의문
# 교황 제도 자체에 대한 의문
요한 23세는 회칙 『파체음 인 테리스』(Pacem in Terris)에서 아시리아 동방 교회, 동방 전례 가톨릭 교회, 정교회, 성공회 등이 사도로부터의 계승이라는 개념을 공유하며 로마 주교인 교황의 영예로운 지위를 다소 인정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이는 수위권과는 다르다.
동방 전례 가톨릭 교회를 제외한 다른 교파들은 교황이 베드로의 권위를 계승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으며, 베드로가 로마에 갔다는 사실조차 부정하기도 한다. 교황 수위권은 로마가 로마 제국의 수도였기 때문이라는 칼케돈 공의회 교령 제28조의 내용처럼, 교황이 전 교회에 대해 교도권을 행사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공의회로 인정하지 않아 교황 무류에 관한 선언도 무효로 본다.
프로테스탄트는 성경에 쓰여 있지 않은 베드로의 수위권은 있을 수 없다고 본다. 또한 교황권이 서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등 세속 권력과 복잡하게 연관되었고, 이탈리아 왕국 성립 당시 교황령 몰수 이후 정부와의 불화 등 역사적인 의문점을 제기한다.
서유럽에서는 교황권에 대한 불만이 종교 개혁의 배경이 되었다. 가톨릭에서 분리된 교파들은 교황의 지위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가지는데, 전 교회에 대한 통치권을 인정하지 않는 것부터 요한계시록의 적그리스도라고 주장하는 극단적인 견해까지 있다.
보르지아 가 출신 알렉산데르 6세나 칼릭스투스 3세와 같은 타락한 교황의 예를 들어, 타락한 인간이 이러한 권위를 가졌던 것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비판자들은 전지전능한 신이 타락한 인간에게 신성한 권위를 부여할 리 없으며, “타락한 교황”의 존재 자체가 교황직이 신의 뜻이 아님을 증명한다고 주장한다. 반론으로는 고대 이스라엘의 왕들과 예수를 배신한 이스카리오트 유다를 예시로, 신이 타락한 인간에게도 큰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과 타락한 교황에도 교황 제도가 소멸되지 않았다는 점을 교황권이 신의 보호를 받는 증거로 보기도 한다.
9. 1. 동방 정교회의 입장
동방 정교회는 초대 교회부터 내려온 5대 지역 대주교의 자리가 모두 동등하며, 교황은 그중 한 명일 뿐이라고 본다. 페라르-플로렌스 공의회를 통해 서방교회와 신학적 협의를 시도했으나, 교황의 권한은 공의회와 교회법에 합치되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333] 정교회는 로마 대주교인 교황의 재치권과 무류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동방 정교회는 로마 가톨릭의 교회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견을 제시한다.[244]
- 로마 가톨릭은 교황의 도덕적 권위나 중재와 같은 온화한 권한을 절대적인 권한으로 간주한다.
- 로마 가톨릭에서는 교황의 수위가 모든 교회의 "원리·근원"으로 여겨지지만, 동방 정교회에서는 교회의 유일한 "원리·근원"은 그리스도뿐이라고 생각한다.
- 동방 정교회에서는 모든 주교가 베드로를 계승한다고 본다. 성 키프리아누스는 모든 주교는 자신의 교회 및 다른 모든 교회에서 베드로의 자리에 있다고 하였다.
- 성 니콜라오스 카바실라스는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244]
- 사도가 다른 사도를 서품(서계)한 적은 없다.
- 베드로는 모든 교회의 스승이지만, 교황은 로마의 주교(총대주교)에 불과하다.
- 베드로는 안티오키아나 알렉산드리아에서 주교를 서품(서계)할 수 있었지만, 로마 주교는 그럴 수 없다.
- 베드로는 로마 주교를 서품(서계)했지만, 교황이 교황을 베드로의 계승자로 임명할 수는 없다.
일본정교회에서는 교황(Papa)에 상응하는 번역어로 '''"「파파」"'''(괄호 포함)라는 표기를 사용하고, "교황"이라는 표기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동서 교회 분열 이전의 로마 교황 중 성인이 된 클레멘스 1세, 그레고리우스 1세 등에 대해서는 동방 정교회도 존경한다.
