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자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자원은 인간과 생태계에 필수적인 담수를 포함한 물을 의미하며, 표층수, 지하수, 빙하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인공적인 공급원으로는 처리된 하수, 대기 수분 응축기, 담수화된 해수 등이 있다. 세계적으로 물 부족, 수질 오염, 물 분쟁, 기후 변화로 인한 수문 순환 변화,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1970년대부터 국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수자원 관리는 물의 최적 이용, 개발, 분배 및 관리를 목표로 하며, 통합 물 관리(IWRM)와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통해 물 사용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 관리 - 상수도
    상수도는 음용수나 생활용수로 사용하기 적합하게 정화된 물을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취수, 도수, 정수, 송수, 배수, 급수 과정을 거쳐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한국에서는 높은 보급률을 달성했지만 노후관 교체 및 수질 관리 강화 등의 과제를 안고 있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 물 관리 - 국제관개배수위원회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는 관개 및 배수 분야의 국제 기구로, 1950년에 설립되어 세계 관개 및 배수 회의와 세계 관개 포럼을 개최하고 관개 시설 유산 제도를 운영한다.
  • 수문학 - 밸브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작동 방식을 가지며,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문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 물 - 물대포
    물대포는 화재 진압 및 시위 진압에 사용되는 장비로, 독일에서 처음 등장하여 현재는 원격 조작이 가능하며, 분사 압력과 거리에 따라 효과가 다르며, 과도한 사용은 부상을 초래할 수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 물 - 지하수
    지하수는 지구 물 순환의 중요한 부분으로, 전 세계 민물의 20%를 차지하며, 생활, 농업, 산업 용수로 사용되지만, 과다 양수와 오염으로 고갈 위기에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담수 자원이다.
수자원
지도 정보
개요
정의인간에게 잠재적으로 유용한 물의 원천
주요 유형빙하
지하수
기타 담수 (예: 토양 수분)
직접 접근 가능한 물
담수 자원 분포
빙하69%
지하수30%
기타 담수0.7% (토양 수분 등)
직접 접근 가능한 물0.3%
담수 자원
형태지표수
지하수
빙하
이용 가능성주로 접근성과 오염 정도에 따라 결정됨
중요성생활, 농업,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
기타 정보
추가 정보물은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지만, 대부분은 염수이며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제한적임.
담수 자원은 지역과 계절에 따라 가변적이며, 관리가 중요함.

2. 수자원의 종류

담수는 자연적인 방법이나 인공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자연적인 담수 공급원에는 표층수, 지하수, 빙하 등이 있다.[6][7][8]

인공적인 담수 공급원으로는 처리된 하수(재이용수), 대기 수분 응축기, 담수화된 해수 등이 있다. 다만 이러한 기술들은 경제적, 환경적 부작용을 고려해야 한다.[9]

2. 1. 자연적 공급원

담수의 자연적인 공급원에는 지표수, 지하수, 하천저층수대, 빙하가 있다. 수자원은 생물의 생존과 인간 사회경제 시스템 존립에 필수적이다.[31] 지구상의 물은 태양에너지로 순환하는 재생 가능 자원이지만, 이용 가능한 물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불균일하게 분포하며 변동이 심하다.[32] 자원으로서의 물은 수질이 적절하고, 저렴하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한다.[32] 인간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상 물의 0.01%에 불과하며,[31] 저장 및 운반 비용이 비싸 필요한 때와 장소에서 사용하지 못하면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간주되지 않는다.[33] 수자원 확보에는 기후 등 자연적 요인 외에도 사회적 불평등, 자원 분배, 빈곤 등 사회적 원인도 작용한다.[33]

