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국은 선박이 자국의 국기를 게양하고 등록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해당 국가는 선박에 대한 독점적인 통제권을 갖는다. 과거에는 기국이 해상 무역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에 보호를 제공하고, 자국 기국을 기준으로 항구를 폐쇄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선박은 기국에 등록되어야 하며, 많은 국가가 외국 선주에게도 등록을 개방하고 있다. 기국은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라 자국 선박이 국제 규정을 준수하도록 관리할 의무가 있으며, 이를 위해 기국 통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일부 국가들은 편의치적 제도를 통해 외국 선박의 등록을 유치하지만, 이로 인해 안전 규정 미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국가들이 자국 국기를 단 선박에 독점적인 보호를 제공하여 해상 무역 지배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켰다.
선박은 자국 국기를 게양하는 관할 구역의 선박 등록부에 등록해야 한다. 많은 국가의 국기 등록부는 외국 선주가 소유한 선박에 개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 기국은 하나의 선박 등록부만 가지고 있지만, 여러 국가가 2개 이상의 등록부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2. 역사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 국가들은 자국 국기를 게양하는 선박에 독점적인 보호를 제공함으로써 해상 무역에서 지배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는 해당 국가가 선박에 대한 독점적인 통제권을 갖도록 했다. 이 시기 선박 소유주들은 해적과 사략선으로부터 보호가 필요했고, 이는 기국 해군이 제공했다. 어떤 경우에는 국가가 조선 산업에 보조금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센티브 외에도, 국가는 자국 기국을 기준으로 제한을 가하여 다른 선박에 항구를 폐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이 적용된 잘 알려진 예시로 영국이 있는데, 영국은 아시아 상품의 수입을 미국 및 영국 선박으로만 제한했다. 영국은 스스로 강력한 위치를 확보한 후에야 항구를 개방했고, 이는 대륙의 다른 항구에 접근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와 유사하게 프랑스는 자국 식민지에 무역 독점권을 부과했고, 이는 1869년까지 유지되었다.
3. 선박 등록
3. 1. 다양한 선박 등록 제도
선박은 자국 국기를 게양하는 관할 구역의 선박 등록부에 등록되어야 한다. 많은 국가의 국기 등록부는 외국 선주가 소유한 선박에 개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각 기국은 하나의 선박 등록부만 가지고 있지만, 여러 국가가 2개 이상의 등록부를 가지고 있다.
4. 기국 통제
각 국가는 자체적인 기국 통제 시스템을 구축했다.
4. 1. 기국 통제의 의무
기국은 유엔 해양법 협약(UNCLOS)에 따라 자국 선박이 안전, 항해, 선원 등에 관한 국제 규정, 즉 유엔의 국제해사기구(IMO)가 채택한 규정을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제12부는 해양 환경 보호에 관한 특별 조항을 포함하며, 여기에는 MARPOL과 같은 국제 환경 법규 준수를 보장하기 위한 기국에 대한 특별 의무가 포함된다. 이를 준수하지 못하면 기국은 자국 선박에 대한 관할권을 상실할 수 있으며, 공해에서 위반 행위를 저지르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4. 2. 주요 국가의 기국 통제 기관
국가 | 기관 | 역할 및 담당 업무 |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해양 안전청(Australian Maritime Safety Authority) | 기국 통제 제공 |
캐나다 | 캐나다 교통부 | 2001년 캐나다 해운법에 따른 기국 통제 담당[5] |
프랑스 | 프랑스 선박 안전 센터(Centres de Sécurité des Navires) | 기국 통제 담당 |
홍콩 | 홍콩 해사처(Marine Department (Hong Kong))[6] | 기국 품질 관리 제도에 따른 기국 통제 및 집행 담당 |
인도 | 해운청(Directorate General of Shipping)[7] | 인도 등록 선박 및 인도 항구 정박 선박의 생명, 건강, 선박 및 환경 담당 |
영국 | 해사 및 해안 경비청(Maritime and Coastguard Agency (MCA)) | 기국 통제 담당 |
미국 | 미국 해안 경비대(United States Coast Guard) | 해양 검사 책임자(Officer in Charge Marine Inspections)를 통해 전 세계 운항 미국 선적 선박의 규정 준수 여부 검사 (여러 연방법, 규정 및 국제 협약 및 조약에 따름) |
바누아투 | 바누아투 해사청 | 해양법 시행 및 기국 통제 행사[8] |
5. 편의치적과 문제점
일부 기국은 "편의치적국"으로 알려져 있다. 편의치적은 외국 선주나 해운 회사가 비용 절감을 위해 등록하는 국가의 기를 말한다. 세금 감면과 낮은 사회 및 안전 규정이 편의치적의 주요 이점으로 여겨진다.[9]
제재 대상 화물, 특히 원유를 운송하는 러시아의 그림자 선단 선박들은 잦은 기국 변경을 보인다. 이로 인해 2022년 이후 가봉, 에스와티니, 코모로, 기니비사우 등 이전에는 소규모였던 선박 등록부가 글로벌 해운에서 상당한 참여를 얻게 되었다. 애틀랜틱 협의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그들은 사실상 모든 선박이 등록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다른 편의치적 국가에서 거부된 선박조차도 가능하다."[10] 이 작은 등록부는 해양 전문 지식과 인프라가 부족하다. 주요 문제는 이러한 국가들이 자국 선박이 사고나 사건을 일으킨 경우 기국으로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취할 수 없다는 것이다.
5. 1. 편의치적의 문제점
일부 기국은 "편의치적국"으로 알려져 있다. "편의치적"은 외국 선주나 해운 회사가 비용 절감을 위해 등록하는 국가의 기를 말한다. 세금 감면과 낮은 사회 및 안전 규정이 편의치적의 주요 이점으로 여겨진다.[9]제재 대상 화물, 특히 원유를 운송하는 러시아의 그림자 선단 선박들은 잦은 기국 변경을 보인다. 이로 인해 2022년 이후 가봉, 에스와티니, 코모로, 기니비사우 등 이전에는 소규모였던 선박 등록부가 글로벌 해운에서 상당한 참여를 얻게 되었다. 애틀랜틱 협의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그들은 사실상 모든 선박이 등록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다른 편의치적 국가에서 거부된 선박조차도 가능하다."[10] 이 작은 등록부는 해양 전문 지식과 인프라가 부족하다. 주요 문제는 이러한 국가들이 자국 선박이 사고나 사건을 일으킨 경우 기국으로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취할 수 없다는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RTICLE: The World's Top Ship Registries (Flag States)*
http://www.theshippi[...]
[2]
서적
State Responsibility for Interferences with the Freedom of Navigation in Public International Law
https://archive.org/[...]
Springer
[3]
웹사이트
Why Hong Kong?
http://www.hksoa.org[...]
2016-02-18
[4]
서적
Enforcing International Maritime Legislation on Air Pollution through UNCLOS
Hart Publishing
[5]
웹사이트
Flag State Control
http://www.tc.gc.ca/[...]
[6]
웹사이트
Shipping Consultative Committee LegCo
http://www.mardep.go[...]
2008-12-05
[7]
웹사이트
Home
http://www.dgshippin[...]
[8]
웹사이트
IV. EFFECTIVE FLAG STATE CONTROL
http://www.fao.org/3[...]
[9]
웹사이트
https://www.destatis[...]
[10]
웹사이트
The threats posed by the global shadow fleet—and how to stop it
https://www.atlantic[...]
2024-12-06
[11]
웹인용
The World's Top Ship Registries
http://www.theshippi[...]
2017-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