9. 2. 개신교
개신교에서는 기본적으로 교황권 자체를 부인한다. 개신교에서는 베드로가 사도들의 대표 역할을 하긴 했으나 로마 교회에 직접적인 선교 활동을 한 적이 없으며, 로마 감독/주교에서 베드로가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은 토미즘 이후의 교리적 정리라고 인식한다. 서방교회의 전통을 천주교회와 공유하는 개신교회는 도리어 천주교회가 초대교회부터 내려온 5개 대교구에서 분리된 로마교회로 보며, 교황 역시 12세기 토마스 아퀴나스의 서방 교회 신학적 정립 이후에 설립된 제도로 인식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복음과 베드로의 신앙고백으로 대표되는 성도의 믿음이 교회의 기반이며, 전통적 교회 제도는 필요하나 절대적 제도는 복음에 대치된다고 여긴다.[207]
기독교의 개신교 교파들은 베드로의 명예 우월성, 베드로의 관할권 우월성, 교황 무류설을 거부한다. 이러한 교파들은 교황의 권위 주장의 정당성을 거부하는 것부터, 교황이 요한복음 2:18의 적그리스도[208], 데살로니가후서 2:3-12의 죄악의 사람[209], 요한계시록 13:11-18의 땅에서 나온 짐승[210]이라고 믿는 것까지 다양하다.
역사적으로 개신교도들은 이탈리아의 영토적 주장을 포함한 모든 세속 정부에 대한 교황권의 세속적 권력 주장,[218]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과 같은 세속 국가와의 복잡한 관계,[219] 그리고 교황직의 독재적 성격에 반대했다. 서방 기독교에서 이러한 반대는 개신교 종교 개혁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그 산물이기도 하다.
참조
[1]
서적
Keepers of the Keys of Heaven: A History of the Papacy
(Unspecified)
[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The Pope
https://www.newadven[...]
2024-05-27
[3]
서적
The Papac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4]
웹사이트
Christ's Faithful – Hierarchy, Laity, Consecrated Life: The episcopal college and its head, the pope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3-04-14
[5]
웹사이트
In Biden's visit with the pope, a page from Reagan's playbook?
https://theconversat[...]
2021-10-27
[6]
뉴스
News from The Associated Press
http://hosted.ap.org[...]
2013-03-13
[7]
웹사이트
Definition of Holy See
http://www.merriam-w[...]
[8]
서적
Keepers of the Keys of Heaven: A History of the Papacy
Basic Books
[9]
서적
Autoridade da Verdade – Momentos Obscuros do Magistério Eclesiástico
Edições Loyola
[10]
백과사전
Papal Arbitration
[11]
서적
História das Religiões. Crenças e práticas religiosas do século XII aos nossos dias
Editora Folio
[12]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Vatican in the Modern World
https://www.ewtn.com[...]
[13]
뉴스
The World's Most Powerful People
https://www.forbes.c[...]
2014-11-01
[14]
뉴스
The World's Most Powerful People
https://www.forbes.c[...]
2013-01-01
[15]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Powerful People
https://www.forbes.c[...]
2023-11-27
[16]
학술지
Deus Vult: The Geopolitics of Catholic Church
2010-02-12
[17]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Roman Empire
Houghton Mifflin
[19]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20]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Cengage Learning
[21]
서적
The Eucharistic Prayers of the Roman Rite
Liturgical Press
[22]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Government Institutes
[23]
서적
Papal Primacy
Liturgical Press
[24]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25]
웹사이트
pope, n.1
Oxford University Press
2011-11-21
[2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Christ's Faithful – Hierarchy, Laity, Consecrated Life
https://www.vatican.[...]
[27]
문서
Lumen Gentium
[28]
웹사이트
Lumen gentium, 22
https://www.vatican.[...]
Vatican.va
[29]
서적
The Catholic church: its origins and nature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30]
서적
A New Eusebius
https://archive.org/[...]
[31]
웹사이트
Letter to the Corinthians (Clement)
http://www.newadvent[...]
New Advent
[32]
서적
(Unspecified)
[33]
웹사이트
Letter of Ignatius of Antioch to the Romans
http://www.crossroad[...]
Crossroads Initiative
[34]
웹사이트
Saint Peter the Apostl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35]
학술지
Zeitschr. fur Kirchengesch.
[36]
TV
The Secrets of the 12 Disciples
Channel 4
2008-03-23
[37]
서적
The Catholic church: its origins and nature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38]
서적
A New Eusebius
https://archive.org/[...]
[39]
서적
The Early Christian Church
[40]
웹사이트
Papal Primacy
https://web.archive.[...]
2008-12-03
[41]
서적
Orthodoxy in Conversation
[42]
서적
Orthodoxy in Conversation
[43]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44]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45]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ristianity
[46]
웹사이트
Saint Paul the Apostle Biography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1-22
[47]
서적
Oxford History of Christianity
Oxford University Press
[48]
웹사이트
Ravenna Document Ecclesiological and Canonical Consequences of the Sacramental Nature of the Church. Ecclesial Communion, Conciliarity and Authority
http://www.christian[...]
2024-05-26
[49]
서적
The Birth of the Church
Monarch
[50]
웹사이트
Canons of the Council of Nicaea
https://web.archive.[...]
2012-02-15
[51]
백과사전
Pope Liberius
[52]
서적
Os Santos de Cada Dia
Editora Paulinas
[53]
웹사이트
Theodosian Code
https://web.archive.[...]
