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기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기경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위 성직자이며, 교황을 보좌하고 교황 선출에 참여하는 역할을 한다. 5세기부터 시작되어, 교황의 자문단에서 유래되었으며, 주교급, 사제급, 부제급으로 나뉜다. 추기경은 교황 유고 시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에 참여하며, 임기는 종신이다. 추기경은 붉은색의 복장을 착용하며, 이는 신앙을 위한 헌신을 상징한다. 한국 국적의 추기경으로는 김수환 추기경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기경 - 추기경단 단장
추기경단 단장은 교황의 사망 또는 사임 후 콘클라베를 소집하고 주재하며 새 교황 선출 시까지 교황청의 공식적인 얼굴 역할을 수행하고, 콘클라베에서 교황 선출자에게 수락 여부를 묻고 새 이름을 확인하며, 새 교황이 주교가 아닌 경우 서품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오스티아 교구의 명목 주교 직함을 겸임한다. - 추기경 - 국무원장 추기경
교황이 임명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고위직인 국무원장 추기경은 교황의 주요 조언자로서 추기경만이 임명될 수 있으며, 교황 공석기에는 바티칸 시국의 국가 원수 역할을 일부 수행하고 16세기 초부터 시작된 제도로 인노첸시오 12세 이후 교황청 내 핵심 요직으로 격상되었다. - 종교 관련 직업 - 수녀
수녀는 가톨릭교회에서 종교적인 삶을 서약한 독신 여성으로, 다양한 수도회에 소속되어 사회복지, 교육,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수도복은 수도회마다 다르지만 전통적으로 튜닉, 허리띠, 머리두건 등으로 구성되고, 개신교, 동방 정교회, 불교에도 유사한 역할을 하는 여성들이 존재한다. - 종교 관련 직업 - 승려
승려는 불교에서 출가하여 수행하는 사람으로, 계율에 따라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 등으로 나뉘며, 화상은 덕이 높은 승려, 동자승은 어린 나이에 출가한 승려를 의미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성직자
성직자는 종교 의식을 집행하고 가르침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각 종교마다 명칭, 역할, 자격 요건이 다르며, 역사적으로 종교적·정치적 권위를 가지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건강 문제 등이 사회적 이슈가 되기도 한다. - 가톨릭 전례 봉사자 - 사제
사제는 신과 신도 사이를 중재하고 종교 의식을 집행하는 종교 지도자로, 다양한 종교에서 예배 집전, 공동체 지도, 종교 건물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종교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복장을 갖는다.
추기경 | |
---|---|
개요 | |
![]() | |
라틴어 | Sanctae Romanae Ecclesiae cardinalis |
의미 | 거룩한 로마 교회의 추기경 |
임명권자 | 교황 |
역할 | 교황 선출 교황 자문 교황청 고위직 |
복장 | 홍의 |
위계 | 주교 |
역사 | |
기원 | 로마 교구의 사제 및 부제 |
직위 발전 | 교황 자문 및 행정 담당 |
현대적 의미 | 교황의 주요 협력자 및 후계자 |
임명 | |
자격 | 최소 사제 뛰어난 학식, 도덕, 신심, 현명한 처신 (주교급 추기경) 주교 임명 가능 연령 이상 |
임명 절차 | 교황의 자유로운 선택, 서임 교서 발표 |
서임 시기 | 콘시스토리 |
직무 | |
교황 선거 | 80세 미만 추기경에게만 선거권 부여 |
교황 자문 | 교황청 부서 책임자, 교황의 특별 자문 |
콘클라베 | 교황 선출을 위한 추기경단의 비밀 회의 |
종류 | |
추기경단 계급 | 주교급 추기경 사제급 추기경 부제급 추기경 |
동방 교회 추기경 | 자신의 교회 전통 유지 |
특권 및 의무 | |
교황에 대한 협력 | 교회 전체에 대한 관심, 교황의 가르침 전파 |
교황 선출권 | 80세 미만 추기경 |
명예로운 예우 | "각하"(Eminence) 칭호 사용 |
기타 | |
인원 제한 | 80세 미만 120명 (관례) |
국적 분포 | 전 세계 다양한 국가 출신 |
한국인 추기경 | 김수환 스테파노 정진석 니콜라오 염수정 안드레아 유흥식 라자로 |
2. 역사
추기경의 기원은 5세기 로마에서 교황이 로마에 거주하는 사제·부제 중 일부를 자신의 자문단으로 임명한 데서 유래한다. 이후 로마 교구가 확대되고 로마 주변에 로마 교구에 속하는 교구가 설치되면서 해당 주교들도 추기경단에 포함되었다. 이것이 사제 추기경, 부제 추기경, 그리고 주교 추기경의 기원이다. 초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기경은 로마와 그 근교에서 선출되는 것이 통례였지만, 교황의 권위가 커지면서 로마 외의 지역에서도 추기경이 선출되게 되었다.[87]
교회법 제350조에 따라 추기경단은 주교급, 사제급, 부제급의 세 계급으로 구분된다.[80]
교황은 처음부터 추기경단에 의해 선출된 것은 아니었다. 고대에는 교황은 로마 시민에 의해 선출되었다. 중세에 들어 교황의 선거권은 추기경단만이 갖는다는 체제가 구축되었다. 서방 교회 역사 속에서 주교단에게 이 권한을 넘겨주려는 움직임도 있었지만, 결국 실현되지 않았다.
