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뚜라미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뚜라미과는 귀뚜라미상과에 속하는 곤충 과로, 몸길이는 3~40mm이며 흑갈색 또는 갈색을 띤다. 수컷은 발음기를 이용해 소리를 내어 암컷을 유혹하고, 암컷은 땅이나 식물 조직에 알을 낳는다. 귀뚜라미는 불완전변태를 거치며, 잡식성으로 다른 곤충이나 식물을 먹고, 때까치, 기생파리 등에게 포식당한다. 귀뚜라미과는 방울벌레아과, Eneopterinae 아과 등으로 분류되며, 한국에는 검은귀뚜라미, 풀무치 등 다양한 종류가 서식한다. 귀뚜라미는 동아시아에서 소리를 감상하기 위해 길러졌으며, 식용 및 약용으로도 사용되고, 문학 작품과 음악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귀뚜라미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Gryllidae |
과 명명자 | 라이하르팅, 1781 |
![]() | |
한국어 이름 | 코오로기과 |
영어 이름 | cricket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메뚜기목 (직시목) |
아목 | 키리길이스아목 (검변아목) |
상과 | 코오로기상과 |
아과 | |
아과 목록 | 쿠츠야코오로기아과 (Brachytrupinae) 스즈무시아과 (Cachoplistinae) 마츠무시아과 (Eneopterinae) 카야코오로기아과 (Euscyrtinae) 코오로기아과 (Gryllinae) Gryllomiminae Gryllomorphinae †Gryllospeculinae Hapithinae 이타라아과 (Itarinae) 쿠치키코오로기아과 (Landrevinae) Luzarinae 야치스즈아과 (Nemobiinae) Pentacentrinae 마츠무시모도키아과 (Podoscirtinae) 칸탄아과 (Oecanthinae) Paragryllinae Phalangopsinae 아시마다라마츠무시아과 (Phaloriinae) Pteroplistinae Rumeinae 쿠마스즈무시아과 (Sclerogryllinae) Tafaliscinae 히바리모도키아과 (Trigonidiinae) |
형태 | |
크기 | 5 cm |
고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초기 백악기-현재 |
동의어 | |
동의어 목록 | Gryllides Laicharting, 1781 Mitratogryllus Furukawa, 1985 (명목상 무효) Paragryllidae Desutter-Grandcolas, 1987 |
2. 특징
몸길이는 3~40mm로 크기가 다양하다. 체형은 등과 배가 편평하여 지상 생활에 알맞다. 몸색은 지면과 비슷한 흑갈색 내지 갈색 계통이 많다. 겹눈은 그다지 크지 않으며 더듬이는 실 모양으로 길다. 좌우의 앞날개는 정지했을 때 몸의 옆부분을 덮는 앞쪽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겹쳐진다. 수컷 앞날개의 맥상(脈相)은 복잡하고, 발음기가 잘 발달되어 있다.[1]
귀뚜라미는 돌 밑이나 풀숲 등에 숨어 사는 습성이 있으며, 수컷은 영역을 설정한다. 대부분 땅 위에 살지만 물 위, 나무 위, 집 안, 동굴 안에 사는 종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잡식성이며, 주로 다른 곤충을 잡아먹거나 식물을 먹는다. 또한 곤충이나 지렁이 등의 시체를 먹기도 한다. 천적으로는 때까치, 기생파리, 사마귀, 기생벌, 철선충, 곰팡이, 두꺼비, 도마뱀 등이 있다.