2007-02-27
[54]
서적
Geography of Religion
National Geographic Society
[55]
서적
Corso di Storia, per le scuole medie superiori
Editora Principato
[56]
서적
Medieval Civilization
Barnes & Noble
[57]
서적
História Global Brasil e Geral
[58]
웹사이트
Movimentos de Rennovação e Reforma
https://web.archive.[...]
2012-01-16
[59]
웹사이트
Feudalismo
http://www.portalsao[...]
Portalsaofrancisco.com.br
2013-02-18
[60]
서적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Ages
Paulist Press
[61]
서적
The First Crusa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63]
웹사이트
Fall of Constantinople Summary
https://www.britanni[...]
2019-06-13
[64]
서적
When Time Shall be No More: Prophecy Belief in Modern American Cultu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8-15
[65]
서적
Printing, Propaganda and Martin Luther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3-02-18
[66]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archive.org/[...]
Routledge
[67]
서적
Luth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2-18
[6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World history
Henry Holt & Co.
[70]
웹사이트
Authority of the Pope
https://www.churchfa[...]
2023-03-29
[71]
웹사이트
What the Early Church Believed: The Authority of the Pope
https://www.catholic[...]
2023-03-29
[72]
서적
The First Thousand Years: A Global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2
[73]
서적
The Letters of St. Cyprian of Carthage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984
[74]
서적
Discussions in History and Theology
https://books.google[...]
Scribner
1880
[75]
간행물
Cyprian and Other Bishops at the Council of Carthage to Stephen
http://dx.doi.org/10[...]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10-04-01
[76]
웹사이트
Church Fathers: Against Heresies, III.3 (St. Irenaeus)
https://www.newadven[...]
2023-05-08
[77]
웹사이트
Ante-Nicene Fathers Vol. I, Against Heresies: Book III
https://en.wikisourc[...]
[78]
간행물
Ignatius to the Romans
http://dx.doi.org/10[...]
1517 Media
2016-05-18
[79]
웹사이트
Church Fathers: Epistle to the Romans (St. Ignatius)
https://www.newadven[...]
[80]
웹사이트
Church Fathers: Letter 53 (St. Augustine)
https://www.newadven[...]
[81]
웹사이트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Volume I/Church History of Eusebius/Book III
https://en.wikisourc[...]
[82]
웹사이트
Church Fathers: The Prescription Against Heretics (Tertullian)
https://www.newadven[...]
[83]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Optatus
https://www.newadven[...]
[84]
웹사이트
What the Early Church Believed: Peter's Roman Residency
https://www.catholic[...]
[85]
성경
Matthew 16:18–19
[86]
성경
Luke 22:31–32
[87]
성경
John 21:17
[88]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6:18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3-05-23
[89]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6:18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3-05-23
[90]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6:18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3-05-23
[91]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6:18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2013-05-23
[92]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6:18
http://studylight.or[...]
StudyLight.org
2013-05-23
[93]
웹사이트
Commentary on Matthew 16:18
http://www.studyligh[...]
StudyLight.org
2013-05-23
[94]
웹사이트
John 1:42
http://biblehub.com/[...]
[95]
웹사이트
Cephas
http://dictionary.re[...]
[96]
웹사이트
Cephas
http://www.behindthe[...]
[97]
백과사전
Saint Peter the Apostl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3
[98]
웹사이트
Where Is the Papacy in the Old Testament?
https://www.catholic[...]
2023
[99]
성경
Isaiah 22:22
[100]
성경
Matthew 16:19
[101]
성경
Isaiah 22:23
[102]
성경
Matthew 16:18
[103]
웹사이트
Popes and conclaves: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religionnews.[...]
2013-03-03
[104]
서적
The Ecumenical Councils of the Catholic Church: A History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09
[105]
뉴스
White Smoke, Pope; Black Smoke, Nope: How Conclave Smoke Gets Its Color
https://abcnews.go.c[...]
2013-03
[106]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on the Tenth General Congregations of the College of Cardinals (11 March) and Regarding Events of the Coming Days: Tenth and Last General Congregation
http://press.catholi[...]
Holy See Press Office
2013-04-15
[107]
뉴스
Vatican: Bells Will Also Announce Election of New Pope
https://www.voanews.[...]
2009-10-30
[108]
뉴스
A quick course in 'Conclave 101'
https://www.ncronlin[...]
2013-02-15
[109]
서적
Inside The Vatican: The Politics and Organiz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110]
웹사이트
Vatican Adventure
http://www.indianchr[...]
[111]
뉴스
What Does Cardinal Sodano's Departure as Dean of the College of Cardinals Mean?
https://www.ncregist[...]
2019-12-27
[112]
뉴스
Papal Transition: Traditional Path Sharply Defined
https://www.nytimes.[...]
