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의 인물로, 2대 풍월주 미진부의 딸이다. 빼어난 미모와 뛰어난 지략으로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등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다. 그녀의 삶은 소설, 연극, 드라마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화랑세기》의 진위 논란으로 인해 미실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랑세기 - 지소태후
    신라 법흥왕과 보도부인의 딸이자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태후는 진흥왕의 섭정으로서 이사부, 거칠부 등과 함께 국정을 운영하고 불교 중흥과 백제 동맹 유지에 힘썼으며, 《화랑세기》에 따르면 화랑 제도를 정비했다.
  • 6세기 여자 - 대부인 (백제)
    대부인은 백제 무령왕의 부인으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유물과 은팔찌의 명문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사후 태비 또는 왕태비로 추존되어 529년 무령왕릉에 합장되었다.
  • 6세기 여자 - 클로틸디스 (프랑크)
    클로틸디스는 부르군트 왕국 출신으로 프랑크 왕국의 클로비스 1세의 아내가 되어 남편을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사후 성인으로 추서되어 프랑스 왕국의 수호 성인 중 한 명으로 숭배받는 인물이다.
  • 화랑 - 죽지
    신라의 장군이자 관료인 죽지는 김유신 휘하에서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진덕여왕 때 집사부의 중시를 지냈으며, 문무왕 때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각간의 관등을 받았고 효소왕 때 낭도 득오가 그를 기리는 노래를 지었다.
  • 화랑 - 찬기파랑가
    찬기파랑가는 충담이 화랑 기파랑의 인품을 기려 지은 10구체 향가로, 그의 숭고한 이상과 고결한 정신을 기리는 내용으로 제망매가와 함께 향가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며 다양한 해독과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실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미실
원어 이름美室
로마자 표기Misil
출생일546년 또는 548년
사망일612년
국적신라
직업전주새주
가족 정보
배우자세종공(世宗公)
자녀하종공(夏宗公)
미진부(未珍夫)
묘도부인(妙道夫人)
동생미생랑
기타 정보
작위전주(殿主)새주(璽主)

2. 혈통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미실은 제2대 풍월주 미진부와 묘도부인의 딸로, 진골 신분이었다.[1] 미진부의 아버지는 아시공이며, 아시공의 아버지는 선모였다.

미진부는 아시공과 삼엽공주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삼엽공주는 법흥왕과 그의 후궁 벽화부인의 딸이었다.

미실의 어머니 묘도부인은 법흥왕의 후궁이었으며, 묘도부인의 어머니는 법흥왕의 또 다른 후궁인 옥진궁주로, 초대 풍월주 위화랑오도부인의 장녀였다. 옥진궁주는 박영실과의 사이에서 묘도부인을 낳았다.

오도부인은 소지마립간의 정비인 선혜부인과 묘심랑의 딸로서, 법흥왕의 비 보도부인과는 자매지간이었다.

필사본 《화랑세기》는 미실의 외모에 대해 "용모가 절묘하여 풍만함은 옥진을 닮았고, 명랑함은 벽화를 닮았고, 아름다움은 오도를 닮았다"고 묘사하고 있다.

미실의 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미진부제2대 풍월주
어머니묘도부인위화랑의 손녀
할아버지 (부)아시공
할머니 (부)삼엽공주법흥왕의 딸
할머니 (모)옥진궁주위화랑의 딸
증조할머니 (모)오도부인소지마립간의 왕비 선혜부인의 딸
고모 (모)사도왕후진흥왕의 왕비, 진지왕의 어머니, 진평왕의 할머니
고모 (모)지도로 부인진지왕의 비, 무열왕의 할머니
남동생미생랑제10대 풍월주


3. 생애

미실의 생애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지만, 이 필사본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어 아래 내용의 사실 여부 및 미실의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다.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미실은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세 왕의 후궁이었으며, 동륜태자와도 사랑하는 사이였다. 또한, 6대 풍월주 세종의 아내이자 7대 풍월주 설원랑의 연인이었고, 10대 풍월주 미생랑의 누나였다. 그녀의 아들 하종보종은 각각 11대와 16대 풍월주가 되었다.

미실은 진흥왕 사후 진지왕의 후궁이 되었으나, 진지왕이 다른 여인에게 관심을 가지면서 소원해졌다. 사도태후는 진지왕이 미실을 왕비로 삼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않자, 세종, 설원랑 등과 함께 진지왕을 폐위시키고 진평왕을 즉위시켰다. 이 과정에서 백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신라의 패배와 기근을 진지왕의 탓으로 돌리고, 부도덕한 왕을 둔 신라를 하늘이 버렸다는 소문을 퍼뜨렸다.