중세에 들어 추기경단이 교황 궁정의 귀족과 같은 색채를 띠기 시작하면서, 추기경은 신자 남성이면 누구든지 임명될 수 있게 되었고, 성직자가 아닌 자도 추기경단에 포함되었다. 예를 들어 16세기의 저명한 추기경 레지날드 폴은 사제 서품을 받기까지 18년 이상이나 추기경직을 수행했다. 반대로, 잉글랜드와 프랑스에서는 재상 혹은 수석 각료를 추기경이 맡았던 시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잉글랜드의 토머스 울시, 프랑스의 리슐리외와 마자랭이 이에 해당한다.[87]
현대에는 최소한의 조건으로 사제여야 하며, 보통 주교단에서 임명된다. 사제가 추기경으로 임명되는 경우에는 임명 후에 주교 서품을 받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의 예로 2001년에 추기경으로 임명된 예수회 신부 Avery Dulles|에이버리 덜레스영어는 추기경 임명 당시 사제였지만, 고령을 이유로 주교 서품을 면제받았다.
13세기 초에는 불과 7명밖에 없었던 추기경단이었지만, 16세기에 들어 급격히 그 규모가 확대되었기 때문에, 식스토 5세 시대에 추기경단의 인원에 70명이라는 틀이 마련되었다. 내역은 6명의 주교 추기경, 50명의 사제 추기경, 14명의 부제 추기경이다. 20세기에 이르기까지 이 제한은 지켜졌지만, 요한 23세는 이 제한을 해제하고 추기경단을 증원했다. 이어서 바오로 6세는 교황 선거의 유자격자를 사도좌 공석 발생일 기준으로 80세 미만의 추기경으로 한정하고, 그 인원은 120명까지라는 제한을 설정했다. 이는 필연적으로 80세 미만 추기경의 정원이다.
이후,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의 임명은 이 120명이라는 틀을 염두에 두고, 그 결원을 보충하기 위해 수년에 한 번씩 임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다만 추기경단의 연령 구성을 고려하여 120명을 초과하는 경우도 몇 차례 발생하고 있다 (새로운 추기경 임명 시점에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의 인원이 120명을 초과하더라도, 다음 콘클라베를 맞이하기 전에 80세 이상이 되어 선거권을 잃는 추기경이 다수 발생하기 때문에, 선거권을 가진 추기경의 정원에 대해서는 특별히 문제는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이 규정을 역이용하여, 현저한 공적이 있었던 80세 이상 성직자의 명예 추기경 임명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3. 추기경의 계급
이 세 계급은 가톨릭 성직 계급인 주교, 사제, 부제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 "사제급 추기경"이나 "부제급 추기경"이라도 원칙적으로 주교 서품을 받은 성직자 중에서 선출되므로,[75] 실제로는 이미 주교 서품을 받은 사람이 대부분이다.
3. 1. 주교급 추기경
주교급 추기경(主敎級 樞機卿)은 추기경단 최고위 위계이자 칭호로, 그 아래에 사제급 추기경과 부제급 추기경이 있다.
원래 주교급 추기경은 로마 교구를 보좌하는 인근 교구의 주교들에게만 부여하던 칭호였으며, 과거에는 7개였으나 오늘날에는 오스티아 교구가 빠져 6개로 줄어들었다. 1965년 교황 바오로 6세는 교서를 통해 동방 가톨릭교회의 총대주교들도 주교급 추기경에 포함했다.[38] 라틴 전례의 리스본 총대주교, 베네치아 총대주교, 라틴 예루살렘 총대주교도 존재하지만, 이들은 실질적으로 관구장급 대주교이므로 사제급 추기경으로 임명된다.