2005-04-02
[113]
웹사이트
The Ring of the Fisherman
https://www.catholic[...]
2021-07-25
[114]
뉴스
Papal Transition
https://www.americam[...]
2013-01-24
[115]
뉴스
The Process of Electing the New Pope
https://www.christia[...]
2005-04-05
[116]
간행물
Universi Dominici Gregis, No. 89
https://www.vatican.[...]
[117]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Christian Antiquities
https://books.google[...]
[118]
문서
Ablative absolute
[119]
뉴스
Profile: Pope Francis
https://www.bbc.com/[...]
2017-12-01
[120]
뉴스
Sorry, Jorge Mario Bergoglio is not the first non-European pope
https://www.washingt[...]
2013-03-13
[121]
웹사이트
John Paul II. Universi Dominici Gregis, Chapter 1.
https://www.vatican.[...]
[122]
웹사이트
Hammer Time
http://www.snopes.co[...]
2005-04-05
[123]
서적
Pope John Paul II: The People's Pope
Walker & Company
1984
[124]
뉴스
The Path to a New Pontiff
http://www.time.com/[...]
Time
2005-04-03
[125]
웹사이트
Global Catholic Network EWTN
https://www.ewtn.com[...]
[126]
문서
Resignation
[127]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 IntraText
https://www.vatican.[...]
[128]
뉴스
Benedict, the placeholder pope who leaves a battered, weakened church
https://www.theguard[...]
2013-02-11
[129]
서적
Annuario Pontificio
Libreria Editrice Vaticana
[130]
백과사전
Ecclesiastical Abbreviations
[131]
백과사전
Pop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3
[132]
웹사이트
Lexicon Abbreviaturarum
http://inkunabeln.ub[...]
[133]
웹사이트
Contractions and Abbreviations
http://www.ndl.go.jp[...]
Ndl.go.jp
2005-08-04
[134]
웹사이트
What Does PP Stand For?
http://acronyms.thef[...]
Acronyms.thefreedictionary.com
[135]
웹사이트
pope Definition, Title, & List of Popes
https://www.britanni[...]
[136]
성경
John 21:16–17
[137]
백과사전
Vicar of Christ
[138]
서적
Os Papas. Os Pontífices de São Pedro a João Paulo II
[139]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0]
백과사전
Prescription against Heretics (Chapter 28)
http://www.newadvent[...]
New Advent
[141]
백과사전
On the Veiling of Virgins (Chapter 1)
http://www.newadvent[...]
New Advent
2013-04-14
[142]
성경
John 16:7–14
[143]
서적
New Commentary on the Code of Canon Law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10-02-18
[144]
서적
Autoridade da Verdade – Momentos Obscuros do Magistério Eclesiástico
Edições Loyola
[145]
서적
The Practical Prophet: Pastoral Writing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11-11-21
[146]
웹사이트
Second Vatican Council, Dogmatic Constitution Lumen gentium, 27
https://www.vatican.[...]
2010-01-27
[147]
서적
Church & State: A Novel of Politics and Power
https://books.google[...]
Our Sunday Visitor
2013-04-14
[148]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1-11-21
[149]
웹사이트
Missale Romanum, Vatican City, 2008, p. 928
http://www.clerus.or[...]
Clerus.org
2011-11-21
[150]
백과사전
Pontifex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3-04-14
[151]
서적
Le collège pontifical: 3ème s. a. C. – 4ème s. p. C.
Brepols
[152]
백과사전
Pontifex
https://penelope.uch[...]
J. Murray
[153]
서적
A Greek English Lexicon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2-18
[154]
문서
Polybius 23.1.2 and 32.22.5; Corpus Inscriptionum Atticarum 3.43, 3.428 und 3.458
[155]
문서
ἀρχιερεὺς μέγιστος (greatest high priest) in Corpus Inscriptionum Graecarum 2.2696 and 3.346; Plutarch Numa 9.4
[156]
성경
Mark 15:11; John 7:45, 11:47, 11:49, 11:51, 11:57, 18:3, 18:10, 18:13, 18:15–16, 18:22, 18:24, 18:26, 18:35, 19:6, 19:15, 19:21; Hebrews 2:17, 3:1, 4:14–15, 5:1, 5:5, 5:10, 6:20, 7:26, 8:1, 8:3, 9:7, 9:11, 9:25, 13:11
[157]
백과사전
Pope
[158]
웹사이트
Dictionary definition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0-11-07
[159]
웹사이트
pontifical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4-15
[160]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08
Libreria Editrice Vaticana
[161]
서적
World Dictionary of Foreign Expressions: A Resource for Readers and Writers
https://archive.org/[...]
Bolchazy-Carducci Publishers
[162]
백과사전
Grati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3-04-14
[163]
웹사이트
Pontifex Maximus
https://www.livius.o[...]
