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업용 전화 시스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업용 전화 시스템(PBX)은 사내에서 사용하는 전화 교환 시스템으로, 1900년대 초 수동 교환 방식에서 시작하여 자동화된 전기 기계식, 전자식 시스템을 거쳐 현재는 IP-PBX 및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발전했다. PBX는 자동 응답, 통화 거부, 통화 보류, 전화 회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업의 규모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한국에서는 오키 전기 공업, VALTEC, NEC, 히타치 정보통신 엔지니어링, 후지쯔, 프로디라이트, Biztel 등이 주요 제조사이며, 클라우드 PBX와 모바일 PBX의 발전으로 업무 환경의 유연성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화 - 무선 전화
    무선 전화는 음성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술로, AM, FM 등 다양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해상 통신에 널리 쓰였으나 위성 통신 발달로 중요성이 감소하고 디지털 시스템으로 대체되는 추세 속에서 규제 및 사회적 논란도 있다.
  • 전화 - 국제전화
    국제전화는 국가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며, 국제 통신망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다양한 서비스 방식과 국제전화 번호 체계를 가지며, 과거에는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기업용 전화 시스템
기본 정보
종류전화 시스템
용도사업
기타 명칭PBX (Private Branch Exchange, 사설 구내 교환기)
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사설 자동 구내 교환기)
Centrex
기능
주요 기능전화 통화 연결
내선 통화
외부 회선 연결
통화 전환
통화 보류
음성 메일
자동 교환
통화 녹음
통화 보고서
추가 기능통합 메시징
컨퍼런스 콜
영상 통화
모바일 통합
CRM 통합
Presence 관리
기술
연결 방식아날로그 전화선
디지털 전화선 (T1, E1)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주요 기술회선 교환
패킷 교환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H.323
구성 요소전화 교환기 (PBX 서버)
전화기
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스위치)
통신 회선
유형
전통적 PBX하드웨어 기반의 전화 교환 시스템
IP PBXIP 네트워크 기반의 전화 교환 시스템
클라우드 PBX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는 전화 교환 시스템
Centrex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교환 서비스
장점
일반적인 장점통화 비용 절감
통신 효율성 향상
다양한 부가 기능 활용
중앙 집중 관리
클라우드 PBX 장점초기 투자 비용 절감
유지 보수 용이
확장성 용이
유연한 사용 환경
단점
일반적인 단점초기 투자 비용 발생 (전통적 PBX)
시스템 구축 및 관리 필요
클라우드 PBX 단점인터넷 연결 의존성
보안 문제 발생 가능성
통신 사업자 종속성
구성
주요 구성 요소키 시스템 유닛 (KSU)
전화 세트
외부 라인
시장
주요 제조사Avaya
Cisco
Mitel
NEC
알카텔-루슨트
ShoreTel
관련 기술
관련 기술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콜 센터
컨택 센터
기타
참고일부 시스템은 독점 전화 세트가 필요함.
오픈 소스 PBX 시스템도 존재함.

2. 역사

키폰 시스템은 연결된 전화선을 위한 별도의 회선 선택 버튼을 가진 전화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초기에는 수동으로 작동하는 스위치 기술을 사용했으며, 벨 시스템(Bell System)에서 "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 이 시스템은 전화기, 키, 램프, 배선 등으로 구성되었고, 회선 선택 및 통화 대기, 내선 통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전기 부품은 ''키 서비스 장치''(KSU)에 포함되었다.[2]

1930년대 벨 시스템(Bell System)에서 개발된 1A 키 전화 시스템은 모듈형 하드웨어 구성 요소로 발전했다.[3] 키폰 시스템은 전기 기계 공유 제어, 전자 공유 제어, 독립 키 세트의 세 가지 주요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규모 집적 회로가 개발되기 전에는 릴레이와 같은 전기 기계식 구성 요소로 구성되었고, 집적 회로의 LSI IC의 출현으로 전자 공유 제어 시스템이 등장하여 구내 교환망(PBX)와 키 시스템의 기능이 통합된 현대적인 하이브리드 전화 시스템으로 이어졌다. 이후 디지털 교환기와 IP-PBX가 등장하면서 더욱 발전된 기능을 제공하게 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구내 교환망이 비슷한 가격과 더 훌륭한 기능을 가지게 되면서, 진정한 의미의 키폰 시스템 신규 설치는 흔하지 않게 되었다.

