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산군은 삼한시대 압량국에서 시작되어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구역 개편을 겪었다. 1895년 대구부 경산군으로, 1896년 경상북도 경산군으로 개편되었으며,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는 신녕군, 자인군, 하양군이 통폐합되었다. 1956년 경산읍으로 승격되었고, 1989년 경산시로 승격된 후 1995년 경산군과 통합되어 도농복합시인 경산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경산군 | |
---|---|
지도 | |
![]() |
2. 역사
경산 지역에는 삼한시대 압량국(押粱國)이 있었다. 신라는 압량국 지역에 압량주(押粱州)를 설치하고 군주(軍主)를 두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는 장산군(獐山郡)으로 칭하고, 양주(良州, 현 양산시)에 속하게 하였다. 이때 해안현(解顔縣), 여량현(餘糧縣), 자인현(慈仁縣)을 영현으로 두었다.
2. 1. 고대
경산 지역에는 삼한시대 압량국(押粱國)이 있었다. 신라는 압량국 지역에 압량주(押粱州)를 설치하고 군주(軍主)를 두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는 장산군(獐山郡)으로 칭하고, 양주(良州, 현 양산시)에 속하게 하였다. 이때 해안현(解顔縣), 여량현(餘糧縣), 자인현(慈仁縣)을 영현으로 두었다.2. 2. 고려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양주(良州, 현 양산시)에 속하는 장산군(獐山郡)으로 칭해졌으며, 해안현(解顔縣), 여량현(餘糧縣), 자인현(慈仁縣)을 영현으로 두었다. 고려 태조 23년(940년) 장산현(章山縣)으로 강등되었고, 현종 9년(1018년)에는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명종 2년(1172년)에는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충선왕 2년(1310년) 경산현(慶山縣)으로 개칭되었고, 충숙왕 4년(1317년) 국사 일연의 고향이라 하여 현령을 두었다. 공양왕 2년(1390년) 경산군으로 승격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2. 3. 조선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장산군(獐山郡)으로 칭하고, 양주(良州, 현 양산시)에 속하게 하였다. 이때 해안현(解顔縣), 여량현(餘糧縣), 자인현(慈仁縣)을 영현으로 두었다.[2] 고려 태조 23년(940년) 장산현(章山縣)으로 강등되었으며, 현종 9년(1018년)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현 경주시)의 속현이 되었다.[2] 명종 2년(1172년)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하였고, 충선왕 2년(1310년) 경산현(慶山縣)으로 개칭하였다.[2] 충숙왕 4년(1317년) 국사 일연의 고향이라 하여 현령을 두었고, 공양왕 2년(1390년) 경산군으로 승격하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2]조선 건국 이후 태조 3년(1395년) 경산현으로 강등되고 현령을 두었다가, 1895년 6월 23일(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경산군(慶山郡)으로,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경산군으로 개편되었다.[2][3]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신녕군 남면, 자인군, 하양군을 경산군으로 통폐합하였다.[4][5]
2. 4.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신녕군 남면, 자인군, 하양군을 경산군으로 통폐합하였다.[4][5]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
경산군 북면(北面) 금강동(今江洞), 내곡동, 대촌동/임천동, 동오동, 사복동, 상동동/마여동, 금호동/서오동, 중리동/숙천동, 신기동, 구영동/금계동, 구암동/하율동, 율하동 | 안심면 | 금강동(琴江洞), 내곡동, 대림동, 동호동, 사복동, 상매동, 서호동, 숙천동, 신기동, 용계동, 율암동, 율하동 |