주교급 추기경은 1917년까지 추기경단 가운데 유일하게 성직품이 주교 이상이어야만 오를 수 있는 직책이었다. 이전에는 주교가 아닌 사제급 추기경이나 부제급 추기경이 주교급 추기경에 오를 때는 반드시 먼저 주교 서품을 받아야 했지만, 1962년 이후 사제급과 부제급 추기경들도 주교 서품을 받는 것이 필수 조건이 되어 모든 추기경은 주교품을 받도록 권고된다.
19세기 말까지 사제급 추기경으로 오래 근무하면 자동으로 주교급에 오르는 것이 관례였지만, 오늘날에는 추기경단 가운데 교황이 선정하여 주교급 추기경에 임명한다. 동방 전례의 총대주교를 제외하면, 새로 추기경에 서임받는 사람 가운데 갑자기 주교급 칭호를 받는 사람은 없다.
주교급 라틴 예법 출신 추기경들 중에서 추기경단 수석 추기경을 선출하여 교황의 승인을 받는데, 그는 이미 지닌 로마 인근 교구장 명의 직함에 더해 오스티아 교구장 명의를 겸직한다.
현대에는 대다수의 추기경이 주교 또는 대주교이지만, "추기경 주교"는 소수에 불과하다. 2천 년의 대부분 동안 6명의 추기경 주교가 있었으며, 각 주교는 로마 주변의 일곱 개 교외 교구 중 하나를 관할했다. 해당 교구는 오스티아, 알바노, 포르토 및 산타 루피나, 팔레스트리나, 사비나 및 멘타나, 프라스카티, 벨레트리였다.[38] 벨레트리는 1150년부터 1914년까지 오스티아와 통합되었지만, 교황 비오 10세가 다시 분리했다. 그러나 추기경단 학장이 되는 추기경 주교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교외 교구를 유지하고, 오스티아 교구를 추가하도록 칙령을 내렸으며, 그 결과 6명의 추기경 주교만 계속 존재하게 되었다.[39] 1962년부터 추기경 주교는 교외 교구와 단지 명목상 관계만 가지며, 각 교구는 별도의 관구장이 관리한다.[40]
1961년까지, 추기경 주교 서열에 속하는 것은 추기경단 내에서의 선임 순위에 의해 결정되었다. 교외 교구가 공석이 되면, 선임 순위가 가장 높은 추기경은 해당 교구를 주장할 수 있는 선택권을 행사하여 추기경 주교 서열로 승진할 수 있었다.[41] 교황 요한 23세는 1961년 3월 10일에 그 특권을 폐지하고, 추기경 주교 서열로 승진시킬 권한을 교황의 고유 권한으로 만들었다.[43]
1965년, 교황 바오로 6세는 자신의 ''교황 칙서'' ''Ad purpuratorum Patrum Collegium''에서 추기경으로 임명된 총대주교 (즉, "추기경 총대주교")도 또한 교외 교구의 6명의 라틴 교회 추기경 주교 다음으로 서열이 정해지는 추기경 주교가 될 것이라고 칙령을 내렸다.[46] (라틴 교회 총대주교가 추기경이 되면 추기경 사제가 되며, 추기경 주교가 되지 않는다.) 추기경 총대주교는 자신의 총대주교 관구를 계속 유지하며, 로마의 칭호 (교외 교구나 칭호 또는 부제단)는 배정되지 않는다.
2018년 6월 추기경 회의에서 교황 프란치스코는 최근 수십 년 동안 추기경 사제 및 추기경 부제의 확장에 맞춰 라틴 교회 추기경 주교의 수를 늘렸다. 그는 4명의 추기경을 이 서열로 승격시키면서 그들의 명목상 교회와 부제단을 교외 교구와 동등하게 (임시로) ''pro hac vice'' 지위를 부여하고[47] 교외 교구 칭호와 동등하게 만들었다. 발표 당시, 교외 교구 칭호를 가진 6명의 추기경 주교와 3명의 추기경 총대주교 중 2명은 80세가 넘었기 때문에 선거인이 아니었다.[48] 교황 프란치스코는 2020년 5월 1일에 같은 방식으로 다른 추기경 주교를 임명하여[49][50] 라틴 교회 추기경 주교의 수를 11명으로 늘렸다.
