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연구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연금연구원은 국민연금 제도 및 기금 운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1994년 보건복지부의 기금운용연구실 설치 승인을 시작으로, 기금운용연구센터, 국민연금연구센터를 거쳐 200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업무로는 연금 제도 연구, 재정 분석, 기금 운용 연구, 복지 정책 연구, 사회 조사 및 연구 인프라 구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국민연금공단
국민연금공단은 1987년 국민연금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국민의 노후, 사망, 장애에 대비한 연금 지급과 복지 사업을 통해 국민 복지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세계 3대 연기금으로 성장하여 기금 운용, 노후 설계 서비스 제공, 장애 심사 등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 대한노인회
대한노인회는 노인 권익 보호와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단체로, 1969년 설립 이후 여러 회장을 거쳐 현재까지 활동하며, 관련 법률에 의해 지원받는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민족문제연구소
민족문제연구소는 일제강점기 친일파 규명과 잔재 청산을 목표로 설립되어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선정 기준 논란 및 편향성 논란 등으로 보수 진영과 갈등을 겪는 연구기관이다. - 대한민국의 연구소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상하수도협회는 수도법과 하수도법에 따라 설립되어 수도사업자와 공공하수도관리청 간 협력을 통해 수도사업 발전을 도모하며, 해외 전시 참관단 운영, 국제 교류, 단체 표준 인증 사업, 법정 의무 교육, 수돗물 홍보 협의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는 협회장 중심의 단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단체 - 헌법재판연구원
헌법재판연구원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재판 관련 연구 및 교육을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헌법 및 헌법재판 제도 연구, 국내외 이론 및 판례 연구, 헌법 교육 등을 수행하며 연구교수부와 기획행정과로 구성된다.
국민연금연구원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종류 | 정부출연연구기관 |
설립일 | 1998년 1월 1일 |
위치 |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기지로 180 (만성동) |
원장 | 강신욱 |
주무 기관 | 국민연금공단 |
외부 링크 | 국민연금연구원 유튜브 채널 |
2. 연혁
- 1994년 12월 보건복지부에서 기금운용연구실 설치 세부운영방안을 승인받았다.
- 1995년 4월 초대 정경배 소장이 취임하였고, 기금운용연구실(연구직 7명, 일반직 5명)이 발족된 후 '''기금운용연구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6년 4월 '''국민연금연구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98년 5월 연구직 및 기금운용직 5명이 증원되었고, 7월에는 제2대 오근식 소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공단 직제 조정에 따라 조사 및 복지사업 일부 업무가 이관되었다.
- 2000년 1월 제3대 노인철 소장이 취임하였고, 4월에는 공단 직제 조정에 따라 연구직 10명 증원 등 정원이 조정되었다.
- 2001년 11월 기금정책평가팀을 기금정책팀과 기금평가팀으로 분리하였다.
- 2003년 1월 제4대 노인철 소장이 연임되었다.
- 2004년 12월 '''국민연금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2006년 1월 제5대 백화종 원장이 취임하였다.
- 2007년 1월 패널조사팀과 거시경제팀이 신설되었다.
- 2009년 3월 제6대 백화종 원장이 연임되었다.
- 2012년 1월 재정추계분석실이 신설되었고, 3월에는 제7대 김성숙 원장이 취임하였다.[5]
2. 1. 1990년대
1994년 12월 보건복지부에서 기금운용연구실 설치 세부운영방안을 승인받았다. 1995년 4월 초대 정경배 소장이 취임하였고, 기금운용연구실(연구직 7명, 일반직 5명)이 발족된 후 '''기금운용연구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6년 4월 '''국민연금연구센터'''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었다. 1998년 5월에는 연구직 및 기금운용직 5명이 증원되었고, 7월에는 제2대 오근식 소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공단 직제 조정에 따라 조사 및 복지사업 일부 업무가 이관되었다.[5]2. 2. 2000년대
2000년 1월 제3대 노인철 소장이 취임하였다.[5] 같은 해 4월, 공단 직제 조정에 따라 연구직 10명을 증원하는 등 정원이 조정되었다.[5] 2001년 11월에는 기금정책평가팀을 기금정책팀과 기금평가팀으로 분리하였다.[5] 2003년 1월, 제4대 노인철 소장이 연임되었다.[5]2004년 12월, '''국민연금연구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 2006년 1월에는 제5대 백화종 원장이 취임하였고,[5] 2007년 1월에는 패널조사팀과 거시경제팀이 신설되었다.[5] 2009년 3월, 제6대 백화종 원장이 연임되었다.[5]
2. 3. 2010년대
2012년 1월 재정추계분석실이 신설되었다.[5] 같은 해 3월에는 제7대 김성숙 원장이 취임하였다.[5]3. 주요 업무
국민연금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연금 제도 및 사회보험 전반에 대한 연구와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 크레딧 제도 확대 등 노후 소득 보장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재정 영향을 분석하고, 재정 안정화 방안을 연구하며, 중장기 재정추계모형을 개발 및 구축하여 국민연금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분석한다.