2. 1. 1. 지표수

칠레 북부의 총가라호와 파리나코타 화산


지표수는 강, 호수 또는 담수 습지의 물을 말한다. 지표수는 강수에 의해 자연적으로 보충되고 해양으로의 방류, 증발, 증발산, 지하수 함양을 통해 자연적으로 손실된다. 지표수 시스템에 대한 유일한 자연적 유입은 그 유역 내의 강수량이다. 특정 시점의 시스템 내 총 수량은 호수, 습지 및 인공 저수지의 저장 용량, 이러한 저장체 아래 토양의 투수성, 유역 내 토지의 유출 특성, 강수 시기 및 지역 증발률을 포함한 다른 많은 요인에도 의존한다. 이러한 모든 요인은 물 손실 비율에도 영향을 미친다.[4]

인간은 종종 저수지를 건설하여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고 습지를 배수하여 저장 용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지역을 포장하고 하천 흐름을 개선함으로써 유출량과 속도를 증가시킨다. 다른 유역에서 운하 또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지표수를 수입하여 자연 지표수를 증강할 수도 있다.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담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뒤를 러시아캐나다가 잇는다.[4]

2. 1. 2. 지하수

지하의 상대적인 지하수 이동 시간


지하수(Groundwater영어)는 지표면 아래의 토양 틈새와 암석 층의 균열에 존재하는 물이다. 지구상의 액체 상태의 담수 중 약 30%는 지하수이다.[19] 지하수는 일반적으로 지표수보다 오염에 강하며, 수질이 좋고 수온 변화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전 세계의 지하수 공급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며, 과잉 양수로 인한 지하수 고갈은 아시아, 남아메리카 및 북아메리카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하수 사용량에 대해 자연적인 갱신이 얼마나 균형을 이루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생태계가 위협받는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19]

2. 1. 3. 하천저층수대

하천의 전체 과정에서 하류로 운반되는 총 수량은 눈에 보이는 지표수 흐름과 하천 및 그 범람원 아래에 있는 암석과 퇴적물을 통해 흐르는 상당한 양의 물이 합쳐져서 이루어진다. 이를 하천저층수대라고 한다. 많은 대규모 계곡의 하천에서 이러한 보이지 않는 흐름 성분은 눈에 보이는 흐름을 크게 초과할 수 있다. 하천저층수대는 종종 지표수와 대수층의 지하수 사이의 역동적인 경계면을 형성하며, 완전히 충전되거나 고갈될 수 있는 하천과 대수층 사이의 흐름을 교환한다. 이는 싱크홀과 지하 하천이 흔한 카르스트 지역에서 특히 중요하다.

2. 1. 4. 빙하

빙하 융빙수는 지표수로 간주된다. 종종 "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는 히말라야 산맥은 극지방을 제외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넓은 빙하와 영구 동토층을 포함하고 있는 가장 광대하고 험준한 고산 지대이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강 10개가 이곳에서 발원하며,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의 생계가 이 강들에 의존하고 있다.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이 지역의 기온이 지구 평균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네팔의 경우 지난 10년 동안 기온이 0.6°C 상승한 반면, 지구 전체적으로는 지난 100년 동안 약 0.7°C 상승했다.[5]

2. 2. 인공적 공급원

담수의 여러 인공적인 공급원으로는 처리된 하수(재이용수), 대기 수분 응축기[6][7][8], 담수화된 해수가 있다. 이러한 기술들의 경제적 및 환경적 부작용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9]



연구자들은 현재와 미래의 물 부족/불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양 위 습한 공기의 포집을 통해 담수를 크게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11][10]

2021년 연구에서는 태양열로 작동하는 휴대용 대기 수분 채취 장치를 가정했다. 그러나 이러한 독립형 시스템 방식은 "영구적인 관로 인프라 개발 노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12][13][14]

3. 수자원 현황

수자원은 생물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하며, 인간 사회와 경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기반이기도 하다.[31] 지구상의 물은 태양 에너지에 의해 순환하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지만, 시간과 장소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고르지 않고 변동이 심하다.[32] 자원으로서의 물은 수질이 적절하고, 이용 가능할 정도로 저렴하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한다.[32] 인간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상 물의 0.01%에 불과하다.[31] 또한, 물은 저장 및 운반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싼 자원이며,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물은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보기 어렵다.[33] 수자원을 얻을 수 없는 이유는 기후 등 자연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 자원 분배, 빈곤 등 사회적 문제도 있다.[33]

