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뚜라미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뚜라미상과는 곤충의 한 분류로, 길고 실 모양의 더듬이, 세 마디 발목 마디, 복부 끝의 미모가 특징이다. 수컷은 발음 기관을 통해 소리를 내며, 뒷다리가 발달하여 도약에 용이하다. 귀뚜라미상과는 논, 밭,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야행성 습성을 가진다. 곤충, 조류 등이 천적이며, 가사(擬死) 습성을 보이기도 한다. 이들은 울음소리를 내는 문화, 투계, 애완동물 및 가축의 사료, 식용 등으로 이용된다. 특히 식용 곤충으로서 미래 식량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단백질과 영양소가 풍부하여 미래 식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뚜라미상과 | |
|---|---|
| 기본 정보 | |
| 학명 | Grylloidea |
| 학명 명명자 | Laicharting, 1781 |
| 한국어 이름 | 코오로기상과 |
| 영어 이름 | Cricket-like animals (귀뚜라미와 유사한 동물) |
| 일본어 이름 | 코오로기 (こおろぎ) |
![]() | |
| 화석 범위 | 트라이아스기 - 홀로세 (2억 3천만 년 전 - 현재) |
| 분류 | |
| 계 | 동물 |
| 문 | 절지동물문 |
| 강 | 곤충강 |
| 목 | 메뚜기목 |
| 아목 | 키리ギリス아목 |
| 상과 | 코오로기상과 (Grylloidea) |
| 과 | †Baissogryllidae (멸종) †Protogryllidae (멸종) 귀뚜라미과 (Gryllidae) 땅강아지과 (Gryllotalpidae) 개미붙이과 (Myrmecophilidae) |
| 참고 자료 | |
2. 특징
귀뚜라미상과는 다른 여치아목 곤충과 구별되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긴 더듬이, 세 마디 발목, 배 끝의 미모(cerci), 그리고 미모에 있는 둥근 감각 털이 그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모두 가진 곤충은 귀뚜라미상과가 유일하다.[6]

논, 밭, 초원, 숲, 민가 주변 등 다양한 곳에 서식하며, 건조지, 습지, 산지, 해안 등 환경에 따라 종류가 다르다. 대부분 야행성이며 낮에는 풀밭, 돌 밑, 구멍 등에 숨는다. 동굴에 살거나 개미 집에 공생하는 종류도 있다. 촉각, 꼬리 털, 귀, 울음소리는 어두운 곳에 적응한 결과이다. 밤에 활동하는 종류 중에는 등불에 날아드는 경우도 있다.
천적은 사마귀, 거미, 지네, 개구리, 도마뱀, 조류 등이다. 천적을 만나면 뒷다리로 뛰어 도망친다. 가사 습성은 움직이는 먹이를 노리는 천적에게 효과적이다.[14] 습지에 사는 종류는 수면 위에서도 잘 뜨고, 평영처럼 뒷다리로 헤엄치기도 한다.
; 산란 및 생활사
일반적으로 성충은 늦여름에서 가을에 나타나 종 특유의 울음소리로 구애한다.[6][30] 암컷은 흙이나 식물 조직 내에 알을 낳는다. 암컷은 긴 산란관을 흙이나 식물 조직에 꽂아 산란한다.[15] 온대 지방에서는 알로 월동하고 봄에 부화하는 경우가 많다.[15] 이러한 귀뚜라미는 1년에 한 번만 번식한다.[15]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사육되는 쌍별귀뚜라미와 유럽집귀뚜라미는 30℃ 이상에서 연중 산란하며, 조건이 맞으면 폭발적으로 증식한다.[15] 애벌레는 작고 날개가 없는 것 외에는 성충과 비슷하다.[16] 탈피 후 깃털은 흰색이었다가 시간이 지나 굳어 검게 변한다. 탈피한 허물을 먹는 습성이 있다.
; 먹이
초식, 육식도 있지만, 대부분 잡식성으로 다양한 것을 먹는다.[6][18][17] 자연에서는 채소, 과일, 잎, 꽃, 곤충 유충, 무척추동물 사체 등을 먹는다.[18][17] 사육 시에는 귀리, 밀기울, 곡물, 열대어 먹이, 애완동물 사료, 채소, 과일 등을 준다.[22][18][19] 귀뚜라미용 사료, 식물성 소재용 단백질 보충제도 판매된다.[18] 먹이가 부족하고 밀집된 환경에서는 동족 포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식량과 은신처를 제공해야 한다.[20][22] 죽은 귀뚜라미는 빨리 제거해야 한다.[20][21][22]
2. 1. 신체 형태
귀뚜라미상과 곤충은 길고 실 모양의 더듬이, 세 마디로 된 발목 마디, 배 끝에 있는 가늘고 감각적인 미모(cerci)와 미모의 둥근 감각 털이 특징이다.[6] 이러한 특징을 모두 가진 곤충은 귀뚜라미상과가 유일하다.몸은 대부분 원통형이지만, 일부는 타원형이다. 땅강아지과(Gryllotalpidae)를 제외하면 더듬이는 길고 실 모양이며, 땅강아지과는 더 짧고 솔 모양이다. 앞가슴등판은 융기선이 없고, 흉판은 편평하며 날개나 가시가 없다. 발목 마디는 세 마디이며, 앞다리의 다리뼈에는 소리를 감지하는 고막 기관이 있다. 수컷의 앞날개에는 발음 기관이 있어, 한쪽 날개의 줄을 다른 쪽 날개의 긁개로 문질러 소리를 낸다. 배 끝에는 두 개의 미모(cerci)가 있으며, 생식기 아래 판에는 스타일러스가 없다.[6]
성충의 몸길이는 10mm에서 40mm 사이로 다양하다. 귀뚜라미는 26mm, 알락귀뚜라미는 14mm, 방울벌레는 20mm 정도이며, 개미귀뚜라미처럼 3mm밖에 안 되는 것도 있고, Tarbinskiellus portentosus영어처럼 40mm가 넘는 종류도 있다.[6]
몸 색깔은 주로 검정에서 갈색 계열이다.[6] 머리에는 긴 촉각이 있고, 배에는 한 쌍의 미모가 있으며, 암컷은 긴 산란관을 가진다.[6] 지상 또는 반지상 생활을 하는 종류는 가슴이 유연하여 머리만 통과하면 틈새를 빠져나갈 수 있다. 그러나 풀무치처럼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뒷다리는 길고 굵게 발달하여 이동이나 도약에 사용된다. 앞다리 경절에는 귀(현음 기관)가 있다.[5][6] 이 감각기가 자극되면 몸이 경직되어 포식자를 피하거나, 사람이 잡으면 가사 상태 (죽은 척)에 빠지기도 한다.[14]
수컷 성충은 앞날개에 발음기가 있어 종 특유의 울음소리를 낸다.[6] 발음기가 없거나, 날개가 퇴화하거나, 완전히 없는 경우도 있다.[6] 수목성 종류 중에는 날개가 있어도 수컷이 울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암컷은 날개맥이 직선적이지만, 수컷은 복잡한 무늬를 띤다. 참깨알과 같이 암컷은 날개가 없고 수컷만 울기 위한 앞날개를 가진 종류, 수컷이 우화 후 뒷날개가 떨어지는 종류도 있다.
성충은 날개를 가지고 비행하는 종류가 있다. 귀뚜라미상과는 환경 등의 영향으로 날개가 길게 발달하여 비행 가능한 장시형과, 짧아서 비행할 수 없는 단시형이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는 생육 과정에서 받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다. 유충 때 다리나 미모 등을 절단하거나, 고온/저온에 노출되면 단시형으로 우화하고, 적정 온도에서 성장하면 장시형으로 우화한다. 장시형으로 우화한 직후 다리를 잃으면 비행하지 않고 뒷날개를 탈락시켜 비행 능력을 포기한다. 이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체내 호르몬이 비행을 자제하도록 작용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3. 생태
논, 밭, 초원, 숲, 민가 주변 등 지상에 서식하지만, 건조지, 습지, 산지, 해안 등 환경에 따라 보이는 종류는 다르다. 대부분의 귀뚜라미는 야행성으로, 낮에는 풀밭이나 돌 밑, 구멍 등 그늘에 숨는 경우가 많다. 그 중에는 동굴성이거나 개미귀뚜라미처럼 개미의 집에 공생하는 것도 있다. 촉각, 꼬리 털, 귀 등의 감각 기관과 울음소리는 이러한 어두운 공간에 적응한 것이다. 야간에 지상을 배회하는 종류 중에는 비행하여 등불에 날아드는 것도 있다.[117]
천적은 사마귀, 거미, 지네, 개구리, 도마뱀, 조류 등이다. 이러한 천적과 마주쳤을 때는 뒷다리로 크게 뛰어 도주한다. 가사(擬死) 습성은 개구리처럼 움직이는 먹이를 노리는 천적에 의한 포식을 면하는 데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14] 또한, 습지에 적응한 종류는 수면에 떨어져도 물에 잘 뜨고, 인간의 평영처럼 뒷다리로 수면을 차서 꽤 빠른 속도로 헤엄친다.
