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지용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2010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2016년 17홀드를 기록하며 불펜 투수로 활약했다. 2021년 두산 베어스로 이적하여 2022년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2023년에는 플레잉코치로 활동하다가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2024년부터 코치 전담으로 활동하고 있다. 통산 기록은 8시즌 동안 206경기 출장, 평균자책점 4.83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이문초등학교 동문 - 여갑순
여갑순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여자 10m 공기소총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이다. - 서울이문초등학교 동문 - 지소연
지소연은 대한민국 여자 축구 선수로, 일본과 잉글랜드 클럽에서 활약하며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고,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A매치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강릉영동대학교 동문 - 에드워드 권
에드워드 권은 강릉영동대학교를 졸업하고 리츠칼튼 호텔, W 호텔, 버즈 알 아랍 호텔 등에서 경력을 쌓은 대한민국의 요리사로, 귀국 후에는 텔레비전 쇼 진행 및 레스토랑 운영을 하였으나 탈세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강릉영동대학교 동문 - 김도빈
김도빈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강릉영동대학교를 졸업하고 2024년 한화 이글스 소속으로 1경기에 출전하여 평균자책점 54.00을 기록했으며, 현재 등번호 62번을 사용하고 있다. - 청량중학교 (서울) 동문 - 최진행
최진행은 2004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2020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중심 타자로 활약했으나 부상, 부진, 도핑 징계 등을 겪었고, 2018년에는 주장을 역임했으며, 방출 후에는 유소년 야구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청량중학교 (서울) 동문 - 여갑순
여갑순은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여자 10m 공기소총 경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사격 선수이다.
김지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이름 | 김지용 |
로마자 표기 | Kim Ji-yong |
출생일 | 1988년 2월 20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신장 | 177cm |
체중 | 81kg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우투 |
타석 | 우타 |
프로 입단 정보 | |
드래프트 | 2010년 2차 9라운드 (LG 트윈스) |
입단 년도 | 2010년 |
첫 출장 | KBO 리그 / 2010년 6월 24일 (문학야구장 대 SK 와이번스전 구원) |
마지막 경기 | KBO 리그 / 2022년 9월 24일 (인천SSG랜더스필드 대 SSG 랜더스전 구원) |
선수 경력 | |
소속 구단 | LG 트윈스 (2010년, 2015년~2021년) 두산 베어스 (2022년~2023년) |
지도자 경력 | |
코치 | 두산 베어스 플레잉/2군 불펜코치 (2023년) 두산 베어스 2군 불펜코치 (2024년~) |
KBO 리그 통계 | |
승패 기록 | 14승 14패 |
평균 자책점 | 4.84 |
탈삼진 | 192 |
등번호 | |
등번호 | 81 |
2. 선수 시절
2010년 프로야구 신인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의 지명을 받아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 두 팀에서 활동했으며, 주로 불펜 투수로 활약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수행했다. 2016년에는 LG 트윈스의 핵심 중간 계투로 자리매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기도 했으나, 이후 부상 등으로 인해 출전 기회가 줄어들었다. 2021년 시즌 종료 후 LG 트윈스에서 방출되어 두산 베어스로 이적했고, 2023년 시즌 중 플레잉 코치를 겸임하다가 같은 해 11월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2. 1. LG 트윈스 시절
2010년 LG 트윈스에 9라운드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같은 해 6월 24일 SK 와이번스를 상대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가졌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1.2이닝 동안 4개의 피안타(2개의 피홈런 포함)를 허용하며 3실점하고 2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는 데 그쳤고, 1주일 후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2010년 시즌에는 이 경기를 포함하여 총 5경기에 등판했다.
2011년부터 공익근무요원으로 군 복무를 시작하여 2013년에 소집 해제되어 팀에 복귀했다.
2015년 9월 4일 kt와의 경기에서 데뷔 5년 만에 첫 승리를 기록했지만, 해당 시즌에서 뚜렷한 활약을 보여주지는 못했다.[10][2]
2016년에는 기존 주력 불펜 투수였던 윤지웅의 부진으로 인해 기회를 얻어 주로 승리조에서 활약했다. 이 해 리그 4위에 해당하는 17홀드를 기록했으며, 포스트 시즌에서도 총 5경기에 등판했다. 이후 2017년과 2018년에도 팀의 주요 중간 계투로 활동했다.