진평왕 즉위 후, 미실은 왕의 옥새를 관리하는 '새주'가 되었고, 진평왕은 그녀를 '우후'에 봉했다.

3. 1. 초년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미실은 제2대 풍월주 미진부와 묘도부인의 딸로, 제10대 풍월주 미생랑의 누나이다. 미실의 외할머니 옥진궁주는 칠색조가 자신의 가슴에서 날아 묘도에게 가는 꿈을 꾸었는데, 이후 묘도는 미실을 낳았다고 한다.

미실은 사다함(5대 풍월주)과 사랑하는 사이였으나, 진흥왕의 생모 지소태후에 의해 세종(6대 풍월주)과 결혼하게 된다. 세종의 아내였던 미실은 지소태후사도왕후를 폐출하려 하자 이 사실을 사도왕후에게 알렸다. 사도왕후는 이를 다시 진흥왕에게 알렸고, 지소태후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이에 지소태후는 미실을 출궁시키고, 법흥왕의 동생 진종의 딸 융명을 세종의 새로운 배필로 맞아들였다. 미실은 출궁해 있는 동안 사다함과 깊이 사랑하게 되었다. 세종은 미실을 잊지 못하고 그리워하여 앓아눕기까지 하였고, 아들을 생각한 태후가 미실을 다시 불러들였다. 당시 사다함은 전장에 나가 있었는데, 전장에서 돌아온 뒤 이 소식을 듣고 실망하여 '청오가'(靑烏歌)를 부르며 슬퍼하였고, 친구인 무관랑의 죽음으로 슬퍼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1]

이후 세종은 사다함의 종제 이화랑의 추천으로 6대 풍월주가 되었으며, 훗날 미실의 애인이 되는 설원랑이 세종을 보좌한다. 미실은 천주사에서 사다함의 명복을 빌었는데, 그날 밤 꿈에 사다함이 나타나 "나는 너와 부부가 되기를 원했으니 내가 너의 배를 빌어 아들을 낳아야겠다"라고 말했고, 얼마 뒤 미실은 하종을 낳았다. 하종은 사다함을 빼닮아 당시 사람들이 사다함의 아이가 아닌가 하는 의심을 했다고 한다.

3. 2. 진흥왕 시절

진흥왕은 왕태자 동륜이 장성하자 지소태후는 딸 만호를 동륜과 맺어주려 하였다. 이때 동륜의 모후이자 미실의 이모인 사도왕후는 미실에게 "네가 태자를 가까이하여 아들을 낳는다면 너를 부인으로 삼아주겠다"라고 말하며 동륜과도 정을 통하게 하였다. 한편, 이때 미실은 진흥왕의 명에 따라 왕을 섬기게 되었고, 왕후에 대등한 '''전주'''(殿主)가 되었다.[1] 진흥왕은 미실을 총애하여 원화 제도를 29년 만에 부활시키고, 미실을 원화로 삼았다. 미실은 당시 풍월주였던 세종의 권한을 이어받아 낭도를 거느렸다. 미실은 세종이 공을 세우도록 하기 위해 그를 출병시키고, 자신은 그 사이에 세종의 보좌인 설원랑은 물론 자신의 동생 미생랑과도 정을 통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572년 동륜이 진흥왕의 첩 보명궁주를 범하기 위해 보명궁 담장을 넘다 개에 물려 죽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마무리된다. 이 일로 인해 미실과 동륜의 관계가 들통나고 미실은 궁 밖으로 쫓겨남은 물론, 원화의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에 세종이 다시 풍월주의 지위를 회복하였으나, 미실이 세종에게 같이 물러나기를 청하니 세종은 설원랑에게 풍월주의 자리를 넘겨주었다. 이후, 사도왕후가 진흥왕에게 미실을 용서하기를 청하였고, 미실 또한 눈물로 용서를 구하니 진흥왕이 이를 받아들이고 궁으로 불러들였다. 이후 미실이 옥종공을 출산할 때가 되자, 진흥왕은 그를 마복자로 삼는다.[1]

3. 3. 진흥왕 이후

미실은 진흥왕이 병에 걸리자, 사도와 함께 국정의 중심으로 등장하였다. 진흥왕의 아들인 금륜(진지왕)과 정을 통하여 왕후가 될 준비를 하는 한편, 진흥왕이 서거하자 사도태후와 함께 손을 써 진지왕을 왕위에 올렸다. 그러나 진지왕이 왕위에 오른 뒤 왕후의 자리는 미실이 아닌 지도부인(知道夫人)에게 돌아갔다. 진지왕이 왕위에 오른 뒤에도 미실은 동륜의 아들 백정(진평왕)과 정을 통하는 사이가 되었다.[10]