; 산란, 라이프 사이클
보통 성충은 늦여름 - 가을에 나타나, 종에 따라 특유의 울음소리로 구애를 한다.[6][30] 교미가 끝난 암컷은 흙 속이나 식물의 조직 내에 알을 하나씩 낳는다. 암컷의 꼬리 끝에는 긴 산란관이 있으며, 산란 시 흙 속이나 식물의 조직 내에 산란관을 꽂는다.[15] 일본의 혼슈 등 온대 지방에 서식하는 것은, 겨울이 오기 전에 산란하여 죽고, 알로 월동하며, 따뜻해지면 부화하는 경우가 많다.[15] 이러한 귀뚜라미는 1년에 1번밖에 번식하지 않으므로, 대량 사육에는 적합하지 않다.[15]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사육되는 쌍별귀뚜라미와 유럽집귀뚜라미는 30°C 이상의 환경에서 1년 내내 산란하며, 사육 조건이 갖춰지면 폭발적으로 증식한다.[15] 애벌레는 작고 날개가 없는 것 외에는 성충과 매우 비슷하다.[16] 탈피 후 귀뚜라미의 깃털은 흰색을 띠며, 잠시 시간을 거쳐 깃털이 굳어 검게 변색된다. 또한, 자신의 탈피한 허물을 먹는 습성이 있다.
; 식사
완전한 초식이나 육식도 있지만, 대부분이 잡식으로 무엇이든 먹는다.[6][18][17] 자연계에서는 채소, 과일, 잎, 꽃, 곤충의 유충, 무척추동물의 사체 등 다양한 것을 먹는다.[18][17] 파충류의 먹이로 영양가가 높은 귀뚜라미를 사육하는 경우에는 귀리, 밀기울, 곡물, 열대어 먹이 등의 드라이 푸드나 고양이와 개의 애완동물 푸드, 신선한 채소와 과일 등을 준다.[22][18][19] 귀뚜라미용 푸드도 판매되고 있으며, 식물성 소재만으로 식사를 할 경우 단백질을 추가하는 보충제도 있다.[18] 공식은, 엄청난 수의 귀뚜라미가 밀집해 있고 먹이가 부족할 경우 발생하며, 충분한 식량과 은신처를 준비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20][22] 또한, 움직임이 둔하거나 죽은 귀뚜라미를 먹기 때문에, 죽은 것은 빨리 제거하도록 한다.[20][21][22]
4. 분류
귀뚜라미상과는 메뚜기목 귀뚜라미아목에 속하는 곤충 분류군이다. 이 상과에는 다음과 같은 과들이 포함되어 있다.[3]
- †Baissogryllidae
- Gryllidae - 진귀뚜라미 포함
- Oecanthidae - 나무 귀뚜라미와 "수풀 귀뚜라미"(미국식 용법) 포함
- Mogoplistidae - 비늘 귀뚜라미 및 관련 종
- Phalangopsidae - 거미 귀뚜라미, 딱정벌레 귀뚜라미 및 관련 종 (주로 남반구)
- †Protogryllidae - (서부-중앙 아시아)
- Pteroplistidae - (열대 아시아) 날개깃털 귀뚜라미
- Trigonidiidae - (전 세계)
- Nemobiinae 아과 - 나무 귀뚜라미 포함
- Trigonidiinae 아과 - '검꼬리 귀뚜라미', 트리그
다음은 이 상과에 속했었지만, 현재는 별도의 상과인 땅강아지상과로 분류된 과들이다.[4]
- 땅강아지과(Gryllotalpidae) - 땅강아지
- 개미귀뚜라미과(Myrmecophilidae) - 개미귀뚜라미



4. 1. 계통 관계
다음은 이 상과에 포함된 과들이다.[3]| 과 | 설명 |
|---|---|
| †Baissogryllidae | |
| Gryllidae | 진귀뚜라미를 포함한다. |
| Oecanthidae | 나무 귀뚜라미와 "수풀 귀뚜라미"(미국식 용법) 포함 |
| Mogoplistidae | 비늘 귀뚜라미 및 관련 종 |
| Phalangopsidae | 거미 귀뚜라미, 딱정벌레 귀뚜라미 및 관련 종 - 주로 남반구 |
| †Protogryllidae | (서부-중앙 아시아) |
| Pteroplistidae | (열대 아시아) - 날개깃털 귀뚜라미 |
| Trigonidiidae | (전 세계) |
| * Nemobiinae | 나무 귀뚜라미 포함 |
| * Trigonidiinae | 검꼬리 귀뚜라미, 트리그 |
귀뚜라미 상과(Grylloideala)의 현생 과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23]
{| class="wikitable"
|-
| Schizodactylidaela
|-
! '''귀뚜라미상과'''
|-
| 땅강아지과 Gryllotalpidaela
|-
! 광의의 귀뚜라미과
|-
| 개미귀뚜라미과 Myrmecophilidaela
|-
|
| 풀무치과 Mogoplistidaela |
| 귀뚜라미과 Gryllidaela |
|}
땅강아지과를 땅강아지상과 Gryllotalpoideala로 독립시키는 설도 있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나머지) 귀뚜라미상과와 땅강아지과는 근연으로 여겨진다. 또한 개미귀뚜라미과와 풀무치과를 풀무치상과 Mogoplistoideala로 독립시키는 설도 있지만,[24] 분자계통에서는 측계통이 된다. 반대로 자매군인 Schizodactylidaela를 귀뚜라미상과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 (Gwynne 1995).
귀뚜라미과(Gryllidaela)가 최대의 과이며, 많은 아과로 나뉜다. 이것을 몇 개의 과로 분할하는 설도 있다. 반대로 개미귀뚜라미과·풀무치과를 개미귀뚜라미아과 Myrmecophilinaela·풀무치아과 Mogoplistinaela로 귀뚜라미과에 포함시키는 설도 있다.
5. 울음소리
수컷 귀뚜라미는 날개를 비벼 울음소리를 내는데, 그 주파수는 4,000~5,000Hz이다.[25][32][26] 귀뚜라미의 귀(고막)는 앞다리 정강이에 있으며, 사람보다 넓은 주파수(수백Hz - 40kHz)의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27][32]
귀뚜라미 울음소리는 종에 따라 다르며, 소리를 내는 귀뚜라미는 110종이 알려져 있다.[28][29][53]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거나 영역을 알리기 위해, 또는 싸울 때 위협하기 위해 운다.[30] 쌍별귀뚜라미의 경우, 암컷을 유인하는 노래, 구애 노래, 수컷끼리 싸울 때 내는 투쟁 노래 등 세 종류의 울음소리를 낸다.[31][32] 이 울음소리들은 소리의 길이(리듬)와 높이(주파수)가 서로 달라 사람이 듣기에도 구별이 가능하다.[33][32][34]
5. 1. 울음소리 문화

수컷 귀뚜라미는 날개를 비벼 울음소리를 내는데, 주파수는 4,000~5,000Hz이다.[25][32][26] 귀뚜라미의 귀는 앞다리 정강이에 있으며, 사람보다 넓은 주파수의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27][32]
귀뚜라미 울음소리는 종에 따라 다르며, 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거나 영역을 알리기 위해 운다.[28][29][53][30] 쌍별귀뚜라미는 유인 노래, 구애 노래, 투쟁 노래 등 세 종류의 울음소리를 낸다.[31][32]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귀뚜라미를 "수컷이 특징적인 음악 같은 울음소리를 내는 곤충"으로 설명한다.[35]
;하바나 증후군
2016년 아바나에서 미국과 캐나다 외교관들이 겪은 하바나 증후군의 원인 중 하나로 귀뚜라미 울음소리가 지목되기도 했다.[36][37][38][39]

귀뚜라미 울음소리를 즐기는 문화는 고대 그리스부터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나타난다.[42] 그리스에서는 귀뚜라미를 애완동물로 길렀고,[42]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는 19세기 후반에 상자에 넣어 노래를 즐겼다.[43][44] 아프리카에서는 귀뚜라미 노래에 마력이 있다고 믿었다.[47][42] 이탈리아 피렌체에서는 매년 승천일에 귀뚜라미 페스티벌이 열린다.[62][63]
5. 1. 1. 음악, 문학, 연극, 영상 속 귀뚜라미
귀뚜라미를 길러 그 울음소리를 즐기는 문화는 고대 그리스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유럽이나 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볼 수 있다[42]。; 일본
일본에서는 귀뚜라미가 친근한 곤충 중 하나로, 『만엽집』(나라 시대인 8세기 후반)시대부터 그 울음소리에 멋을 느끼고 있었다[48]。헤이안 시대에는 우는 벌레를 상자에 넣어 소리를 즐기는 풍류가 귀족 계급에 유행했다[48][7]。기상청은 생물 계절 관측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역별 관측 선택 종목에 왕귀뚜라미의 초명일이 포함되어 있다[49][50]。
동물의 울음소리를 사람의 말에 적용하여 듣는 것을 "듣기 나름"이라고 하며[51][52], 왕귀뚜라미는 "꼬로꼬로…", "히요히요…" 등으로 표현된다. 동요 『벌레의 소리』에 등장하는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는 "키리키리키리키리"라는 의성어로 표현되어 있으며, 집귀뚜라미라고 한다[55][56]。
; 중국
중국에서는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를 즐기는 풍습이 당나라 천보 시대(8세기 중반)에 궁정에서 시작되었다[42]。현재도 대도시의 화조어충 시장에서 다양한 용기와 함께 귀뚜라미나 여치류 등 30종 이상의 벌레가 팔리고 있다[53]。귀뚜라미 용기는 영화 『마지막 황제』에도 등장하며, 영화에 등장하는 귀뚜라미는 아이신 교로 푸이를 상징한다고 한다[86][15]。
; 독일
독일의 우는 벌레 문화는 역사가 오래되어 1655년 목공예 취급업자의 판매품 카탈로그에 "귀뚜라미의 집" 항목이 있다[61][59]。20세기가 될 무렵, 독일의 우는 벌레 문화는 급속히 소멸해 갔다[61]。
;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는 피렌체의 귀뚜라미 페스티벌(Festa del grillo)이 역사가 깊고 유명하다[62][63]。1999년에 피렌체 시가 동물 보호를 위해 귀뚜라미 판매를 금지했기 때문에, 현재는 복제된 귀뚜라미를 넣어 판매하고 있다[62][63]。
; 음악
- 후쿠다 란도(1905 - 1976)의 샤쿠하치 독주곡 "벌레 달밤"은 귀뚜라미 우는 소리를 흉내 낸다.