3. 1. 대한민국

한국은 PAI가 정한 물 스트레스 국가[40]로서, 1인당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게다가 한국의 지형학적 특징상 산악 지대가 많아 하천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물이 금방 바다로 흘러들어가 수자원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강수가 6~9월에 집중되는 것도 한국의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41][42]

한국의 한 해 총 강수량 1267억m3 가운데 45%(570억m3)는 증발되어 이용할 수 없으며, 총 강수량의 31%(396억m3)는 그대로 바다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우리가 실제 사용하고 있는 물의 양은 나머지 24% 정도이다.[43]

대한민국은 하천법 23조에 따라 수자원 관련 국가 최상위 계획으로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을 20년 단위로, 하천법 25조에 따라 '하천기본계획'을 10년 단위로 수립하여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구분계획기간계획 기조 및 기본 목표
수자원개발 10개년 계획 (1차)66 - 75다목적 댐 개발
수자원장기종합개발계획 (2차)81 - 01댐 개발 및 치수사업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차)91 - 11수자원 개발 및 관리
수자원장기종합계획 (3-1차)97 - 11환경친화적 수자원 개발 및 관리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차)01 - 20건전한 물 활용과 안전하고 친근한 물 환경 조성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1차)06 - 20사람과 자연이 바라는 지속가능한 물 관리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2차)11 - 202020 녹색국토를 위한 물 강국 실현



2016년 국토교통부가 작성한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3차 보고서에 따르면 환경기초시설이 지속적으로 확충되며 수질이 개선되고 있으나 최근 수질개선 정도는 과거에 비해 둔화되었다. 114개 중권역 중 BOD 3mg/L 이하 달성 비율은 2015년 83.3%이다. 총 인(T-P)은 개선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에서 OECD 부영양화 기준인 T-P 0.035mg/L를 초과하고 있다. 클로로필-a 지표는 개선 추세이나 영산강 하류 구간은 악화되었다. 국무총리실 4대강 조사평가위원회에서 2014년 12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한강, 낙동강, 금강은 대체로 BOD, 식물성 플랑크톤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낙동강 상류 지역 4개 보 구간은 BOD가 증가했고, 영산강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했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환경기초시설이 늘어나면서 하수 제거가 수질 개선에 큰 기여를 했으나, 와 준설로 인해 물의 체류시간이 길어져서 수질 악화도 함께 일어났다.

4. 물의 사용

물의 사용 형태는 크게 도시 용수와 농업 용수로 나뉜다.[34] 수자원은 생물에게 필수적이며, 인간 사회의 경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기반이기도 하다.[31] 지구상의 물은 태양 에너지에 의해 순환하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지만, 사용 가능한 물은 시간과 공간에 따라 고르지 않게 분포하며 변동이 심하다.[32]

자원으로서의 물은 수질이 적절하고, 사용 가능한 수준으로 저렴하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어야 한다.[32] 인간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상 물의 0.01%에 불과하다.[31] 또한, 물은 저장 및 운반 비용이 비교적 비싼 자원이며,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물은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간주되지 않는다.[33] 수자원을 얻을 수 없는 이유에는 기후 등 자연적인 요인도 있지만, 사회적 불평등, 자원 분배, 빈곤과 같은 사회적 원인도 있다.[33]

일부 물 사용은 간헐적이다. 예를 들어, 많은 농업은 봄에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지만 겨울에는 물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반면, 발전소처럼 냉각을 위해 지속적으로 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장기적으로 유역 내 평균 강수량은 해당 유역에서 자연 지표수를 평균적으로 얼마나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한선이 된다.

4. 1. 도시 용수

도시 용수는 생활 용수와 공업 용수로 나뉜다.[34] 생활 용수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과 도시 활동에 필요한 물을 포괄하며, 공업 용수는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사용되는 물을 의미한다.