- 국민연금 기금의 장기적인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기금 운용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고 성과 평가 기법을 개발한다.
- 기초연금, 퇴직연금 등 노후 소득 보장 체계 전반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국민연금과 연계된 복지사업 정책 방향 연구를 통해 국민 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 정책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사회 조사 및 조사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며, 국민연금 패널 조사 등 대규모 조사를 수행하고, 관련 데이터를 축적 및 관리한다.
3. 1. 제도 연구
연금 제도 및 사회보험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인상, 크레딧 제도 확대 등 노후 소득 보장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1]3. 2. 재정 분석
중장기 재정추계모형을 개발 및 구축하여 국민연금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분석한다. 저출산,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재정 영향을 분석하고, 재정 안정화 방안을 연구한다.3. 3. 기금 운용 연구
국민연금 기금의 장기적인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기금 운용 효율화 방안을 연구하고 성과 평가 기법을 개발한다.[1] 국내외 금융시장을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연구한다.[1]3. 4. 복지 정책 연구
국민연금과 연계된 복지사업 정책 방향 연구를 통해 국민 복지 증진에 기여한다. 기초연금, 퇴직연금 등 노후 소득 보장 체계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3. 5. 사회 조사 및 연구 인프라 구축
정책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사회 조사 및 조사 연구 인프라를 구축한다. 국민연금 패널 조사 등 대규모 조사를 수행하고, 관련 데이터를 축적 및 관리한다.4. 조직
국민연금연구원은 별도의 정해진 조직 구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민연금연구원의 조직 구성에 대한 내용은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뉴스
국민연금연구원, “연금 수급 연령 68세로 상향 필요”...국민연금이 봉?
http://article.joins[...]
헤럴드경제
2013-01-23
[2]
뉴스
국민연금연구원 내부감사결과 공개…"도덕적 해이 투성"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2-10-22
[3]
뉴스
‘국민연금 세대간 회계 보고서’ 들여다보니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3-02-12
[4]
뉴스
"국민연금연구원, 연구원끼리 봐주기 평가 의혹"
http://www.medisobiz[...]
메디소비자뉴스
2011-09-19
[5]
뉴스
국민연금연구원 김성숙 신임 원장 취임
http://news.einfomax[...]
연합인포맥스
2012-03-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자막뉴스] "기초연금 못 받는 노인 나올 수도"…'고소득 수령' 손보려는데 반발 터지나
‘745만원’ 벌고도 기초연금 따박따박...선정기준 검증 나선다
소득하위 70% 기초연금 선정기준 바뀌나…'현미경' 검증 착수
“은퇴하면 한 푼이 절실한데”…1036조 국민연금 고비용 논란, 뭐길래
“내 집 살면서 매달 150만원 꽂히는데”…상속 덫에 걸린 주택연금 [언제까지 직장인]
직장인·자영업자의 소득 다른데…국민연금 재정전망 과대평가 우려
자영업자 소득, 월급쟁이와 다른데…국민연금 재정 전망 착시 우려
“국민연금 매달 200만원 받는 사람 5만명”…평균 수급액은 65만원대
국민연금 월 200만 원 이상 받는다…이런 수급자 5만 명 육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