귀뚜라미상과(Grylloidea)는 크게 귀뚜라미과(Gryllidae)와 그 하위 분류로 나뉜다.[5]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는 암수가 서로 만나는 것을 도와준다. 앞날개에 발음기를 가진 종은 대부분 아름다운 소리로 노래하는데, 종에 따라서는 울 때, 영역권을 주장할 때, 싸움을 할 때, 근처에 있는 암컷을 유혹할 때 각각 음조를 바꾸어 소리내며, 교미 중에는 다른 곡조로 노래하기도 한다. 한편 수컷의 배쪽에 있는 유혹샘에서의 분비물로 근처의 암컷을 유혹하는 종도 있다.[1]
정자는 일단 정포(精包) 속에 들어 있어서 암컷의 생식구에 연결되고 거기서 암컷의 체내로 주입된다. 암컷은 창 모양의 산란관을 갖고 있으며, 땅속이나 식물 조직 내에 알을 낳는다. 땅 속에 산란하는 것은 가늘고 긴 산란관을 직접 땅 속에 찔러 넣고 알을 낳으며, 식물의 조직 내에 산란하는 것은 끝이 두꺼운 톱니 모양의 산란관을 이용하여 조직에 작은 구멍을 뚫고 알을 낳는다.[1]
알 상태에서 겨울을 난 귀뚜라미 애벌레는 번데기 과정이 없는 불완전변태로 자라는데, 어른벌레와 매우 유사하나 날개가 없거나 아주 작다. 귀뚜라미과와 달리 암컷은 울지 않는다. 또한, 더듬이는 끝이 굽어 있다.[1]
3. 생태
4. 분류
귀뚜라미과는 다음과 같은 아과 및 멸종된 속으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귀뚜라미과를 여러 개의 과(예: 귀뚜라미과, 방울벌레과, 알락방울벌레과)로 나누는 견해도 있다.
다음 아과들은 독립된 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땅강아지과와의 관계를 논할 때 귀뚜라미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4. 1. 귀뚜라미과 (Gryllidae)
귀뚜라미과(Gryllidae)는 귀뚜라미상과(Grylloidea)에 속하는 과이다. 다음과 같은 아과, 멸종된 속으로 나뉜다:[5]
# ''Capillogryllus''
# †''Cratogryllus'' 크라토 형성, 브라질, 압트절
# ''Neogryllodes''
# ''Rhabdotogryllus''
# †''Sharovella''
# ''Spinogryllus''
# †''Trichogryllus''
위키종에서는 더 적은 아과만 인정하고, 이들 중 일부를 족으로 하는 분류도 있다.
귀뚜라미과를 몇 개의 과(예: 귀뚜라미과, 방울벌레과, 알락방울벌레과)로 나누는 설도 있다.
다음의 아과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5. 한국산 귀뚜라미
6. 관련 문화
동아시아 사람들은 소리를 감상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귀뚜라미를 길러 왔다. 중국에서는 귀뚜라미 싸움(斗蟋蟀)이 유명하다.
6. 1. 식용 및 약용
몇몇 국가에서는 귀뚜라미를 식용으로 쓴다. 한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귀뚜라미를 이뇨제 등의 용도로 약용(藥用)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식용곤충이 이슈화되면서 귀뚜라미를 이용한 요리와 음식 개발 방법 등도 활성화되고 있다.6. 2. 문학
윤동주 시인의 동시 '귀뚜라미와 나와' 등에 등장한다. 동화 《피노키오》와 《뉴욕에 간 귀뚜라미 체스터》에도 등장한다. 귀뚜라미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매우 친숙한 곤충이다.[1]6. 3. 음악
귀뚜라미는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것으로 유명하며, 이 때문에 애완용으로 인기가 많다. 귀뚜라미는 정서곤충(情緖昆蟲)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조스캥 데 프레의 귀뚜라미 음악이 있다.참조
[1]
간행물
Verzeichnis und Beschreibung der Tyroler Insecten
1781
[2]
서적
A General Textbook of Entomology
Methuen
1970
[3]
간행물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Dermaptera Saltatori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Supplement
1871
[4]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5]
웹사이트
'Family Gryllidae (Laicharting, 1781)'
http://orthoptera.sp[...]
2020-09-03
[6]
간행물
Neue Insekten aus dem Moler (Paläozän/Eozän) von Dänemark, Teil 4 (Orthoptera: Caelifera: Eumastacidae, Ensifera: Gryllidae; Odonata: Libellulidae
https://www.zobodat.[...]
Virgo
2019
[7]
웹사이트
Orthoptera Species File: genus Menonia George, 1936
http://orthoptera.sp[...]
[8]
서적
鳴く虫セレクション 音に聴く虫の世界
학교법인東海大学出版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