  • 생활 용수는 가정 용수(음료수, 조리, 세탁, 목욕, 수세식 화장실, 관개 등)와 도시 활동 용수(소방 용수, 의료 용수, 공공 용수, 영업 용수)로 나뉜다.[34]
  • 공업 용수는 보일러 용수, 원료 용수, 세척 용수, 제품 처리 용수, 냉각 용수, 온도 조절 용수 등으로 사용된다.[34][35]

4. 1. 1. 생활 용수

전 세계 물 사용량의 8%가 가정용으로 추정된다.[15] 여기에는 식수, 목욕, 요리, 변기 물 내림, 청소, 세탁 및 정원 가꾸기가 포함된다. 피터 글라이크(Peter Gleick)는 정원용 물을 제외하고 기본적인 가정용 물 요구량을 하루 1인당 약 50L로 추산했다.

식수


식수는 즉각적 또는 장기적인 위해 없이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품질의 물이다. 이러한 물을 일반적으로 음용수라고 한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가정, 상업 및 산업에 공급되는 물이 모두 식수 기준을 충족하지만, 실제로 섭취되거나 음식 준비에 사용되는 비율은 매우 적다.

2017년 기준으로 여전히 8억 4,400만 명이 기본적인 식수 서비스조차 이용하지 못했다.[16] 이 중 1억 5,900만 명이 전 세계적으로 호수와 개울과 같은 지표수원에서 직접 물을 마신다.[16] 전 세계 8명 중 1명은 안전한 물을 이용할 수 없다.[17][18]

도시용수 중 생활용수는 가정용수(음료수, 조리, 세탁, 목욕, 수세식 화장실, 관개 등)와 도시활동용수(소방용수, 의료용수, 공공용수, 영업용수)로 나뉜다.[34]

4. 1. 2. 공업 용수

전 세계 물 사용량의 22%가 산업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추산된다.[15] 도시용수는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로 나뉘며,[34] 공업용수는 보일러 용수, 원료 용수, 세척 용수, 제품 처리 용수, 냉각 용수, 온도 조절 용수 등으로 사용된다.[34][35]

4. 2. 농업 용수

농업용수는 논농사 관개용수, 밭농사 관개용수, 축산용수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융설 용수나 방화 용수로도 이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생태계 보전, 친수 공간 조성, 물 저장 등의 기능도 있다.[36]

4. 3. 산업 용수

수력 발전 댐, 화력 발전소의 냉각, 광석 및 정유소의 화학 공정, 제조 공장의 용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물이 사용된다.[15] 특정 산업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은 매우 많을 수 있지만, 물 소비량은 일반적으로 농업보다 훨씬 적다.

물은 재생에너지 발전에도 사용된다. 수력 발전은 물이 언덕 아래로 흐르는 힘에서 에너지를 얻어 발전기에 연결된 터빈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수력 전기는 저렴하고 오염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특히 수력 발전은 대부분의 재생에너지원이 간헐적인 것과 달리 부하 추종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력 발전소의 에너지는 궁극적으로 태양에 의해 공급된다. 태양열은 물을 증발시키고, 이 물은 고지대에서 비로 응결되어 언덕 아래로 흐르게 된다. 양수 발전소는 수요가 적을 때는 격자 전기를 사용하여 물을 언덕 위로 퍼 올리고, 수요가 높을 때는 저장된 물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냉각탑을 사용하는 화력 발전소는 대부분 취수된 물이 냉각 과정의 일부로 증발되기 때문에 소비량이 취수량과 거의 같다. 그러나 취수량은 직류 냉각 시스템보다 낮다.

물은 화력 발전, 정유, 비료 생산 및 기타 화학 공장에서의 사용, 셰일암에서의 천연가스 추출과 같은 많은 대규모 산업 공정에도 사용된다. 산업 용수의 처리되지 않은 배출은 오염을 유발하며, 배출된 용질과 수온 상승(열 오염) 등이 오염에 포함된다.