추기경단 학장, 즉 최고 서열의 추기경은 이전에는 가장 오래 봉직한 추기경 주교였지만, 1965년부터는 라틴 교회 추기경 주교들이 교황의 승인을 받아 그들 중에서 선출한다. 마찬가지로 부학장 또한, 이전에는 두 번째로 오래 봉직한 사람이 선출되었다. 나머지 라틴 교회 추기경 주교의 선임 순위는 여전히 서열 임명 날짜에 따른다. 현재 학장은 조반니 바티스타 레이며, 부학장은 레오나르도 산드리이다.
3. 2. 사제급 추기경
사제급 추기경(cardinales presbyterila)은 추기경단의 세 위계 가운데 가장 인원수가 많으며, 명의상 주교급 추기경보다는 아래이며 부제급 추기경보다는 윗급이다.[51]
사제급 추기경은 전세계 교구장인 주교나 대주교, 또는 교황청 고위 성직자가 추기경에 임명될 때 부여받으며, 부제급 추기경에 임명되어 10년 이상 봉직한 이도 사제급으로 승격될 수 있다.
현대에 "추기경 사제"라는 용어는 사제 서열에 속하는 추기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원래는 로마 교구의 중요한 교회의 특정 핵심 사제를 지칭했다. 이들은 로마 주교로서의 의무를 수행하는 데 교황에게 조언하기 위해 교황이 선택한 중요한 사제로, "추기경" 사제로 인정받았다(라틴어 ''cardo''는 "경첩"을 의미한다). 당시 로마뿐만 아니라 많은 교구의 특정 성직자들이 핵심 인력이라고 불렸는데, 이 용어는 점차 로마에서 로마 주교인 교황을 선출하는 임무를 맡은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다.
모든 추기경 사제는 로마에 명칭 성당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곳에서 주교나 대주교이더라도 추기경 주교에게 로마 주변의 근교 교구 중 하나가 주어졌던 것과 같다. 교황 바오로 6세는 추기경이 자신의 명칭 성당과 관련하여 가졌던 모든 행정적 권리를 폐지했지만, 추기경의 이름과 문장은 여전히 교회에 게시되어 있으며, 로마에 있을 때 편리하다면 미사를 봉헌하고 설교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로마 제국 시대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추기경의 수는 적었고, 추기경 사제가 배정된 교회 수보다 적은 경우가 많았지만, 16세기에 추기경단은 현저하게 확장되었다. 1587년 교황 식스토 5세는 이러한 확장을 막기 위해 최대 추기경단 규모를 70명으로 고정했는데, 여기에는 50명의 추기경 사제가 포함되었으며 이는 역사적인 수의 약 두 배였다. 이 제한은 1958년까지 존중되었고, 명칭 성당 목록은 건물이 훼손된 경우 등 드물게 수정되었다. 교황 요한 23세는 이 제한을 폐지하면서 목록에 새로운 교회를 추가하기 시작했고, 교황 바오로 6세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이를 이어갔다. 오늘날 로마에는 300개가 넘는 교회 중 약 150개의 명칭 성당이 있다.
추기경 사제 서열에서 가장 오래 봉직한 추기경은 ''추기경 수석 사제''로 불린다. 그는 콘클라베에서 특정 의전상의 임무를 수행했지만, 일반적으로 이미 80세가 되어 추기경이 콘클라베에 참여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중단되었다. 현재 추기경 수석 사제는 태국의 미카엘 미차이 키트분추이다.
