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욱 (연출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병욱은 대한민국의 연출가로, SBS와 MBC에서 시트콤을 주로 연출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하고 MBC 라디오 PD로 방송계에 입문한 후, 1995년 SBS의 첫 시트콤 《LA 아리랑》을 시작으로 《순풍산부인과》,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똑바로 살아라》 등을 연출하며 시트콤 연출가로서 입지를 다졌다. MBC로 복귀하여 《거침없이 하이킥!》, 《지붕뚫고 하이킥!》,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등 하이킥 시리즈를 연출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tvN 《감자별 2013QR3》, TV조선 《너의 등짝에 스매싱》 등 비지상파에서도 활동했다.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 특별상, 2010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예능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중학교 동문 - 권영해 (1937년)
권영해는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여 국방부 기획관리실 실장, 국방부 차관, 국방부 장관, 국가안전기획부 부장을 역임하고, 한국야구위원회 총재와 여러 정당의 당무위원, 최고위원, 상임고문을 지냈다. - 경주중학교 동문 - 정경훈 (야구인)
정경훈은 1990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한화 이글스에서 활약하며 1995년 올스타전 MVP를 수상한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이다. - 경주고등학교 동문 - 권영해 (1937년)
권영해는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여 국방부 기획관리실 실장, 국방부 차관, 국방부 장관, 국가안전기획부 부장을 역임하고, 한국야구위원회 총재와 여러 정당의 당무위원, 최고위원, 상임고문을 지냈다. - 경주고등학교 동문 - 우원재
우원재는 2017년 《쇼 미 더 머니 6》에서 3위를 차지하며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래퍼로, AOMG 소속으로 활동하다 독립 레이블 Duover를 설립하여 솔직하고 감성적인 가사와 독특한 음색으로 활동하며 팬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감독 - 김재형 (연출가)
김재형은 1961년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등 다수의 인기 사극을 연출하여 '사극의 거장'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가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감독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김병욱 (연출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병욱 |
출생지 | 경상북도 경주 |
장르 | 시트콤 연출 |
활동 기간 | 1997년 ~ |
직업 | 프로듀서 |
경력 | 초록뱀미디어 |
별칭 | 스텐레스김 |
2. 학력
3. 경력
4. 활동
경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하였다. 1986년 MBC 라디오국에 입사해 라디오 PD로 일했으며, 1991년 SBS 창립을 앞두고 SBS 예능국으로 이직하였다.[1]
1995년부터 2005년까지 SBS에서 《LA 아리랑》, 《순풍산부인과》,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똑바로 살아라》, 《귀엽거나 미치거나》 등의 시트콤 연출을 맡았다. 2006년에는 MBC로 복귀하여 《거침없이 하이킥!》, 《지붕뚫고 하이킥!》,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등 하이킥 시리즈를 연출하였다. 2013년부터는 tvN으로 이적하여 《감자별 2013QR3》을 연출하는 등 비지상파에서도 활동하였다.[1]
4. 1. 방송 입문 및 SBS 시트콤 전성기 (1986년 ~ 2005년)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한 김병욱은 1986년 MBC 라디오국에 입사해 라디오 PD로 일했다. 1991년 SBS 창립을 앞두고 SBS 예능국으로 이직하였다.[1]1995년, SBS의 첫 시트콤 《LA 아리랑》의 연출을 맡으며 시트콤에 진출했다. 《LA 아리랑》은 2000년까지 5년여간 장기 방영되어 인기를 끌었다.[1] 1998년에는 홍제동의 한 산부인과에서 벌어지는 가족의 일상을 다룬 시트콤 《순풍산부인과》의 연출을 맡았다. 순풍산부인과는 최고 시청률 30%를 기록하면서, 당대 시트콤 사상 최고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SBS에서 런칭한 시트콤 중 유일하게 시청률 30%를 넘긴 작품으로 기록되었다.[1]
2000년 12월, 김병욱은 《순풍산부인과》의 후속작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의 연출을 맡았다. 당초 《순풍산부인과》의 방영 기간이 2년이 넘어가며 발생한 여러 제작상 문제로 인해, 방영 초기부터 1년을 넘지 않겠다고 발언한 뒤 방송이 시작되었다.[1]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역시 평균 시청률 15%, 최고 시청률 28.9%를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뒀다.[1]
2002년, 후속작 《똑바로 살아라》가 방영을 시작했다. 본래 김병욱은 《똑바로 살아라》의 런칭을 2003년으로 계획하고 있었으나,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의 후속작 《대박가족》이 저조한 시청률과 낮은 평가를 받자 조기 편성되었다.[1] 《똑바로 살아라》는 평균 13%의 시청률을 기록하였으며, 탄탄한 스토리라인과 마니아층을 노린 시놉시스로 큰 사랑을 받았다. 《똑바로 살아라》는 김병욱 PD 개인이 가장 좋은 평가를 내린 작품이기도 하다.[1] SBS에서 김병욱이 연출을 맡은 시트콤들을 소위 '순풍-웬그막-똑살 트릴로지'라고 부른다.[1]