4. 4. 가정 용수

전 세계 물 사용량의 약 8%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5] 여기에는 식수, 목욕, 요리, 변기 물 내림, 청소, 세탁, 정원 가꾸기 등이 포함된다. 피터 글라이크(Peter Gleick)는 정원용 물을 제외한 기본적인 가정용 물 필요량을 하루 1인당 약 50리터로 추산했다.

식수는 즉각적 또는 장기적인 건강상의 위험 없이 마시거나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높은 품질의 물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음용수라고 불린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가정, 상업 및 산업 시설에 공급되는 물이 모두 음용수 기준을 충족하지만, 실제로 음식을 만들거나 마시는 데 사용되는 비율은 매우 적다.

2017년 기준으로, 여전히 8억 4,400만 명이 기본적인 식수 서비스조차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16] 이 중 1억 5,900만 명은 전 세계적으로 호수와 개울과 같은 지표수원에서 직접 물을 마신다.[16] 전 세계적으로 8명 중 1명은 안전한 물을 이용할 수 없다.[17][18]

5. 세계의 물 문제

수자원은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인간의 사회경제 시스템 존립 기반이기도 하다.[31] 지구상의 물은 태양에너지에 의해 순환하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지만, 이용 가능한 물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변동도 심하다.[32] 자원으로서의 물은 수질이 적절하고, 이용 가능한 정도로 저렴하게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물이어야 한다.[32] 인간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상 물의 0.01%에 불과하다.[31] 또한, 물은 저장 및 운반 비용이 상대적으로 비싼 자원이며, 필요한 때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물은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간주되지 않는다.[33] 수자원을 얻을 수 없는 요인에는 기후 등 자연 환경적 요인도 있지만, 사회적 불평등, 자원 분배, 빈곤 등 사회적 원인도 배경에 있다.[33]

오염된 물

5. 1. 문제점

국제연합(UN)의 2020년 자료에 따르면, 세계 인구 10명 중 3명은 안전하게 관리되는 식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고, 10명 중 6명은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시설을 이용할 수 없다.[37] 또한, 세계 인구의 40% 이상이 물 부족으로 분류되며, 앞으로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 4명 중 1명이 만성적인 물 부족에 시달릴 우려가 있다.[37]

5. 2. 역사

세계적으로 수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한 계기는 1977년 마르 델 플라타에서 열린 유엔 수자원 회의에서 "1980년대를 '국제 수자원 공급 및 위생의 10년'으로 한다"는 결정이 내려진 것이었다.[30]

2015년 9월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서는 여섯 번째 목표로 "모든 사람이 물과 위생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지속 가능한 수자원 및 위생 관리를 확보한다"는 목표가 설정되었다.[37]

5. 3. 수질 오염



Water pollution영어은 물이 오염되는 것을 말한다.[1]

5. 4. 물 분쟁

물 분쟁은 물 자원을 두고 국가, 주, 또는 집단 사이에 발생하는 갈등을 말한다. 이러한 분쟁은 담수 자원의 부족, 수질 오염, 그리고 물 사용 권한에 대한 이견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물은 생존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물 분쟁은 종종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문제로 이어진다.

5. 5. 기후 변화

빙하 융빙수는 지표수로 간주된다. 종종 "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는 히말라야 산맥은 지구상에서 가장 광대하고 험준한 고산 지대와 극지방을 제외하고 가장 넓은 빙하와 영구 동토층을 포함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가장 큰 강 10개가 이곳에서 발원하며, 10억 명이 넘는 사람들의 생계가 이 강들에 의존하고 있다. 이 지역의 기온이 지구 평균보다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점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네팔의 경우 지난 10년 동안 기온이 0.6°C 상승한 반면, 지구 전체적으로는 지난 100년 동안 약 0.7°C 상승했다.[5]

5. 6. 지하수 고갈

전 세계의 지하수 공급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하수 고갈(과잉 양수)은 아시아, 남아메리카 및 북아메리카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수 사용량에 비해 자연적인 갱신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로 인해 생태계가 얼마나 위협받는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19]

6. 수자원 관리

수자원 관리는 수자원을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계획, 개발, 분배, 관리 활동을 의미하며, 물 순환 관리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

전 세계 수자원 가치와 인간의 물 사용량 (남극 제외).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수자원, 2000년경의 물 사용량. 전 세계 담수 모델 WaterGAP에 의해 계산됨.


