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관리연구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물관리연구소(IWMI)는 1985년 국제 관개 관리 연구소(IIMI)로 설립되어 관개 시스템의 효율성 문제를 연구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는 유역 관리와 물 부족 문제로 연구 범위를 확장하여, 물 부족의 심각성을 알리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2000년대 후반 이후에는 물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을 제시하며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WMI는 인도 구자라트 주에서 전력 공급 방식을 개선하여 지하수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사회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과 정치 - 한반도 대운하
한반도 대운하 사업은 이명박 정부의 대규모 국토 개발 사업이었으나 환경 훼손 및 경제적 비효율성 논란으로 국민적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었고, 이후 4대강 정비 사업으로 전환되었으나 환경 파괴 및 예산 낭비 논란이 지속되며 대규모 국책 사업 추진 시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물과 정치 - 세계 화장실의 날
세계 화장실의 날은 2001년 잭 심에 의해 제정되어 11월 19일이며, 유엔 총회에서 공식 기념일로 선포되어 위생의 중요성을 알리고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촉구한다. - 물 관리 - 수자원
수자원은 인간과 생태계에 필수적인 담수를 포함하며 표층수, 지하수, 빙하 등의 형태로 존재하고, 물 부족, 수질 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통합 물 관리와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통해 물 사용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 - 물 관리 - 상수도
상수도는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취수, 도수, 정수, 송수, 배수, 급수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한국에서는 높은 보급률을 달성했지만 노후관 교체 및 수질 관리 강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국제물관리연구소 | |
---|---|
국제물관리연구소 | |
![]() | |
개요 | |
설립일 | 1985년 |
유형 | 비영리 연구 기관 |
산업 | 연구 |
본부 | 스리랑카 (콜롬보) |
기타 위치 | 인도 (뉴델리, 아난드 – 구자라트) 파키스탄 (라호르) 라오스 (비엔티안) 네팔 (카트만두)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레토리아) 가나 (아크라)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이집트 (카이로) |
모(母) 기관 | CGIAR |
웹사이트 | 국제물관리연구소 |
수상 | 2012년 스톡홀름 물 상 수상 |
조직 | |
대표 | 총괄 이사: 마크 스미스 (Mark Smith) 박사 기업 서비스 이사: 시온 니요기 (Syon Niyogi) |
2. 역사
국제물관리연구소는 1985년 포드 재단과 스리랑카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국제농업연구협의기구와 세계 은행에 의해 '''국제 관개 관리 연구소'''(International Irrigation Management Institute, IIMI)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관개 시스템의 효율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연구 결과 관개 문제는 기술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문제도 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농부들을 물 관리 결정에 참여시키는 '참여형 관개 관리'(PIM)를 해결책으로 제시하였다.[2]
1990년대 중반, 세계 인구 증가와 도시 확장 등으로 수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면서, 연구소는 유역 맥락에서 수자원을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하기 시작했다.[4] 1998년에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연구소 이름을 국제물관리연구소(IWMI)로 변경했다. 또한, 물 부족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여,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6]
2000년대 후반, 물 부족은 세계적인 위협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IWMI는 물 부족을 정의하는 방식을 통해 물 가용성에 대한 과학적 논쟁의 중심을 재정립했으며,[6] 2010년 세계 물 주간에서는 물 위기를 막기 위한 6가지 계획을 제시했다.[12]
2. 1. 설립 초기: 관개 중심 연구 (1985년 ~ 1990년대 초)
국제물관리연구소는 1985년 포드 재단과 스리랑카 정부의 지원을 받아 국제농업연구협의기구와 세계 은행에 의해 '''국제 관개 관리 연구소'''(International Irrigation Management Institute, IIMI)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녹색 혁명 기간 동안, 대규모 관개 시스템 구축에 수십억 달러가 사용되었다. 이는 새로운 비료, 살충제, 그리고 고수확 종자와 함께 많은 국가들이 더 많은 양의 식량 작물을 생산하는 데 기여했다.[2] 그러나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이러한 관개 시스템은 더 이상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으며, IIMI의 역할은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었다.IIMI의 연구자들은 관개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기술적인 것보다 제도적인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소는 '참여형 관개 관리'(Participatory Irrigation Management, PIM)를 해결책으로 옹호했는데, 이는 농부들을 물 관리 결정에 참여시키는 접근 방식이었다.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 지구 정상회의는 물 관리를 분산화하고 농부와 기타 이해 관계자가 자연 자원 관리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도록 권고함으로써 이러한 접근 방식에 신뢰를 부여했다.[3] 처음에는 반대에 직면했지만, PIM은 정부와 주요 대출 기관의 현 상태가 되었다. IIMI는 1991년에 CGIAR 시스템의 회원으로 가입했다.