2005년 김병욱은 시트콤 《귀엽거나 미치거나》의 연출을 맡았다. 그러나 이전 작품들에 비해 크게 저조한 시청률을 보이며 김병욱 PD의 시트콤 중 첫 실패를 기록하게 되었으며, 그가 SBS에서 연출을 맡은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1] 《귀엽거나 미치거나》의 흥행 실패 이후 SBS는 주간 시트콤을 폐지하였다.[1]
4. 2. MBC 복귀와 하이킥 시리즈 (2006년 ~ 2012년)
2006년 김병욱은 친정인 MBC으로 이적하여 시트콤 《거침없이 하이킥!》의 연출을 맡았다. 이순재, 나문희, 박해미, 정준하, 최민용 등 간판급 배우들과 김혜성, 정일우, 박민영, 김범, 나혜미 등 신인들이 기용되었으며, 《똑바로 살아라》에 출연했던 서민정까지 합류했다. 《거침없이 하이킥》은 평균 시청률 20%를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하였고 연말 시상식에서 12관왕을 석권하였다.[1] 주연배우인 이순재는 2007년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였고, 김병욱은 신지와 함께 특별상을 수상했다.[1] 당초 영화화 계획이 있었으나, 서민정이 프로그램 종영과 함께 결혼하여 뉴욕으로 이주하면서 영화 계획은 무산되었다.[1]2009년 하이킥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인 《지붕뚫고 하이킥!》의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부터 김병욱과 오랫동안 함께 작업했던 송재정 작가가 하차했으며, 그의 작품 중 처음으로 HD로 제작된 시트콤이기도 하다. 《지붕뚫고 하이킥》은 최고 시청률 25%를 기록하며 전작의 최고 시청률을 갱신하는 등 크게 흥행에 성공하였다.[2] 그러나 이전 작품들에 비해 이질적으로 평가받는 스토리라인과 많은 시청자들에게 논란을 낳은 결말로 인하여 작품에 대한 평가는 이전 작인 《거침없이 하이킥》보다 낮았다.[2]
2011년 하이킥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인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의 연출을 맡았다. 김병욱은 제작발표회에서 흥행 여부와 상관없이 하이킥 시리즈는 종영한다고 선언하였다.[3] 시청률은 평균 10%, 최고 시청률 15%로 전작에 비해 크게 하향세를 띄었으며 김병욱은 하이킥 시리즈의 종영과 함께 MBC를 떠났다.[3]
4. 3. 비지상파 활동 및 크리에이터 참여 (2013년 ~ 현재)
2013년 김병욱은 tvN으로 이적하여 시트콤 《감자별 2013QR3》의 연출을 맡았다. 이 작품에는 하이킥 시리즈에서 주연을 맡았던 이순재와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똑바로 살아라》에서 주연을 맡았던 노주현이 출연하여 화제를 모았으나, 저조한 시청률로 큰 화제를 모으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1]김병욱은 2010년부터 2011년까지 tvN에서 방영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생초리!》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TV조선에서 방영된 《너의 등짝에 스매싱》에 크리에이터로 참여하였다.[1]
5. 제작 작품
방송사 | 제목 | 방영 기간 | 비고 |
---|---|---|---|
SBS | LA아리랑 | 1995년 ~ 1996년 | |
SBS | 순풍산부인과 | 1998년 ~ 2000년 | |
SBS |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 2000년 ~ 2002년 | |
SBS | 똑바로 살아라 | 2002년 ~ 2003년 | |
SBS | 귀엽거나 미치거나 | 2005년 | |
MBC | 거침없이 하이킥! | 2006년 ~ 2007년 | |
MBC | 지붕뚫고 하이킥! | 2009년 ~ 2010년 | |
MBC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 2011년 ~ 2012년 | |
tvN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생초리! | 2010년 ~ 2011년 | 크리에이터 |
tvN | 감자별 2013QR3 | 2013년 ~ 2014년 | |
TV조선 | 너의 등짝에 스매싱 | 2017년 ~ 2018년 | 크리에이터 |
5. 1. SBS
- 1995년 ~ 1996년 SBS 《LA아리랑》
- 1998년 ~ 2000년 SBS 《순풍산부인과》
- 2000년 ~ 2002년 SBS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
- 2002년 ~ 2003년 SBS 《똑바로 살아라》
- 2005년 SBS 《귀엽거나 미치거나》
5. 2. MBC
5. 3. 비지상파
- 2010년 ~ 2011년 tvN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생초리!》 (크리에이터)
- 2013년 ~ 2014년 tvN 《감자별 2013QR3》
- 2017년 ~ 2018년 TV조선 《너의 등짝에 스매싱》 (크리에이터)
6.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2007년 | MBC 방송연예대상 특별상 | {{lang |
2007년 |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프로듀서상 | {{lang |
2009년 | MBC 방송연예대상 시트콤부문 특별상 | {{lang |
2010년 | 제3회 코리아드라마페스티벌 심사위원특별상 | {{lang |
2010년 | 제46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예능작품상 | {{lang |
참조
[1]
웹인용
알쏭달쏭 '하이킥 크레딧' 비밀은…
http://economy.hanko[...]
한국일보
2010-02-12
[2]
웹인용
알쏭달쏭 '하이킥 크레딧' 비밀은…
http://sports.hankoo[...]
2017-04-27
[3]
웹인용
‘지붕킥’ 김병욱 PD “웃다가 울리는, 제가 좀 염세주의적이죠”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10-02-12
[4]
웹인용
김병욱 감독
http://10.asiae.co.k[...]
텐아시아
2010-02-12
[5]
웹인용
김병욱 감독
http://tenasia.hanky[...]
2017-04-27
[6]
웹인용
‘지붕킥’ 김병욱PD, 왜 철인적 천재?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10-02-12
[7]
웹인용
‘지붕킥’김병욱PD, 왜 철인적 천재?
http://entertain.nav[...]
2017-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