이후 진지왕이 여색을 좋아하고 방탕하였을 뿐 아니라 미실을 왕후로 봉하겠다는 약속도 지키지 않자 사도태후와 미실은 논의하여 태후의 오빠인 노리부(弩里夫)를 통해 진지왕을 폐위하고, 동륜의 아들 백정을 왕위에 추대하였다(진평왕). 진지왕 폐위 당시, 화랑은 문노를 따르는 호국선(護國仙)과 설원랑을 따르는 운상인(雲上人)으로 나뉘어 있었는데, 문노 등이 진지왕 폐위를 반대할까 우려한 노리부공과 사도태후는 호국선과 운상인을 합치고, 미실을 다시 원화로 세웠으며 세종을 상선(上仙), 문노를 아선(亞仙)으로 삼았다. 이후 미실은 설원랑과 문노의 사이를 중재하여 풍월주의 지위를 문노가 잇게 했고, 문노는 본래 세종을 존경하였으므로 곧 미실에 충성을 바치게 되었다. 이후 문노가 국선의 자리로 풍월주가 되었으므로 이를 선화(仙花)라 칭했다.[10]

진평왕 즉위 초반에는 사도태후가 섭정하였는데, 미실은 '''새주'''(璽主)가 되었고, 노리부는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이후, 진평왕보명과 미실을 각각 좌후(左后)와 '''우후'''(右后)에 봉하였다. 585년(진평왕 7년), 미실의 동생인 미생이 10대 풍월주가 되자 미실은 하종으로 하여금 부제(副第)가 되게 하였다. 3년 뒤에는 하종이 미생의 뒤를 이어 11대 풍월주가 되었다.[10]

진평왕 중기부터는 세종, 설원랑 등과 함께 영흥사(永興寺)로 들어가 중이 되었다고 하며, 수많은 남성들 중 설원랑과의 관계를 가장 진실된 것으로 생각하였다 한다. 설원랑과의 사이에는 제16대 풍월주 보종공(寶宗公)을 낳았는데, 마지막 아이라 깊이 총애하였다고 한다. 606년, 미실이 병에 걸리자 설원랑은 미실을 밤낮으로 간호하며 자신이 대신 앓기를 바랐다. 얼마 후, 설원랑도 미실의 병과 유사한 병을 앓고는 얼마 못가 죽었다.[10]

미실의 죽음에 대해서 《필사본 화랑세기》는 직접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지만, 적어도 유신이 풍월주가 된 612년 이전에는 살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9]

4. 가족 관계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미실은 복잡하고 다양한 가족 관계를 맺고 있었다. 주요 가족 구성원과 그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조부 (아버지쪽)아시공선모와 보혜의 아들
조모 (아버지쪽)삼엽공주법흥왕벽화부인의 딸
아버지미진부제2대 풍월주
외조부박영실수지공과 보현공주(지증왕의 딸)의 아들
외조모옥진궁주제1대 풍월주 위화랑오도부인의 딸, 법흥왕의 후궁
어머니묘도부인법흥왕의 후궁
남동생미생랑제10대 풍월주
남편세종신라 제6대 풍월주
아들하종신라 제11대 풍월주, 세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아들옥종공세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며느리미모낭주 설씨
손녀유모낭주 김씨호림과 혼인
손녀영모낭주 김씨김유신과 혼인
정인사다함제5대 풍월주[11]
정인설원랑제7대 풍월주[12]
아들보종제16대 풍월주, 설원랑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정인미생랑친동생
정인진흥왕신라 제24대 왕
반야공주진흥왕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
난야공주진흥왕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
아들수종전군진흥왕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며느리호린부인
손자사린호명과 혼인
정인동륜태자진흥왕의 아들[13]
애송공주동륜태자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13]
정인진지왕신라 제25대 왕[14]
정인진평왕신라 제26대 왕[15]
보화공주진평왕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



미실은 진흥왕, 진지왕, 진평왕 등 신라의 세 왕과 관계를 맺었으며, 여러 풍월주들과도 깊은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진골 신분으로서 왕실과의 관계는 그녀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5. 평가 및 논란

미실의 생애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으나, 필사본 《화랑세기》 자체의 진위 논란 때문에 실제 사실 여부 및 실존 여부는 불분명하다.