2. 1. 수동 교환 방식 (1900년대 초)

1902년 한국에서는 가입 전화와 사설 전화 간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교환원이 수동으로 전화 회선을 연결하는 수동 교환기 방식의 키폰 시스템이 나타났다. 이는 일본 전신 전화 공사에 의해 제공되었다.

2. 2. 전기기계식 공동 제어 (1940년대~1970년대)

대규모 집적 회로가 개발되기 전, 키폰 시스템은 대규모 전화 교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릴레이와 같은 전기 기계식 구성 요소로 구성되었다.[1]

북미에서는 1A, 1A1, 1A2 키 시스템, 6A로 판매된 시스템이 대표적인 예이며 수십 년 동안 판매되었다. 웨스턴 일렉트릭(Western Electric) 1A 키 전화 유닛(KTU) 제품군은 1930년대 후반에 도입되어 1950년대까지 사용되었다. 1A 장비는 원시적이었으며 회선당 최소 두 개의 KTU가 필요했다. 하나는 회선 종단을 위해, 다른 하나는 스테이션(전화기) 종단을 위해 사용되었다. 1A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화기는 WECo 300/400 시리즈 전화기였다. 1953년에 도입된 1A1 키 시스템은 회선과 스테이션 종단 모두에 단일 KTU를 사용하여 배선을 단순화하고 사용 가능한 기능을 늘렸다. 1A1 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 인터콤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가했다. 원래 인터콤 KTU인 WECo 모델 207은 단일 통화 링크, 즉 한 번에 인터콤에서 단일 대화를 위해 배선되었다. WECo 6A 다이얼 인터콤 시스템은 두 개의 통화 링크를 제공했으며 1A1 또는 1A2 키 시스템의 다이얼 인터콤으로 자주 설치되었다. 6A 시스템은 복잡하고 문제가 많으며 비용이 많이 들어 대중화되지 못했다. 1964년 1A2 기술의 출현은 키 시스템 설정 및 유지 관리를 단순화했다. 이는 1980년대까지 계속 사용되었으며, 설치가 더 쉽고 기능이 더 많은 전자 키 시스템의 등장은 전기 기계식 키 시스템의 종말을 알렸다.[3]

덜 알려진 두 개의 키 시스템은 공항에서 항공 교통 관제 통신에 사용되었는데, 102 및 302 키 시스템이 그것이다. 이들은 항공 교통 관제탑과 레이더 접근 관제(RAPCON) 또는 지상 관제 접근(GCA) 간의 통신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무선 회선 연결을 포함했다.

오토매틱 일렉트릭 컴퍼니(Automatic Electric Company) 또한 키 전화 장비 제품군을 생산했으며, 일부는 웨스턴 일렉트릭 장비와 호환되었지만 웨스턴 일렉트릭 장비가 누린 광범위한 사용을 얻지는 못했다.

'''사설 구내 교환기의 역사'''
연도방식제조사제어 방식외선 전화 회선내선 전화 회선내선 단말비고
아날로그아날로그ISDN광IP 전화유선무선유선유선유선PHS DECT무선 IP 전화기
펄스표준 전화기전용 버튼 전화기IP 전화기
1940년대스텝 바이 스텝 교환기---아날로그·펄스-----내선 상호 통화의 다이얼 자동화·외선과의 상호 접속은 교환수
1950년대크로스바 교환기크로스바 스위치-------내선에서 외선 발신이 자동화. 외선에서 내선으로의 통화는 중계대 경유 또는 착신을 국선 표시판에 표시하고 특번으로 응답하는 방식.
1960년대사업소 집단 전화--아날로그·펄스·톤-----외선에서 내선으로의 직접 착신도 가능하게 됨