- 다다 타케히코(1930 -) 남성 합창곡 "기노시타 모쿠타로의 시에서" 제2곡 "귀뚜라미".
- 문부성 창가의 "벌레의 소리"는 매미, 풀무치, 귀뚜라미(고어에서는 여치), 말귀뚜라미, 방울벌레의 음색을 "듣는 흉내"로 나타낸다.
- 조스캥 데 프레(1440? - 1521, 프랑스)의 세속 가곡 "귀뚜라미는 좋은 가수"는 귀뚜라미의 울음소리를 흉내 낸다.
- 샤를-발랑탱 알캉(1813 - 1888, 프랑스)의 야상곡 제4번 "귀뚜라미"는 피아노로 귀뚜라미 울음소리를 연주한다.
- 한국의 동요 "귀뚜라미 노랫자랑".
- 비틀즈의 앨범 『애비 로드』에 수록된 곡 『유 네버 기브 미 유어 머니』 (You Never Give Me Your Money)에는 다음 곡 『선 킹』 (Sun King)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카우벨과 귀뚜라미 울음소리 사운드 효과가 수록되어 있다.
- 빌리 조엘의 "굿나잇 사이공 - 영웅들의 진혼가"에는 곡 전후에 귀뚜라미 울음소리가 수록되어 있다.
6. 이용
귀뚜라미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 투계 (귀뚜라미 싸움): 중국에서는 8세기 중반 당나라 천보 시대에 궁정에서 귀족들의 놀이로 투계(斗蟋/추흥, 귀뚜라미 씨름)가 시작되었으며[42][83][84], 훗날 도박으로 발전하였다. 영역성이 강한 귀뚜라미의 투쟁심을 이용하며, 가을 (9 - 11월)에 수컷끼리 싸움을 붙인다[85][86]。
- 동물 사료: 개구리, 도마뱀, 대형 육식어와 같은 육식 애완동물을 위한 살아있는 먹이로 유럽 귀뚜라미나 쌍별귀뚜라미를 인공적으로 번식시켜 판매하기도 한다.[91]
- 가축 및 어류 사료: 대두, 옥수수, 어분 대신 귀뚜라미 등의 곤충을 활용하는 연구와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159][102][101] 유럽 연합에서는 2017년에 수산물, 2021년에 닭과 돼지 사료에 곤충을 사용하는 것이 인가되었으며, 귀뚜라미 등 7종의 곤충이 사료로 인정되고 있다.[106][107][108]
- 인간의 식량 (곤충 식용): 태국에서는 집귀뚜라미를 기름에 볶아 먹고, 대만에서는 타이완 왕귀뚜라미(Tarbinskiellus portentosus)를 구워 먹기도 하며, 중국 본토에서도 타이완 왕귀뚜라미와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땅귀뚜라미 등을 소스와 설탕을 발라 꼬치구이로 하거나, 설탕과 간장 등으로 조리는 요리가 있다.[202][8] 일본에서도 지역에 따라 식용으로 이용된 사례가 있다.[111][112] 귀뚜라미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식품과 마찬가지로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122]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안전한 식품이지만, 갑각류나 진드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216]
- 미래 식량으로서의 가치: 귀뚜라미는 단백질 1kg을 생산하는데 소는 10kg, 돼지는 5kg, 닭은 2.5kg의 사료가 필요한 반면, 귀뚜라미는 1.7-2.1kg으로 생산할 수 있다.
| 품목 | 질량 |
|---|---|
| 소 | 10kg |
| 돼지 | 5kg |
| 닭 | 2.5kg |
| 귀뚜라미 | 1.7 - 2.1kg |
귀뚜라미는 단백질과 지방의 균형이 좋고, 탄수화물은 식이 섬유의 키틴이 많아 당질이 적다.[186][173][174][175] 지방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의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186] 비타민과 미네랄도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186][176][177][178][179]
| 약자 | 항목 | 분량(g) |
|---|---|---|
| - | 총 지방 | 7.9 |
| - | 콜레스테롤 | 98.5 mg |
| 14:0 | 미리스토산 | 0.059 |
| 15:0 | 펜타데칸산 | 0.01 |
| 16:0 | 팔미트산 | 1.72 |
| 16:1 | 팔미톨레산 | 0.085 |
| 17:0 | 헵타데칸산 | 0.019 |
| 18:0 | 스테아르산 | 0.654 |
| 18:1 | 올레산 | 1.64 |
| 18:2 | 리놀레산 | 2.07 |
| 18:3 | 리놀렌산 | 0.349 |
| 20:0 | 아라키드산 | 0.019 |
| 20:1 | 에이코센산 | 0.014 |
| 20:4 | 아라키돈산 | 0.014 |
| 20:5 | 에이코사펜타엔산 | 0.044 |
- 약용: 과거 일본에서는 귀뚜라미를 복용하면 해열 및 이뇨 작용이 있으며, 이질이나 소아 경련 등에 효과가 있다는 민간요법이 있었다.[243]
6. 1. 투계 (귀뚜라미 싸움)
중국에서는 8세기 중반 당나라 천보 시대에 궁정에서 귀족들의 놀이로 투계(斗蟋/추흥, 귀뚜라미 씨름)가 시작되었으며[42][83][84], 훗날 도박으로 발전하였다. 남송 말기의 재상 가사도는 투계에 몰두하여 귀뚜라미 씨름 사육서인 『촉직경』을 저술했다[84][15]。
영역성이 강한 귀뚜라미의 투쟁심을 이용, 가을 (9 - 11월)에 수컷끼리 싸움을 붙인다[85][86]。 투분이라는 링에 두 수컷을 넣고 쥐 수염으로 만든 붓으로 촉각 등을 자극하면 흥분하여 서로 물고 던지는 격렬한 싸움을 벌인다[86][87]。 이긴 귀뚜라미는 진 귀뚜라미에게 "리리리리리"하며 승리의 울음소리를 내고 링을 한 바퀴 돌기 때문에 승패를 쉽게 알 수 있다[85][86][87]。 우승한 귀뚜라미는 "충왕", "장군" 등의 칭호를 얻는다[88]。
싸움은 몇 분 만에 끝나지만, 8월 말에 귀뚜라미를 구하여 9월에 연습 경기를 통해 강한 귀뚜라미를 선발하고, 10 - 11월에 "충왕"을 결정하는 챔피언 대회를 즐기는 과정이 있다[87]。 역사적으로 투견 등과 같이 도박으로 번성해 왔으나[88][48][15], 오늘날에는 내기뿐만 아니라 건전한 오락이나 민족적 활동으로 여겨져 스포츠 경기 대회로도 인정받고 있다[85]。
중국 투계에는 왕귀뚜라미, 긴꼬리귀뚜라미, 참귀뚜라미 등이 사용된다[48][85]。 귀뚜라미는 전용 한약이 개발될 정도로 소중히 사육되며, 강한 개체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진다[48][85]。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잠시 쇠퇴했으나, 현재 베이징, 톈진, 상하이 등 전국 각지에 귀뚜라미 협회가 있어 다양한 규모의 시합과 대회가 개최된다[89][83]。 이러한 투계는 사육 기술, 도구, 미술 공예, 곤충학, 문학 등 귀뚜라미 문화를 고도로 발달시켰다[48][86][90]。
투계는 대만, 발리 섬, 일본에도 전해졌다[85]。 타마 동물공원에서는 귀뚜라미 씨름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85], 일본에서는 참귀뚜라미, 대만귀뚜라미, 밭귀뚜라미, 긴꼬리귀뚜라미, 알락귀뚜라미 등이 사용된다[85]。
6. 2. 동물의 사료
개구리, 도마뱀, 대형 육식어와 같은 육식 애완동물을 위한 살아있는 먹이로 유럽 귀뚜라미나 쌍별귀뚜라미를 인공적으로 번식시켜 판매하기도 한다.[91] 주로 펫샵에서 파충류용 먹이로 판매되며, 1993년부터 귀뚜라미를 파충류 먹이로 양식하는 "츠키요노 팜"에서는 쌍별귀뚜라미를 100g(약 100마리)당 2000JPY 정도에 구할 수 있다.[31][92][93] 귀뚜라미는 변온 동물이므로, 애완동물에게 주기 전에 냉장고에 넣어 차갑게 하면 움직임이 둔해져서 애완동물이 잡기 쉬워진다.[22][176]
파충류의 고요산혈증·통풍은 귀뚜라미 먹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탈수, 신장 장애, 단백질(퓨린체를 많이 포함) 과다 섭취이다.[94] 특히 초식성 파충류는 단백질 과다 섭취로 통풍이 자주 발생하며, 고양이 사료를 먹는 그린 이구아나가 대표적이다.[94] 잡식성인 수염도마뱀은 성장하면서 식성이 곤충식에서 채소식 중심으로 바뀌기 때문에, 성체에게 귀뚜라미와 같이 동물성 단백질이 많은 먹이를 주면 비만이나 통풍이 생길 수 있다.[95][96][97] 수염도마뱀의 통풍은 탈수, 기아, 비만, 신장 기능 장애, 유전적 소인 등 여러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98][99]
12마리의 수염도마뱀 성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중의 1%에 해당하는 귀뚜라미를 섭취한 후 평균 최대 4mg/dL의 혈장 요산치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48시간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왔다.[100] 식사량은 최대 요산 농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100] 따라서 수염도마뱀의 임상 평가를 위해 샘플을 채취할 때는 채혈 전 48시간 이상 음식을 제한해야 한다.[100] 파충류는 식후 질소 최종 생성물의 순환 농도 피크가 늦게 나타나며, 육식 뱀이나 도마뱀은 쥐를 섭취한 후 혈중 요산 농도가 최소 4~5일 동안 높게 유지된다.[100] 그러므로 파충류의 요산치를 측정할 때는 일시적인 고요산혈증과 임상적인 고요산혈증을 구별하기 위해 단식 후 채혈하여 재측정해야 한다.[94]
6. 2. 1. 가축 및 어류 사료
가축 및 어류 사료로 대두, 옥수수, 어분 대신 귀뚜라미 등의 곤충을 활용하는 연구와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159][102][101]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사육을 완전 자동화하는 등 곤충이 이미 가축 및 어류 사료로 이용되고 있다.[102][108][103][104][105] 유럽 연합에서는 2017년에 수산물, 2021년에 닭과 돼지 사료에 곤충을 사용하는 것이 인가되었으며, 귀뚜라미 등 7종의 곤충이 사료로 인정되고 있다.[106][107][108]6. 3. 인간의 식량
곤충 식용태국에서는 집귀뚜라미를 기름에 볶아 먹는데, 맛이 없고 먹기 쉽다고 한다. 대만에서는 타이완 왕귀뚜라미(Tarbinskiellus portentosus)를 구워 먹기도 하며, 중국 본토에서도 타이완 왕귀뚜라미와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땅귀뚜라미 등을 소스와 설탕을 발라 꼬치구이로 하거나, 설탕과 간장 등으로 조리는 요리가 있다.[202][8] 아프리카 왕귀뚜라미(Brachytrupes membranaceus)는 나이지리아, 카메룬, 콩고 공화국 등에서 먹고 있다.
