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미어는 5개의 모음과 12개의 자음을 가지는 언어이다. 기미어는 무성 및 유성 성문 자음을 가지며, 음절 구조는 (C)V(G) 형태를 보인다. 단어의 마지막 모음은 평성 또는 하강조를 가지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기미어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기미어 |
다른 이름 | 기미 |
사용 국가 | 파푸아뉴기니 |
사용 지역 | 동부 고지대 주 |
사용자 수 | 약 23,200명 (2000년 기준) |
언어학적 정보 | |
언어 계통 | 트랜스뉴기니어족 - 카인안투-고로카어족 - 고로카어족 |
방언 | 고우노 |
언어 코드 | |
ISO 639-3 | gim |
Glottolog | gimi1243 |
Glottolog 명칭 | 기미어 (동부 고지대) |
2. 음운
문자 | Aa | Bb | Dd | Ee | Gg | Hh | Ii | Kk | Mm | Nn | Oo | Pp | Rr | Ss | Tt | Uu | Zz |
---|---|---|---|---|---|---|---|---|---|---|---|---|---|---|---|---|---|
IPA |
- 첫소리의 p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z는 a 앞에서 /s/로 발음한다.
- k와 g가 연구개음이 아닌 성문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기미어는 5개의 모음과 1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 관련 언어들이 와 를 가지는 곳에서 기미어는 무성음과 유성음 성문 자음을 가지고 있다.
- 무성 성문 자음은 단순한 성문 폐쇄음 이다.
- 유성 자음은 음운론적으로 성문 폐쇄음처럼 작용하지만 완전한 폐쇄는 없다. 음성적으로는 떨림성 성문 근사음 이다.[2]
2. 1. 모음
기미어는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1]
두번째 테이블은 첫번째 테이블과 중복되므로 제거한다.
2. 2. 자음
기미어는 1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관련 언어들이 k|kund와 ɡ|ɡund를 가지는 곳에서 기미어는 무성음과 유성음 성문 자음을 가지고 있다. 무성 성문 자음은 단순한 성문 폐쇄음 ʔ|ʔund이다. 유성 자음은 음운론적으로 성문 폐쇄음처럼 작용하지만 완전한 폐쇄는 없다. 음성적으로는 떨림성 성문 근사음 ʔ̞|ʔ̞und이다.[2]colspan=2| | 양순음 | 치경음 | 성문음 | |
---|---|---|---|---|
파열음 | 무성음 | p|pund | t|tund | ʔ|ʔund |
유성음 | b|bund | d|dund | ʔ̞|ʔ̞und | |
비음 | m|mund | n|nund | ||
탄음 | ɾ|ɾund | |||
마찰음 | 무성음 | s|sund | h|hund | |
유성음 | z|zund |
2. 3. 음운 변동
기미어는 5개의 모음과 1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관련 언어들이 와 를 가지는 곳에서 기미어는 무성음과 유성음 성문 자음을 가지고 있다. 무성 성문 자음은 단순한 성문 폐쇄음 이다. 유성 자음은 음운론적으로 성문 폐쇄음처럼 작용하지만 완전한 폐쇄는 없다. 음성적으로는 떨림성 성문 근사음 이다.[2]/p/는 차용어에서만 어두에 나타난다.
/b/는 자유 변이로 [b] 또는 [β]로 표면화될 수 있다.
/z/는 /ɑ/ 앞에서 [s]가 된다.
/t/와 /ɾ/는 어두에서 서로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2. 4. 음절 구조
음절 구조는 (C)V(G)이며, 여기서 G는 /ʔ/|/ʔ/und 또는 /ʔ̞/|/ʔ̞/und이다.2. 5. 성조
기미어는 단어의 마지막 모음에 평성 또는 하강조를 취한다. 하강조는 악센트로 표기한다.[2]단어 | 뜻 |
---|---|
akgim | 씨앗 |
ákgim | 팔찌 |
nimigim | 새 |
nimígim | 이 |
기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기미어 문자와 IPA는 아래와 같다.
3. 문자
문자 Aa Bb Dd Ee Gg Hh Ii Kk Mm Nn Oo Pp Rr Ss Tt Uu Zz IPA ɑ|아und b|브und d|드und e|에und ʔ̞|으und h|흐und i|이und ʔ|으und m|므und n|느und o|오und p|프und ɾ|르und s|스und t|트und u|우und z|즈und
참조
[1]
논문
Gimi Organised Phonology Data
http://www-01.sil.or[...]
[2]
문서
SOWL 77–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