2. 3. 전자식 공동 제어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집적 회로의 LSI IC의 출현으로, 동일한 아키텍처를 릴레이를 사용했을 때보다 훨씬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많은 전선 케이블을 제거하고 비 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훨씬 더 간단한 케이블로 대체할 수 있었다. 전자 공유 제어 시스템은 구내 교환망(PBX)와 키 시스템의 기능이 빠르게 통합되면서 현대적인 하이브리드 전화 시스템으로 빠르게 이어졌다. 이러한 시스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 중 하나는 AT&T Merlin이다.[1]

또한, 이러한 최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1]

  • 자동 응답기 기능
  • 자동 통화 회계
  • 발신자 번호 표시
  • 전체 시스템의 원격 관리
  • 신호음 선택
  • 단축 다이얼
  • 스테이션별 제한 (예: 장거리 통화 금지 또는 페이징 금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시스템을 쉽게 사용자 정의할 수 있었다. 스테이션은 효율적인 LED를 회선 상태 표시에 백열 전구 대신 사용했기 때문에 이전의 전기 기계식 키 시스템보다 유지 관리가 더 쉬웠다.[1]

전자 교환기가 1970년대 후반에 등장하면서 축적 프로그램 방식[2]이 도입되었고, 대표 다이얼 인 서비스[2] 등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사설 구내 교환기의 역사'''
연도방식제조사제어 방식외선 전화 회선내선 전화 회선내선 단말비고
아날로그ISDN광IP 전화유선무선유선무선
펄스표준 전화기전용 버튼 전화기IP 전화기PHS DECT무선 IP 전화기
1970년대 후반전자 교환기NTT축적 프로그램 방식-------대표 다이얼 인 서비스 대응
1980년대 후반디지털 교환기rowspan=2 |축적 프로그램·시분할 스위치 교환 방식외부 어댑터디지털 버스 배선멀티 존 코드리스 전화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비즈니스 폰과는 회선 수·설치 장소·보수 대응만의 차이


2. 4. 디지털 교환기 (1980년대 후반~2000년대)

디지털 교환기는 축적 프로그램 및 시분할 스위치 교환 방식을 사용한다. 외부 어댑터를 통해 디지털 버스 배선이 가능해졌다.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 디지털 교환기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비즈니스 폰과 회선 수, 설치 장소, 보수 대응 정도만 달랐다.[1]

'''사설 구내 교환기의 역사'''
연도방식제조사제어 방식외선 전화 회선내선 전화 회선내선 단말비고
아날로그ISDN광IP 전화유선무선유선무선
펄스표준 전화기전용 버튼 전화기IP 전화기PHS DECT무선 IP 전화기
1980년대 후반디지털 교환기축적 프로그램·시분할 스위치 교환 방식외부 어댑터디지털 버스 배선멀티 존 코드리스 전화마이크로프로세서 내장--비즈니스 폰과 회선 수·설치 장소·보수 대응만 다름
2000년대디지털 스타 배선--소규모는 단말을 공통화한 동일 제조사 비즈니스 폰으로 대체됨


2. 5. IP-PBX (2000년대~현재)

IP-PBX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음성 통화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SIP 및 IP 라우팅 기술을 사용한다.[1] IP 회선을 통해 원격지의 단말을 직접 접속할 수 있다.[2] 2000년대부터 한국에서 IP-PBX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소프트폰, 스마트폰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내선 접속도 가능해졌다.[3]

'''사설 구내 교환기의 역사'''
연도방식제조사제어 방식외선 전화 회선내선 전화 회선내선 단말비고
colspan="4" |아날로그ISDN광IP 전화유선무선유선무선
펄스표준 전화기전용 버튼 전화기IP 전화기PHS DECT무선 IP 전화기
2010년대IP-PBXSIP·IP 라우팅직접 수용IP 회선에 의한 원격지의 단말 직접 접속도 가능-소프트폰·스마트폰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내선 접속도 가능


