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음은 구강 내 특정 위치를 막고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 발음하는 소리이다. 대부분 유성음이며, 음향학적으로 공명음이면서 장애음의 특성을 갖는다. 비음은 공기가 입이나 혀에 의해 막혀 코로 빠져나가는 비강 폐쇄음이 일반적이며, 비폐쇄 자음이 비음화될 수도 있다. 국제 음성 기호(IPA)는 다양한 비음을 표기하며, 한국어는 'ㅁ', 'ㄴ', 'ㅇ' 세 가지 비음을 가지고 있다. 비모음은 콧구멍을 열어둔 채 발음하는 모음이며, 비비음화는 비음이나 비모음을 조음할 때 기류가 비강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 조음 방법 - 마찰음
    마찰음은 조음 기관 내 좁은 통로에서 공기 흐름의 마찰로 발생하는 소리이며, 조음 위치와 성대 진동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지만, 일부는 실제 마찰 없이 발음되기도 하고, 언어별 분포가 다양하다.
  • 조음 방법 - 파열음
    파열음은 조음 기관의 완전 폐쇄와 개방으로 만들어지는 자음으로, 학자에 따라 폐쇄음, 폭발음과 혼용되기도 하며, 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되고, 조음 위치, 성대 진동 유무 등에 따라 분류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그 존재와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비음
정의
설명비음(鼻音, nasal consonant)은 구강의 통로를 막고 연구개를 내려 코로 공기를 내보내어 내는 소리이다.
조음
방법입 안의 한 곳을 완전히 막음
연구개를 내려 코로 공기를 내보냄
특징유성음인 경우가 많음
공기가 코와 입으로 동시에 나오는 비모음과는 구별됨
종류
양순 비음m
치경 비음n
권설 비음ɳ
경구개 비음ɲ
연구개 비음ŋ
양순치 비음ɱ
구개수 비음ɴ
한국어
음운

비음화한국어에는 비음화라는 음운 변동 현상이 있다.
참고 자료
참고
Ladefoged, Peter; Johnson, Keith (2015). 《A Course in Phonetics》 7판. Cengage Learning. ISBN 978-1-285-83431-8.

2. 정의

비음은 입안의 특정 위치를 막고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이다. 대부분의 비음은 유성음이며, 미얀마어, 웨일스어 등 일부 언어에서는 무성음 비음도 나타난다.

음향학적으로 비음은 공명음이면서 동시에 장애음의 특성을 가진다. 공기가 코로 자유롭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공명음이지만, 입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장애음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중성은 비음이 공명음과 장애음처럼 모두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 음향학적으로 비음은 약 200~2,000 Hz에서 에너지 밴드를 갖는다.

비음은 보통 '비강 폐쇄음'(또는 '비음 파열음')을 의미하지만,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등 일부 언어에는 비음화 마찰음, 비음화 탄음, 비음 활음 및 비음 모음도 존재한다.

유성음무성음
설명IPA설명IPA
유성 양순 비음m무성 양순 비음
유성 순치 비음ɱ무성 순치 비음ɱ̊
유성 설순 비음무성 설순 비음n̼̊
유성 치경 비음무성 치경 비음n̪̊
유성 치조 비음n무성 치조 비음
유성 권설 비음ɳ무성 권설 비음ɳ̊
유성 구개 비음ɲ무성 구개 비음ɲ̊
유성 연구개 비음ŋ무성 연구개 비음ŋ̊
유성 구개수 비음ɴ무성 구개수 비음ɴ̥
유성 순치-치조 비음n͡m무성 순치-치조 비음n̥͡m̥
유성 순치-권설 비음ɳ͡m무성 순치-권설 비음ɳ̥͡m̥
유성 순치-연구개 비음ŋ͡m무성 순치-연구개 비음ŋ̥͡m̥



: 기호 n은 치음 비음과 치조음 비음을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n̪ 대신 흔히 사용된다.

3. 조음 방법

비음은 조음 방법 중 하나로, 기류를 막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며, 완전한 폐쇄를 만드는 파열음에 해당한다. 따라서 비음을 파열 비음이라고 부르며, 구강음의 파열음을 파열 구강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음에서도 다음 모음으로 넘어가는 순간에는 구강 내 폐쇄가 해제되어 파열이 일어난다.[11] 이는 유성 비음에서는 뚜렷하지 않지만, 무성 비음에서는 들을 수 있다.

