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계적 확대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계적 확대율(Mechanical advantage, MA)은 기계 장치가 입력된 힘을 증폭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지레, 도르래, 기어, 체인 및 벨트 구동과 같은 다양한 기계 시스템에서 기계적 확대율의 원리가 적용된다. 이상적인 기계의 경우 입력과 출력의 속도비가 기계적 확대율과 같지만, 실제 시스템에서는 마찰, 변형, 마모 등으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여 기계적 효율이 감소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구학 - 링크 (기구)
    링크 기구는 강체 링크들이 이상적인 조인트로 연결된 시스템으로, 고대부터 연구되어 산업혁명 시대 증기기관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컴퓨터 지원 설계와 함께 로봇, 공작 기계, 생물학적 시스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기구학 - 4절 링크
    4절 링크는 4개의 링크가 4개의 1자유도 관절로 연결된 기구로, 관절 조합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링크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그라쇼프 조건은 움직임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기계 시스템에 활용되는 기계 공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 역학 - 운동량
    운동량은 물체의 질량과 속도의 곱으로 정의되는 벡터량으로, 외부 힘이 작용하지 않는 계에서는 보존되며, 충돌, 충격량, 질량 변화, 상대론, 해석역학, 전자기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역학 분야에서 중요한 물리량으로 다뤄진다.
  • 역학 - 역학 (물리학)
    역학은 물체의 운동과 힘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로, 고대부터 뉴턴의 고전 역학 정립,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거쳐 현대 역학으로 발전해 왔으며, 다양한 하위 분야와 공학 분야에 응용되고 뉴턴의 운동 법칙을 기본 원리로 한다.
기계적 확대율
개요
정의힘의 이득을 측정하는 도구
활용주어진 입력 힘에 대해 장치가 출력 힘을 얼마나 증폭시키는지 나타냄
특징장치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총 에너지는 변경하지 않음
이상적인 경우손실이 없는 경우, 입력 전력과 출력 전력이 같음
종류
지레1종 지레
2종 지레
3종 지레
도르래단일 고정 도르래
단일 이동 도르래
복합 도르래
톱니바퀴평행 축 기어
직각 축 기어
웜 기어
경사면경사면을 따라 물체를 밀어 올리는 데 필요한 힘을 줄임
나사회전 운동을 선형 운동으로 변환
유압 장치파스칼의 원리를 이용하여 힘을 증폭
계산
공식기계적 이득 = 출력 힘 / 입력 힘
변수출력 힘: 장치가 가하는 힘
입력 힘: 장치에 가하는 힘
이상적인 기계적 이득
정의마찰이나 변형이 없는 이상적인 장치의 기계적 이득
계산이상적인 기계적 이득 = 출력 거리 / 입력 거리
변수출력 거리: 장치가 출력 힘을 가하는 거리
입력 거리: 장치가 입력 힘을 받는 거리
실제 기계적 이득
정의마찰이나 변형을 고려한 실제 장치의 기계적 이득
특징항상 이상적인 기계적 이득보다 작음
에너지 보존
원리기계적 이득은 장치가 수행하는 데 필요한 총 에너지를 변경하지 않음
설명힘을 증폭시키는 대신, 장치가 힘을 가하는 거리를 줄임

2. 기계적 이점의 원리

이상적인 기계 장치에서 동력 입력과 출력이 같으면, 시스템의 입력-출력 속도비로 기계적 이점을 계산할 수 있다.

토크 ''TA''가 가해지고 각속도 ''ωA''로 회전하는 구동 풀리에 대한 기어 열의 동력 입력은 ''P''=''TAωA''이다. 동력 흐름이 일정하므로 출력 기어의 토크 ''TB''와 각속도 ''ωB''는 다음 관계를 만족해야 한다.

:P = T_A \omega_A = T_B \omega_B, \!

따라서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다.

: \mathit{MA} = \frac{T_B}{T_A} = \frac{\omega_A}{\omega_B}.

이는 이상적인 기계 장치의 경우 입력-출력 속도비가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과 같음을 보여준다. 이는 로봇에서 링크 기구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계 시스템에 적용된다.

두 개의 스프로킷이 체인으로 연결되거나 두 개의 풀리가 벨트로 연결된 메커니즘은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 특정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체인 또는 벨트의 속도 ''v''는 두 스프로킷 또는 풀리와 접촉할 때 동일하다.

: v = r_A \omega_A = r_B \omega_B,\!