Livius.org
2006-08-15
[164]
서적
Pontifex Maximus
Oxford University Press
[165]
백과사전
Servus servorum Dei
[166]
웹사이트
Communiqué concernant la suppression du titre "Patriarche d'Occident" dans l'Annuaire pontifical 2006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0-08-11
[167]
뉴스
Why is Pope Francis embracing the patriarchy (of the West)?
https://www.pillarca[...]
2024-04-10
[168]
웹사이트
Encyclical letter Lumen fidei
https://www.vatican.[...]
2021-01-15
[169]
문서
Annuario Pontificio 2013 and a letter in Italian dated 1 April 2014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7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Ecclesiastical Abbreviations
http://www.newadvent[...]
2014-05-14
[171]
웹사이트
Dictionary : Ring of the Fisherman
https://www.catholic[...]
2020-10-23
[172]
웹사이트
Umbraculum – Definition and synonyms of umbraculum in the English dictionary
https://educalingo.c[...]
2020-10-23
[173]
웹사이트
Vatican: The Possible Return of the Sedia Gestatoria
https://fsspx.news/e[...]
2020-12-02
[174]
웹사이트
Vatican City (Holy See) – The Keys and Coat of Arms
https://www.fotw.inf[...]
Fotw.net
2010-08-11
[175]
웹사이트
The Vatican (Holy See)
http://www.vatican.v[...]
2020-04-15
[176]
뉴스
From red to white
http://www.osservato[...]
2013-08-21
[177]
뉴스
Vatican newspaper examines history of red, white papal garb
http://www.catholicc[...]
2013-09-02
[178]
문서
Compare the portrait reproduced in the article on Pius V with those in the articles on his immediate predecessors Pope Pius IV and Pope Paul IV and in the articles on Pope Julius III, Pope Paul III, Pope Clement VII, Pope Adrian VI, Pope Leo X, Pope Julius II, Pope Pius II, Pope Callixtus III, Pope Nicholas V, and Pope Eugene IV.
[179]
웹사이트
The texts of these canons are given in Denzinger
http://catho.org/9.p[...]
2008-02-03
[180]
문서
Denzinger 3055 (old numbering, 1823)
[181]
문서
Denzinger 3058 (old numbering, 1825)
[182]
문서
Denzinger 3064 (old numbering, 1831)
[183]
문서
Denzinger 3073–3075 (old numbering, 1839–1840)
[184]
웹사이트
Lumen gentium, 25
https://www.vatican.[...]
Vatican.va
[185]
웹사이트
the Jubilee Declaration
http://www.churchaut[...]
[186]
문서
see Apostolic succession
[187]
문서
see Avignon Papacy
[188]
웹사이트
Quoted from the Medieval Sourcebook
http://www.fordham.e[...]
2014-08-14
[189]
웹사이트
selection from Concordia Cyclopedia: Roman Catholic Church, History of
http://tera-3.ul.cs.[...]
2011-07-16
[190]
웹사이트
The Enduring Power of the Papacy: Pope Franci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berkleycente[...]
2019-11-26
[191]
웹사이트
The pope flashes his political passions
https://www.politico[...]
2016-02-18
[192]
서적
Postwar: a history of Europe since 1945
Penguin Books
2006
[193]
뉴스
Chile, Argentina Sign Protocol on Beagle
https://www.washingt[...]
1984-10-19
[194]
뉴스
Pope Francis and the Vatican played key roles in US-Cuba thaw, leaders reveal
https://www.theguard[...]
2014-12-17
[195]
웹사이트
How the Pope Helped Bring the United States and Cuba Together
https://www.theatlan[...]
2014-12-17
[196]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Bashir, and the Immunity of Heads of State
http://www.crimesofw[...]
Crimesofwar.org
[197]
웹사이트
Immunity and International Criminal Law
https://books.google[...]
Ashgate
[198]
웹사이트
U.S. Says Pope Immune From Molestation Lawsuit
http://www.foxnews.c[...]
Fox News
2005-09-20
[199]
웹사이트
The autonomy of bishops, and suing the Vatican
http://ncronline.org[...]
2010-05-21
[200]
웹사이트
Vatican Can Be Sued For Priest Sexual Abuse: U.S. Court of Appeals
http://www.sexualabu[...]
McKiggan Hebert Lawyers
2008-11-27
[201]
뉴스
Vatican offers 3 reasons it's not liable in U.S. abuse case
http://usatoday30.us[...]
2010-03-30
[202]
뉴스
Richard Dawkins calls for arrest of Pope Benedict XVI
http://old.richardda[...]
2010-04-10
[203]
뉴스
Is the Holy See above the law?
http://www.thetimes.[...]
2010-04-13
[204]
뉴스
Arrest the Pope?
http://zenit.org/art[...]
2010-04-15
[205]
뉴스
Vatican's £124m property case to be heard in UK in 'trial of the century'
https://www.telegrap[...]