수자원 관리 분야는 현재와 미래의 물 문제에 지속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전 세계 기후 변화의 불확실성 증가와 과거 관리 방식의 장기적인 영향으로 인해 의사 결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지속적인 기후 변화는 이전에 겪어보지 못한 상황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여러 사람의 참여를 유도하고 적응력을 높이는 등 다양한 관리 전략을 통해 수자원 관련 의사 결정을 강화해야 한다. 이상적인 수자원 관리 계획은 물을 필요로 하는 모든 경우를 고려하여 공평하게 물을 배분하려고 노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의사 결정자들은 수용 가능한 결과를 얻기 위해 지속 가능성, 형평성, 그리고 각 요소의 최적화 문제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미래 수자원과 관련하여 가장 우려되는 점 중 하나는 현재와 미래의 수자원 배분이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수자원은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인간 사회와 경제 시스템을 유지하는 기반이기도 하다.[31] 지구상의 물은 태양 에너지에 의해 순환하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지만, 시간과 공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양이 고르지 않고 변동이 심하다.[32] 자원으로서의 물은 수질이 적절해야 하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저렴하게 많은 양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32] 인간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담수는 지구 전체 물의 0.01%에 불과하다.[31] 또한, 물은 저장하고 운반하는 데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자원이며,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서 사용할 수 없다면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보기 어렵다.[33] 수자원을 얻을 수 없는 이유는 기후와 같은 자연적인 요인도 있지만, 사회적 불평등, 자원 분배, 빈곤 등 사회적인 문제도 영향을 미친다.[33]

6. 1. 통합 물 관리 (IWRM)

세계 물 파트너십(GWP)은 통합 물 관리(IWRM)를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복지와 사회적 복지를 공평하게 극대화하면서 중요한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하지 않기 위해 물, 토지 및 관련 자원의 조정된 개발 및 관리를 촉진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22]

IWRM은 물 안보를 보완하는 것으로 보기도 하는데, 물 안보는 목표 또는 목적지이고 IWRM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과정이다.[23]

IWRM은 190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 국제 회의에서 등장한 패러다임이지만, 참여적인 물 관리 기관은 수세기 동안 존재해 왔다.[24] 1950년대부터 물 자원 관리의 전체적인 방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 1977년 유엔 물 회의로 이어졌다.[25] IWRM은 1992년 물과 환경에 관한 국제 회의(더블린 선언)에서 장관들의 최종 성명에서 특히 권고되었다. IWRM은 개선된 물 자원 관리에 근본적인 것으로 간주되는 관행의 변화를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WRM은 이전 회의보다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참석한 제2차 세계 물 포럼의 주제였으며 GWP의 설립에 기여했다.[24]

국제 물 협회는 IWRM이 다음 세 가지 원칙에 기초한다고 정의한다.[26]

  • 사회적 형평성: 모든 사용자(특히 소외되고 가난한 사용자 그룹)가 인간의 복지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양과 질의 물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보장한다.
  • 경제적 효율성: 이용 가능한 재정 및 물 자원으로 가능한 한 가장 많은 사용자에게 최대한의 이익을 가져온다.
  • 생태적 지속가능성: 수생 생태계가 사용자로 인정되고 자연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할당이 이루어져야 한다.