3. 3. 부제급 추기경
cardinales diaconila는 추기경단의 최하위 서열이다. 부제급 추기경은 로마 교황청의 고위 성직자이거나 80세 이후에 서임된 사제들로, 주로 명예를 위해 임명된다. 80세 이상은 콘클라베에서 투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교구 책임을 맡은 주교는 사제급 추기경으로 임명되지만, 부제급 추기경은 일반적으로 그렇지 않다.[52]
부제급 추기경은 원래 교황청의 일곱 부제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들은 초기 중세 시대 로마의 14개 구역에서 교회의 사업을 감독했다. 이때 교회 행정은 사실상 로마 정부였으며 모든 사회 복지를 제공했다. 그들은 8세기 말에 "추기경급 부제"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교황 선거에서 적극적인 권리를 부여받았고 769년의 법령에 따라 교황으로 선출될 자격을 얻었다.[52]
부제급으로 서임된 추기경은 주로 교회 행정에서 다양한 직책을 맡고 있는 로마 교황청의 고위 성직자이다. 그들의 숫자와 영향력은 시대에 따라 달라졌다. 역사적으로 이탈리아인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국제적으로 훨씬 다양해졌다. 1939년에는 약 절반이 이탈리아인이었지만, 1994년에는 그 수가 3분의 1로 줄었다. 교황 선출에 있어서 그들의 영향력은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그들은 흩어져 있는 추기경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연결되어 있지만, 그들의 단결력은 다양했다.[53] 교황 식스토 5세의 1587년 법령에 따라 추기경단의 최대 규모가 정해지면서 추기경급 부제는 14명이었다. 이후 그 수는 증가했다. 1939년까지도 거의 절반의 추기경이 교황청의 구성원이었다. 비오 12세는 이 비율을 24%로 줄였다. 요한 23세는 이를 37%로 다시 끌어올렸지만, 바오로 6세는 27%로 낮추었다. 요한 바오로 2세는 이 비율을 유지했다.[53]
2005년 기준으로 50개 이상의 교회가 추기경급 부제 교회로 인정받았지만, 부제급 추기경은 30명에 불과했다. 추기경급 부제는 추기경급 부제가 된 지 10년이 지나면 "추기경급 사제로 변경하는 권리"("optazione")를 오랫동안 누려왔다. 이들은 이러한 승진 시에 비어 있는 "칭호"(추기경급 사제에게 배정된 로마의 교회)를 취하거나, 그들의 부제 교회가 그 기회를 위해 일시적으로 추기경급 사제의 "칭호"로 승격될 수 있다. 추기경급 사제로 승격될 때, 그들은 처음 추기경급 부제가 된 날짜에 따라 선순위를 가지며(따라서, 서열에 관계없이 그들보다 늦게 추기경단에 승격된 추기경급 사제보다 상위에 위치한다).
미사를 집전하지 않고, 반년마다 열리는 ''우르비 에트 오르비'' 교황 강복, 일부 교황 미사 및 세계 공의회 행사와 같은 전례적 기능을 수행할 때, 추기경급 부제는 흰색 단순 미트라(소위 ''mitra simplex'')와 함께 착용하는 달마티카를 통해 식별할 수 있다.
4. 인 펙토레 및 비밀 추기경
교황은 명명된 추기경 외에도 비밀 추기경 또는 in pectorela(라틴어로 '가슴 속에') 추기경을 임명할 수 있다. 서방 교회 대분열 동안 대립하는 교황들은 많은 추기경을 임명했다. 교황 마르티노 5세의 통치부터[5] 추기경들은 나중에 이름을 발표하지 않고 임명되었으며, 이러한 관행을 "in pectore에 창조되고 보존된"이라고 불렀다.[62] 'in pectore'로 임명된 추기경은 교황만 알고 있다. 현대 시대에 교황들은 정치적 보복으로부터 그들과 그들의 신도들을 보호하기 위해 'in pectore' 추기경을 임명했다. 상황이 바뀌면 교황은 임명을 공개한다. 그러면 해당 추기경은 'in pectore' 임명 당시 추기경으로 임명된 사람들과 동등한 서열을 갖는다. 교황이 'in pectore' 추기경의 신원을 밝히기 전에 사망하면 해당 인물의 추기경 지위는 소멸된다. 'in pectore' 추기경을 임명한 마지막 교황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 한 명의 신원을 밝히지 않은 추기경을 포함하여 네 명을 임명했다.[63]
5. 추기경의 임무
추기경은 추기경단을 구성하여 교황을 보필하고, 추기경회의에 참석한다. 교황 유고 시 콘클라베를 통해 새 교황을 선출한다.[11] 지역교회 교구장 주교직을 수행 중인 추기경은 교황의 명에 의해 교황청 행정기구의 장관직을 맡을 수도 있다. 추기경은 바티칸 시국의 시민권을 가지며, 로마 시내의 명의본당을 부여받는다.[24]
추기경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교황 보필: 추기경단으로 추기경회의에 참석하여 교황의 최측근으로서 교황을 보필한다.
- 교황 선출: 교황 유고 시 콘클라베에서 후임 교황을 선출한다. 교황 선종 후 새 교황 등극 전까지 추기경단이 교황을 대리한다.[11]
- 교황청 행정: 교황명에 의해 지역교회 교구장 주교직을 떠나 로마 교황청 행정기구의 장관이나 의장직을 맡을 수도 있다.
- 기타:
- 바티칸 시국 시민권을 가지며, 로마 시내 명의본당을 부여받는다.