일본에서도 지역에 따라 식용으로 이용된 사례가 있다.[111][112] 1919년 곤충학자 미야케 쓰네카타가 정리한 "식용 및 약용 곤충에 관한 조사" 목록에 따르면, 여러 현에서 귀뚜라미를 식용으로 사용했다는 보고가 있다.[111][112][203] 니가타현, 후쿠시마현, 나가노현, 야마가타현 일부 지역에서는 귀뚜라미를 먹어왔다는 기록이 여러 문헌에 남아있다.[114][115][116][129][113] 조리법으로는, 열탕에 데쳐서 조린 것을 호로쿠 냄비에 볶거나, 메뚜기처럼 된장으로 가공하거나, 설탕 간장이나 꿀 간장으로 조리는 쓰쿠다니 등이 있다.[114][115][116] 주로 왕귀뚜라미, 좀귀뚜라미, 방울벌레의 유충이나 성충이 이용되었다.[115][116]
일본의 식용 귀뚜라미는 곡물 위주의 양계 사료로 길러지는 경우가 많다.
2021년부터 귀뚜라미 양식 회사 "그리라스"는 밀 식품 가공에서 나오는 밀 밀기울을 베이스로 한 음식물 쓰레기를 100% 먹이로 사용하며, 2023년 1월 현재 연간 약 5ton의 귀뚜라미 파우더를 생산하고 있다. 캄보디아에서 귀뚜라미 양식 농가를 묶는 "ecologgie(에콜로기)"는 2021년부터 캄보디아 식품 공장에서 나오는 푸드 로스를 회수·가공한 것을 먹이로 사용한다. "하이젠트 테크놀로지 주식회사"는 떡 공장에서 발생하는 찹쌀 쌀겨를 귀뚜라미 먹이로 활용하고, "ACORN 덕의 바람 프로젝트" 및 "올코세이"는 푸드 로스로 폐기된 상추 겉잎 등을 귀뚜라미 먹이로 사용한다.
| 약자 | 항목 | 분량(g) |
|---|---|---|
| - | 총 지방 | 7.9 |
| - | 콜레스테롤 | 98.5 mg |
| 14:0 | 미리스토산 | 0.059 |
| 15:0 | 펜타데칸산 | 0.01 |
| 16:0 | 팔미트산 | 1.72 |
| 16:1 | 팔미톨레산 | 0.085 |
| 17:0 | 헵타데칸산 | 0.019 |
| 18:0 | 스테아르산 | 0.654 |
| 18:1 | 올레산 | 1.64 |
| 18:2 | 리놀레산 | 2.07 |
| 18:3 | 리놀렌산 | 0.349 |
| 20:0 | 아라키드산 | 0.019 |
| 20:1 | 에이코센산 | 0.014 |
| 20:4 | 아라키돈산 | 0.014 |
| 20:5 | 에이코사펜타엔산 | 0.044 |
귀뚜라미는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식품과 마찬가지로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122] 식품 안전성 여부를 따지기 전에, 어떤 식재료든 처음 먹는 경우에는 제조 관리가 잘 된 것을 소량씩 섭취하는 것이 기본이다.[200][203][201][202] 야생 귀뚜라미는 무엇을 먹었는지 알 수 없으므로, 채집 후 1일 정도 절식시켜 장 내용물을 비우거나 제거한 후 조리해야 한다. 또한 병원체 부착 위험이 있으므로 불에 익혀 조리해야 한다.[203][154][204][205]
양식 귀뚜라미는 사육·가공·보존 과정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에 오염될 수 있다.[201] 기생충에 의한 식중독 위험은 어패류나 야생 조수육과 마찬가지로 있으므로, 충분한 가열 처리가 필요하다.[201] 곤충 이탈 및 침입 관리를 통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201]
곤충은 포유동물과 계통적으로 달라, 조류 인플루엔자나 광우병 등 인수공통감염병이나 식중독을 매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201][206][207][208] 2023년 초, 식품안전위원회가 귀뚜라미 식용을 위험하다고 경고했다는 이야기가 퍼졌지만, 이는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의 평가 과정 문서를 소개한 것뿐이며,[209] 2021년 EFSA는 갑각류 알레르기 등을 가진 사람에게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 외에는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210][211][212]
곤충식 사육업자는 위생적인 설비에서 식용 귀뚜라미를 사육·생산하며, 야생 귀뚜라미와 달리 다른 식품과 같은 수준의 안전성을 유지하고 있다.[202][213][140] 유럽 식품 안전청(EFSA)은 "안전한 식품이지만, 갑각류나 진드기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216]
국립병원기구 사가미하라 병원 자료에 따르면, 새우 알레르기 환자 중 게에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65%, 갑각류와 연체류, 조개류의 교차 반응성은 20% 정도이다.[222][223] FAO 보고서는 절지동물 알레르기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 위험이 낮을 것이라고 한다.[11][224] 새우·게 알레르기 반응이 있어도 메뚜기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례도 보고되었다.[202] 갑각류 알레르기가 없는데도 곤충 식용으로 심각한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킨 사례는 과도한 수면 부족과 육체 피로가 원인이라고 한다.[201]
태국과 중국에서는 누에고치나 메뚜기를 먹고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킨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지만,[201][208] 태국에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이 늘었다는 보고는 없다.[125] 귀뚜라미 식품 판매원 TAKEO는 갑각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에게 섭취를 권장하지 않는다.[219] 갑각류 및 근연 알레르기 반응 경험이 있거나 알레르기 검사에서 반응을 보인 사람은 귀뚜라미 섭취 및 접촉을 신중하게 해야 한다.[219]
요산은 적정량이면 문제가 없지만, 과다 생성 및 배출 불균형으로 축적되면 체온이 낮은 신체 말초부에서 결정화되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227][232] 고요산혈증·통풍 환자 및 위험군은 퓨린을 많이 함유한 다른 식품(육류, 어패류, 알코올 등)과 마찬가지로 귀뚜라미 섭취량에 유의해야 한다.[228][239][241][242]
6. 3. 1. 미래 식량으로서의 가치
귀뚜라미는 예로부터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별한 맛은 없지만, 먹는 먹이에 따라 맛이 크게 달라진다.[109][116][9][10] 아프리카 중남부,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전통적으로 먹으며, 다양한 종류의 귀뚜라미가 시장에서 대량으로 판매된다.[9][10][110]단백질 1kg을 생산하기 위해 소는 10kg, 돼지는 5kg, 닭은 2.5kg의 사료가 필요한 반면, 귀뚜라미는 1.7-2.1kg으로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양식 귀뚜라미의 먹이가 기존의 배합 사료일 경우, 환경 부하 및 단백질 전환 효율은 품종 개량으로 성장 효율이 우수한 닭과 거의 같다.
| 품목 | 질량 |
|---|---|
| 소 | 10kg |
| 돼지 | 5kg |
| 닭 | 2.5kg |
| 귀뚜라미 | 1.7 - 2.1kg |
곤충은 사람이나 다른 가축의 식량으로 사용하지 않는 음식물 폐기물과 농작물 잔사로도 길러지며, 폐기물을 유용한 단백질로 변환하고, 자라는 과정에서 생기는 분뇨도 비료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유럽 집 귀뚜라미(Acheta domesticus)의 성장과 단백질 전환 효율은 사료의 질에 따라 달라지며, 단백질이 "묽은 저품질" 유기 폐기물에서는 수확 가능한 크기로 자라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도쿄농공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귀뚜라미는 음식물 쓰레기에서는 양계 사료에 비해 성장이 느리지만, 쌀겨, 밀기울, 두부를 동시에 주면 성장 속도가 빨라진다.
