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기 (물리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영기는 대한민국의 물리학자이다. 고려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연구원, 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시카고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부소장을 역임했다. 글루온과 쿼크 입자가 생성하는 입자다발을 분간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Top-쿼크 발견 및 질량 측정에 기여했다. 또한 W 보존과 Top-쿼크 입자의 질량 정밀 측정으로 힉스 입자 질량 예측에 기여했다. 2000년 디스커버가 선정한 '21세기 세계 과학을 이끌 과학자 20인'에 선정되었고, 2004년 미국 물리학회 펠로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천진우
천진우는 나노 입자와 자기장을 이용한 생체 제어 기술, MRI 조영제 개발 등 나노 기술과 의학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연세대학교 교수 및 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다. - 로체스터 대학교 동문 - J. C. R. 리클라이더
J. C. R. 리클라이더는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컴퓨터 과학자로, 심리음향학을 연구하고 인간-컴퓨터 공생 개념을 제시했으며, ARPANET 개발에 기여했다. - 로체스터 대학교 동문 - 스티븐 추
스티븐 추는 레이저 기술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에너지부 장관을 지낸 정치인으로서,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소장과 스탠퍼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를 역임하며 기후 변화 해결을 위해 재생 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 개발을 강조했다. - 경산시 출신 - 최경환 (1955년)
최경환은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을 거쳐 이회창 후보 경제특보를 지냈으며, 4선 국회의원, 지식경제부 장관,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며 '초이노믹스'를 추진했으나, 국정원 특활비 뇌물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하고 복권 후 22대 총선에서 낙선한 정치인이다. - 경산시 출신 - 윤두현
윤두현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서울신문, YTN 기자, YTN 보도국장, 디지털YTN 대표이사 사장,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을 거쳐 제21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미디어 관련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그랜드코리아레저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김영기 (물리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영기 |
태어난 날 | 1962년 |
학문 | |
분야 | 입자물리학 |
수상 및 기타 |
2. 생애
경상북도 경산에서 태어나 1984년 고려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86년 석사학위를 받은 후, 1990년 미국 로체스터 대학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1] 이후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 연구원, 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 교수를 거쳐, 현재 시카고대 물리학과 교수이다.[1]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부소장을 역임했다.[1] 2020년부터 1년간 미국 물리학회 입자물리분과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1]
김영기는 글루온과 쿼크입자가 생성하는 입자다발(jet)을 분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Top-쿼크의 발견과 질량 측정에 기여했다. 또한 약한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W 보존과 Top-쿼크 입자의 질량을 정밀 측정함으로써 힉스 입자의 질량을 예측하는데 크게 기여했다.[2]
강주상은 김영기의 지도교수였으며, 미국에서 이휘소에게 박사학위 논문을 지도받았다.[1] 이휘소는 1977년 6월 교통사고로 사망하기 전까지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입자 이론물리 분과의 총책임자였다.[1]
[1]
웹인용
Woman to Watch
http://www.chicagobu[...]
Chicago Business
2011-04-13
3. 업적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에서 양성자, 반양성자 가속기인 테바트론을 이용한 양성자, 반양성자 충돌 실험 그룹인 CDF (Collider Detector at Fermilab)의 공동대표를 역임했다.
2000년 디스커버가 선정한 '21세기 세계과학을 이끌 과학자 20인' 중 한명으로 뽑혔으며, 2004년 미국 물리학회 펠로로 선정되었다. 2008년 시카고 비즈니스가 선정한 '주목할 여성(Woman to Watch)'으로 뽑혔다.[1]
CDF의 실험과 연구를 주도하며 힉스 입자 검출을 위한 연구에 매진하며, 새로운 물리 현상 발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 이휘소와의 관계
참조
[2]
논문
"Precision Top-Quark Mass Measurement at CD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