- 전 세계 어디서나 교구장 허가 없이 고해성사를 줄 수 있다.
- 국제 관례상 귀빈급 의전을 받으며, 가톨릭 국가에서는 국가 원수 다음 급의 의전을 받는다.
추기경의 임기는 종신이다. 단, 겸직하는 교구장 주교직이나 교황청 고위 보직은 만 75세에 교황에게 사임을 신청해야 하며, 만 80세가 되면 교황 선출권을 상실한다.
과거에는 추기경들이 종교적 업무 외에도 문화, 정치,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헨리 8세 치세 잉글랜드 왕국 총리 토머스 울지, 프랑스 재상 리슐리외 등이 그 예이다.[8]
6. 의상과 서임 절차
추기경의 정식 복장은 수단, 모제타, 주케토, 비레타이다. 붉은색 수단 위에 중백의를 입고 그 위에 모제타를 두른다. 추기경 복장의 붉은색은 고귀한 품위를 나타내며, 신앙을 위해 순교자의 피를 흘릴 각오를 상징한다.[4] 추기경의 일상복은 붉은색 가두리 장식과 단추가 달린 검은색 수단과 붉은색 파시아이다. 때때로 페라이올로라는 붉은색 망토를 걸치기도 한다.
성가대 복장을 착용할 때, 라틴 교회 추기경은 피와 같은 붉은색 의복을 착용한다. 로케를 제외하고 붉은색 의복에는 수단, 모제타, 비레타(주케토 위에 착용)가 포함된다. 추기경의 비레타는 윗부분에 폼폼이나 술이 없다. 1460년대까지 추기경들은 보라색 또는 파란색 망토를 착용했다. 평상복 수단은 검은색이지만 붉은색 파이핑과 붉은색 파시아가 있다. 추기경은 ''페라이올로''를 착용하기도 한다.
동방 가톨릭 교회 추기경들은 자신들의 전례 전통 복장을 착용하지만, 일부는 수단을 진홍색으로 안감 처리하고 진홍색 파시아를 착용하거나, 동방식 수단을 진홍색으로 착용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교황이 새 추기경을 임명하는 교황 회의에서 갈레로를 수여했다. 이 관습은 1969년에 중단되었고, 지금은 진홍색 비레타로 진행된다. 교회 문장학에서는 진홍색 갈레로가 여전히 추기경의 문장에 표시된다.
교황은 교황권과의 유대 관계를 상징하는 금반지를 수여하며, 가톨릭 신자들은 추기경에게 인사할 때 이 반지에 입을 맞춘다. 교황 베네딕토 16세 치하에서는 예수의 십자가 처형, 성모 마리아와 요한 복음사가가 묘사되었다. 반지는 안쪽에 교황의 문장을 포함한다.
추기경 서임은 교황의 자유로운 권한에 속한다. 추기경 서임 미사는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교황 주례로 거행된다. 교황이 새 추기경의 이름을 부르며 서임장을 낭독하고, 새 추기경들은 신앙 고백과 충성 서약을 한다. 새 추기경들이 교황 앞에 나아가 무릎을 꿇으면 교황은 붉은색 주케토와 비레타를 씌워 주고 포옹한다. 새 추기경은 명의성당이 적힌 두루마리를 받는다.
다음날 새 추기경들은 교황과 함께 미사를 공동 집전하고, 교황으로부터 추기경 반지를 받는다. 그리고 각자 명의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한다.
7. 한국인 추기경
樞機卿|추기경중국어은 교황의 최고 고문이자 보좌관이며, 전 세계 가톨릭 교회의 지도층 인사이다. 한국 天主敎會|천주교회중국어 역사에서도 여러 추기경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주어진 원문에는 한국인 추기경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구성할 수 없다.
8. 참고: 용어 및 기타
추기경을 뜻하는 영어 단어 '카디널(cardinal)'은 '진홍색'을 의미하기도 하며, 붉은색을 띤 동물이나 식물, 물건의 이름에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생물학에서는 붉은카디널(Cardinalis cardinalisla)이나 카디널 테트라와 같은 이름에 사용된다. 붉은카디널은 미국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구단명의 유래가 되기도 했다.[4]
칵테일의 일종인 카디널은 레드 와인을 베이스로 크렘 드 카시스를 섞은 것이다. 레드 와인이 아닌 화이트 와인을 사용한 것은 키르라고 부른다.
'회색 추기경(éminence grise)'은 막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실력자를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프랑스 재상 리슐리외 추기경의 오른팔이었던 프랑수아 르클레르 뒤 트랭블레 수도사에서 유래한다. 트랭블레가 입었던 수도복이 회색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이 생겨났다.