2022-08-06
[206]
웹사이트
Court of Appeal sets aside stay of proceedings in Vatican London property dispute
https://littletoncha[...]
2022-07-26
[207]
웹사이트
Differing Attitudes Toward Papal Primacy
http://www.usccb.org[...]
[208]
웹사이트
"Therefore, on the basis of a renewed study of the pertinent Scriptures we reaffirm the statement of the Lutheran Confessions, that 'the Pope is the very Antichrist'"
http://www.wels.net/[...]
2013-02-22
[209]
웹사이트
See Kretzmann's Popular Commentary, 2 Thessalonians chapter two and An Exegesis of 2 Thessalonians 2:1–10 by Mark Jeske
http://www.kretzmann[...]
2007-09-12
[210]
웹사이트
See Kretzmann's Popular Commentary, Revelation Chapter 13
http://www.kretzmann[...]
2007-09-12
[211]
서적
Passional Christi und Antichristi
https://books.google[...]
[212]
웹사이트
Brief Statement of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 Missouri Synod
http://lcrusa.org/a-[...]
Lutheran Churches of the Reformation
[213]
웹사이트
Brief Statement of the Doctrinal Position of the Missouri Synod in the By-Gone Days of Its Orthodoxy (1932): Still by God's Grace the Scriptural Position of the Concordia Lutheran Conference
http://www.concordia[...]
Concordia Lutheran Conference
2013-02-24
[214]
웹사이트
The Brief Statement of 1932
http://clclutheran.o[...]
Church of the Lutheran Confession
2011-12-10
[215]
웹사이트
Doctrinal Position
https://www.illinois[...]
The Illinois Lutheran Conference
[216]
웹사이트
Doctrinal Position – The Lutheran Church – Missouri Synod
http://www.lcms.org/[...]
[217]
웹사이트
Antichrist
https://wels.net/abo[...]
[218]
서적
Baltimore Catechism
https://books.google[...]
[219]
웹사이트
Smalcald Articles, Article four
http://www.bookofcon[...]
[220]
위키
Papal Schism
[221]
웹사이트
Sandro Magister
http://www.chiesa.es[...]
[222]
웹사이트
The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http://www.patriarch[...]
[223]
웹사이트
Saint Peter : The First Pope (Successors of Peter - Part 1)
https://cnewsliveeng[...]
[224]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2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2
[225]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2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12
[226]
위키
papa - Wiktionary(en)
[227]
위키
pontifex - Wiktionary(en)
[228]
위키
πάπας - Wiktionary(en)
[229]
위키
pontiff - Wiktionary(en)
[230]
서적
広辞苑 第六版
岩波書店
2011
[231]
문서
Sancta Sedes.
[232]
문서
Sedes Apostolica.
[233]
서적
新カトリック大事典
研究社OnlineDictionary
[234]
웹사이트
「ローマ法王」「ローマ教皇」という二つの呼称について
https://www.cbcj.cat[...]
バチカン市国
[235]
웹사이트
日本のカトリック教会の歴史の流れ
https://www.cbcj.cat[...]
ローマ教皇庁大使館
[236]
웹사이트
ローマ教皇が23日に来日 呼称を「教皇」に変更
https://www.sankei.c[...]
2019-11-22
[237]
웹사이트
・日本政府が、ローマ法王としていた日本語呼称を「ローマ教皇」に変更
https://catholic-i.n[...]
[238]
웹사이트
「ローマ法王」が「ローマ教皇」に変更 政府発表で割れるメディアの対応
https://www.j-cast.c[...]
2019-11-22
[239]
웹사이트
ローマ「法王」の呼称「教皇」に 政府、来日合わせ変更: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19-11-20
[240]
웹사이트
ローマ法王、なぜ「教皇」に? ラテン語の意味は同じ: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19-11-23
[241]
뉴스
ローマ法王、退位を表明か 地元通信社が報道
http://www.asahi.com[...]
2013-02-11
[242]
뉴스
Breaking: Pope Benedict XVI announces he will resign because of 'ill health'
http://www.independe[...]
2013-02-11
[243]
간행물
「正論大賞」対談 笹川陽平氏×屋山太郎氏
産経新聞
2020-01-03
[244]
서적
東方正教会
白水社
1977
[245]
웹사이트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education.yah[...]
Education.yahoo.com
[246]
웹사이트
カトリックの組織
http://www.h4.dion.n[...]
2012-11-20
[247]
웹사이트
日本語で話しつづけた教皇ヨハネ・パウロ二世 : パパ様の知られざるエピソードが今ここに
https://iss.ndl.go.j[...]
カトリック南山教会広報委員会
2019-11-26
[248]
웹사이트
教皇来日 教区主催イベントお知らせ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19-11-27
[249]
웹사이트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 「ローマ法王」「ローマ教皇」という二つの呼称について
https://www.cbcj.cat[...]