경산군 읍면(邑面) 남성동/상남동/하남동, 동상동/상북동/하북동, 궁당동/정림동/장림동, 백동/천동, 서상동/대사리, 옥곡동/구교동, 사정동/정거동, 중방동/금포동, 동계동/청우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경산면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백천동, 서상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경산군 서면(西面) 욱수동/봉암동, 내매동/신기동, 외곶동/덕천동/대덕동, 성동, 연호동/상연동, 고모동(古毛洞)/팔현동, 시지동/송정동, 서호동/위매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내곶동 | 고산면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顧母洞),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내환동 |
경산군 남면(南面) 상대동/하대동, 신덕동/신지동/지암동/연화동, 덕산동/신흥동, 상금동/하금동, 협석동, 송천동/백천동, 산전동, 신방동, 신석동, 구일동, 원동, 하도동 | 남천면 | 대명동, 삼성동, 흥산동, 금곡동, 협석동, 송백동, 산전동, 신방동, 신석동, 구일동, 원동, 하도동 |
경산군 동면(東面) 갑제동, 신광리/금구동, 내동, 부적동, 사동, 삼풍동, 신대동, 신촌동, 압량동, 용암동, 의송동, 인각동/축안동, 조영동, 평산동, 현창동/건흥동 | 압량면 | 갑제동, 금구동, 내동(乃洞), 부적동, 사동, 삼풍동, 신대동, 신촌동, 압량동, 용암동, 의송동, 인안동, 조영동, 평산동, 현흥동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 |
구 행정구역 | 신 행정구역 |
---|---|
읍면 중방동(中方洞), 금포동(金浦洞) | 경산면 중방동 |
읍면 동계동(洞桂洞), 청우동(靑牛洞) | 경산면 계양동 |
읍면 백동(栢洞), 천동(泉洞) | 경산면 백천동 |
읍면 궁당동(弓堂洞), 정림동(正林洞), 장림동(長林洞) | 경산면 임당동 |
읍면 동상동(東上洞), 상북동(上北洞), 하북동(下北洞) | 경산면 삼북동 |
읍면 상남동(上南洞), 하남동(下南洞), 남성동(南城洞) | 경산면 삼남동 |
읍면 서상동(西上洞), 대사리(大寺里) | 경산면 서상동 |
읍면 옥곡동(玉谷洞), 구교동(龜校洞) | 경산면 옥곡동 |
읍면 사정동(士亭洞), 정거동(停車洞) | 경산면 사정동 |
2. 5. 대한민국
1895년 6월 23일(조선 고종 32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경산군(慶山郡)으로 개편되었다.[2]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경산군으로 개편되었다.[3] 1914년 4월 1일 신녕군 남면, 자인군, 하양군을 경산군으로 통폐합하였다.[4][5]1956년 7월 8일 경산면을 경산읍으로 승격하였다.[6] 1973년 7월 1일 안심면을 안심읍으로, 하양면을 하양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8] 1981년 7월 1일 안심읍, 고산면을 대구직할시에 편입하였다.[9] 1989년 1월 1일 경산읍 일원을 관할로 경산시가 설치되었다.[12] 1995년 1월 1일 경산시 일원과 경산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경산시가 설치되었다.[1]
1966년 7월 1일 용성면에 육동출장소를 설치하였으나,[7] 1986년 12월 1일 육동출장소는 폐지되었다.[10] 1987년 1월 1일 읍·면 간 및 영천군과의 행정구역 변경이 있었다.[11]
3. 행정 구역
wikitext
1914년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전국의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경산군, 자인군, 흥해군의 연일현과 장기현을 통합하여 새로운 경산군을 설치하였다.[13] 이때, 기존 경산군의 읍내면을 경산면으로 개칭하고, 고산면은 대구부로, 안심면은 달성군으로 이관하는 등 대대적인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
새롭게 설치된 경산군은 경산면, 하양면, 진량면, 자인면, 용성면, 남산면, 압량면, 남천면과 구 연일현 지역 4개면, 구 장기군 지역 3개면을 관할하였다.[13]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경산군의 면적은 크게 확장되었으나, 일부 지역은 대구광역시와 영천시로 편입되면서 현재의 경산시 행정구역과는 차이를 보인다.