2019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등판 기회가 크게 줄어들어, 두 시즌 동안 총 등판 횟수가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2021년 시즌 종료 후, 더 많은 출장 기회를 얻기 위해 구단에 방출을 요청했고, 자유 계약 선수 신분이 되었다.[3] 결국 2021년 11월 11일에 공식적으로 방출되었다.[11]
2. 2. 두산 베어스 시절
2021년 12월, NC 다이노스에서 자유 계약 선수로 풀린 임창민과 함께 두산 베어스에 입단했다.[4] 2022년 7월 12일 NC전에서 연장 10회말에 등판하여 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후 팀 동료 호세 미구엘 페르난데스의 적시타 등으로 팀이 승리했고, 다음 이닝도 삼자범퇴로 막아내며 두산 이적 후 첫 승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 7월 7일 KIA 타이거즈전 이후 1466일 만의 승리였다.[5] 2023년 7월 28일, 2군 불펜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 발표되었다.[6] 같은 해 11월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며,[12] 2024년부터는 코치로 전담하게 되었다.[7]3. 야구선수 은퇴 후
2023년 7월 28일, 두산 베어스의 2군 불펜 코치 겸 선수로 활동하는 것이 발표되었다.[6] 같은 해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2024년부터는 코치 역할에 전념하고 있다.[7]
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wikitext
연도 | 팀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리 | 패전 | 세이브 | 홀드 | 승률 | 타자 | 투구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10 | LG | 7.88 | 5 | 0 | 0 | 0 | 0 | 0 | 0 | - | 34 | 8 | 10 | 2 | 3 | 0 | 5 | 7 | 7 |
2015 | 4.13 | 24 | 0 | 0 | 1 | 1 | 0 | 0 | 0.500 | 137 | 32.2 | 30 | 4 | 12 | 1 | 28 | 15 | 15 | |
2016 | 3.57 | 51 | 0 | 0 | 3 | 4 | 0 | 17 | 0.429 | 258 | 63 | 52 | 9 | 18 | 5 | 56 | 25 | 25 | |
2017 | 5.09 | 53 | 0 | 0 | 4 | 3 | 3 | 8 | 0.571 | 235 | 53 | 59 | 13 | 14 | 2 | 39 | 33 | 30 | |
2018 | 5.36 | 48 | 0 | 0 | 5 | 6 | 1 | 13 | 0.455 | 198 | 47 | 52 | 10 | 9 | 2 | 42 | 30 | 28 | |
2020 | 14.73 | 4 | 0 | 0 | 0 | 0 | 0 | 0 | - | 18 | 3.2 | 5 | 1 | 2 | 0 | 4 | 6 | 6 | |
2021 | 0.00 | 3 | 0 | 0 | 0 | 0 | 0 | 0 | - | 16 | 4 | 2 | 0 | 1 | 1 | 5 | 0 | 0 | |
2022 | 두산 | 6.05 | 18 | 0 | 0 | 1 | 0 | 0 | 0 | 1.000 | 82 | 19⅓ | 19 | 5 | 5 | 1 | 13 | 14 | 13 |
2023 | 1군 출장 없음 | ||||||||||||||||||
통산 | 9시즌 | 4.83 | 206 | 0 | 0 | 14 | 14 | 4 | 38 | 0.500 | 978 | 230⅔ | 229 | 44 | 64 | 12 | 192 | 130 | 124 |
6. 등번호
- 81 (2010년, 2024년 - )
- 60 (2011년)
- 48 (2014년 - 2021년)
- 19 (2022년)
- 2 (2023년)
참조
[1]
웹사이트
Kim Ji-yong KBO League Statistics
https://mykbostats.c[...]
2022-04-06
[2]
웹사이트
'5년 만에 데뷔 첫 승' LG 김지용 꿈꿨던 날이 현실로
http://mydaily.co.kr[...]
2015-09-06
[3]
웹사이트
LG 이성우·김용의 은퇴, 고효준·김지용 방출…코칭스태프 4명 재계약 불가
https://n.news.naver[...]
2021-12-22
[4]
웹사이트
https://m.inews24.co[...]
[5]
웹사이트
https://sports.v.dau[...]
[6]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7]
웹사이트
https://namu.wiki/w/[...]
[8]
간행물
한국야구위원회, 2015 가이드북
[9]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10]
뉴스
'5년 만에 데뷔 첫 승' LG 김지용 "꿈꿨던 날이 현실로"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11]
뉴스
LG 이성우·김용의 은퇴, 고효준·김지용 방출…코칭스태프 4명 재계약 불가
https://n.news.naver[...]
MK스포츠
2021-11-11
[12]
웹인용
'파란만장 야구 인생' 유니폼 벗는 김지용 "양상문 감독님 감사합니다. …
https://sports.chosu[...]
2023-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