2002년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 정상 회의에서는 IWRM 개발이 논의되었으며, 이는 세계적 수준에서 IWRM 이행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27] 제3차 세계 물 포럼에서는 IWRM을 권장하고 정보 공유, 이해 관계자 참여, 성별 및 계급 역학에 대해 논의했다.[24]

IWRM은 사회적 및 경제적 요구를 조화시키고 미래 세대를 위한 생태계 보호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물 자원을 관리하고 개발하기 위한 포괄적인 참여적 계획 및 이행 도구이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달성에 기여하며,[28] IWRM은 부문 간 물 자원 관리인 넥서스 접근 방식을 고려하면서 더욱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으로 발전해 왔다. 넥서스 접근 방식은 "물, 에너지, 식량은 세계적 및 지역적 물, 탄소 및 에너지 순환 또는 사슬을 통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IWRM은 유리한 환경, 기관의 역할, 관리 수단과 같은 측면을 고려하여 물 자원 관리의 단편적인 접근 방식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IWRM을 이행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종단 조건은 정치적 의지와 약속, 역량 개발, 적절한 투자, 재정 안정 및 지속 가능한 비용 회수, 모니터링 및 평가이다.

6. 2. 지속 가능한 물 관리

수자원 관리는 수자원을 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계획, 개발, 분배 및 관리 활동이다. 이는 물 순환 관리의 한 부분이다. 수자원 관리는 현재와 미래의 물 문제에 지속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전 세계 기후 변화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과거 관리 방식의 장기적인 영향으로 인해 의사 결정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지속적인 기후 변화는 전례 없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참여적 접근 방식과 적응력을 포함한 다양한 관리 전략이 수자원 의사 결정을 강화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미래 수자원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현재와 미래의 수자원 배분이 지속 가능성이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6에는 수자원 관리 관련 목표가 있다. "목표 6.5: 2030년까지 적절한 경우 국경 간 협력을 통해 모든 수준에서 통합적인 수자원 관리를 시행한다."[20][21]

현재 전 세계 담수의 약 0.08%만 이용 가능하다. 식수, 제조업, 레저, 농업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용 가능한 물의 비율이 적기 때문에 남은 천연 자원의 담수를 최적화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물 자원 관리의 많은 부분은 물 사용을 최적화하고 자연 환경에 대한 물 사용의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된다. 물을 생태계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보는 관점은 1992년 더블린 원칙을 기반으로 한 통합 물 자원 관리에 기초한다.

지속 가능한 물 관리는 1992년 더블린(1월)과 리우(7월) 회의에서 처음으로 제시된 통합 물 자원 관리 원칙에 기반한 전체론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더블린 선언에서 발표된 네 가지 더블린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담수는 생명, 개발, 환경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유한하고 취약한 자원이다.

# 물 개발 및 관리는 모든 수준의 이용자, 계획자, 정책 입안자를 포함하는 참여적인 접근 방식에 기반해야 한다.

# 여성은 물의 제공, 관리, 보호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물은 모든 경쟁적 용도에서 경제적 가치를 지니며 경제적 재화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원칙의 이행은 1992년 이후 전 세계적으로 국가 물 관리 법 개혁을 이끌었다.

지속 가능하고 공정한 물 자원 관리의 또 다른 과제는 많은 수역이 국제적(물 분쟁 참조) 또는 국내적(머레이-달링 분지 참조) 경계를 넘어 공유된다는 사실이다.

6. 3. 도시 환경에서의 물 관리

상수도 정수 및 도시 하수 처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도시 수순환


통합 도시 물 관리는 도시의 물 순환 전체를 고려하여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목표로 하는 방식이다.[1] 도시의 상수도 공급, 하수 처리, 빗물 관리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 영향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1]

7. 국가별 수자원

미국에서는 미국 지질조사국(USGS)과 그 파트너들이 수자원을 모니터링하고, 연구를 수행하며, 지하수 수질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제공한다.[29]