당시 설치되었던 면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 | 현재 | ||
---|---|---|---|
면 | 동 | 구·읍·면 | 동·리 |
와촌면 (瓦村面) | 계당동, 용천동, 상암동, 시천동, 계전동, 덕촌동, 동강동, 대한동, 박사동, 대동동, 강학동, 신한동, 소월동, 음양동 | 경산시 와촌면 | 계당리, 용천리, 상암리, 시천리, 계전리, 덕촌리, 동강리, 대한리, 박사리, 대동리, 강학리, 신한리, 소월리, 음양리 |
하양면 (河陽面) | 금락동, 대곡동, 동서동, 도리동, 서사동, 양지동, 부호동, 은호동, 남하동, 청천동, 환상동, 대조동, 교동, 사기동, 대학동, 한사동 | 경산시 하양읍 | 금락리, 대곡리, 동서리, 도리리, 서사리, 양지리, 부호리, 은호리, 남하리, 청천리, 환상리, 대조리, 교리, 사기리, 대학리, 한사리 |
진량면 (珍良面) | 아사동, 상림동, 부기동, 문천동, 양기동, 내리동, 평사동(坪沙洞), 선화동, 신상동, 북동, 봉회동, 보인동, 안촌동, 속초동, 신제동, 대원동, 황제동, 가야동, 당곡동, 평사동(平沙洞), 시문동, 광석동, 다문동, 현내동, 마곡동 | 경산시 진량읍 | 아사리, 상림리, 부기리, 문천리, 양기리, 내리리, 평사리(坪沙里), 선화리, 신상리, 북리, 봉회리, 보인리, 안촌리, 속초리, 신제리, 대원리, 황제리, 가야리, 당곡리, 평사리(平沙里), 시문리, 광석리, 다문리, 현내리, 마곡리 |
자인면 (慈仁面) | 동부동, 서부동, 교촌동, 신도동, 읍천동, 신관동, 울옥동, 옥천동, 계남동, 원당동, 북사동, 단북동, 계림동, 일언동, 남촌동, 남신동 | 경산시 자인면 | 동부리, 서부리, 교촌리, 신도리, 읍천리, 신관리, 울옥리, 옥천리, 계남리, 원당리, 북사리, 단북리, 계림리, 일언리, 남촌리, 남신리 |
용성면 (龍城面) | 쟁광동, 고은동, 내촌동, 미산동, 당리동, 외촌동, 고죽동, 도덕동, 매남동, 곡신동, 덕천동, 용천동, 부일동, 용산동, 곡란동, 대종동, 가척동, 용전동, 송림동, 부제동 | 경산시 용성면 | 일광리, 고은리, 내촌리, 미산리, 당리리, 외촌리, 고죽리, 도덕리, 매남리, 곡신리, 덕천리, 용천리, 부일리, 용산리, 곡란리, 대종리, 가척리, 용전리, 송림리, 부제리 |
남산면 (南山面) | 산양동, 우검동, 연하동, 사림동, 평기동, 홍정동, 안심동, 갈지동, 남곡동, 경동, 인흥동, 조곡동, 송내동, 반곡동, 상대동, 하대동, 전지동, 사월동 | 경산시 남산면 | 산양리, 우검리, 연하리, 사림리, 평기리, 홍정리, 안심리, 갈지리, 남곡리, 경리, 인흥리, 조곡리, 송내리, 반곡리, 상대리, 하대리, 전지리, 사월리 |
압량면 (押梁面) | 금구동, 현흥동, 압량동, 인안동, 내동(乃洞), 신대동, 용암동, 신촌동, 부적동, 의송동, 당리동, 강서동, 백안동, 신월동, 당음동, 가일동 | 경산시 압량읍 | 금구리, 현흥리, 압량리, 인안리, 내리, 신대리, 용암리, 신촌리, 부적리, 의송리, 당리리, 강서리, 백안리, 신월리, 당음리, 가일리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內洞), 남방동 | 경산시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 남방동 | |
경산면 (慶山面)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
남천면 (南川面) | 대명동, 삼성동, 흥산동, 금곡동, 협석동, 송백동, 산전동, 신방동, 신석동, 구일동, 원동, 하도동 | 경산시 남천면 | 대명리, 삼성리, 흥산리, 금곡리, 협석리, 송백리, 산전리, 신방리, 신석리, 구일리, 원리, 하도리 |
고산면 (孤山面)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내환동 | 대구 수성구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대흥동 |
안심면 (安心面)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대구 동구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3. 1. 1914년 행정구역 개편
1914년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전국의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경산군, 자인군, 흥해군의 연일현과 장기현을 통합하여 새로운 경산군을 설치하였다. 이때, 기존 경산군의 읍내면을 경산면으로 개칭하고, 고산면은 대구부로, 안심면은 달성군으로 이관하는 등 대대적인 행정구역 조정이 이루어졌다.새롭게 설치된 경산군은 경산면, 하양면, 진량면, 자인면, 용성면, 남산면, 압량면, 남천면과 구 연일현 지역 4개면, 구 장기군 지역 3개면을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경산군의 면적은 크게 확장되었으나, 일부 지역은 대구광역시와 영천시로 편입되면서 현재의 경산시 행정구역과는 차이를 보인다.