여기서 입력 스프로킷 또는 풀리 ''A''는 피치 반경 ''rA''를 따라 체인 또는 벨트와 맞물리고, 출력 스프로킷 또는 풀리 ''B''는 피치 반경 ''rB''를 따라 이 체인 또는 벨트와 맞물린다. 따라서

: \frac{\omega_A}{\omega_B} = \frac{r_B}{r_A} = \frac{N_B}{N_A}.

여기서 ''NA''는 입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이고 ''NB''는 출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이다. 톱니 벨트 구동의 경우, 스프로킷의 톱니 수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찰 벨트 구동의 경우 입력 및 출력 풀리의 피치 반경을 사용해야 한다.

입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가 ''NA''이고 출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가 ''NB''인 체인 구동 또는 톱니 벨트 구동 쌍의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다.

: \mathit{MA} = \frac{T_B}{T_A} = \frac{N_B}{N_A}.

마찰 벨트 구동의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다.

: \mathit{MA} = \frac{T_B}{T_A} = \frac{r_B}{r_A}.

체인과 벨트는 마찰, 늘어짐 및 마모를 통해 동력을 소모하므로, 실제 출력 동력은 입력 동력보다 적다. 즉, 실제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은 이상적인 메커니즘에 대해 계산된 값보다 작다. 체인 또는 벨트 구동은 마찰 열, 변형 및 마모를 통해 시스템에서 최대 5%의 동력을 손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 효율은 95%이다.

2. 1. 지레

지레는 고정된 지점이나 그 위에 부착되거나 위치한 받침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일 수 있는 막대이다. 지레는 받침점 또는 회전축에서 서로 다른 거리에 힘을 가하여 작동한다. 받침점의 위치는 지레의 종류를 결정한다. 지레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형 2종 지레 역할을 한다. 지레의 끝점의 움직임은 기계적 에너지를 교환할 수 있는 고정된 궤도를 설명한다. (예로 손잡이 크랭크 참조)

현대에는 이러한 종류의 회전식 지렛대가 널리 사용된다. (회전식) 2종 지레, 기계적 동력 전달 방식에서 사용되는 기어, 도르래 또는 마찰 구동을 참조하라. 기계적 이점을 둘 이상의 기어(기어 세트)를 사용하여 '축소된' 형태로 조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기어 세트에서는 반경이 작고 고유한 기계적 이점이 적은 기어가 사용된다. 축소되지 않은 기계적 이점을 사용하려면 '실제 길이' 회전 지레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특정 유형의 전기 모터 설계에 기계적 이점을 통합한 것을 참조하라. 한 가지 설계는 '아웃러너'이다.

지레가 받침점에서 회전하면 이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이 회전축에 더 가까운 지점보다 더 빠르게 움직인다. 지레의 일률은 동일하므로 계산을 할 때 동일하게 나와야 한다. 일률은 힘과 속도의 곱이므로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에 가해지는 힘은 더 가까운 지점에 가해지는 힘보다 적어야 한다.[1]

''a''와 ''b''가 받침점에서 지점 ''A''와 ''B''까지의 거리이고, ''A''에 가해지는 힘 ''FA''가 입력 힘이고 ''B''에서 가해지는 힘 ''FB''가 출력 힘인 경우, 지점 ''A''와 ''B''의 속도 비율은 \frac{a}{b}로 주어지므로 출력 힘 대 입력 힘의 비율, 즉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athit{MA} = \frac{F_b}{F_a} = \frac{a}{b}.

이것이 아르키메데스가 기하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공식화한 ''지레의 법칙''이다.[2] 이는 받침점에서 입력 힘이 가해지는 지점(지점 ''A'')까지의 거리 ''a''가 받침점에서 출력 힘이 가해지는 지점(지점 ''B'')까지의 거리 ''b''보다 크면 지레가 입력 힘을 증폭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받침점에서 입력 힘까지의 거리가 받침점에서 출력 힘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면 지레가 입력 힘을 감소시킨다. 지레의 법칙의 심오한 의미와 실용성을 인지한 아르키메데스는 "나에게 서 있을 곳을 주면 지레로 온 세상을 움직이겠다"는 유명한 말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3]

지레의 정적 분석에서 속도의 사용은 가상 일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2. 2. 도르래

도르래 조합은 도르래와 로프를 조립하여 하중을 들어 올리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여러 개의 도르래를 조립하여 블록을 형성하는데, 하나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하중과 함께 움직인다. 로프는 도르래를 통과하여 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증폭시키는 기계적 이점을 제공한다.[4]

도르래 조합의 기계적 이점은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로프 섹션의 수와 같다. 여기서는 각각 2, 3, 4, 5, 6이다.


