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별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별아는 1969년 강릉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93년 단편소설 '닫힌 문 밖의 바람소리'를 발표하며 데뷔했으며, 초기에는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작품을 주로 썼다. 2005년 역사 소설 '미실'을 발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후 역사 속 여성들의 삶을 다룬 소설들을 꾸준히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미실', '영영 이별 영이별', '논개', '백범' 등이 있으며, 2005년 '미실'로 세계문학상을 수상했다. 사회 활동으로는 강릉소방서 명예소방서장, 희망서울 홍보대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사회문화분과위원,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여자고등학교 동문 - 김현 (정치인)
    김현은 한양대학교 사학과 출신으로 평화민주통일연구회 등에서 활동하며 정치 경력을 쌓아 노무현 정부 청와대 춘추관장, 제19대 국회의원(비례대표)을 거쳐 제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안산시 을)으로 재선에 성공,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및 부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현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간사를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강릉여자고등학교 동문 - 안혜진
    안혜진은 강릉해람중학교와 강릉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GS칼텍스 서울 KIXX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팀의 주전 세터로 활약하며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여자 배구 대표팀의 일원으로 4위를 기록한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 강릉 김씨 - 김승호
    김승호는 1946년 《자유만세》로 데뷔하여 25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며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대종상 남우주연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하고 영화 제작,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한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강릉 김씨 - 이상 (작가)
    일제강점기 한국의 아방가르드 작가이자 건축기사였던 이상은 '오감도'와 '날개' 등 실험적인 작품으로 한국 문학사에 독보적인 자취를 남겼으며, 초현실주의 기법과 수학·건축적 요소를 결합하여 현대인의 소외와 내면세계를 탐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김별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업소설가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69년 9월 30일
출생지강원도 강릉시
학력강릉여자고등학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배우자
자녀아들
데뷔 작품『닫힌 문밖의 바람소리』
활동
활동 기간1993년-
언어한국어
주요 작품
대표 작품미실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한국문학번역원 작가 정보

2. 초기 생애 및 교육

김별아는 1969년 강릉에서 1남 1녀 중 첫째 딸로 태어났으며, 부모는 모두 교사였다.[8] 어릴 때부터 아버지가 사준 세계 명작 전집을 읽으며 독서광으로 자랐고, 10년 연속 학급 회장을 맡을 정도로 모범생이었다.[8] 하지만 문학 지망생 친구들과 어울려 술과 담배를 하기도 했다.[8]

강릉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한 후에는 이청준, 이문열의 작품을 중심으로 현대 소설을 읽기 시작했다.[9] 고등학교 2학년 때부터는 시인 신승건 교사가 지도하는 문학 서클에서 활동하며 문학적 소양을 쌓았다.[9]

1988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했고,[8] 1991년에는 제1회 청년심산문학상을 받았다.[10] 졸업 후 광고 회사에 카피라이터로 입사했지만, 하루 만에 사직했다.[8]

3. 문학 활동

1993년 실천문학에 중편소설 '닫힌 문 밖의 바람 소리'를 발표하며 데뷔했다.[3] 초기에는 여성의 성, 민주화 운동, 2002년 FIFA 월드컵 등을 소재로 다양한 작품을 썼지만, 뚜렷한 작가적 특징을 보여주지는 못했다.[3] 2005년 소설 『미실』을 발표하면서 큰 주목을 받았고, 이후 역사 속 여성들의 삶을 다룬 소설을 주로 창작하며 자신만의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4][6]

3. 1. 초기 (1993년 ~ 2004년)

김별아는 초기 10년간 여성의 성을 다룬 『내 마음의 포르노그래프』, 민주화 운동 말년인 1990년대 초 대학생들을 다룬 『개인적 체험』, 2002년 FIFA 월드컵 직전에 출판된 『축구 전쟁』 등의 장편소설을 썼으나, 통일되거나 독특한 작가적 비전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3]

2003년에는 젊은 독자들을 위해 근대 이전 한국 소설의 두 자매 이야기를 재해석한 『장화홍련전』을 발표했는데, 이 시점부터 김별아는 고전 역사 속 여성들을 소재로 하는 데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4]

3. 2. 역사 소설 집필 (2005년 ~ 현재)