당시 설치되었던 면과 현재의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1914년 | 현재 | ||
---|---|---|---|
면 | 동 | 구·읍·면 | 동·리 |
와촌면 (瓦村面) | 계당동, 용천동, 상암동, 시천동, 계전동, 덕촌동, 동강동, 대한동, 박사동, 대동동, 강학동, 신한동, 소월동, 음양동 | 경산시 와촌면 | 계당리, 용천리, 상암리, 시천리, 계전리, 덕촌리, 동강리, 대한리, 박사리, 대동리, 강학리, 신한리, 소월리, 음양리 |
하양면 (河陽面) | 금락동, 대곡동, 동서동, 도리동, 서사동, 양지동, 부호동, 은호동, 남하동, 청천동, 환상동, 대조동, 교동, 사기동, 대학동, 한사동 | 경산시 하양읍 | 금락리, 대곡리, 동서리, 도리리, 서사리, 양지리, 부호리, 은호리, 남하리, 청천리, 환상리, 대조리, 교리, 사기리, 대학리, 한사리 |
진량면 (珍良面) | 아사동, 상림동, 부기동, 문천동, 양기동, 내리동, 평사동(坪沙洞), 선화동, 신상동, 북동, 봉회동, 보인동, 안촌동, 속초동, 신제동, 대원동, 황제동, 가야동, 당곡동, 평사동(平沙洞), 시문동, 광석동, 다문동, 현내동, 마곡동 | 경산시 진량읍 | 아사리, 상림리, 부기리, 문천리, 양기리, 내리리, 평사리(坪沙里), 선화리, 신상리, 북리, 봉회리, 보인리, 안촌리, 속초리, 신제리, 대원리, 황제리, 가야리, 당곡리, 평사리(平沙里), 시문리, 광석리, 다문리, 현내리, 마곡리 |
자인면 (慈仁面) | 동부동, 서부동, 교촌동, 신도동, 읍천동, 신관동, 울옥동, 옥천동, 계남동, 원당동, 북사동, 단북동, 계림동, 일언동, 남촌동, 남신동 | 경산시 자인면 | 동부리, 서부리, 교촌리, 신도리, 읍천리, 신관리, 울옥리, 옥천리, 계남리, 원당리, 북사리, 단북리, 계림리, 일언리, 남촌리, 남신리 |
용성면 (龍城面) | 쟁광동, 고은동, 내촌동, 미산동, 당리동, 외촌동, 고죽동, 도덕동, 매남동, 곡신동, 덕천동, 용천동, 부일동, 용산동, 곡란동, 대종동, 가척동, 용전동, 송림동, 부제동 | 경산시 용성면 | 일광리, 고은리, 내촌리, 미산리, 당리리, 외촌리, 고죽리, 도덕리, 매남리, 곡신리, 덕천리, 용천리, 부일리, 용산리, 곡란리, 대종리, 가척리, 용전리, 송림리, 부제리 |
남산면 (南山面) | 산양동, 우검동, 연하동, 사림동, 평기동, 홍정동, 안심동, 갈지동, 남곡동, 경동, 인흥동, 조곡동, 송내동, 반곡동, 상대동, 하대동, 전지동, 사월동 | 경산시 남산면 | 산양리, 우검리, 연하리, 사림리, 평기리, 홍정리, 안심리, 갈지리, 남곡리, 경리, 인흥리, 조곡리, 송내리, 반곡리, 상대리, 하대리, 전지리, 사월리 |
압량면 (押梁面) | 금구동, 현흥동, 압량동, 인안동, 내동(乃洞), 신대동, 용암동, 신촌동, 부적동, 의송동, 당리동, 강서동, 백안동, 신월동, 당음동, 가일동 | 경산시 압량읍 | 금구리, 현흥리, 압량리, 인안리, 내리, 신대리, 용암리, 신촌리, 부적리, 의송리, 당리리, 강서리, 백안리, 신월리, 당음리, 가일리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內洞), 남방동 | 경산시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 남방동 | |
경산면 (慶山面)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
남천면 (南川面) | 대명동, 삼성동, 흥산동, 금곡동, 협석동, 송백동, 산전동, 신방동, 신석동, 구일동, 원동, 하도동 | 경산시 남천면 | 대명리, 삼성리, 흥산리, 금곡리, 협석리, 송백리, 산전리, 신방리, 신석리, 구일리, 원리, 하도리 |