2. 6. 하이브리드 키폰 시스템 (2000년대~현재)

하이브리드 키폰 시스템은 기존의 키폰 시스템과 PBX의 기능을 결합한 형태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지원과 더불어 몇 가지 PBX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하이브리드"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6]

현대적인 키폰 시스템은 SIP, ISDN, 아날로그 수화기를 지원하며, 이전의 대규모 PBX 시스템에서 주로 볼 수 있었던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회선 또는 국에 직접 대응하는 호출 버튼을 가지고 있지만, 회선을 선택하지 않고 구내 전화 또는 외부 회선으로 직접 다이얼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대적인 키폰 시스템은 보통 완전 디지털 방식이지만(아날로그 방식도 여전히 존재), 몇몇 시스템은 VoIP를 포함하고 있다. 사실상, 키폰 시스템은 작은 PBX로 간주될 수 있게 되었다. PBX와 하이브리드 키폰 시스템을 구별하는 기준은 제공되는 기능과 편의성의 양, 범위, 그리고 복잡성이다.

고밀도 집적회로의 발명으로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보다 같은 구조를 훨씬 더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많은 케이블을 제거하고 키가 없는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혹은 동일한) 훨씬 더 간단한 케이블로 대체할 수 있었다. 전자 공동 제어 시스템은 PBX의 기능들과 키폰 시스템이 빠르게 융합됨에 따라 현대적인 하이브리드 전화 시스템을 빠르게 이끌었다. 그러한 시스템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들 중 하나가 AT&T 메를린(Merlin)이다.

이러한 현대적 시스템들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 응답기 기능
  • 전 시스템의 원격 감시
  • 자동 통화 계산
  • 단축 다이얼
  • 발신자 표시
  • 국별 제한(장거리 통화 또는 착신 금지)
  • 통화 연결음 선택


이러한 기능들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간단히 추가되거나 수정될 수 있어 시스템의 특화를 쉽게 할 수 있었다. 또한, 국들은 회선 상태 표시를 위해 백열 전구 대신 효율적인 LED를 사용했기 때문에 이전의 전기기계적 키폰 시스템보다 운용하기 쉬워졌다.

3. 주요 기능

키폰 시스템은 연결된 전화선을 위한 별개의 회선 선택 버튼으로 정의되는데, 이 기능은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유사하다.[1] 초기 시스템은 '배선 계획'이라고 알려졌으며 단순히 전화기, 키, 램프 및 배선으로 구성되었다.[2] 1930년대 벨 시스템(Bell System)에서 개발된 1A 키 전화 시스템은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갖춘 모듈형 하드웨어 구성 요소로 발전했다.[3]

고밀도 집적회로의 발명으로 릴레이를 사용하는 것보다 같은 구조를 훨씬 더 값싸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많은 케이블을 제거하고 키가 없는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심지어 동일한) 훨씬 더 간단한 케이블로 대체할 수 있었다. 전자 공동 제어 시스템은 PBX의 기능들과 키폰 시스템이 빠르게 융합됨에 따라 현대적인 하이브리드 전화 시스템을 이끌었다. 이러한 시스템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들 중 하나가 AT&T 메를린(Merlin)이다.

이러한 현대적 시스템들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간단히 기능을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었으며, 효율적인 LED를 사용하여 회선 상태를 표시했기 때문에 이전의 전기기계적 키폰 시스템보다 운용하기 쉬워졌다.