도르래 조합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을 결정하기 위해 단일 고정 도르래와 단일 이동 도르래가 있는 건 태클(gun tackle)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로프는 고정 블록 주위로 꿰어지고 움직이는 블록으로 떨어져 도르래 주위를 통과하여 고정 블록에 매듭을 짓는다.

''S''를 고정 블록의 축에서 로프 끝까지의 거리, ''A''는 입력 힘이 가해지는 지점이라고 하자. ''R''을 고정 블록의 축에서 이동 블록의 축까지의 거리, ''B''는 하중이 가해지는 지점이라고 하자.

로프의 총 길이 ''L''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L = 2R + S + K, \!

여기서 ''K''는 도르래 위를 통과하고 도르래 조합이 움직이면서 변하지 않는 로프의 상수 길이이다.

점 ''A''와 ''B''의 속도 ''V''A와 ''V''B는 로프의 상수 길이에 의해 관련된다.

:\dot{L}=2\dot{R} + \dot{S}=0,

또는

: \dot{S} = -2\dot{R}.

음수 부호는 하중의 속도가 가해진 힘의 속도와 반대임을 보여준다. 이는 로프를 아래로 당기면 하중이 위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V''A를 아래 방향 양수, ''V''B를 위 방향 양수라고 하면, 이 관계는 속도비로 쓸 수 있다.

: \frac{V_A}{V_B} = \frac{\dot{S}}{-\dot{R}} = 2,

여기서 2는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로프 섹션의 수이다.

''F''A를 로프 끝 ''A''에 가해지는 입력 힘, ''F''B를 이동 블록의 ''B''에서의 힘이라고 하자. 속도와 마찬가지로 ''F''A는 아래 방향으로, ''F''B는 위 방향으로 향한다.

이상적인 도르래 조합 시스템의 경우 도르래에 마찰이 없고 로프에 처짐이나 마모가 없으므로 가해진 힘 ''F''A''V''A에 의한 전력 입력은 하중 ''F''B''V''B에 작용하는 전력 출력과 같아야 한다.

:F_A V_A = F_B V_B.\!

출력 힘과 입력 힘의 비율은 이상적인 건 태클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이다.

:\mathit{MA} = \frac{F_B}{F_A} = \frac{V_A}{V_B} = 2.\!

이 분석은 ''n''개의 로프 섹션으로 지지되는 이동 블록이 있는 이상적인 도르래 조합으로 일반화된다.

:\mathit{MA} = \frac{F_B}{F_A} = \frac{V_A}{V_B} = n.\!

이것은 이상적인 도르래 조합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입력 힘의 ''n''배임을 보여주며, 여기서 ''n''은 이동 블록을 지지하는 로프 섹션의 수이다.

2. 3. 기어

기어 잇수는 기어의 잇수가 피치 원의 반지름에 비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맞물리는 기어의 피치 원이 미끄러짐 없이 서로 구르도록 설계되었다. 맞물린 기어 쌍의 속도비는 피치 원의 반지름 비율과 각 기어의 잇수 비율, 즉 기어비로 계산할 수 있다.

Animation: Small gear (left) and large gear (right) with a black background
두 개의 맞물린 기어는 회전 운동을 전달한다.


피치 원의 접촉점의 속도 ''v''는 두 기어에서 동일하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v'' = ''rAωA'' = ''rBωB''

여기서 입력 기어 ''A''의 반지름은 ''rA''이고, 반지름이 ''rB''인 출력 기어 ''B''와 맞물린다.

따라서,

:''ωA'' / ''ωB'' = ''rB'' / ''rA'' = ''NB'' / ''NA''

여기서 ''NA''는 입력 기어의 잇수이고 ''NB''는 출력 기어의 잇수이다.

입력 기어가 ''NA''개의 이빨을 가지고 출력 기어가 ''NB''개의 이빨을 갖는 맞물린 기어 쌍의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다.

:''MA'' = ''rB'' / ''rA'' = ''NB'' / ''NA''

이것은 출력 기어 ''G''B가 입력 기어 ''G''A보다 더 많은 잇수를 갖는 경우 기어 열이 입력 토크를 '증폭'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출력 기어가 입력 기어보다 적은 잇수를 갖는 경우 기어 열은 입력 토크를 '감소'시킨다.

기어 열의 출력 기어가 입력 기어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경우, 기어 열을 '감속기'(힘 증폭기)라고 한다. 이 경우, 출력 기어가 입력 기어보다 더 많은 잇수를 가져야 하므로, 감속기는 입력 토크를 증폭한다.