고산면 (孤山面)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내환동 | 대구 수성구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대흥동 |
안심면 (安心面)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대구 동구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3. 2. 현대 행정구역 변천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경산군, 자인군, 하양군과 신녕군의 일부가 통합되어 경산군이 되었다.[13]1914년 | 현재 | ||
---|---|---|---|
면 | 동 | 구·읍·면 | 동·리 |
와촌면 (瓦村面) | 계당동, 용천동, 상암동, 시천동, 계전동, 덕촌동, 동강동, 대한동, 박사동, 대동동, 강학동, 신한동, 소월동, 음양동 | 경산시 와촌면 | 계당리, 용천리, 상암리, 시천리, 계전리, 덕촌리, 동강리, 대한리, 박사리, 대동리, 강학리, 신한리, 소월리, 음양리 |
하양면 (河陽面) | 금락동, 대곡동, 동서동, 도리동, 서사동, 양지동, 부호동, 은호동, 남하동, 청천동, 환상동, 대조동, 교동, 사기동, 대학동, 한사동 | 경산시 하양읍 | 금락리, 대곡리, 동서리, 도리리, 서사리, 양지리, 부호리, 은호리, 남하리, 청천리, 환상리, 대조리, 교리, 사기리, 대학리, 한사리 |
진량면 (珍良面) | 아사동, 상림동, 부기동, 문천동, 양기동, 내리동, 평사동(坪沙洞), 선화동, 신상동, 북동, 봉회동, 보인동, 안촌동, 속초동, 신제동, 대원동, 황제동, 가야동, 당곡동, 평사동(平沙洞), 시문동, 광석동, 다문동, 현내동, 마곡동 | 경산시 진량읍 | 아사리, 상림리, 부기리, 문천리, 양기리, 내리리, 평사리(坪沙里), 선화리, 신상리, 북리, 봉회리, 보인리, 안촌리, 속초리, 신제리, 대원리, 황제리, 가야리, 당곡리, 평사리(平沙里), 시문리, 광석리, 다문리, 현내리, 마곡리 |
자인면 (慈仁面) | 동부동, 서부동, 교촌동, 신도동, 읍천동, 신관동, 울옥동, 옥천동, 계남동, 원당동, 북사동, 단북동, 계림동, 일언동, 남촌동, 남신동 | 경산시 자인면 | 동부리, 서부리, 교촌리, 신도리, 읍천리, 신관리, 울옥리, 옥천리, 계남리, 원당리, 북사리, 단북리, 계림리, 일언리, 남촌리, 남신리 |
용성면 (龍城面) | 쟁광동, 고은동, 내촌동, 미산동, 당리동, 외촌동, 고죽동, 도덕동, 매남동, 곡신동, 덕천동, 용천동, 부일동, 용산동, 곡란동, 대종동, 가척동, 용전동, 송림동, 부제동 | 경산시 용성면 | 일광리, 고은리, 내촌리, 미산리, 당리리, 외촌리, 고죽리, 도덕리, 매남리, 곡신리, 덕천리, 용천리, 부일리, 용산리, 곡란리, 대종리, 가척리, 용전리, 송림리, 부제리 |
남산면 (南山面) | 산양동, 우검동, 연하동, 사림동, 평기동, 홍정동, 안심동, 갈지동, 남곡동, 경동, 인흥동, 조곡동, 송내동, 반곡동, 상대동, 하대동, 전지동, 사월동 | 경산시 남산면 | 산양리, 우검리, 연하리, 사림리, 평기리, 홍정리, 안심리, 갈지리, 남곡리, 경리, 인흥리, 조곡리, 송내리, 반곡리, 상대리, 하대리, 전지리, 사월리 |
압량면 (押梁面) | 금구동, 현흥동, 압량동, 인안동, 내동(乃洞), 신대동, 용암동, 신촌동, 부적동, 의송동, 당리동, 강서동, 백안동, 신월동, 당음동, 가일동 | 경산시 압량읍 | 금구리, 현흥리, 압량리, 인안리, 내리, 신대리, 용암리, 신촌리, 부적리, 의송리, 당리리, 강서리, 백안리, 신월리, 당음리, 가일리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內洞), 남방동 | 경산시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 남방동 | |
