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정 (195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태정은 1957년에 태어나 2011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어린 시절 소림무술을 연마하고 이소룡의 영화에 감명받아 무술을 익혔으며, 이소룡 사망 후 영화 《사망유희》에서 대역 배우로 데뷔했다. 이후 홍콩과 한국, 미국 등에서 영화 배우로 활동했으며, 《사망유희 2》, 《아가씨 참으세요》, 《신데렐라 보이》 등에 출연했다. 29세에 배우 활동을 은퇴한 후 사업가로 활동하다가, 2011년 식도 정맥류 파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장출혈로 죽은 사람 - 케난 에브렌
케난 에브렌은 1980년 쿠데타를 일으켜 터키를 장악하고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인권 탄압과 쿠르드족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보이다가 쿠데타 관련 재판을 받던 중 사망했다. - 위장출혈로 죽은 사람 - 존 배너
존 배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 배우로, 나치의 오스트리아 병합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시트콤 《호간의 영웅들》에서 한스 슐츠 하사 역으로 유명하다. - 홍콩의 스턴트 배우 - 성룡
성룡은 홍콩 출신의 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등으로, 코미디와 무술을 결합한 영화로 아시아에서 스타덤에 올랐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 세계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 홍콩의 스턴트 배우 - 원표
원표는 중국 난징 출신으로 성룡, 홍금보와 함께 1980년대 홍콩 액션 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액션 배우이자 무술 감독, 영화 제작자로서, 스턴트맨으로 경력을 쌓아 다양한 액션 연기와 코믹 연기를 선보이며 중화권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태권도 선수 - 문대성
문대성은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국회의원, IOC 선수위원을 역임했으나 논문 표절 논란으로 국회의원직과 IOC 위원직에서 직무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태권도 선수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김태정 (195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김태정 |
한자 표기 | 金泰靖 |
로마자 표기 | Gim Tae-jeong |
출생일 | 1957년 6월 5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부산시 (현 부산광역시) |
사망일 | 2011년 8월 27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다른 이름 | 김태종 |
중국어 예명 | 탕룽 (唐龍)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배우, 무술가 (태권도) |
활동 기간 | 1977년 – 1986년 |
영화 정보 | |
참여 영화 | 사망유희 사망탑 |
2. 초기 생애 및 경력
김태정은 어린 시절부터 무술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젊은 시절 서울특별시의 김대기의 체육관에서 소림무술 18반을 연마했고, 16세 때 영화 정무문을 보고 이소룡에게 감명을 받아 그의 영화를 보며 독학으로 무술을 익혔다.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영화관 앞에서 "제2의 이소룡이 되겠다"고 기도하여 무료로 영화를 보기도 했으며, 철공소 파이프를 용접해 만든 수제 쌍절곤으로 훈련했다.
골든 하베스트에 프로필을 보내 채용 통지를 받았고, 워너 브라더스에도 이소룡 사진과 자신의 사진을 보내는 등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았다.[1] 사망유희 촬영 동안 감금에 가까운 생활을 했고, 파격적인 출연료 18000USD를 받았지만, 이소룡의 촬영 필름이나 대본은 보지 못한 채 액션 장면 대역을 담당했다.[1]
2. 1. 무술 수련
젊은 시절부터 서울특별시의 김대기의 체육관에서 소림무술 18반을 연마했다. 16세 때 영화 정무문을 보고 이소룡에게 감명을 받아 그의 영화들을 보며 독학으로 무술을 익혔다.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영화관 앞에서 "제2의 이소룡이 되겠다"고 기도하여 무료로 영화를 보기도 했다. 철공소 파이프를 용접해 만든 수제 쌍절곤으로 훈련하며 실력을 키웠다.2. 2. 이소룡 대역 배우 데뷔
김태정은 사망유희 오디션 소식을 뒤늦게 알게 되어 참가하지 못했다. 하지만 골든 하베스트에 자신의 프로필을 보냈고, 8개월 후 채용 통지를 받았다. 그는 기쁨과 함께 당연하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또한 워너 브라더스에도 이소룡 사진 7장과 자신의 사진 3장을 함께 보내는 등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았다.[1]사망유희 촬영은 8개월 동안 진행되었는데, 김태정은 이 기간 동안 하베스트 스튜디오와 하얏트 호텔 외에는 거의 나갈 수 없는 감금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 그는 파격적인 출연료 18000USD를 받았지만, 이소룡의 촬영 필름이나 대본은 보지 못한 채 주로 액션 장면 대역을 담당했다.[1]
3. 배우 활동
김태정은 홍콩, 대한민국,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배우로 활동했다.
3. 1. 홍콩 영화
김태정은 1978년 영화 《사망유희》에서 원표와 함께 이소룡의 배역인 빌리 로를 연기했다.[1] (원표는 곡예와 스턴트를 수행했다)[1] 김태정은 이소룡 배역을 잘 소화하여 제작진은 몇 년 후 그를 다시 기용했다.[1] 《사망유희》에서는 주로 액션 장면의 대역을 담당했다.《사망탑》에서는 이소룡 역과 이소룡의 동생 역, 두 역할을 연기했다. 이 영화에서는 이소룡과 탄 룽의 머리 모양이 너무 달라서 어떤 컷에서도 탄 룽임을 금방 알 수 있다. 그러나 탄 룽의 아크로바틱 쿵후(일부, 원표가 담당)는 쿵후 영화 중에서도 최고 수준에 들어간다.
