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미어는 5개의 모음과 12개의 자음을 가지는 언어이다. 기미어는 무성 및 유성 성문 자음을 가지며, 음절 구조는 (C)V(G) 형태를 보인다. 단어의 마지막 모음은 평성 또는 하강조를 가지며,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조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성조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기미어
기본 정보
언어 이름기미어
다른 이름기미
사용 국가파푸아뉴기니
사용 지역동부 고지대 주
사용자 수약 23,200명 (2000년 기준)
언어학적 정보
언어 계통트랜스뉴기니어족 - 카인안투-고로카어족 - 고로카어족
방언고우노
언어 코드
ISO 639-3gim
Glottologgimi1243
Glottolog 명칭기미어 (동부 고지대)

2. 음운

문자AaBbDdEeGgHhIiKkMmNnOoPpRrSsTtUuZz
IPA


  • 첫소리의 p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z는 a 앞에서 /s/로 발음한다.
  • k와 g가 연구개음이 아닌 성문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 기미어는 5개의 모음과 1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 관련 언어들이 와 를 가지는 곳에서 기미어는 무성음유성음 성문 자음을 가지고 있다.
  • 무성 성문 자음은 단순한 성문 폐쇄음 이다.
  • 유성 자음은 음운론적으로 성문 폐쇄음처럼 작용하지만 완전한 폐쇄는 없다. 음성적으로는 떨림성 성문 근사음 이다.[2]

2. 1. 모음



기미어는 5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1]

두번째 테이블은 첫번째 테이블과 중복되므로 제거한다.

2. 2. 자음

기미어는 1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관련 언어들이 k|kund와 ɡ|ɡund를 가지는 곳에서 기미어는 무성음유성음 성문 자음을 가지고 있다. 무성 성문 자음은 단순한 성문 폐쇄음 ʔ|ʔund이다. 유성 자음은 음운론적으로 성문 폐쇄음처럼 작용하지만 완전한 폐쇄는 없다. 음성적으로는 떨림성 성문 근사음 ʔ̞|ʔ̞und이다.[2]

colspan=2|양순음치경음성문음
파열음무성음p|pundt|tundʔ|ʔund
유성음b|bundd|dundʔ̞|ʔ̞und
비음m|mundn|nund
탄음ɾ|ɾund
마찰음무성음s|sundh|hund
유성음z|zund


2. 3. 음운 변동

기미어는 5개의 모음과 1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1] 관련 언어들이 와 를 가지는 곳에서 기미어는 무성음유성음 성문 자음을 가지고 있다. 무성 성문 자음은 단순한 성문 폐쇄음 이다. 유성 자음은 음운론적으로 성문 폐쇄음처럼 작용하지만 완전한 폐쇄는 없다. 음성적으로는 떨림성 성문 근사음 이다.[2]

/p/는 차용어에서만 어두에 나타난다.

/b/는 자유 변이로 [b] 또는 [β]로 표면화될 수 있다.

/z/는 /ɑ/ 앞에서 [s]가 된다.

/t/와 /ɾ/는 어두에서 서로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2. 4. 음절 구조

음절 구조는 (C)V(G)이며, 여기서 G는 /ʔ/|/ʔ/und 또는 /ʔ̞/|/ʔ̞/und이다.

2. 5. 성조

기미어는 단어의 마지막 모음에 평성 또는 하강조를 취한다. 하강조는 악센트로 표기한다.[2]

단어
akgim씨앗
ákgim팔찌
nimigim
nimígim


3. 문자

기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기미어 문자와 IPA는 아래와 같다.

문자AaBbDdEeGgHhIiKkMmNnOoPpRrSsTtUuZz
IPAɑ|아undb|브undd|드unde|에undʔ̞|으undh|흐undi|이undʔ|으undm|므undn|느undo|오undp|프undɾ|르unds|스undt|트undu|우undz|즈und


  • 첫소리의 p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 z는 a 앞에서 /s/로 발음한다.
  • k와 g가 연구개음이 아닌 성문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참조

[1] 논문 Gimi Organised Phonology Data http://www-01.sil.or[...]
[2] 문서 SOWL 77–7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