3. 속도비

이상적인 기계 장치는 동력 입력과 출력이 같으므로, 시스템의 입력-출력 속도비를 통해 기계적 이점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구동 풀리에 토크 ''TA''가 가해지고 각속도 ''ωA''로 회전하는 기어 열의 동력 입력은 ''P=TAωA''이다.

동력 흐름이 일정하므로, 출력 기어의 토크 ''TB''와 각속도 ''ωB''는 다음 관계를 만족한다.

: P = T_A \omega_A = T_B \omega_B, \!

따라서,

: \mathit{MA} = \frac{T_B}{T_A} = \frac{\omega_A}{\omega_B}.

즉, 이상적인 기계 장치에서 입력-출력 속도비는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과 같다. 이는 로봇에서 링크 기구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계 시스템에 적용된다.

4. 체인 및 벨트 구동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된 두 개의 스프로킷이나 풀리는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 특정한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체인이나 벨트의 속도 ''v''는 두 스프로킷 또는 풀리와 접촉할 때 동일하며,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 v = r_A \omega_A = r_B \omega_B,\!

여기서 입력 스프로킷 또는 풀리 ''A''는 피치 반경 ''rA''를 따라 체인 또는 벨트와 맞물리고, 출력 스프로킷 또는 풀리 ''B''는 피치 반경 ''rB''를 따라 이 체인 또는 벨트와 맞물린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의 각속도 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frac{\omega_A}{\omega_B} = \frac{r_B}{r_A} = \frac{N_B}{N_A}.

여기서 ''NA''는 입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이고 ''NB''는 출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이다. 톱니 벨트 구동의 경우, 스프로킷의 톱니 수를 사용할 수 있다. 마찰 벨트 구동의 경우 입력 및 출력 풀리의 피치 반경을 사용해야 한다.

입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가 ''NA''이고 출력 스프로킷의 톱니 수가 ''NB''인 체인 구동 또는 톱니 벨트 구동 쌍의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다.

: \mathit{MA} = \frac{T_B}{T_A} = \frac{N_B}{N_A}.

마찰 벨트 구동의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다.

: \mathit{MA} = \frac{T_B}{T_A} = \frac{r_B}{r_A}.

체인과 벨트는 마찰, 늘어짐 및 마모를 통해 동력을 소모하므로 실제 출력은 입력보다 작다. 즉, 실제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은 이상적인 경우보다 작다. 체인 또는 벨트 구동은 마찰 열, 변형 및 마모를 통해 시스템에서 최대 5%의 동력을 손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 효율은 95%이다.

7인치 크랭크와 26인치(지름) 바퀴가 장착된 18단 자전거를 예로 들어보자. 크랭크와 뒷바퀴의 스프라켓 크기가 같다면 지레의 법칙을 사용하여 타이어에 가해지는 출력 힘과 페달에 가해지는 입력 힘의 비율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mathit{MA} = \frac{F_B}{F_A} = \frac{7}{13} = 0.54.

앞 스프라켓은 28개와 52개, 뒷 스프라켓은 16개와 32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가정할 때, 다양한 조합을 사용하여 앞 스프라켓과 뒷 스프라켓 간의 속도비를 계산할 수 있다.

속도비 및 총 MA
scope="col"|입력 (소)입력 (대)출력 (소)출력 (대)속도비크랭크-휠 비율총 MA
로우 기어28321.140.540.62
중간 152320.620.540.33
중간 228160.570.540.31
하이 기어52160.300.540.16



자전거를 구동하는 힘과 페달에 가해지는 힘의 비율, 즉 자전거의 총 기계적 확대율은 속도비(또는 출력 스프라켓/입력 스프라켓의 톱니 수 비율)와 크랭크-휠 지레 비율의 곱이다.

모든 경우에 페달에 가해지는 힘이 자전거를 앞으로 밀어내는 힘보다 크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5. 효율

실제 기계 시스템에서는 마찰, 변형, 마모 등으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손실 때문에 실제 기계적 확대율(AMA)은 이상적인 기계적 확대율(IMA)보다 작아진다. 이상적인 기계적 이점(IMA)은 부품이 휘지 않고, 마찰이 없으며, 마모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계산된 값으로, 기계가 낼 수 있는 최대 성능을 의미한다.[1]

기계의 효율(η)은 이상적인 기계적 확대율(IMA)에 대한 실제 기계적 확대율(AMA)의 비율로 정의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

: \eta =\frac\mathit{AMA}\mathit{IMA}.