김별아는 2005년 소설 미실 출간과 함께 주목받기 시작했다. 미실 이전인 2003년에는 젊은 독자들을 위한 『장화홍련전』을 발표했는데, 이는 근대 이전 한국 소설의 두 자매 이야기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이 시점부터 김별아는 고전 역사 속 여성들을 소재로 하는 데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4] 미실은 현대 소설에서 역사 속 여성들을 생생하게 그려내고자 한 그녀의 노력의 정점을 보여준다. 미실은 1000년 전 한반도에 존재했던 신라의 여성으로, 왕과 영웅들과의 연애를 통해 정치적 권력을 얻는 전형적인 팜 파탈(치명적인 여성)이다. 이 작품은 미실을 재현한 공로로 10억의 세계 문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단일 작품으로 수여된 최고액이었다. 이를 통해 김별아는 한국 문단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4]

미실의 성공 이후, 김별아는 열두 살에 왕위에 올랐지만 삼촌에 의해 권력을 빼앗기고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운명을 다룬 『영영 이별 영영 이별』을 출판했다. 최근에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 장수와 연을 맺고 그와 함께 절벽에서 투신한 19세 여기(妓女)의 이야기인 『농애』를 발표했다.[5]

미실 이후 김별아는 역사 속 여성들의 삶을 밝히고자 깊이 있는 역사 연구를 수행해왔다. 비극적인 사회적 상황 속에서 고통스러운 삶과 운명을 겪는 개인의 심리를 묘사함으로써 김별아는 자신만의 일관된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6]

3. 3. 기타 작품 활동

김별아의 초기 장편소설로는 여성의 성을 다룬 『내 마음의 포르노그래프』, 민주화 운동 말년인 1990년대 초 대학생들을 다룬 『개인적 체험』, 2002년 FIFA 월드컵 직전에 출판된 『축구 전쟁』 등이 있으나, 통일되거나 독특한 작가적 비전은 부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3]

2003년에는 젊은 독자들을 위한 『장화홍련전』을 발표했는데, 이는 근대 이전 한국 소설의 두 자매 이야기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1000년 전 신라의 여성 미실은 왕과 영웅들과의 연애를 통해 정치적 권력을 얻는 전형적인 팜므파탈이었다. 김별아는 미실을 재현한 공로로 10억의 세계 문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단일 작품으로 수여된 최고액이었다.[4]

『미실』의 성공 이후, 김별아는 열두 살에 왕위에 올랐지만 삼촌에게 권력을 빼앗기고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운명을 다룬 『영영 이별 영영 이별』을 출판했다. 최근에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 장수와 연을 맺고 그와 함께 절벽에서 투신한 19세 여기생의 이야기인 『농애』를 발표했다.[5]

4. 사회 활동

연도내용
2009년강릉소방서 명예소방서장 및 홍보대사
2012년희망서울 홍보대사
2022년 3월~2022년 5월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회 사회문화분과위원
2022년 10월~제5대 강원문화재단 이사장


5. 수상 경력

연도상 이름
1991년제1회 청년심산문학상
2005년제1회 세계문학상
2016년제10회 의암주논개상
2018년제10회 허균문학작가상


6. 작품 목록

김별아 작가의 작품 목록
분야제목출판 연도
소설집꿈의 부족2002년
장편소설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1995년
개인적 체험1999년
축구전쟁2002년
미실2005년
영영이별 영이별2005년
논개2007년
백범2008년
열애2009년
가미가제 독고다이2010년
채홍2011년
불의 꽃2013년
어우동, 사랑으로 죽다2014년
탄실
산문집톨스토이처럼 죽고싶다2001년
가족판타지 (식구개정판)2005년
모욕의 매뉴얼을 준비하다2009년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2010년
이 또한 지나가리라!2011년
괜찮다, 우리는 꽃필 수 있다
삶은 홀수다
도시를 걷는 시간
빛나는 말 가만한 생각, 월성을 걷는 시간
동화김순남2004년
장화홍련전2003년
치마폭에 꿈을 그린 신사임당2004년
거짓말쟁이2006년
네가 아니었다면2010년


6. 1. 소설

김별아의 초기 장편소설로는 여성의 성을 다룬 《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 1990년대 초 민주화 운동 말년의 대학생들을 다룬 《개인적 체험》, 2002년 FIFA 월드컵 직전에 출판된 《축구전쟁》 등이 있으나, 통일되거나 독특한 작가적 비전은 부족했다.[3]