대부분의 비음은 비강 폐쇄음으로, 공기가 입술이나 혀에 의해 막혀(폐쇄) 입을 통하지 않고 코를 통해 빠져나가는 소리이다. 구강은 여전히 소리에 대한 공명실 역할을 한다. 드물게 비폐쇄 자음이 비음화될 수 있다.

대부분의 비음은 유성음이며, 실제로 과 은 언어 간에 가장 흔한 소리 중 하나이다. 무성 비음은 미얀마어, 웨일스어, 아이슬란드어과라니어와 같은 몇몇 언어에서 발생한다.

음향학적 관점에서 비음은 공명음이다. 즉, 공기의 탈출을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공기가 코로 자유롭게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 그러나 비음은 또한 입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발음 시 장애음이기도 하다. 코를 통한 공명음 흐름과 입의 장애라는 이러한 이중성은 비강 폐쇄음이 공명음과 장애음처럼 모두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비음은 및 과 같은 다른 공명음과 패턴을 이루는 경향이 있지만, 많은 언어에서 파열음으로부터 또는 파열음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음향학적으로 비음은 약 200~2,000 Hz에서 에너지 밴드를 갖는다.

유성음무성음
설명IPA설명IPA
유성 양순 비음무성 양순 비음
유성 순치 비음무성 순치 비음
유성 설순 비음무성 설순 비음
유성 치경 비음무성 치경 비음
유성 치조 비음[1]무성 치조 비음[1]
유성 권설 비음무성 권설 비음
유성 구개 비음무성 구개 비음
유성 연구개 비음무성 연구개 비음
유성 구개수 비음무성 구개수 비음
유성 순치-치조 비음무성 순치-치조 비음
유성 순치-권설 비음무성 순치-권설 비음
유성 순치-연구개 비음무성 순치-연구개 비음


4.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IPA)는 다양한 비음을 표기하기 위한 기호를 제공한다. 유성 비음은 각각 독립된 기호를 가지지만, 무성음 비음은 별도의 기호 없이 유성 비음 기호에 보조 기호를 추가하여 표기한다.[20]

대부분의 비음은 비강 폐쇄음으로, 공기가 입술이나 혀에 의해 막혀(폐쇄) 입을 통하지 않고 코를 통해 빠져나가는 소리이다. 구강은 여전히 소리에 대한 공명실 역할을 한다. 드물게 비폐쇄 자음이 비음화될 수 있다.

음향학적 관점에서 비음은 공명음이다. 즉, 공기의 탈출을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공기가 코로 자유롭게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 그러나 비음은 또한 입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막히기 때문에 발음 시 장애음이기도 하다. 코를 통한 공명음 흐름과 입의 장애라는 이러한 이중성은 비강 폐쇄음이 공명음과 장애음처럼 모두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향학적으로 비음은 약 200~2,000 Hz에서 에너지 밴드를 갖는다.

기류를 막는 방식에 따라 분류된 조음 방법으로는 완전한 폐쇄를 만드는 파열음에 해당한다. 따라서 비음을 '''파열 비음'''이라고 부르며, 구강음의 파열음을 파열 구강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음에서도 다음 모음으로 넘어가는 순간에는 구강 내 폐쇄가 해제되어 파열이 일어난다. 이는 유성 비음에서는 뚜렷하지 않지만, 무성 비음에서는 들을 수 있다.

중국어 학에서는 치경구개 비음의 기호(n의 오른쪽에 루프를 만든 기호 )를 다용한다.

4. 1. 유성 비음

대부분의 비음은 유성음이며, (양순 비음), (치경 비음, /i, j/ 앞에서는 치경구개 비음), (끝소리: 연구개 비음)과 같이 한국어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과 은 언어 간에 가장 흔한 소리 중 하나이다.

유성 비음은 다음과 같다.

설명IPA
유성 양순 비음
유성 순치 비음
유성 설순 비음
유성 치경 비음
유성 치조 비음[1]
유성 권설 비음
유성 경구개 비음
유성 연구개 비음
유성 구개수 비음
유성 순치-치조 비음
유성 순치-권설 비음
유성 순치-연구개 비음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유성 비음을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4. 2. 무성 비음

무성 비음은 유성 비음 기호 아래에 무성 기호(̥)를 붙여 표기한다. 예를 들면 [m̥], [n̥]와 같다. 미얀마어, 웨일스어, 아이슬란드어 등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존재한다.[20]

국제 음성 기호에서는 무성 비음에 독립된 기호가 없기 때문에, 무성 비음은 비음 자모에 무성 보조 기호(̥)를 아래 또는 위에 추가하여 표기한다.