2. 2. 연구 범위 확장: 유역 관리와 물 부족 문제 (1990년대 중반 ~ 2000년대)
1990년대 중반, 세계 인구 증가, 도시 확장, 산업적 응용 분야 증가로 인해 수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었다.[4] 관개만을 고려하는 것은 더 이상 세계적인 상황과 관련이 없었으며, 경쟁하는 사용자들과 환경을 포괄하는 유역 맥락에서 수자원을 고려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했다. 이에 국제물관리연구소(IIMI)는 개방형 및 폐쇄형 유역, 물 회계, 다중 사용 시스템, 유역 기관, 원격 감지 분석 및 환경 유량과 같은 주제에 대한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발하기 시작했다.[5] 1998년, 이러한 새로운 광범위한 접근 방식을 반영하여 연구소 이름을 국제물관리연구소(IWMI)로 변경했다.1950년대와 달리, 물은 더 이상 "무한한 자원"으로 간주될 수 없었지만, 그 자원이 얼마나 부족한지는 யாரும் 알지 못했다. IWMI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연구 결과는 ''식량을 위한 물, 생명을 위한 물: 농업에서의 물 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보고서로 출판되었다. 보고서 내 지도에서는 세계 인구의 3분의 1이 이미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보고서는 물리적 물 부족을 인구의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한 수자원이 없는 경우로, 경제적 물 부족을 물 또는 인적 자원에 대한 투자의 부족으로 인해 물 요구 사항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했다.[6]
2. 3. 물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한 물 관리 (2000년대 후반 ~ 현재)
IWMI는 물 부족을 정의하는 방식을 통해 물 가용성에 대한 과학적 논쟁의 중심을 재정립했다. 2007년 세계 물의 날 주제는 '물 부족 대처'였으며,[7] 미국의 월드워치 연구소는 평가 보고서 ''2008년 세계 현황''에서 물 관리에 대한 장을 다루었다.[8] 2009년 세계 경제 포럼과 유네스코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물 부족이 이제 세계 금융 위기보다 더 큰 위협이 되었다고 결론 내렸다.[9]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의장인 라젠드라 파차우리 박사 역시 2009년 노벨상 컨퍼런스에서 물 부족을 강조했다.[10]2010년 스톡홀름 세계 물 주간에서 IWMI는 물 위기를 막기 위한 6가지 계획을 제시했다.[12] 2011년 IWMI는 농업 및 개발에 관한 일련의 에세이를 위탁하여 창립 25주년을 기념했다.
2. 3. 1. 물 위기 대응 6가지 계획
현재 추세가 지속된다면, 전 세계 연간 물 사용량은 2030년까지 2조 입방미터 이상 증가하여 6.9조m3에 달할 것이다. 이는 가용 가능한 물 공급량보다 40% 더 많은 양이다.[11] 2010년 스톡홀름 세계 물 주간에서 IWMI는 물 위기를 막기 위한 6가지 계획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12]# 물 자원에 대한 고품질 데이터 수집
# 환경 보전
# 물 자원 관리 방식 개혁
# 농업용수 사용 방식 혁신
#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의 물 수요 관리
# 소외된 사람들을 물 관리에 참여
3. 빈곤 감소를 위한 물 관리
국제물관리연구소(IWMI)는 물 관리가 빈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특히 인도 구자라트 주의 사례를 통해 물 관리 개선이 사람들의 생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
3. 1. 인도 구자라트 주의 사례
인도 구자라트 주에서 국제물관리연구소(IWMI)의 연구는 물 관리 개선이 사람들의 생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구자라트 주는 1970년대부터 농민들에게 전기 보조금이 도입된 이후, 파산한 전력 회사의 문제와 고갈된 지하수 저장이라는 이중적인 문제에 직면했다. 이러한 상황은 보조금으로 인해 농민들이 점점 더 깊은 곳에서 지하수를 쉽게 퍼 올릴 수 있게 되면서 발생했다. 아시아 개발 은행과 세계 은행은 모두 정부가 전기 보조금을 삭감하고 농민들에게 전력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일부 주 정부가 이를 시도하자 농민들이 강력한 로비를 형성하여 여러 주 총리가 자리에서 물러났다. 명백히 다른 해결책이 필요했다.이 문제를 연구한 국제물관리연구소(IWMI) 과학자들은 정부가 농가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을 '지능형 배급'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농민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케이블을 일반 가정 및 산업체 등 다른 농촌 사용자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분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런 다음 농민에게 적정 가격으로 매일 일정 시간 동안 고품질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결국 구자라트 주는 이러한 권고사항을 전력 회사 개혁을 위한 더 큰 프로그램에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이후에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그 영향이 예상보다 훨씬 컸다. 변화가 있기 전에는 관정 소유주들이 관개를 위해 전력을 '훔치면서' 농촌 지역 사회를 억압했다. 케이블이 분리된 후 농촌 가정, 학교 및 산업체는 훨씬 더 높은 품질의 전력 공급을 받게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의 복지를 향상시켰다.
4.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전 출력 결과가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참조
[1]
뉴스
SL-based IWMI wins world's most prestigious Water Prize
http://www.dailynews[...]
Daily News
2012-03-26
[2]
간행물
Revitalising Asia's Irrigation: To sustainably meet tomorrow's food needs
https://web.archive.[...]
IWMI and FAO
2009
[3]
간행물
Report of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Rio de Janeiro, 3–14 June 1992
https://www.un.org/e[...]
1992
[4]
서적
Out of Water: From abundance to scarcity and how to solve the world's water problems
FT Press (USA)
2010
[5]
간행물
More crop per drop – Moving from dry to wet water savings
http://www.iwmi.cgia[...]
IWMI Annual Report
2004/2005
[6]
뉴스
Map details global water stres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8-21
[7]
웹사이트
Coping with water scarcity.
http://www.unwater.o[...]
UN World Water Day
2007-03-22
[8]
간행물
Water in a sustainable economy
http://www.worldwatc[...]
Worldwatch Institute
2008
[9]
뉴스
Water scarcity now bigger threat than financial crisis.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9-03-15
[10]
뉴스
Water scarcity will create global security concerns: Pachauri.
http://economictimes[...]
The Economic Times
2009-10-07
[11]
뉴스
How to avert a global water crisis.
http://www.nature.co[...]
Nature News
2010-10-04
[12]
뉴스
Six steps for avoiding a global water crisis
http://blogs.nationa[...]
Nat Geo News Watch
2010-09-06
[13]
간행물
Alleviating energy poverty through innovation: the case of Jyotigram Yojana (rural lighting scheme) of Gujarat
http://www.ffydd.org[...]
World Energy Council
[14]
백과사전
국제물관리연구소
네이버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