귀뚜라미는 단백질과 지방의 균형이 좋고, 탄수화물은 식이 섬유의 키틴이 많아 당질이 적다.[186][173][174][175] 지방은 다중 불포화 지방산의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 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186] 비타민과 미네랄도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다.[186][176][177][178][179] 단백질은 생체 중량당 약 20%, 건조 중량당 50~70%로,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와 동등한 양이 포함되어 있다.[180][181][182] 또한, 9가지 종류의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적절한 비율로 포함하는 완전 단백질이며,[183] 아미노산 스코어 등이 높기 때문에 양질의 단백질원이라고 생각된다.[184][185][186][187]
곤충식의 경우, 특유의 반응이나 독성이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식품 섭취 시와 마찬가지의 주의가 필요하다.[122]
식용 곤충의 알레르겐은 여러 개로 추정되는데[201], 그중 트로포미오신이 확실시되고 있다.[217][218] 절지동물 등을 섭취·접촉했을 때 교차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203][201][219][220][221][222][223]
귀뚜라미의 퓨린 함유량은 육류와 동등하거나 다소 높으며, 종류, 발달 단계, 성별, 가공 및 조리에 따라 다르다.[238][233] 유럽 집 귀뚜라미(Acheta domesticus) 암컷이 100g당 601mg(수분 70%일 경우 180.3mg), 수컷이 696mg(수분 70%일 경우 208.8mg)으로, "일반적인 식육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다소 높다"라는 결론이었다.[238][239]
6. 4. 약용
과거 일본에서는 귀뚜라미를 복용하면 해열 및 이뇨 작용이 있으며, 이질이나 소아 경련 등에 효과가 있다는 민간요법이 있었다. 해열 작용에 관해서는 그리피린(grypyrin)이라는 유효 성분이 발견되어 1950년대에 연구된 적이 있다.[243]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
서적
The Saltatoria - Bush-Crickets, Crickets and Grass-Hoppers of Northern Europe
https://books.google[...]
BRILL
[3]
웹사이트
Superfamily Grylloidea - Laicharting, 1781
http://orthoptera.sp[...]
2024-11-03
[4]
웹사이트
superfamily Gryllotalpoidea Leach, 1815: Orthoptera Species File
http://orthoptera.sp[...]
2023-09-01
[5]
문서
日本大百科全書』小学館、『世界大百科事典』平凡社、『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TBSブリタニカによる。
[6]
웹사이트
コオロギ(読み)こおろぎ(英語表記)cricket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4-28
[7]
웹사이트
蟋蟀(読み)こおろぎ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3-04-28
[8]
서적
中国食用昆虫
科学出版社有限责任公司
2016-01-01
[9]
웹사이트
シンガポール食品安全庁(SFA)、昆虫の規制枠組みに関するファクトシート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3-31
[10]
웹사이트
食用昆虫の養殖技術の普及
https://isaph.jp/pro[...]
特定非営活動法人ISAPH
2023-03-31
[11]
웹사이트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https://www.fao.org/[...]
fao
2023-03-01
[12]
웹사이트
食糧難対策で推奨の昆虫食、SNSになぜ蔓延「陰謀論」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03-29
[13]
웹사이트
《なぜ炎上?》昆虫食の専門家が語った「反コオロギ騒動」の背景にある誤解と圧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3-03-29
[14]
뉴스
コオロギ「死んだふり」のナゾ押さえたぞ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6-22
[15]
서적
最強の食材 コオロギフードが地球を救う
小学館新書
2021-07-29
[16]
웹사이트
common name: house cricket scientific name: Acheta domesticus (Linnaeus) (Insecta: Orthoptera: Gryllidae)
https://entnemdept.u[...]
University of Florida
2023-05-04
[17]
웹사이트
What Do Crickets Eat: Diet Guide
https://pestsguide.c[...]
PestsGuide.com
2023-05-04
[18]
웹사이트
What Do Crickets Eat & What To Feed Them
https://earthlife.ne[...]
EarthLife.net
2023-05-04
[19]
웹사이트
Keeping - Breeding Crickets - 2
https://web.archive.[...]
Herp Center
2023-05-04
[20]
웹사이트
How cannibal crickets choose their victims
https://news.mongaba[...]
mongabay
2023-05-04
[21]
웹사이트
Cannibal Crickets
https://www.snexplor[...]
Science News Explores
2023-05-04
[22]
웹사이트
Crickets
http://www.theamphib[...]
THEAMPHIBIAN.co.uk
2023-05-04
[23]
간행물
Phylogeny of Ensifera (Hexapoda: Orthoptera) using three ribosomal loci, with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acoustic communication
[24]
간행물
鳴く虫セレクション 音に聴く虫の世界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
[25]
웹사이트
2.どのようにして鳴くの?
http://www.tokorozaw[...]
所沢私立教育センター
2022-05-16
[26]
웹사이트
Biology of Insect Song
https://songsofinsec[...]
Songs of Insects
2022-05-16
[27]
웹사이트
コオロギはヒトと似た構造の耳をもつ
https://www.hokudai.[...]
北海道大学
2023-05-04
[28]
웹사이트
House Crickets Acheta domesticus Order Orthoptera, Family Gryllidae
https://crawford.tar[...]
BUG OF THE MONTH: March 1998
2023-05-04
[29]
웹사이트
【配布資料】今日からはじめる自然観察「鳴く虫の聞き分けは意識のチューニング」
https://www.nacsj.or[...]
日本自然保護協会
2022-05-17
[30]
서적
鳴く虫の科学
誠文堂新光社
[31]
간행물
フタホシコオロギ
https://doi.org/10.5[...]
日本比較内分泌学会
2023-05-11
[32]
웹사이트
【コオロギの専門家が解説!】コオロギの鳴き声の種類と、その深いワケ?
https://magazine.gry[...]
gryllus
2023-05-04
[33]
웹사이트
No Effect of Body Size on the Frequency of Calling and Courtship Song in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https://www.ncbi.nlm[...]
PLoS One.
2023-05-04
[34]
웹사이트
FLUKER’S CRICKET BIOLOGY GUIDE
https://web.archive.[...]
flukerfarms
2023-05-04
[35]
웹사이트
日本人にとって虫の音は貴族の風流な遊びだった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ス
2022-05-16
[36]
웹사이트
マイクロ波兵器ではない?ハバナ症候群の原因、機密解除の報告書が指摘した意外な結論
https://globe.asahi.[...]
朝日新聞グローブ
2022-05-16
[37]
웹사이트
キューバの米外交官襲った謎の音、正体はコオロギ? 録音解析で新説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22-05-16
[38]
웹사이트
Why Crickets Just Won't Shut Up
https://www.kqed.org[...]
KQED
2022-05-16
[39]
뉴스
A Declassified State Department Report Says Microwaves Didn't Cause "Havana Syndrome"
https://www.buzzfeed[...]
2022-05-16
[40]
웹사이트
Recording of “sonic attacks” on U.S. diplomats in Cuba spectrally matches the echoing call of a Caribbean cricket
https://www.biorxiv.[...]
2022-05-16
[41]
웹사이트
「キューバによる音響攻撃だ」ともいわれたノイズ音が「コオロギの鳴き声」だった可能性が浮上
https://gigazine.net[...]
GIGAZINE
2022-05-16
[42]
서적
文化昆虫学事始め 第5章 昆虫鑑賞~鳴く虫を楽しむ~(加納康嗣)
創森社
2014-08-20
[43]
서적
鳴く虫文化誌―虫聴き名所と虫売り
HSK
2011-09-01
[44]
서적
虫・人・自然
養徳社
[45]
서적
昆虫の劇場-あるいは小さな生き物たち
[46]
서적
世界大博物図鑑1昆虫
平凡社
[47]
서적
虫の惑星
[48]
웹사이트
虫を聴く文化
https://www.jataff.o[...]
公益社団法人農林水産・食品産業技術振興協会
2022-05-16
[49]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9-10-28
[50]
웹사이트
生物季節観測平年値
https://official.rik[...]
理科年表オフィシャルサイト
2023-01-25
[51]
웹사이트
聞きなし
https://orbis-pictus[...]
目にみえるいきもの図鑑
2022-05-17
[52]
웹사이트
聞き做し(ききなし) の意味
https://dictionary.g[...]
goo辞書
2022-05-17
[53]
서적
図鑑 日本の鳴く虫
エムピージェー
[54]
서적
鳴く虫セレクション
東海大学出版会
[55]
서적
日本唱歌集
岩波書店
[56]
웹사이트
朝日カルチャーセンター千葉教室「漢文を楽しむ」加藤徹担当 平成二十九年(2017)9月4日(旧暦七月十四)
http://www.isc.meiji[...]
2023-04-27
[57]
웹사이트
虫を聴く文化
https://www.jataff.o[...]
公益社団法人農林水産・食品産業技術振興協会
2022-05-16
[58]
웹사이트
コラム
http://nakumushi.jus[...]