21세기로 들어서면서 키폰 시스템과 PBX 사이의 구분은 점점 복잡해졌다. 현대적 키폰 시스템은 ISDN 및 대규모 PBX 시스템에서 볼 수 있었던 많은 기능들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핸드셋(보통 디지털인 개인 전용 핸드셋에 추가하여)을 지원한다. 이러한 아날로그와 디지털에 대한 지원과 몇가지 PBX 기능성은 "하이브리드"라는 명칭을 생겨나게했다. 현대적 키폰 시스템은 보통 완전히 디지털(아날로그 변종의 지속에도 불구하고)이고 몇몇 시스템은 VoIP를 수용한다.


  • 기본 기능, 추가 기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본 기능, #추가 기능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기본 기능

개인 구내 교환기를 위한 1930년대 키 전화기


기업용 전화 시스템은 기종이나 내선 구축 상황에 따라 기능이 다르지만, 주로 다음과 같은 기본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외선 발착신 제어: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 외부로 전화를 거는 기능이다.
  • 다이얼 인: 외부에서 특정 내선 번호로 직접 전화를 걸 수 있는 기능.
  • 최저 비용 라우팅(LCR): 전화를 걸 때 가장 저렴한 통신 회선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능.
  • 내선 간 통화: 회사 내부의 다른 내선 번호로 전화를 거는 기능.
  • 자동 통화 분배기(ACD) 기능: 특정 기준에 따라 착신 전화를 적절한 내선으로 연결하는 기능이다.
  • 주로 콜센터에서 활용되며, 상담원에게 전화를 균등하게 배분하거나, 특정 기술을 가진 상담원에게 우선적으로 연결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된다.
  • 대규모 사내 교환기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기준에 따라 ACD를 수행하여 공중 회선(외선)을 통한 문의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1]
  • unPBX라고도 불리는 사내 교환기는 컴퓨터에 사내 교환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소프트웨어 재구성을 통해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다.[1]
  • 대형 unPBX는 자동 음성 응답 기능을 갖춘 경우도 있다.[1]

3. 2. 추가 기능


  • 자동 응답기 기능[4][5]
  • 자동 통화 회계[4][5]
  • 발신자 번호 표시[4][5]
  • 전체 시스템의 원격 관리[4][5]
  • 신호음 선택[4][5]
  • 단축 다이얼[4][5]
  • 스테이션별 제한 (예: 장거리 통화 금지 또는 페이징 금지)[4][5]

4. 구성 요소

키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2]


  • '''키 서비스 장치(KSU, Key Service Unit)''': 전화 회선 선택 및 통화 대기, 내선 통화와 같은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2]
  • '''전화기''': 회선 버튼이 있는 전화기로, 각 회선을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다.
  • '''배선''': 전화기와 KSU를 연결하는 배선.


대규모 집적 회로가 개발되기 전에는 릴레이와 같은 전기 기계식 부품으로 구성되었으나,[3] 이후 전자식 부품으로 대체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필요한 유닛을 조합하여 19인치 랙에 탑재하는 경우가 많다.

정전 시에도 시스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 무정전 전원 장치(UPS)가 사용된다. 전원은 정전 보증 시간에 따라 다르며, 긴 경우에는 별도의 전원 장치 랙에 200V를, 짧은 경우에는 충전기 장치에 100V를 공급한다.

5. 한국의 키폰 시스템 현황

한국에서는 여러 제조사들이 키폰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로 일본 제조사들이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NTT는 이들 회사의 OEM 제품을 판매한다.[15] 주요 제조사로는 오키 전기 공업, VALTEC, 일본전기(NEC), 히타치 정보통신 엔지니어링, 후지쯔, 프로디라이트, Biztel 등이 있다.

5. 1. 주요 제조사 (가나다순)


  • 오키 전기 공업: IP-PBX가 중심이다.
  • VALTEC: IP-PBX, 클라우드 PBX가 중심이다.
  • 일본전기(NEC): 커뮤니케이션 서버가 중심이며, 미쓰비시 전기OEM 방식으로 제공한다.
  • 히타치 정보통신 엔지니어링: IP-PBX가 중심이다.
  • 후지쯔: IP-PBX가 중심이다.
  • 프로디라이트: 클라우드 PBX를 제공한다.
  • Biztel: 클라우드 PBX를 제공한다.