설명IPA
무성 양순 비음
무성 순치 비음
무성 설순 비음
무성 치경 비음
무성 치조 비음
무성 권설 비음
무성 구개 비음
무성 연구개 비음
무성 구개수 비음
무성 순치-치조 비음
무성 순치-권설 비음
무성 순치-연구개 비음


5. 한국어의 비음

한국어는 양순 비음 ㅁ|므영어, 치경 비음 ㄴ|느영어, 연구개 비음 ㅇ|응영어을 가진다. ㄴ|느영어은 /i, j/ 앞에서 치경구개 비음 [ɲ̟]으로 발음될 수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단어 첫머리의 /m/, /n/이 각각 [b], [d]로 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언어 변화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

6. 다른 언어의 비음

일본어의 표준적인 비음은 다음과 같다.


  • な행 소리의 두 자음: ,
  • ま행 소리의 두 자음:
  • か행의 비탁음의 두 자음:
  • 입의 통기를 완전히 막는 소리(파열음, 파찰음, 비음) 바로 앞과 어미에 발음되는 받침(''). 단, 어미의 받침은 비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1]


영어, 독일어, 중국어 등 많은 언어가 , , 을 가진다. 말라얄람어는 의 여섯 가지를 구별한다.[1]

킬레우트어나 루쇼트시드어처럼 음소적으로 구별되는 비음을 가지지 않는 언어도 있다.

7. 비모음

콧구멍을 열어둔 채 발음하는 모음은 "비모음"이라고 하며, 비음화된 구강음의 일종이다.[1] 일본어에서는 어말의 받침 소리(「ん」)가 비모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1] 비모음은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폴란드어, 상하이 방언, 민난어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8. 비비음화

비비음화는 비음이나 비모음을 조음하는 과정에서 기류를 비강으로 보낼 수 없어 비음의 음가가 사라지는 현상이다.[1] 감기에 걸려 코가 막혔을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콧소리"라고 부르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1] 콧소리란, 음성학적으로는 연구개가 내려가 있고 후비공(코 안쪽에서 목으로 통하는 구멍)은 열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류가 전비공(콧구멍)에서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비음을 제대로 조음하지 못하고, 소리가 비강에 갇힌 듯이 공명하면서, 부분적으로 구음화된 소리이다.[1] 표현 기호는 확장 IPA 보조 기호로[1] 이며, 와 같이 표기한다.

언어의 역사적인 음운 변화 과정에서도 부분적인 비비음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1] 비음을 조음하는 도중에 연구개가 올라가 후반 부분이 유성파열구음으로 발음된다.[1] 일본어한자 음에서 오음에서 비음이었던 것이, 한음에서는 파열구음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예를 들어 "馬"는 오음이 "마", 한음이 "바"), 이는 당나라 시대의 중국어에서 일어난 비비음화를 반영하고 있다고 한다.[1]

참조

[1] 논문 Malayalam (Namboodiri Dialect) https://www.cambridg[...] 2017
[2] harvcoltxt
[3] harvcoltxt
[4]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5] 논문 Argentine Spanish https://www.ucema.ed[...] 2018
[6] 간행물 Historical relationship among three non-Tibetic languages in Chamdo, TAR http://hdl.handle.ne[...] Kyoto University 2018
[7] 웹사이트 Yanuyuwa http://phonetics.ucl[...]
[8] 서적 A Grammar of Yélî Dnye: The Papuan Language of Rossel Island https://doi.org/10.1[...] De Gruyter 2023-01-16
[9] 문서 https://core.ac.uk/d[...] 2024-08-01
[10]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1] SOWL
[12] 서적 A Grammar of Toro Tegu (Dogon), Tabi mountain dialect https://deepblue.lib[...]
[13] 논문 Consonants and Vowels in the Western Gurage Variety Inor: Complex Connections between Phonemes, Allophones, and Free Alternations 2016
[14] 논문 Some Notes on the Phonology of the Nzema and Ahanta Dialects 1955
[15] 웹사이트 Absence of Common Consonants http://wals.info/fea[...] Max Planck Digital Library 2008-09-15
[16] 서적 A Linguistic Geography of Africa
[17] 웹사이트 http://www.ethnologu[...]
[18] 간행물 Nasal states and nasal processes
[19] 간행물 Phonetic implementation of Korean 'denasalization' and its variation related to prosody
[20] 서적 Practical Phonetics and Phonology: A resource book for studen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