日本鳴く虫保存会
2022-05-17
[59]
서적
虫たちの謎めく生態
[60]
웹사이트
学芸室から 鳴く虫と虫かご
https://japan-toy-mu[...]
日本玩具博物館
2022-05-16
[61]
웹사이트
Heuschrecken als Hausmusikanten
https://dgfo-articul[...]
Hans W. Smettan
2022-05-16
[62]
웹사이트
Storia e origini della Festa del Grillo
https://www.firenzet[...]
FirenzeToday
2022-05-16
[63]
웹사이트
La festa del grillo al Parco delle Cascine
https://www.fiorenti[...]
Fiorentini nel Mondo
2022-05-16
[64]
서적
文化昆虫学事始め 第9章 昆虫音楽の楽しい世界(柏田雄三)
創森社
2014-08-20
[65]
웹사이트
楽しい“虫音楽”の世界(その18鳴く虫を愛でるのは日本人だけ?)
http://www.jppn.ne.j[...]
植物防疫 第71巻第2号(2017年)
2022-05-16
[66]
웹사이트
Marcel Amont - La chanson du grillon
https://www.youtube.[...]
YouTube
2022-05-16
[67]
웹사이트
The Essential Marcos Valle, Vol. 2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2-06-30
[68]
웹사이트
Interview: Marcos Valle (Part 2)
https://www.jazzwax.[...]
Jazz Wax
2022-06-30
[69]
서적
The Complete Beatles Recording Sessions
Hamlyn / EMI
[70]
서적
The Words and Music of Billy Joel
ABC-CLIO
[71]
웹사이트
Katydids at Night – 9 Hour Sleep Sound – Katydids and Crickets
https://www.youtube.[...]
YouTube - SleepySounds
2016-10-21
[72]
웹사이트
Sleep Sounds - relaxing sounds
https://play.google.[...]
Google Play
2022-05-16
[73]
웹사이트
昆虫シリーズ35 鳴く虫 コオロギ、キリギリスの仲間
http://www.forest-ak[...]
あきた森づくり活動サポートセンター
2022-05-17
[74]
웹사이트
企画展「小泉八雲」『骨董』のお話
https://library.meis[...]
明星大学
2020-12-24
[75]
웹사이트
Ode to Autumn
http://www.bartleby.[...]
Bartleby
2015-05-09
[76]
웹사이트
On the Grasshopper and Cricket / JOHN KEATS
https://www.poetryfo[...]
POETRY FOUNDATION
2019-10-27
[77]
서적
The Minor Writings of Charles Dickens
Elliot Stock
[78]
서적
Le Avventure di Pinocchio
Biblioteca Universale Rizzoli
1883
[79]
웹사이트
『困ったときには口笛を』歌詞の意味・和訳
https://www.worldfol[...]
世界の民謡・童謡
2022-05-16
[80]
웹사이트
コオロギくんとバイオリン
https://eiga.com/mov[...]
映画.com
2022-05-16
[81]
웹사이트
【ズデネック・ミレルの作品】「コオロギくんとバイオリン」
https://ameblo.jp/a-[...]
2020-05-18
[82]
웹사이트
Words We're Watching: 'Crickets' A word for the sound of silence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2-05-16
[83]
웹사이트
vol.14 国も滅ぼす面白さ!?──コオロギ相撲
https://www.keiryou-[...]
日本計量新報社
2023-04-28
[84]
서적
闘蟋 中国のコオロギ文化
大修館書店
[85]
웹사이트
コオロギ相撲の教材化
https://www.ed.ehime[...]
愛媛大学教育学部紀要 第53巻 第1号 137~148 2006
2023-04-28
[86]
웹사이트
闘コオロギ
https://web.archive.[...]
農林水産技術情報協会
2023-04-28
[87]
웹사이트
「こだわり会館」 その一瞬が文化を生む 闘うコオロギ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23-04-28
[88]
웹사이트
コオロギを闘わせ最強の虫王を決める中国伝統の昆虫バトル「闘蟋(とうしつ)」
https://karapaia.com[...]
カラパイア
2023-04-28
[89]
웹사이트
路地裏にいきづく皇都 ~中国・北京
https://web.archive.[...]
NHK
2023-04-28
[90]
웹사이트
闘蟋 中国のコオロギ文化
https://www.taishuka[...]
大修館書店
2023-04-28
[91]
웹사이트
FEEDER CRICKETS
https://allanspetcen[...]
Allan’s Pet Center
2023-04-27
[92]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s://tsukiyonofar[...]
月夜野ファーム
2023-04-07
[93]
웹사이트
国産昆虫シリーズ第7弾は「群馬こおろぎ 燻製」
https://takeo.tokyo/[...]
TAKEO
2023-04-07
[94]
간행물
The Amount of Food Ingested and Its Impact on the Level of Uric Acid in the Blood Plasma of Snakes
https://www.mdpi.com[...]
2022-01
[95]
웹사이트
Bearded Dragon Nutrition
https://azeah.com/li[...]
Arizona Exotic Animal Hospital
2023-04-27
[96]
웹사이트
How Often Do You Feed a Bearded Dragon (Feeding Chart by Age)
https://reptile.guid[...]
reptile.guide
2023-04-28
[97]
웹사이트
What Causes Gout in Bearded Dragons?
https://dubiaroaches[...]
Dubia.com
2023-04-27
[98]
웹사이트
What is Gout?
https://wagwalking.c[...]
Wag Labs
2023-04-27
[99]
웹사이트
Gout
https://reptifiles.c[...]
ReptiFiles
2023-04-27
[100]
간행물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ricket ingestion on plasma uric acid concentration in inland bearded dragons (Pogona vitticeps)
https://pubmed.ncbi.[...]
2020-11-01
[101]
웹사이트
INSECTS AS LIVESTOCK FEED
https://sustainabled[...]
Sustainable Development
2023-04-22
[102]
간행물
The Potential Role of Insects as Feed: A Multi-Perspective Review
2019-03
[103]
웹사이트
ハイテク工場で昆虫からタンパク質を生産…環境に優しい飼料として
https://www.business[...]
businessinsider
2023-04-24
[104]
웹사이트
Insects as animal feeds
https://thefishsite.[...]
The Fish Site
2023-04-22
[105]
웹사이트
バイオ廃棄物をサステイナブルな動物飼料にアップサイクルするために活用される、ブラックソルジャーフライ幼虫の可能性
https://insight.eisn[...]
EIS Insight
2023-04-27
[106]
웹사이트
Insect Protein for Animal Feed
https://www.michelmo[...]
michelmores
2023-05-01
[107]
웹사이트
Authorisation to use certain proteins of animal origin to feed non-ruminant farmed animals
https://food.ec.euro[...]
European Union
2023-04-30
[108]
웹사이트
Why Insect Meal Will Be the New Feed for Animals in Aquaculture
https://www.technolo[...]
Technology Networks
2023-04-22
[109]
웹사이트
昆虫は「何かの代わり」じゃない。個性を活かす料理づくり by ANTCICADA
https://food-in.jp/e[...]
FOOD-IN
2023-04-01
[110]
웹사이트
FAOも動き出した! 「昆虫食」が世界の食糧問題を変える?!
https://www.elle-ros[...]
株式会社エル・ローズ
2023-04-15
[111]
서적
昆虫食のすすめ ~現代語訳 食用・薬用昆虫に関する調査 大正8年~
温故知新文庫
2022-02-06
[112]
웹사이트
食用及薬用昆虫に関する調査
https://agriknowledg[...]
農事試驗場特別報告(1919年1月、農務省)
2023-03-27
[113]
웹사이트
「やっぱり長野がやらなくちゃ」長野県立大学とクリケットファームが食用コオロギの共同研究を開始。 地元に根付く昆虫食文化を産学連携で後押し
https://prtimes.jp/m[...]
2023-03-04
[114]
간행물
昆虫食文化事典〔新訂普及版〕
八坂書房
[115]
간행물
世界昆虫食大全
八坂書房
2008-11-01
[116]
웹사이트
長野県は昆虫食が有名だが、コオロギを食べる食文化はあるのか。
https://crd.ndl.go.j[...]
国立国会図書館 レファレンス協同データベース
2023-03-28
[117]
웹사이트
動物性タンパク質源である昆虫食のエネル ギー的可能性
https://gakkai.sfc.k[...]
Keio SFC journal 17 (1), 186-207, 2017
2023-04-24
[118]
웹사이트
国際連合食糧農業機関(FAO)、食品及び飼料における昆虫類の役割に注目した報告書を公表|内閣府 食品安全委員会
https://www.fsc.go.j[...]
2023-03-04
[119]
웹사이트
論文紹介:「食用昆虫は未来?(Edible insects are the future?)」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3-29
[120]
웹사이트
「タンパク質危機(プロテインクライシス)」が2050年に訪れる理由とその解決策とは?
https://futokoro.san[...]
FOOD LAB
2023-04-16
[121]
웹사이트
Insects for food and feed|fao of UN
https://www.fao.org/[...]
2023-03-04
[122]
웹사이트
Safety of frozen and dried formulations from whole house crickets (Acheta domesticus) as a Novel food pursuant to Regulation (EU) 2015/2283|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https://efsa.onlinel[...]
2023-03-29
[123]
뉴스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22/188 of 10 February 2022 authorising the placing on the market of frozen, dried and powder forms of Acheta domesticus as a novel food under Regulation (EU) 2015/2283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and amending Commission Implementing Regulation (EU) 2017/2470
https://eur-lex.euro[...]