3. 2. 한국 영화
김태정은 한국으로 돌아와 전직 미스코리아이자 로맨스 영화 배우인 정윤희와 함께 ''아가씨 참으세요''에 출연했는데, 이는 그의 한국 영화 데뷔작이자 유일한 주연작이었다. 이 영화는 영화 평론가들로부터는 호평을 받았으나, 상업적으로는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1]3. 3. 한국-대만 합작 영화
김태정은 1982년 영화 《성룡과 이소룡》(일명 ''피스트 오브 데스'')에서 대만 스턴트 배우이자 성룡과 닮은 이수민과 함께 이소룡 역할을 맡아 한국과 대만의 합작 영화에 다시 참여했다. 그러나 이 영화는 상업적, 비평적으로 실패했고, 김태정은 연기 활동을 잠시 중단했다. 이후 김태정은 대한민국 영화계에 대한 실망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으며, 수면제 자살 미수를 겪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는 치료비를 마련하기 위해 대만과의 합작 B급 영화 《쌍배》(영제: JACKIE VS BRUCE TO THE RESCUE, 별제: FIST OF DEATH)에 출연해야 했다.3. 4. 미국 영화
김태정은 1985년 미국 영화 데뷔작인 《신데렐라 보이》에 출연하여 이소룡의 유령 역할을 맡았다.[1] 이 영화는 장 클로드 반담의 영화 데뷔작이기도 하다.[1] 김태정은 주인공 (커트 맥키니 분)을 훈련시키는 이소룡 유령 역할을 연기했다.[1]4. 은퇴 이후
《신데렐라 보이》 이후 29세의 젊은 나이에 배우 생활을 은퇴하고 사업가가 되었다.[2] 2008년, 영화 《아가씨 참으세요》 상영회에 참석하여 오랜만에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2] 2010년 이소룡 탄생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여 《사망지로》라는 작품을 준비 중이며, 이것이 자신의 은퇴작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5. 사망
2011년 8월 27일, 식도정맥류 파열(위출혈)로 54세로 사망했다.[3][4] 새로운 영화를 준비하던 중 친구들과의 만남에서 갑자기 쓰러져 병원에서 사망했다.
경기도 의왕시 오봉정사에 안장되었다. 팬들은 온라인 카페에 추모 글을 올리고 추모 카페를 개설했다.[5]
6. 출연 작품
김태정의 출연 작품은 다음과 같다.
- 1978년 홍콩 영화 死亡遊戱중국어, 사망유희
- 1980년 홍콩 영화 死亡塔중국어, 사망탑
- 1981년 대한민국 영화 아가씨 참으세요 - 일본 미개봉
- 1982년 대한민국·대만 합작 영화 쌍배 - 일본 미개봉
- 1985년 미국 영화 No Retreat, No Surrender영어, 신데렐라 보이
- 2010년 대한민국 영화 사망지로 - 각본은 완성되었지만 미완성
6. 1. 영화
제목 | 개봉 연도 | 제작 국가 | 비고 |
---|---|---|---|
사망탑의 결전 | 2017년 | 不明중국어 | |
헤드폰을 벗어라 | 1994년 | 不明중국어 | |
필사의 도망자 | 1988년 | 不明중국어 | |
특명 어벤저 | 1986년 | 不明중국어 | |
맹룡생사 | 1984년 | 不明중국어 | |
더 슈퍼 닌자 | 1984년 | 不明중국어 | |
마피아 대 닌자 | 1984년 | 不明중국어 | |
대학 얄개 | 1982년 | 不明중국어 | |
쌍배 | 1982년 | 대한민국·대만 합작 | 일본 미개봉 |
인사야투 | 1981년 | 不明중국어 | |
아가씨 참으세요 | 1981년 | 대한민국 | 일본 미개봉 |
사망탑 | 1980년 | 홍콩 | |
사망유희 | 1978년 | 홍콩 | |
Snuff Bottle Connection영어 | 1977년 | 不明중국어 | |
사망유희 2 | 1981년 | 不明중국어 | |
Miss, Please Be Patient영어 | 1981년 | 대한민국 | |
Jackie and Bruce to the Rescue영어 | 1982년 | 不明중국어 | |
신데렐라 보이 | 1985년 | 미국 | |
THE WAY OF DEATH영어 | 2010년 | 대한민국 | 각본 완성, 미완성 |
참조
[1]
웹사이트
Kim Tai Chung (Tang Lung) 김태정 – the Clones of Bruce Lee
http://www.clonesofb[...]
[2]
웹사이트
The Puchon I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History: Miss, Please be Patient
http://history.pifan[...]
2009-07-22
[3]
웹사이트
Hong Kong Cinemagic - Kim Tai Jung
http://www.hkcinemag[...]
[4]
웹사이트
R.I.P. Kim Tai Chung
http://www.cityonfir[...]
[5]
웹사이트
액션배우 고 김태정 - 홍콩커넥션 70' 퓨젼액션의 세계
http://www.yoojung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