경산면 (慶山面)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
남천면 (南川面) | 대명동, 삼성동, 흥산동, 금곡동, 협석동, 송백동, 산전동, 신방동, 신석동, 구일동, 원동, 하도동 | 경산시 남천면 | 대명리, 삼성리, 흥산리, 금곡리, 협석리, 송백리, 산전리, 신방리, 신석리, 구일리, 원리, 하도리 |
고산면 (孤山面)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내환동 | 대구 수성구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대흥동 |
안심면 (安心面)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대구 동구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해방후 1956년 7월 8일 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되었고, 1973년 7월 1일 압량면이 압량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7월 1일에는 안심읍과 고산면이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었다. 1989년 1월 1일 경산읍이 경산시로 승격되면서, 기존 경산군은 경산시와 월성군을 제외한 잔여지역은 경산군으로 존속하였다. 이후 1995년 1월 1일, 경산시와 경산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시인 경산시가 되었다.
3. 3. 현재 행정구역
1914년 행정구역과 현재 행정구역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13]1914년 | 현재 | ||
---|---|---|---|
면 | 동 | 구·읍·면 | 동·리 |
와촌면 (瓦村面) | 계당동, 용천동, 상암동, 시천동, 계전동, 덕촌동, 동강동, 대한동, 박사동, 대동동, 강학동, 신한동, 소월동, 음양동 | 경산시 와촌면 | 계당리, 용천리, 상암리, 시천리, 계전리, 덕촌리, 동강리, 대한리, 박사리, 대동리, 강학리, 신한리, 소월리, 음양리 |
하양면 (河陽面) | 금락동, 대곡동, 동서동, 도리동, 서사동, 양지동, 부호동, 은호동, 남하동, 청천동, 환상동, 대조동, 교동, 사기동, 대학동, 한사동 | 경산시 하양읍 | 금락리, 대곡리, 동서리, 도리리, 서사리, 양지리, 부호리, 은호리, 남하리, 청천리, 환상리, 대조리, 교리, 사기리, 대학리, 한사리 |
진량면 (珍良面) | 아사동, 상림동, 부기동, 문천동, 양기동, 내리동, 평사동(坪沙洞), 선화동, 신상동, 북동, 봉회동, 보인동, 안촌동, 속초동, 신제동, 대원동, 황제동, 가야동, 당곡동, 평사동(平沙洞), 시문동, 광석동, 다문동, 현내동, 마곡동 | 경산시 진량읍 | 아사리, 상림리, 부기리, 문천리, 양기리, 내리리, 평사리(坪沙里), 선화리, 신상리, 북리, 봉회리, 보인리, 안촌리, 속초리, 신제리, 대원리, 황제리, 가야리, 당곡리, 평사리(平沙里), 시문리, 광석리, 다문리, 현내리, 마곡리 |
자인면 (慈仁面) | 동부동, 서부동, 교촌동, 신도동, 읍천동, 신관동, 울옥동, 옥천동, 계남동, 원당동, 북사동, 단북동, 계림동, 일언동, 남촌동, 남신동 | 경산시 자인면 | 동부리, 서부리, 교촌리, 신도리, 읍천리, 신관리, 울옥리, 옥천리, 계남리, 원당리, 북사리, 단북리, 계림리, 일언리, 남촌리, 남신리 |