EU Commission
2022-02-11
[124]
웹사이트
Six-legged livestock: edible insect farming, collection on and marketing in Thailand(2013)
https://www.fao.org/[...]
fao
2023-03-31
[125]
웹사이트
反コオロギ派の人にも知ってほしい「昆虫食」のリアルな話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3-03-31
[126]
웹사이트
タイのコンビニに「揚げ昆虫スナック」 外国人の間で話題に
https://bangkok.keiz[...]
バンコク経済新聞
2023-04-16
[127]
웹사이트
スーパーで買えるタイの虫スナック。
https://www.arukikat[...]
地球の歩き方
2023-04-16
[128]
웹사이트
昆虫は食材だ!身近な虫を採って食べよう
https://gogo.wildmin[...]
WILD MIND GO! GO!(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2023-04-16
[129]
웹사이트
なぜ今食用コオロギが注目されている?メリットやおすすめ商品5選も
https://spaceshipear[...]
spaceshipearth
2023-04-10
[130]
웹사이트
You’re going to be eating crickets, so just get over it
https://www.cnet.com[...]
Cnet
2023-05-01
[131]
서적
Insects As Food and Feed: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https://e-insects.wa[...]
2017-09-15
[132]
논문
‘Insects as Food and Feed: If You Can't Beat Them, Eat Them!'—To the Magnificent Seven and Beyond
2021-04-03
[133]
웹사이트
昆虫食・昆虫飼料市場の全貌がわかる「昆虫食カオスマップ 2019」公開
https://bugsgroove.c[...]
BUGS GROOVE
2023-04-23
[134]
웹사이트
昆虫食を「サーキュラーフード」にアップデートする:連載 The Next Innovators(2) グリラス 渡邉崇人
https://wired.jp/art[...]
wired
2023-04-24
[135]
웹사이트
MUJI’s Cricket Crackers Are Constantly Sold Out. Here Is Why Insect Food Is Suddenly Trendy In Japan
https://www.forbes.c[...]
forbes
2023-03-05
[136]
웹사이트
若者も食にはコンサバ、「昆虫食」イヤ80% :フードテックへの関心低い ―18歳意識調査
https://www.nippon.c[...]
ニッポンドットコム
2023-04-23
[137]
웹사이트
代替肉や昆虫食など普及へ 農水省がフードテック推進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3-05
[138]
웹사이트
フードテック官民協議会、推進ビジョンとロードマップ案を発表--概要レポート
https://japan.cnet.c[...]
cnet
2023-03-05
[139]
웹사이트
食用コオロギが食料危機を救う? 拡大する昆虫食市場、日本では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3-03-05
[140]
웹사이트
コオロギの食品および飼料原料としての利用における安全確保のための生産ガイドライン(コオロギ生産ガイドライン)
https://www.knsk-osa[...]
昆虫ビジネス研究開発プラットフォーム
2023-03-05
[141]
웹사이트
食料問題を解決?昆虫食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5-26
[142]
웹사이트
ムーンショット型研究開発制度
https://www8.cao.go.[...]
内閣府
2023-03-05
[143]
웹사이트
ムーンショット型研究開発制度 研究開発プロジェクト
https://www8.cao.go.[...]
内閣府
2023-04-16
[144]
웹사이트
"「破壊的イノベーションを創出せよ」内閣府が主導するムーンショット計画とは"
https://descartes-se[...]
HR MEDIA
2021-04-14
[145]
웹사이트
FAOも推奨 「ムーンショット目標5」に盛り込まれた昆虫食は食糧危機を救うスーパーフード!
https://shizen-hatch[...]
HATCH
2021-10-01
[146]
웹사이트
ムーンショット型農林水産研究開発事業について
https://www.affrc.ma[...]
農林水産技術会議
2023-03-06
[147]
웹사이트
目標5:2050年までに、未利用の生物機能等のフル活用により、 地球規模でムリ・ムダのない持続的な食料供給産業を創出
https://www.naro.go.[...]
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支援センター
2023-03-06
[148]
웹사이트
コオロギは危険な食材なのか?専門家が解説する「コオロギ食」騒動の真相
https://jbpress.isme[...]
Japan Business Press
2023-04-10
[149]
웹사이트
給食に出て話題になったコオロギなどの「昆虫食」--安全性や価格、生産ガイドラインは?
https://japan.cnet.c[...]
CNET Japan
2023-03-08
[150]
웹사이트
6 参考(ムーンショット目標5について)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3-05-02
[151]
웹사이트
食品残渣等を利用した昆虫の食料化と飼料化
https://www.naro.go.[...]
農研機構
2023-05-02
[152]
웹사이트
地球規模の食料問題の解決と人類の宇宙進出に向けた昆虫が支える循環型食料生産システムの開発
https://if3-moonshot[...]
ムーンショット型農林水産研究開発事業
2023-03-05
[153]
웹사이트
もう食べずにはいられない…!? 栄養満点で地球に優しい「昆虫食」の“底力”
https://www.nhk.jp/p[...]
NHK
2022-02-18
[154]
서적
おいしい昆虫記
ナツメ社
2020-09-16
[155]
문서
虫を食べる人びと
平凡社
2012-05-12
[156]
웹사이트
Energy-efficient food production to reduce global warming and ecodegradation: The use of edible insects
https://linkinghub.e[...]
Volume 15, Issue 9, December 2011, Pages 4357-4360
2023-03-01
[157]
간행물
The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as a novel food: a risk profile
[158]
서적
『vesta』 129号 来るべき未来の食 「日本の誇る資源、昆虫(水野壮)」
味の素食の文化センター
2023-01-12
[159]
웹사이트
“手乗り家畜”昆虫が拓く養殖ビジネスの展望
https://synodos.jp/o[...]
synodos
2015-05-08
[160]
웹사이트
Crickets Are Not a Free Lunch: Protein Capture from Scalable Organic Side-Streams via High-Density Populations of Acheta domesticus
https://journals.plo[...]
PLoS ONE
2015-04-15
[161]
간행물
Crickets Are Not a Free Lunch: Protein Capture from Scalable Organic Side-Streams via High-Density Populations of Acheta domesticus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162]
간행물
Feed Conversion, Survival and Development, and Composition of Four Insect Species on Diets Composed of Food By-Products
null
[163]
뉴스
【第7回】無印良品で話題の『コオロギせんべい』 良品計画が昆虫食を開発した裏側に迫る
https://the-owner.jp[...]
2021-04-20
[164]
웹사이트
米ぬかを最大限利用した、 循環型で持続可能なコオロギ餅の販売を開始 米処・山形から ~伝統食で未来を学ぶ。~
https://www.atpress.[...]
atpress
2022-11-28
[165]
웹사이트
NTT東日本が昆虫食ビジネスに参入 グリラスの食用コオロギの効率的かつ大量の飼育に向けてICTを活用してサポート
https://ovo.kyodo.co[...]
OVO
2023-01-26
[166]
웹사이트
コオロギに熱い視線 環境配慮の次世代たんぱく源 昆虫食、1000億円市場へ【けいざい百景】
https://www.jiji.com[...]
時事通信社
2023-02-22
[167]
웹사이트
ECOLOGGIE インタビュー
https://concricket.c[...]
MNH
2023-04-03
[168]
웹사이트
【早大発ベンチャー】亀田製菓の関連会社をはじめとする複数企業のフードロスを活用し、コオロギを量産へ
https://prtimes.jp/m[...]
prtimes
2022-04-26
[169]
웹사이트
"「広島もみじコオロギ」養殖事業"
http://www.acorn-goo[...]
ACORN徳の風プロジェクト
2023-03-31
[170]
웹사이트
リーフレタスの残渣を食用コオロギの飼料にすることで 年間7,200キロの食品ロスの削減に貢献 株式会社オールコセイと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が業務提携を発表
https://yab.yomiuri.[...]
ドリームニュース
2023-04-04
[171]
간행물
Complete nutrient content of four spec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feeder insects fed enhanced diets during growth
Wiley-Liss
[172]
간행물
Complete nutrient composition of commercially raised invertebrates used as food for insectivores
Wiley-Liss
[173]
서적
昆虫食入門
平凡社
2012-04-15
[174]
서적
むしくいノート びっくり!たのしい!おいしい!昆虫食のせかい
カンゼン
2013-11-08
[175]
간행물
日本の食用昆虫
https://dl.ndl.go.jp[...]
家屋害虫研究会
2003-11
[176]
書적
昆虫食スタディーズ: ハエやゴキブリが世界を変える
化学同人
2022-02-23
[177]
웹사이트
昆虫と食文化
https://www.l.yamagu[...]
107 山口県立大学学術情報 第2号 〔大学院論集〕 2009年3月
2023-04-22
[178]
웹사이트
Evaluation on Nutritional Value of Field Crickets as a Poultry Feedstuff
https://www.cricketf[...]
2023-04-22
[179]
웹사이트
Nutritive evaluations of laboratory-reared edible field cricket Coiblemmus compactus Chopard, 1928 (Orthoptera: Gryllidae), for utilising them as an alternate protein source
https://www.research[...]
The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Zoology
2023-05-04
[180]
웹사이트
栄養価やアレルギー、安全性など昆虫食の疑問にお答えします
https://takeo.tokyo/[...]
TAKEO
2021-06-02
[181]
학술지
Protein qua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cricket and mealworm powder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82]
학술지
Chapter 18 - Insects for Human Consumption
https://allthingsbug[...]
[183]
웹사이트
What Is Cricket Powder And How Is It Used?
https://www.insectgo[...]