참조
[1]
웹사이트
Roles of Bishop, Archbishop and Cardinal Explained
https://dol-in.org/r[...]
2023-06-23
[2]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of the Catholic Church
https://www.vatican.[...]
[3]
뉴스
Majority of cardinals-designate expected to attend consistory
https://cruxnow.com/[...]
2020-11-19
[4]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5]
간행물
Cardinal
[6]
서적
The Council of Trent
Tan Books and Publishers
1563-11-11
[7]
서적
The Popes and Europe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8]
서적
Early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Forgotten Books
[9]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May 28, 1646
https://cardinals.fi[...]
2024-08-07
[10]
웹사이트
Notas históricas sobre o Tricentenário do Patriarcado de Lisboa
http://www.patriarca[...]
Patriarchate of Lisbon
2016-07-01
[11]
서적
The Catholic Encyclopaedia
https://archive.org/[...]
Robert Appleton Company
[12]
뉴스
Two Americans among 23 New Cardinals
https://timesmachine[...]
2017-11-18
[13]
뉴스
Pope Elevates 33 to Cardinalate; Deplores China Church Schism
https://timesmachine[...]
1958-12-16
[14]
뉴스
Voting for Popes Is Barred to Cardinals Over 80
https://www.nytimes.[...]
1970-11-24
[15]
서적
Inside the Vatican: The Politics and Organiz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16]
Webarchive
Are There Any Limitations on the Power of the Pope?
http://newcesite.com[...]
2011-07-14
[17]
뉴스
Letter from Rome The Next Stage of Francis's Mission
https://www.commonwe[...]
2017-04-24
[18]
뉴스
Shaping a Legacy, Pope Installs 44 Cardinals
https://www.nytimes.[...]
2001-02-22
[19]
서적
Conclave: The Politics, Personalities, and Process of the Next Papal Election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02
[20]
뉴스
Pontiff Installs 27 New Cardinals
https://timesmachine[...]
1965-02-23
[21]
웹사이트
Ad purpuratorum Patrum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5-02-11
[22]
논문
Cardinals and Their Titular Churches
https://brill.com/vi[...]
2019-12-09
[23]
문서
Pope Paul VI., Motuproprio "Ad Purpuratorum Patrum Collegium" (11 February 1965), par. II.
[24]
문서
Code of Canon law: 357-1.
[25]
문서
Code of Canon law: 350.
[26]
문서
Noonan, The Church Visible, p. 205.
[27]
웹사이트
Catholic News Service
http://www.catholicn[...]
[28]
웹사이트
cardinal
http://religionstyle[...]
2010-12-31
[29]
웹사이트
University of San Francisco Editorial Style Guide: "On first reference capitalize these titles before the individual's name: Cardinal Timothy Manning, archbishop of Los Angeles"
http://www.usfca.edu[...]
[30]
웹사이트
Associated Press Style Guide: "The preferred form for first reference is ... Cardinal Daniel DiNardo"
http://neilreisner.c[...]
[31]
Webarchive
"At first reference Cardinal John Doe. At subsequent references the cardinal or Doe"
http://handbook.reut[...]
2011-07-15
[32]
Webarchive
The websites of the Holy See
https://www.vatican.[...]
2014-04-29
[33]
문서
cfr. "Klaus Ganzer, Kardinäle als Kirchenfürsten?" in ''Stimmen der Zeit'' 2011, issue 5, pp. 313–323.
[34]
웹사이트
Election – BENEDICT XVI
https://www.vatican.[...]
[35]
웹사이트
Pope to new cardinals: Jesus does not call you to be "princes" of the Church, but to serve
https://www.romerepo[...]
2017-06-28
[36]
뉴스
'Felt himself to be a prince': Vatican comes to grips with the death of George Pell
https://www.abc.net.[...]
2023-01-11
[37]
웹사이트
Prince of the Church, Philip Ayres
https://www.mup.com.[...]
2007-07
[38]
서적
New Commentary on the Code of Canon Law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2000
[39]
웹사이트
Ostia and Velletri
http://www.newadvent[...]
Catholic Encyclopedia
1911
[40]
웹사이트
Suburbicariis sedibus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2-04-09
[41]
서적
Annuaire pontifical catholique
Maison de la Bonne Presse
1908
[42]
서적
Acta Sanctae Sedis
http://www.vatican.v[...]