예를 들어, 6개의 로프 섹션과 약 272.16kg의 하중을 가진 도르래를 사용하는 이상적인 시스템에서 작업자는 로프를 6피트 당기고 100lbf의 힘을 가하여 하중을 1피트 들어 올릴 수 있다. 이 경우 ''F''out / ''F''in 및 ''V''in / ''V''out 비율은 IMA가 6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제 시스템에서는 도르래의 마찰 등으로 인해 힘 출력이 약 272.16kg 미만이 되고, 에너지 손실로 인해 MA는 6보다 작은 값을 갖게 된다. 이러한 손실을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 실제 기계적 확대율(AMA)이다.[1]

6. 역사적 배경

지레는 고정된 지점이나 그 위에 부착되거나 위치한 받침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일 수 있는 막대이다. 지레는 받침점 또는 회전축에서 서로 다른 거리에 힘을 가하여 작동한다. 받침점의 위치는 지레의 종류를 결정한다.

''a''와 ''b''가 받침점에서 지점 ''A''와 ''B''까지의 거리이고, ''A''에 가해지는 힘 ''FA''가 입력 힘이고 ''B''에서 가해지는 힘 ''FB''가 출력 힘인 경우, 지점 ''A''와 ''B''의 속도 비율은 \frac{a}{b}로 주어지므로 출력 힘 대 입력 힘의 비율, 즉 기계적 이점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mathit{MA} = \frac{F_b}{F_a} = \frac{a}{b}.

이것은 아르키메데스가 기하학적 추론을 사용하여 공식화한 ''지레의 법칙''이다.[2] 이는 받침점에서 입력 힘이 가해지는 지점(지점 ''A'')까지의 거리 ''a''가 받침점에서 출력 힘이 가해지는 지점(지점 ''B'')까지의 거리 ''b''보다 크면 지레가 입력 힘을 증폭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받침점에서 입력 힘까지의 거리가 받침점에서 출력 힘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면 지레는 입력 힘을 감소시킨다. 지레의 법칙의 심오한 의미와 실용성을 인지한 아르키메데스는 "나에게 서 있을 곳을 주면 지레로 온 세상을 움직이겠다"는 유명한 말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3]

7. 현대적 응용

현대 산업에서 기계적 이점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지레의 원리는 기어, 도르래, 마찰 구동 등 다양한 기계적 동력 전달 장치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기어 세트에서는 반경이 작은 기어를 사용하여 기계적 이점을 조절하며, 이는 입력 토크를 증폭하거나 감소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원리는 '아웃러너'와 같은 특정 유형의 전기 모터 설계에도 통합된다.[1]

기어 열에서 출력 기어가 입력 기어보다 더 많은 잇수를 갖는 경우 입력 토크가 증폭되고, 출력 기어가 더 적은 잇수를 갖는 경우에는 입력 토크가 감소된다. 출력 기어가 입력 기어보다 느리게 회전하는 기어 열은 '감속기'(힘 증폭기)라고 불리며, 입력 토크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2]

체인과 벨트를 이용한 동력 전달 시스템에서도 기계적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스프로킷이나 풀리의 피치 반경과 톱니 수를 조절하여 속도비를 변경하고, 이를 통해 기계적 이점을 조절한다. 하지만 마찰, 늘어짐, 마모 등으로 인해 실제 시스템의 기계적 이점은 이상적인 값보다 작을 수 있으며, 최대 5%의 동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3]

8. 한국의 관점

한국의 전통 도구와 기술에서 기계적 확대율, 즉 지레의 원리는 광범위하게 활용되었다. 예를 들어, 지렛대는 무거운 물건을 옮기거나 들어 올리는 데 사용되었으며, 도르래는 우물에서 물을 긷거나 건축 자재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다. 맷돌은 곡물을 가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는 회전형 2종 지레의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현대 한국 산업에서도 기계적 확대율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어도르래 시스템은 자동차, 선박, 건설 장비 등 다양한 기계 장치에서 힘과 속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여러 개의 기어를 조합하여 더 큰 기계적 이점을 얻는 방식은 널리 활용된다.

기술 발전과 관련하여,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는 기술 발전의 혜택이 사회 전체에 공정하게 분배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기계적 확대율을 이용한 자동화 기술은 생산성을 높이고 노동 환경을 개선할 수 있지만, 동시에 일자리 감소와 소득 불평등 심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술 발전과 함께 사회적 안전망 확충, 재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 적극적인 정책을 통해 모든 사회 구성원이 기술 발전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Theory of machines and mechanisms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A History of Mechanical Invention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reprinted by Dover Publications 1988) 2013-04-07
[3] 간행물 Book of Histories (Chiliades) 2
[4] 웹사이트 ConstructionKnowledge.net http://www.construc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