용성면 (龍城面) | 쟁광동, 고은동, 내촌동, 미산동, 당리동, 외촌동, 고죽동, 도덕동, 매남동, 곡신동, 덕천동, 용천동, 부일동, 용산동, 곡란동, 대종동, 가척동, 용전동, 송림동, 부제동 | 경산시 용성면 | 일광리, 고은리, 내촌리, 미산리, 당리리, 외촌리, 고죽리, 도덕리, 매남리, 곡신리, 덕천리, 용천리, 부일리, 용산리, 곡란리, 대종리, 가척리, 용전리, 송림리, 부제리 |
남산면 (南山面) | 산양동, 우검동, 연하동, 사림동, 평기동, 홍정동, 안심동, 갈지동, 남곡동, 경동, 인흥동, 조곡동, 송내동, 반곡동, 상대동, 하대동, 전지동, 사월동 | 경산시 남산면 | 산양리, 우검리, 연하리, 사림리, 평기리, 홍정리, 안심리, 갈지리, 남곡리, 경리, 인흥리, 조곡리, 송내리, 반곡리, 상대리, 하대리, 전지리, 사월리 |
압량면 (押梁面) | 금구동, 현흥동, 압량동, 인안동, 내동(乃洞), 신대동, 용암동, 신촌동, 부적동, 의송동, 당리동, 강서동, 백안동, 신월동, 당음동, 가일동 | 경산시 압량읍 | 금구리, 현흥리, 압량리, 인안리, 내리, 신대리, 용암리, 신촌리, 부적리, 의송리, 당리리, 강서리, 백안리, 신월리, 당음리, 가일리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內洞), 남방동 | 경산시 | 삼풍동, 평산동, 사동, 갑제동, 조영동, 점촌동, 여천동, 유곡동, 신천동, 내동, 남방동 | |
경산면 (慶山面)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삼남동, 삼북동, 임당동, 서상동, 백천동, 옥곡동, 사정동, 중방동, 계양동, 대정동, 대평동, 신교동, 상방동, 옥산동, 정평동, 대동, 중산동 | |
남천면 (南川面) | 대명동, 삼성동, 흥산동, 금곡동, 협석동, 송백동, 산전동, 신방동, 신석동, 구일동, 원동, 하도동 | 경산시 남천면 | 대명리, 삼성리, 흥산리, 금곡리, 협석리, 송백리, 산전리, 신방리, 신석리, 구일리, 원리, 하도리 |
고산면 (孤山面)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내환동 | 대구 수성구 | 욱수동, 신매동, 삼덕동, 성동, 연호동, 고모동, 시지동, 매호동, 사월동, 가천동, 노변동, 이천동, 대흥동 |
안심면 (安心面)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대구 동구 | 매여동, 각산동, 신서동, 동내동, 괴전동, 숙천동, 대림동, 동호동, 서호동, 율암동, 상매동, 용계동, 사복동, 금강동, 내곡동, 율하동, 신기동 |
4. 지리
5. 인구
6. 산업
7. 교육
8. 교통
9. 문화
10. 정치
11. 출신 인물
12. 기타
참조
[1]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
칙령
지방제도의개정에관한안건
[3]
칙령
지방제도와관제개정에관한안건
[4]
조례
조선총독부령
1913-12-29
[5]
조례
도령
1914-03-16
[6]
법률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07-08
[7]
조례
군조례
[8]
대통령령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9]
법률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0]
조례
군조례
[11]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1986-12-23
[12]
법률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13]
문서
조선 전도부군면리동 명칭 일람
1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