1893–94
[43]
웹사이트
Ad Suburbicarias Dioeceses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1-03-10
[44]
서적
Acta Apostolicae Sedis
http://www.vatican.v[...]
1961
[45]
서적
The Next Pope: After Pope Benedict XVI
https://books.google[...]
WOWNH LLC
2010
[46]
웹사이트
Ad Purpuratorum Patrum Collegium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5-02-11
[47]
웹사이트
Rescriptum of the Holy Father Francis ...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8-06-26
[48]
뉴스
New papal appointments reflect pope's wish for transparency
https://www.ncronlin[...]
2018-06-26
[49]
간행물
RESCRIPTUM EX AUDIENTIA SS.MI: Rescritto del Santo Padre Francesco con cui ha deciso di cooptare nell'Ordine dei Vescovi, equiparandolo in tutto ai Cardinali insigniti del titolo di una Chiesa suburbicaria, l'Em.mo Cardinale Luis Antonio G. Tagle, 01.05.2020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0-05-01
[50]
웹사이트
Pope promotes Tagle as one of 11 highest ranking cardinals
http://www.rappler.c[...]
2020-05-01
[51]
웹사이트
Cardinal Priest
http://www.catholicc[...]
Catholic Culture
[52]
서적
The Republic of St. Peter : the birth of the Papal State, 680–825
https://www.worldcat[...]
1984
[53]
서적
Inside the Vatican: The Politics and Organization of the Catholic Church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54]
문서
Universi Dominici Gregis, No. 89
https://www.vatican.[...]
[55]
문서
Canon 355 §2
https://www.vatican.[...]
[56]
뉴스
Martino diventa cardinale protodiacono (senza "Habemus Papam")
http://www.lastampa.[...]
2014-06-12
[57]
웹사이트
Pastor Bonus, – John Paul II – Apostolic Constitution (June 28, 1988) – John Paul II
https://www.vatican.[...]
[58]
문서
Canon 232 §1 of the 1917 Code of Canon Law
[59]
문서
Motu proprio Cum gravissima, 15 April 1962
https://www.vatican.[...]
[60]
문서
canon 232 §1
http://www.intratext[...]
[61]
문서
canon 351 §1
http://www.intratext[...]
[62]
서적
Catholic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913
[63]
뉴스
Mystery Cardinal Will Never Be Able to Join Peers
https://www.latimes.[...]
2005-04-07
[64]
문서
The College of Cardinals – General Documentazion
https://www.vatican.[...]
[65]
뉴스
Applause and tears in Basilica greet Pontiff
2007-11-26
[66]
간행물
Instruction on the dress, titles and coat-of-arms of cardinals, bishops and lesser prelates
http://www.fiu.edu/~[...]
L'Osservatore Romano, English ed.
1969-04-17
[67]
웹사이트
Photograph of Josyf Slipyj
http://photos1.blogg[...]
[68]
웹사이트
Is this prelate disobeying a pope?
https://www.ncronlin[...]
[69]
웹사이트
Ut sive sollicite
http://www.shetlersi[...]
[70]
뉴스
Bling! examination of the ring of Cardinal O'Malley
http://www.boston.co[...]
2006-03-25
[71]
서적
Costume of Prelates of the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Roman Etiquette
https://archive.org/[...]
John Murphy Company
[72]
웹사이트
Elevated cardinals receive gold ring from the pope during Mass of Rings
http://www.fogcityjo[...]
2018-02-20
[73]
웹사이트
Canon 1405 §1 and canon 1406 §2
https://www.vatican.[...]
2006-08-22
[74]
문서
Canon 967 §1 of the 1983 ''Code of Canon Law.''
[75]
웹사이트
枢機卿(すうききょう)とは?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17-06-22
[76]
서적
ことばのハンドブック 第2版
[77]
문서
College of Cardinals
[78]
문서
Sanctae Romanae Ecclesiae cardinalis
[79]
URL
https://www.nhk.or.j[...]
[80]
웹사이트
枢機卿会議(Congregation of the Cardinals)とは?
https://www.cbcj.cat[...]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17-06-22
[81]
문서
Cardinal bishop
[82]
문서
Cardinal priest
[83]
문서
Cardinal deacon
[84]
파일
Coat of arms of Jorge Mario Bergoglio.svg
[85]
사전
네이버 라틴어 사전
[86]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87]
서적
교황연대기
바다출판
2014-08-05
[88]
뉴스
교황, 추기경 미스테리 결국 무덤까지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8-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