InsectGourmet.com
2023-04-22
[184]
웹사이트
Protein quality of four indigenous edible insect species in Nigeria
https://www.scienced[...]
Food Science and Human Wellness Volume 7, Issue 2, June 2018, Pages 175-183
2023-04-19
[185]
학술지
Nutritional composition and safety aspects of edible insects
2013-05
[186]
웹사이트
Nutritional Value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us) and Fiel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https://www.research[...]
Foo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2023-04-22
[187]
웹사이트
From Farm to Fork: Crickets as Alternative Source of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https://www.frontier[...]
Front. Nutr., 10 August 2021 Sec. Nutritional Epidemiology Volume 8 - 2021 | https://doi.org/10.3389/fnut.2021.704002
2023-04-22
[188]
웹사이트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10th Edition. 6Protein and Amino Acids
https://www.ncbi.nlm[...]
NIH
2023-04-24
[189]
웹사이트
Dietary protein quality evaluation in human nutrition
https://www.fao.org/[...]
fao
2023-04-24
[190]
웹사이트
Pork Products Have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s (DIAAS) That Are Greater Than 100 When Determined in Pigs, but Processing Does Not Always Increase DIAAS
https://www.scienced[...]
The Journal of Nutrition Volume 150, Issue 3, March 2020, Pages 475-482
2023-04-24
[191]
학술지
The impact of protein quality on the promotion of resistance exercise-induced changes in muscle mass
[192]
학술지
Protein Digestibility-Corrected Amino Acid Scores and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s Differentially Describe Protein Quality in Growing Male Rats
[193]
학술지
Some Insect Species Are Good-Quality Protein Sources for Children and Adults: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 (DIAAS) Determined in Growing Pigs
https://pubmed.ncbi.[...]
2022-04-01
[194]
학술지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quality of plant- And animal-sourced proteins based on the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
2020-10
[195]
학술지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digital.libr[...]
2016-02-02
[196]
학술지
Protein - Which is Best?
[197]
웹사이트
Can the digestible indispensable amino acid score methodology decrease protein malnutrition
https://doi.org/10.1[...]
Animal Frontiers
2023-04-25
[198]
웹사이트
栄養士直伝!アミノ酸を効果的に摂るおすすめ食事術
https://www.ajinomot[...]
「味の素®」 マガジン
2023-04-27
[199]
웹사이트
アミノ酸スコアとは。スコアが高い食品はどれ?
https://cp.glico.jp/[...]
グリコ
2023-04-21
[200]
웹사이트
昆虫の食物アレルギーへのTAKEOの対応
https://takeo.tokyo/[...]
TAKEO
2023-04-02
[201]
웹사이트
昆虫食品の安全性と国内外の動向
http://www.mac.or.jp[...]
食品分析開発センターSUNATEC
2023-03-06
[202]
책
昆虫食のデマとリアル 燃え上がるコオロギ
メンダー吉田出版
2023-04-03
[203]
학술지
昆虫食・昆虫料理をめぐる心理的要因の検討に向けて
https://doi.org/10.1[...]
法政大学文学部
[204]
웹사이트
ドイツ連邦リスク評価研究所(BfR)、消費者モニターの特別版を公表し、生の食品の健康リスクが過少評価されている結果について報告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4-18
[205]
웹사이트
昆虫は食べても大丈夫なの?安全性について考える。
https://semitama.jp/[...]
昆虫食のセミたま
2023-04-13
[206]
웹사이트
昆虫の食糧保障、暮らし そして環境への貢献
https://www.fao.org/[...]
fao
2023-03-02
[207]
학술지
昆虫食受容に関する心理学的研究の動向と展望
https://doi.org/10.4[...]
日本心理学会
2023-05-11
[208]
웹사이트
Road to The Red Carpet of Edible Crickets through Integration into the Human Food Chain with Biofunctions and Sustainability: A Review
https://pdfs.semanti[...]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05-06
[209]
웹사이트
欧州食品安全機関(EFSA)、新食品としてのヨーロッパイエコオロギ(Acheta domesticus)についてリスクプロファイル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3-04
[210]
웹사이트
欧州食品安全機関(EFSA)、新食品としてのヨーロッパ・イエコオロギ(Acheta domesticus)由来の冷凍及び乾燥調製品(formulations)の安全性を評価した科学的意見書を公表
https://www.fsc.go.j[...]
食品安全委員会
2023-03-04
[211]
웹사이트
「食品安全委員会がコオロギ食に注意喚起」は不正確 欧州の検討過程の説明
https://litmus-factc[...]
リトマス
2023-03-07
[212]
웹사이트
「2018年に内閣府食品安全委員会がコオロギ食の危険性を記載」は不正確【ファクトチェック】
https://factcheckcen[...]
日本ファクトチェックセンター(JFC)
2023-03-14
[213]
웹사이트
コオロギが食用って…なぜ?
https://www3.nhk.or.[...]
NHK
2023-03-07
[214]
웹사이트
Entomophagy: A Narrative Review on Nutritional Value, Safety, Cultural Acceptance and A Focus on the Role of Food Neophobia in Italy
https://www.mdpi.com[...]
Eur. J. Investig. Health Psychol. Educ.
2020
[215]
웹사이트
食品安全関係情報詳細
https://www.fsc.go.j[...]
2023-03-03
[216]
웹사이트
EU認定の昆虫食品で誤情報拡散 政治家も参戦
https://www.afpbb.co[...]
AFPBB
2023-04-02
[217]
논문
エビアレルギー患者における甲殻類と食用昆虫Gryllus bimaculatusの交差アレルゲン性【JST・京大機械翻訳】
https://jglobal.jst.[...]
[218]
웹사이트
昆虫食の安全性とアレルギーについて
http://takeo.tokyo/n[...]
2017-07-08
[219]
웹사이트
食物アレルギーに関するFAQ
https://takeo.tokyo/[...]
2022-03-04
[220]
웹사이트
コオロギを食べて起こるアレルギーは、エビやダニアレルギーと関係する?|堀向健太 医学博士 日本アレルギー学会指導医 日本小児科学会指導医
https://news.yahoo.c[...]
2023-03-03
[221]
웹사이트
コオロギ・昆虫食の安全性に関する見解|FUTURENAUT株式会社
https://futurenaut.c[...]
2023-03-29
[222]
웹사이트
甲殻類、軟体類、貝類アレルギー|食物アレルギー研究会 国立病院機構相模原病院 臨床研究センター アレルギー性疾患研究部
https://www.foodalle[...]
2023-04-05
[223]
웹사이트
技術用語解説 甲殻類アレルゲン|日本食品科学工学会誌 2008年 55巻 11号 p.571
https://www.jstage.j[...]
2023-04-05
[224]
웹사이트
《世界が注目》昆虫食の基礎知識・速習用まとめ解説!
https://engineer-edu[...]
日本アイアール株式会社
2021-11-15
[225]
웹사이트
NPO法人食用昆虫科学研究会
https://shockonken.o[...]
2018-07-12
[226]
웹사이트
痛風・高尿酸血症
https://kompas.hosp.[...]
2017-03-22
[227]
웹사이트
尿酸と鳥類
https://www.odagawa.[...]
2018-03-19
[228]
웹사이트
痛風
https://www.msdmanua[...]
MSDマニュアル プロフェッショナル版
2023-04-27
[229]
웹사이트
「尿酸」って何ですか?
https://www.skk-net.[...]
三和化学研究所
2023-05-04
[230]
웹사이트
痛風・高尿酸血症
https://kounyousan.j[...]
2022-01-24
[231]
웹사이트
尿酸 Uric Acid 〜痛風リスクと抗酸化作用のジレンマ〜
https://www.chem-sta[...]
2022-08-15
[232]
웹사이트
尿酸こぼれ話 第3回 恐竜は痛風に苦しんでいた 監修:室原 豊明 先生 名古屋大学大学院医学系研究科 循環器内科学教授
https://med.skk-net.[...]
2016-12-26
[233]
논문
Changes in purine and uric acid content in edible insects during culinary processing
2023-03
[234]
논문
Purine derivate content and amino acid profile in larval stages of three edible insects.
https://www.semantic[...]
[235]
논문
THE RENAL EXCRETION OF URIC ACID IN PATIENTS WITH GOUT AND IN NONGOUTY SUBJECTS
https://www.jci.org/[...]
1959-11-01
[236]
논문
Uric acid in multiple sclerosis
https://doi.org/10.1[...]
2006-04-01
[237]
웹사이트
「尿酸」って何ですか?
https://www.skk-net.[...]
三和化学研究所
2023-05-04
[238]
논문
Sex-dependent differences in purine and uric acid contents of selected edible insects
https://www.scienced[...]
2021-03-01
[239]
웹사이트
コオロギはプリン体が他の食品と比べて10倍以上高いのですか?|TAKEO株式会社
https://takeo.tokyo/[...]
2023-03-29
[240]
웹사이트
Investigating purine and uric acid contents of various development stages of artificially reared edible insects
https://www.wagening[...]
Journal of Insects as Food and Feed: 9 (1)- Pages: 77 - 85
2022-06-13
[241]
웹사이트
高尿酸血症・痛風の治療ガイドライン第3版|公益財団法人 日本医療機能評価機構
https://minds.jcqhc.[...]
2023-03-13
[242]
웹사이트
高尿酸血症の食事
https://www.e-health[...]
厚生労働省
2023-04-27
[243]
서적
昆虫食文化事典 《新訂普及版》
八坂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Arachnocephalus vestitus ([[Mogoplistidae]])](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