[250]
뉴스
教皇フランシスコ、今夕来日 呼称を「法王」から「教皇」へと政府が変更し、一般メディアも追随
https://www.christia[...]
2021-05-28
[251]
뉴스
「ローマ法王」が「ローマ教皇」に変更 政府発表で割れるメディアの対応
https://www.j-cast.c[...]
2019-11-23
[252]
문서
公教会祈祷文
1909-00-00
[253]
문서
公教会聖歌集祈祷文
1920-00-00
[254]
서적
ともにささげるミサ――ミサ式次第 会衆用―改訂版
オリエンス宗教研究所
[255]
웹사이트
ローマ典文第一奉献文
http://www.geocities[...]
2018-11-08
[256]
아시아역사자료센터
羅馬教皇使節館記氏名羅馬教皇使節ポール・マレラ
[257]
아시아역사자료센터
教皇庁は新政府不承認
[258]
웹사이트
わが外交の近況(第7号)
https://www.mofa.go.[...]
[259]
웹사이트
河野外務大臣とタワドロス2世・コプト教皇との会談
https://www.mofa.go.[...]
[260]
웹사이트
エジプト投資フォーラム 堀井学外務大臣政務官の挨拶
https://www.mofa.go.[...]
[261]
웹사이트
第196回国会 予算委員会 第9号
https://kokkai.ndl.g[...]
[262]
보도자료
大鷹外務報道官会見記録
https://www.mofa.go.[...]
2019-11-21
[263]
뉴스
外務省、「ローマ教皇」に呼称変更 安倍首相と25日に会談
https://mainichi.jp/[...]
2019-11-21
[264]
웹사이트
「法王」と「教皇」
http://www.nhk.or.jp[...]
2013-02-27
[265]
웹사이트
【お知らせ】今後は「ローマ教皇」とお伝えします
https://www3.nhk.or.[...]
NHK
2019-11-22
[266]
뉴스
ローマ教皇、26日まで滞在し長崎や広島訪問…核廃絶へメッセージ
https://www.yomiuri.[...]
2019-11-22
[267]
웹사이트
Liddell and Scott
http://nlp.perseus.t[...]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2-18
[268]
뉴스
AFP通信
2016-02-13
[269]
웹인용
Vatican City State - State and Government
http://www.vaticanst[...]
Vaticanstate.va
2010-08-11
[270]
문서
교황 베네딕토 9세 퇴위와 복위
[271]
서적
Keepers of the keys of heaven: a history of the papacy
Basic Books
[272]
서적
Autoridade da Verdade - Momentos Obscuros do Magistério Eclesiástico
Edições Loyola
[273]
서적
História das Religiões. Crenças e práticas religiosas do século XII aos nossos dias
Editora Folio
[274]
웹인용
último Papa - Funções, eleição, o que representa, vestimentas, conclave, primeiro papa
http://www.suapesqui[...]
Suapesquisa.com
2013-02-18
[275]
서적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https://www.google.c[...]
Baker Academic
2013-02-18
[276]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https://www.google.c[...]
Cengage Learning
2013-02-18
[277]
서적
The Eucharistic Prayers of the Roman Rite
https://www.google.c[...]
Liturgical Press
2013-02-18
[278]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https://www.google.c[...]
Government Institutes
2013-02-18
[279]
서적
Papal Primacy
https://www.google.c[...]
Liturgical Press
2013-02-18
[280]
문서
동방교회 교황 존칭 사용
[281]
서적
Historia Ecclesiastica Book VII, chapter 7.7
[282]
간행물
교황과 교종
http://samok.cbck.or[...]
한국사목연구소 교희용어연구회
1989-02-12
[283]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84]
웹사이트
The Hierarchical Constitution of the Church
http://www.usccb.org[...]
[285]
웹사이트
St. Peter, Prince of the Apostles
http://www.newadvent[...]
2014-07-21
[286]
저널
Some (Christian communities) had been founded by Peter, the disciple Jesus designated as the founder of his church. But there is another school of thought on this issue of Peter being given the title of founder of the Christian church. The Biblical truth is that Peter had no more influence over the church than any other disciple of Jesus. In fact, Paul did more to build up Christianity than any other disciple. The "keys of the kingdom" that Jesus supposedly gave to Peter was simply the privilege given to all the Apostles to preach the Gospel. Once the position was institutionalized, historians looked back and recognized Peter as the first pope of the Christian church in Rome
[287]
웹사이트
Second Vatican Council
http://www.vatican.v[...]
[288]
웹사이트
Talk
http://www.vatican.v[...]
1992-10-07
[289]
서적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http://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0]
서적
이단 논박
[291]
서적
The Birth of the Church
Monarch
[292]
웹사이트
Canons of the Council of Nicaea
http://www.fourthcen[...]