참조

[1] 웹사이트 Strains on freshwater resources https://datatopics.w[...] 2024-05-19
[2] 웹사이트 Earth's water distribution http://ga.water.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9-05-13
[3] 웹사이트 Scientific Facts on Water: State of the Resource http://www.greenfact[...] GreenFacts Website 2008-01-31
[4] 웹사이트 The World's Water 2006–2007 Tables, Pacific Institute http://www.worldwate[...] Worldwater.org 2009-03-12
[5] 웹사이트 Pulitzer Center on Crisis Reporting http://pulitzercente[...] 2009-07-23
[6] 논문 Progress in atmospheric water generation systems: A review 2022-06-00
[7] 논문 Review of sustainable methods for atmospheric water harvesting 2020-05-18
[8] 논문 Advances in atmospheric water generation technologies 2021-07-00
[9] 논문 Global water scarcity including surface water quality and expansions of clean water technologies 2021-02-01
[10] 논문 Increasing freshwater supply to sustainably address global water security at scale 2022-12-06
[10] 뉴스 Researchers propose new structures to harvest untapped source of freshwater https://techxplore.c[...]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via techxplore.com 2023-01-17
[11] 뉴스 Water, water, everywhere — and maybe here's how to make it drinkable https://www.cbc.ca/r[...] 2023-01-17
[12] 뉴스 Model suggests a billion people could get safe drinking water from hypothetical harvesting device https://techxplore.c[...] Tech Xplore 2021-11-15
[13] 뉴스 Solar-powered harvesters could produce clean water for one billion people https://physicsworld[...] Physics World 2021-11-15
[14] 논문 Global potential for harvesting drinking water from air using solar energy 2021-10-00
[15] 웹사이트 WBCSD Water Facts & Trends https://web.archive.[...] 2009-03-12
[16] 서적 Progress on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 2017 update and SDG baselines. https://www.susana.o[...]
[17] 웹사이트 Global WASH Fast Facts Global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Healthy Water CDC https://www.cdc.gov/[...] 2019-04-09
[18] 웹사이트 Water https://archive.toda[...] 2012-03-17
[19] 논문 Water balance of global aquifers revealed by groundwater footprint 2012-08-09
[20] 웹사이트 Measuring progress toward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6) https://sdg-tracker.[...]
[21] 간행물 Resolution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6 July 2017,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undocs.org/A[...] United Nations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Decade for Action 'Water for Life' 2005-2015. Focus Areas: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https://www.un.org/w[...] 2020-11-18
[23]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Science
[24] 논문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evolution, prospects and future challenges 2005-04-00
[25] 문서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A Reassessment
[26] 웹사이트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ic Concepts https://www.iwapubli[...] IWA Publishing 2020-11-18
[27] 서적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Concept, Research and Implementation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0-11-14
[28] 서적 Managing Water, Soil and Waste Resources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link.springer[...]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8
[29] 웹사이트 Water Resources https://www.usgs.gov[...] 2021-09-17
[30] 간행물 水分野援助研究会-途上国の水問題への対応-第1章グローバルな水問題 https://www.jica.go.[...] 国際協力事業団国際協力総合研修所 2021-06-02
[31] 간행물 2. 水資源 https://www.env.go.j[...] 環境省 2021-06-02
[32] 서적 水危機 ほんとうの話 新潮選書
[33] 서적 水危機 ほんとうの話 新潮選書
[34] 간행물 上下水道システムに対する地震リスクとその対策 https://www.niph.go.[...] 国立保健医療科学院 2021-10-08
[35] 웹사이트 くらしと水「工業用水」 https://www.suntory.[...]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 2021-10-08
[36] 웹사이트 くらしと水「農業用水」 https://www.suntory.[...]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 2021-10-08
[37] 서적 未来をつくる道具 わたしたちのSDGs ナツメ社 2020
[38] 웹인용 Water distribution: Where is water on, above, and in the Earth? https://web.archive.[...] 2010-02-28
[39] 웹인용 Scientific Facts on Water Resources https://web.archive.[...] 2010-02-28
[40] 문서 PAI에서 물 부족 국가 구분 및 UN 산하기관 여부
[41] 웹사이트 한국수자원공사 http://www.kwater.or[...]
[42] 서적 수자원장기종합계획 4-3차 국토교통부 2016
[43] 간행물 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 http://img.kisti.r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