2005년 소설 《미실》 출간과 함께 김별아의 작품은 주목받기 시작했다. 《미실》 이전인 2003년에는 젊은 독자들을 위한 《장화홍련전》을 발표했는데, 이는 근대 이전 한국 소설의 두 자매 이야기를 재해석한 작품이다. 이 시점부터 김별아는 고전 역사 속 여성들을 소재로 하는 데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미실》은 현대 소설에서 역사 속 여성들을 생생하게 그려내고자 한 그녀의 노력의 정점을 보여준다. 미실은 1000년 전 한반도에 존재했던 신라의 여성으로, 왕과 영웅들과의 연애를 통해 정치적 권력을 얻는 전형적인 치명적인 여성이다. 이 작품은 미실을 재현한 공로로 세계 문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단일 작품으로 수여된 최고액이었다. 이를 통해 김별아는 한국 문단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4]

《미실》의 성공 이후, 김별아는 열두 살에 왕위에 올랐지만 삼촌에 의해 권력을 빼앗기고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한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의 운명을 다룬 《영영 이별 영영 이별》을 출판했다. 최근에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 장수와 연을 맺고 그와 함께 절벽에서 투신한 19세 여기생의 이야기인 《논개》를 발표했다.[5]

《미실》 이후 김별아는 역사 속 여성들의 삶을 밝히고자 깊이 있는 역사 연구를 수행해왔다. 비극적인 사회적 상황 속에서 고통스러운 삶과 운명을 겪는 개인의 심리를 묘사함으로써 김별아는 자신만의 일관된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6]

연도제목원제출판사/비고
1999개인적 체험개인적 체험 (個人的体験)실천문학
2000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내 마음의 포르노그라피 (私の心のポルノグラフィ)자음과 모음
2002축구전쟁축구전쟁 (サッカー戦争)운진지식하우스
2003장화홍련전장화홍련전 (薔花紅蓮伝)창비/“재미있는! 우리의 고전” 시리즈 중 한 작품
2005미실미실 (ミシル)문이단/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
2005영영이별영영이별 (永遠の別れ 永離別)창해
2007논개논개 (論介)문이단/전 2권
2008백범백범 (白凡)イル름
2009열애열애 (常磐の木 金子文子と朴烈の愛)문학의 문학
2010가미가제 특공대가미가제 특공대 (神風特攻隊)헤냄
2011채홍채홍 (彩紅)헤냄
2013불의 꽃불의 꽃 (炎の花)헤냄
2014어우동, 사랑으로 죽다어우동, 사랑으로 죽다 (於宇同、愛に死す)헤냄


6. 2. 산문집

제목출판 연도
《톨스토이처럼 죽고싶다》2001년[1]
《가족판타지》(《식구》개정판)2005년[1]
《모욕의 매뉴얼을 준비하다》2009년[1]
《죽도록 사랑해도 괜찮아》2010년[1]
《이 또한 지나가리라!》2011년[1]
《괜찮다, 우리는 꽃필 수 있다》
《삶은 홀수다》
《도시를 걷는 시간》
《빛나는 말 가만한 생각》
《월성을 걷는 시간》


6. 3. 동화

김별아 작가의 동화 목록
출판 연도제목출판사비고
2003장화홍련전창비“재미있는! 우리의 고전” 시리즈 중 한 작품
2004치마폭에 꿈을 그린 신사임당창비창비아동문고 중 한 작품
2004김순남사계절“우리 시대의 인물전” 시리즈 중 한 작품
2006거짓말쟁이아이들판아이들판 창작문고 중 한 작품
2010네가 아니었다면토토북동화


참조

[1] 웹사이트 김별아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2] 웹사이트 김별아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3] 웹사이트 김별아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4] 웹사이트 김별아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5] 웹사이트 김별아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6] 웹사이트 김별아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7] 뉴스 【BOOK】「天皇暗殺を企てた朝鮮青年と日本人の恋物語」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09-06-04
[8] 뉴스 문단의 ‘여자 마광수’ 김별아(3)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5-04
[9] 뉴스 [창작의 산실 찾아]20 김별아 작가(강릉) http://www.kado.net/[...] 강원도민신보 2013-03-25
[10] 뉴스 [박정기의 공연산책]정순왕후의 비운의 일대기를 다룬 '영영이별 영이별' http://www.munhwanew[...] 문화뉴스 2015-05-17
[11] 뉴스 문단의 ‘여자 마광수’ 김별아(4) http://shindonga.don[...] 신동아 2005-04
[12] 웹사이트 미실 http://book.naver.co[...] 2016-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