NTT는 각 회사의 OEM 제품을 판매한다.[15]

5. 2. 도입 및 유지 보수

정보 누설 및 통신 불능을 방지하기 위해, 공조 설비가 갖춰진 통신 설비 전용의 잠금 장치가 된 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액제 유지 보수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조 중단으로부터 오랜 시간이 지난 제품은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공사 시에는 전기 통신 설비 공사 담당자의 감독이 필요하다.

6. 미래 전망

고밀도 집적회로의 발명으로 릴레이 대신 더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전자 공동 제어 시스템은 PBX 기능과 융합되며 현대적인 하이브리드 전화 시스템으로 발전했는데, AT&T 메를린(Merlin)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현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 응답기 기능
  • 원격 감시
  • 자동 통화 계산
  • 단축 다이얼
  • 발신자 표시
  • 국별 제한
  • 통화 연결음 선택


소프트웨어를 통해 기능을 쉽게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LED 사용으로 운용 효율성이 향상되었다.

21세기에는 키폰 시스템과 PBX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현대 키폰 시스템은 ISDN 및 대규모 PBX 기능을 지원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핸드셋을 모두 지원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라는 명칭이 생겨났다.[1]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각 회선에 대응하는 호출 버튼을 가지면서도, 회선 선택 없이 직접 다이얼링을 지원한다. 현대 키폰 시스템은 대부분 디지털이며, 일부는 VoIP를 수용한다. 이는 작은 PBX로 여겨질 정도이며, 기능, 편의성, 복잡성 등이 PBX와의 주요 차이점이다.[1]

1990년대에는 데이터 네트워크 성장과 패킷 스위칭에 대한 이해 증가로 VoIP PBX (IP PBX)가 개발되었다. 또한, 핵심 역량 집중 추세에 따라 호스팅 PBX 개념이 등장했다. 유선 전화 통신에서 최초 호스팅 PBX는 Centrex 서비스였으며, 이후 경쟁 서비스가 발전했다. VoIP에서 호스팅 솔루션은 PBX가 모든 전화 서비스 제공업체에 위치 및 관리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므로 구현이 더 쉽다. 상위 제공업체는 더 이상 직접적인 지역 전용 회선을 운영할 필요가 없다.[2]

참조

[1] 간행물 Key Telephone Systems: The Latest Chapter Bell Laboratories 1966-03
[2] 서적 Fiber Optics Illustrated Dictionary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8
[3] 서적 Engineering and Operations in the Bell System 1984
[4] 서적 HTI+ https://books.google[...] Que 2003
[5] 간행물 KSU-less Key System Update https://link.gale.co[...] UBM LLC 1995-06
[6] 간행물 Fish, Fowl, or Neither?: Quick,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 key telephone system and a hybrid? 1986-06-16
[7] 간행물 Notes on the Network 1980
[8] 웹사이트 Big Changes Coming for SMBs in 2014 (Infographic) http://blog.efax.com[...] eFax 2013-12-17
[9] 웹사이트 BT Prepare to Switch to an All IP Network by 2025 http://yoozoom.co.uk[...] 2015-10-08
[10] 웹사이트 The Big Guide To VOIP For Small Business https://www.forbes.c[...]
[11] 웹사이트 The Functions of a PBX http://voip.about.co[...] About.com
[12] 웹사이트 Features of a Business Phone System http://www.expertmar[...] Expert Market 2013-12-13
[13] 웹사이트 Why Hosted PBX is the Better Choice For Small Businesses http://www.unityconn[...] Unity Connected
[14] 웹사이트 On-Premise [ sic] vs Hosted PBX: Blockbuster or Netflix? - Blog - 1stel https://blog.1stel.c[...] 2016-03-01
[15] 웹사이트 PBX(構内交換機)業界 WebBCN http://biz.bcnrank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