[293]
웹사이트
Theodosian Code
http://www.fordham.e[...]
2007-09-04
[294]
서적
Corso di Storia, per le scuole medie superiori
Editora Principato
[295]
서적
Medieval Civilization
Barnes & Noble
[296]
서적
História Global Brasil e Geral
[297]
웹사이트
MOVIMENTOS DE RENOVAÇÃO E REFORMA
http://www.pime.org.[...]
2009-10-01
[298]
웹사이트
Feudalismo
http://www.portalsao[...]
Portalsaofrancisco.com.br
2013-02-18
[299]
서적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Ages
Paulist Press
[300]
서적
The First Crusa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1]
문서
다만 이 사건은 두 교회 사이의 공식 파문은 아니라는 것이 양측의 일반적인 견해다. 교황 사절 훔베르토는 교황 레오 9세가 선종한 다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파문하였기 때문에 파문의 효력이 없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에서 파문한 대상도 교황이 아니라 교황의 사절단이었다.
[302]
서적
세계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청아출판사
[303]
서적
When Time Shall Be No More
http://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304]
서적
Printing, Propaganda and Martin Luther
http://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3-02-18
[305]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https://www.google.c[...]
Taylor & Francis
2013-02-18
[306]
서적
Luther
http://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02-18
[307]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308]
서적
World history
Henry Holt & co.
[309]
뉴스
역사 속 교황들
http://www.catholict[...]
가톨릭신문
2005-04-25
[310]
성경
창세기 17장 5절
[311]
서적
하나인 교회 천주교와 개신교
가톨릭출판사
[312]
성경
출애굽기 17장 6절, 33장 21절, 민수기 20장 8절
[313]
웹사이트
비전성경사전
http://www.holybible[...]
[314]
성경
신명기 32장 4절, 사무엘상 2장 2절, 사무엘하 22장 32절, 시편 17장 3절, 18장 2절
[315]
성경
고린도전서 10장 4절
[316]
성경
이사야 22,22; 묵시록 1,18
[317]
성경
요한복음 21,15-17
[318]
성경
루카복음 22,31-32
[319]
서적
하나인 교회 천주교와 개신교
가톨릭출판사
[320]
웹인용
주님의 뜻대로 반석 위에 세워진 '교회와 교황'
http://bomul.paolo.n[...]
2009-04-29
[321]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322]
문서
교회법 주교품 서품 대상자 규정
[323]
뉴스
상징성 큰 '새 교황 이름, 어떻게 정해질까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324]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325]
문서
교황 사망 확인 의식
[326]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327]
문서
덴칭거 3055
[328]
문서
덴칭거 3058
2014
[329]
문서
덴칭거 3064
2014
[330]
문서
덴칭거 3073–3075
2014
[331]
웹인용
'인류의 빛(Lumen gentium)', 25
http://info.catholic[...]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10-08-11
[332]
서적
백과사전에도 없는 바티칸 이야기
생활성서사
[333]
서적
비잔틴 신학: 역사적 변천과 주요 교리
정교회출판사
20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교황 방한’ 서울 세계청년대회, 2027년 8월3~8일 확정
'교황 방한'하는 서울 세계청년대회 2027년 8월 3∼8일 개최
‘취미 부자’ 교황의 ‘그림자 측근’은 제자이자 테니스 맞수
유흥식 추기경 만난 이 대통령 “교황, 북한에 한 번 들러주시길”
[케이블·위성 TV하이라이트]2025년 7월 8일
이 대통령, 유흥식 추기경 접견…교황 '방북' 제안도
이 대통령 "교황, 북한도 들렀으면"…유 추기경 "이 대통령 로마 초청" | JTBC 뉴스
[현장영상] "교황 오시는 길에 북한도 한번" 이 대통령, 유흥식 추기경에게 부탁한 이유는
이 대통령, 유흥식 추기경 접견…"2027 방한 교황 방북도"
이 대통령, 오늘 유흥식 추기경 접견…종교계 인사 첫 만남
한국 찾은 유흥식 추기경 "정치인은 한탕 노리는 자리 아냐" | JTBC 뉴스
유흥식 추기경 “이 대통령, 교황에 두번 서신…올해 두분 만남 기대”
유흥식 추기경 "대통령실, 교황에 만남 기대 친서 보내" | JTBC 뉴스
부귀영화도 고난도 이 또한 지나간다
레오 14세 교황 첫 인터뷰 “무력전쟁 피해야…지혜 모아 해법 찾자”
유흥식 추기경 “산전수전 다 겪은 이 대통령, 소외된 이들에 희망 주길”
이태원 참사 유가족, 레오 14세 교황 알현…“진실 찾을 수 있도록”
레오 14세 즉위식…세계 향한 새 교황의 메시지는?
레오 14세 즉위, 20여국 국가원수 참석…막 오른 바티칸 외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