5. 1. 실존 여부 논란

미실의 생애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다만 필사본 《화랑세기》 자체의 진위 논란이 있어, 아래에 나오는 사실들이 모두 실제 사실인지는 불분명하며, 인물의 실존 여부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다.

미실이 실존 인물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는데, 그 이유는 미실이 오직 ''화랑세기''[2]에만 언급되고, 역사서인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는 언급되지 않기 때문이다.[3] 또한 미실이 여러 아들딸의 어머니였다는 역할도 이 두 역사서가 아닌, 오직 ''화랑세기''에서만 언급되고 있다.[4][5]

6. 대중문화


  • 양정웅이 연출한 연극 《미실-新國신라의 파랑새 여인》은 2002년 초연되었고, 2005년 《월간 문학》에서 희곡상을 수상했다.
  • 김별아의 장편소설 《미실》은 2005년 작으로,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다.

6. 1. 드라마

미실을 주인공으로 하거나 주요 등장인물로 다룬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2009년에 방송된 MBC 텔레비전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주인공과 적대하는 인물로 등장하며, 미실 역을 연기한 고현정MBC 연기대상을 수상했다.[1]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미실은 덕만과 대립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음독자살로 생을 마감했다.[1] 드라마 《연개소문》에서는 천관녀의 후견인으로 등장한다.[1]

6. 2. 소설


  • 김별아의 장편소설 《미실》은 2005년 작으로,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이다.
  • 극작가 《양정웅》이 연출한 연극 《미실-新國신라의 파랑새 여인》은 2002년 초연되었고, 2005년 《월간 문학》에서 희곡상을 수상했다.
  • 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고현정(성인)과 유이(아역)가 미실 역을 연기했고, 극중 덕만과 대립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여 음독자살로 생을 마감했다.[1]
  • 드라마 《연개소문》에서는 서갑숙이 미실 역을 연기했고, 천관녀의 후견인으로 등장한다.[1]

6. 3. 연극


  • 양정웅이 연출한 연극 《미실-新國신라의 파랑새 여인》은 2002년 초연되었고, 2005년 《월간 문학》에서 희곡상을 수상했다.

7. 풍랑가

필사본 《화랑세기》에는 미실이 전장에 나가는 연인 사다함을 위해 지었다는 향가가 전한다. 풍랑가(風浪歌) 혹은 송출정가(送出征歌)라는 제목은 김완진 서울대 명예교수와 정연찬 서강대 교수가 번역하면서 정한 것이다. 그러나, 《화랑세기》 자체의 위작 가능성 때문에 이 노래 또한 박창화가 만든 거짓이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 송사다함가(送斯多含歌)라고도 한다.[1]

風只吹留如久爲都 郞前希吹莫遣|풍지취류여구위도 낭전희취막견한국어

郎只打如久爲都 郞前打莫遣|낭지타여구위도 낭전타막견한국어

早早歸良來良 更逢叱那抱遣見遣|조조귀량래량 경봉질나포견견견한국어

此好 郞耶 執音乎手乙 忍麻等尸理良奴|차호 랑야 집음호수을 인마등시리량노한국어

: 바람이 분다고 하되 임 앞에 불지 말고

: 물결이 친다고 하되 임 앞 치지 말고

: 빨리빨리 돌아오라 다시 만나 안고보고

: 아흐, 임이여 잡은 손을 차마 물리라뇨

참조

[1] 서적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ume 13, Number 1 (Fall 2008)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8-12-16
[2] 논문 The Historical Drama Queen Seondeok: Imaginary Memory of an Ancient Heroine http://www.dbpia.co.[...] 2011-06-17
[3] 웹사이트 '절대권력자' 미실에게도 한계는 있었다 http://www.ohmynews.[...] OhmyNews 2009-07-07
[4] 웹사이트 미실에겐 몇 명의 남자들이 있었을까? http://www.ohmynews.[...] OhmyNews 2009-06-10
[5] 서적 화랑세기/해동고승전 천줄읽기 CommunicationBooks 2012-01-01 #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의로 설정
[6] 문서 미실의 생몰년은 불명
[7] 문서 화랑세기 이외의 사서에는 언급이 없다.
[8] 문서 미실의 남동생 미생랑은 550년생이다.
[9] 문서 미실과 관련된 화랑세기 내용
[10] 문서 8대 풍월주, 어머니는 가야 문화공주
[11] 문서 구리지와 금진낭주의 아들
[12] 문서 설성과 금진낭주의 아들
[13] 문서 진흥왕은 애송을 자신의 딸로 알았다.
[14] 문서 진흥왕과 사도태후의 아들
[15] 문서 진지왕의 형 동륜과 지소태후의 딸 만호부인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